KR20120066949A - 휴대전화 - Google Patents

휴대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949A
KR20120066949A KR1020100128312A KR20100128312A KR20120066949A KR 20120066949 A KR20120066949 A KR 20120066949A KR 1020100128312 A KR1020100128312 A KR 1020100128312A KR 20100128312 A KR20100128312 A KR 20100128312A KR 20120066949 A KR20120066949 A KR 2012006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unit
voice
sentenc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고스트리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트리트(주) filed Critical 고스트리트(주)
Priority to KR102010012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949A/ko
Publication of KR2012006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는 통화내용이 표시되는 화면부, 단어 DB 또는 음성 DB가 포함되는 저장부, 음성을 텍스트를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화면부에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각장애인 및 상대방의 통화 편리성을 극대화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전화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용 휴대전화에 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휴대폰이 없는 하루는 생각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또한, 최근 통신기기의 일반적 대중화에 따라 음성정보와 문자정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전화를 포함한 통신기기는 청각장애인이 아닌 일반인의 사용에 국한되어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청각장애인의 휴대전화 사용은 아직까지 실시간의 통화가 아닌 문자메세지 등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경우와는 다르게 의사 소통에 애로사항이 매우 많은 실정이다.
또한, 청각장애인이 상대방의 음성을 문자로서 변환하여 본다고 하더라도 현재 기술로는 변환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고, 변환의 정확성도 담보되지 않는 실정이다. 즉, 청각장애인이 일반인에게 직관적으로 휴대 전화를 사용하기는 아직 어렵고, 이에 따라 일반인도 청각장애인과 편리하게 통화하기가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각장애인이라도 일반인과의 직관적인 음성통화가 가능한 휴대전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수신하는 휴대전화는, 통화내용이 표시되는 화면부, 단어 DB 또는 음성 DB가 포함되는 저장부, 음성을 텍스트를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화면부에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단어 DB는 개별 단어 및 개별 단어와 문법적으로 조합 가능한 서술적 어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어 DB의 개별 단어는 음성 DB의 개별 단어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음성 DB는 개별 단어에 대응하는 파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는 조사 D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조사 DB는 격조사, 보조사 및 접속조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사 DB는 단어 DB에 포함된 개별 단어와 문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이전문장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음성 변환부는 수신된 음성의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 및 비연속음절을 판단하는 단어분리부, 연속음절을 일 단어로 판단하여 일 단어의 음성파형을 상기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파형과 대비하는 음성매칭부,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대응하는 단어 DB단어에 저장된 단어를 선택하는 단어매칭부, 및 선택된 단어를 나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문장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성변환부는 연속음절에서의 조사부분를 판단하는 조사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조사부분의 판단은 연속음절에서의 음성 파형의 변화를 탐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음성매칭부는 연속음절에서 조사부분으로 판단된 부분을 제외하고 음성 DB와 대비할 수 있고, 단어매칭부는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단어 DB에 저장된 단어가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일치되는 단어를 화면부에 출력할 수 있으며, 문장완성부는 조사부분으로 판단된 부분을 재삽입하여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완성된 문장은 화면부에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는 문자메세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부는 상대방의 음성이 전달되는 동시에 음성의 파형이 화면부에 표시되는 파형표시부, 일치되는 단어가 출력되는 단어출력부, 완성된 문장이 출력되는 문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는 터치패널, 기계식 키패드 및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장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 수 있는데, 입력부가 입력한 텍스트의 최초 단어가 이전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문장의 최초 단어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전 문장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는 무선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문장완성부는 완성된 문장을 상대방에게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라도 상대방의 음성에 대해 보다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청각장애인의 통화 편리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상대방의 대화 상태를 알 수 있어 일반적인 대화에 근접한 휴대전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방의 음성을 텍스트로 보다 정확하게 변환하므로 청각장애인의 통화 이해도를 현저히 향상 시키면서, 상대방인 일반인의 통화 편리성도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음성간의 변화를 휴대전화 단말기 자체적으로 구현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인 통화환경을 구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1000)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1000)는 저장부(100), 제어부(200), 화면부(300) 및, 입력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전화(10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00)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단어 또는 음성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1000)에서는 이러한 단어 또는 음성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DB)를 휴대전화 내부에 포함시킴으로서 음성으로 전환하는 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저장부의 더욱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어부(200)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대방의 음성을 단어별로 분리한 후 상기한 저장부의 데이터베이스와 대비하여 최종적으로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1000)에서는 상대방의 음성을 구성하는 음성파장을 이용하여 음성을 단어로 변화하게 되므로 더욱 정확한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현재 통상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제어부(200)의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화면부(300)는 통화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화 내용이라는 것은 청각장애인이 입력하는 텍스트나 상대방의 음성이 텍스트로 표시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화면부(300)에서는 상대방의 음성 입력이 계속되는 것을 알 수 있는 인디케이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상대방이 음성으로 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의 음성 입력 중에는 잠시 대기할 수 있어, 일반인의 통화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보다 자세한 화면부(300)의 기능은 후술한다.
입력부(400)는 화면부(300)에 인접위치한 터치패널이나 일반적인 피쳐폰에서의 기계식 키패드 또는 별도의 외장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텍스트는 입력부(400) 자체 또는 위에서 언급한 화면부(300)에서 표시된다. 입력부의 보다 상세한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무선송수신부(500)는 입력부에서 입력이 완료된 문장을 상대방에서 수신하거나 상대방의 음성을 송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저장부(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저장부(100)는 단어 DB(110), 음성 DB(120), 조사 DB(130) 및 이전문장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어 DB(110)는 개별 단어의 집합과 이러한 각 개별 단어와 문법적으로 조합가능한 서술적 어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별 단어는 일반적인 어학사전에 포함된 모든 단어일 수 있으며, 여기서 언어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술적 어미는 전술한 개별단어가 서술어인 경우에 이에 부가되어 다양한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상의 서술적 어미를 말한다. 이러한 서술적 어미 관련 데이터는 한국어, 일어 등과 같이 서술적 어미를 사용하는 언어환경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음성 DB(120)는 상기한 단어 DB에 포함되는 개별단어와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음성 DB(120)는 상기한 개별 단어를 실제로 발성하는 경우의 각 음성 파형이 저장된다. 따라서, 후술할 제어부에서 실제 음성 통화시의 파형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단어를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 포함되는 저장부(100)는 조사 DB(130)를 더욱 포함한다. 조사란 한국어의 경우에 체언, 부사, 어미에 붙어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사 DB를 따로 구축하고 있으므로 후술할 제어부에서 음성의 문장 완성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게된다. 여기서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및 접속조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조사 DB를 이루는 개별 데이터는 상기한 단어 DB에 포함되는 개별단어와 문법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제어부에서의 문장 완성시의 정확도를 보다 높이게 된다.
한편, 이전문장 저장부(140)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일전에 입력했던 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므로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청각장애인으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텍스트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제어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화하는 음성변환부(210)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화하는 문자변환부(220)로 구성된다. 또한, 음성변환부(210)는 단어분리부(211), 음성매칭부(212), 단어매칭부(213), 및 문장완성부(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음성변환부(210)는 조사판단부(2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어분리부(211)는 일반인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의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과 비연속음절을 판단한다. 예를들어, 음성이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통상 연속음절로 발음되는 “아버지”, “방에”, “들어가신다”의 각각이 분리된다. 단어분리부는 연속음절과 이들 연속음절 사이의 비연속음절의 음성 파형 변화를 감지하여 개별 단어로의 분리를 수행한다.
한편, 한국어나 일본어의 경우에는 조사를 포함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제어부(200)는 전술한 조사판단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어와 결합된 조사는 발음상 연속음절이지만 조사가 삽입되는 전후에 음성파형의 변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조사판단부(215)는 이러한 연속음절 내에서의 음성파형의 변화를 탐지하여 변화후의 연속음절 부분을 조사로 판단한다.
음성매칭부(212)는 연속음절에서 개별단어로 판단된 음성 파형을 음성 DB와 대비한다. 이 경우. 조사판단부(215)는 음성 파형에서 조사로 판단된 부분을 제외하므로 음성 파형 중에서 조사는 제외한 나머지 음성 파형이 음성 DB와 대비될 수 있다. 이때 음성 파형과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 파형이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어매칭부(213)가 상기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 파형과 대응하는 단어를 단어 DB에서 선택하게 된다. 이때, 단어매칭부(213)는 선택된 단어가 화면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문장완성부(214)는 단어매칭부(213)에서 선택된 단어와 조사판단부(215)가 제외한 조사를 재삽입하여 최종적으로 문장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문장완성부(214)는 완성된 문장이 화면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면부(300)는 파형표시부(311), 단어출력부(320) 및 문장출력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형표시부(311)는 상대방의 음성이 수신됨과 동시에 그 음성의 파형(311)이 화면부(300)에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파형의 표시에 의해서 청각장애인은 상대방의 대화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인 전화 통화에 근접한 휴대전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단어출력부(320)는 제어부의 단어매칭부(도3의 참조부호 213)에서 선택된 단어가 출력되는 영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어 DB에 매칭되는 단어임이 제어부에서 확인되면 그 단어(321)를 실시간으로 단어출력부(320)에 출력하게 되므로 청각장애인의 일반인과의 통화 속도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문장출력부(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의 문장완성부(도3의 참조부호 214)가 완성한 문장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한편, 참조부호 400은 입력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입력부로서 화면상에 위치한 터치패널을 예시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는 터치패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입력부(400)는 입력 텍스트 표시부(410)와 입력키보드(42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400)에서는 입력한 텍스트의 최초 단어가 전술한 이전문장 저장부(도 2의 참조부호 140)에 저장된 문장의 최초 단어와 동일한 경우에는 그 이전 문장이 전체가 입력 텍스트 표시부(410)에 출력되고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여 그 이전 문장 전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면에서 “어디로”(411)라는 텍스트를 입력했는데 그 이전에 “어디로 가시나요?”라는 문장을 입력한 경우에는 그 “어디로 가시나요?”(412)라는 문장 전체가 입력 텍스트 표시부(410)에 출력되어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의 문장 입력 속도가 현저히 향상 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문장은 전술한 제어부의 문자변환부(도 2의 참조부호 220)가 송수신부(도 1의 참조부호 500)를 제어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되거나 입력된 문장자체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0 : 휴대전화
100 : 저장부
200 : 제어부
300 : 화면부
400 : 입력부
500 : 송수신부

Claims (21)

  1. 음성 또는 문자메세지를 송수신하는 휴대전화에 있어서,
    통화내용이 표시되는 화면부;
    단어 DB 또는 음성 DB가 포함되는 저장부;
    음성을 텍스트를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부에 상기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DB는 개별 단어와 상기 개별 단어와 문법적으로 조합 가능한 서술적 어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어 DB의 상기 개별 단어는 상기 음성 DB의 개별 단어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DB는 상기 개별 단어에 대응하는 파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조사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DB는 격조사, 보조사 및 접속조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DB는 상기 단어 DB에 포함된 개별 단어와 문법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이전문장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의 파형을 분석하여 연속음절 및 비연속음절을 판단하는 단어분리부, 상기 연속음절을 일 단어로 판단하여 상기 일 단어의 음성파형을 상기 음성 DB에 저장된 음성파형과 대비하는 음성매칭부, 상기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대응하는 상기 단어 DB단어에 저장된 단어를 선택하는 단어매칭부, 및 상기 선택된 단어를 나열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문장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변환부는 상기 연속음절에서의 조사부분를 판단하는 조사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분의 판단은 상기 연속음절에서의 음성 파형의 변화를 탐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매칭부는 상기 연속음절에서 조사부분으로 판단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음성 DB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매칭부는 상기 일단어의 음성파형과 상기 단어 DB에 저장된 단어가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일치되는 단어를 상기 화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완성부는 상기 조사부분으로 판단된 부분을 재삽입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된 문장은 상기 화면부에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메세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대방의 음성이 전달되는 동시에 상기 음성의 파형이 상기 화면부에 표시되는 파형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일치되는 단어가 출력되는 단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완성된 문장이 출력되는 문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널, 기계식 키패드 및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장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입력한 텍스트의 최초 단어가 상기 이전문장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문장의 최초 단어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이전 문장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무선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장완성부는 상기 완성된 문장을 상대방에게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KR1020100128312A 2010-12-15 2010-12-15 휴대전화 KR20120066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12A KR20120066949A (ko) 2010-12-15 2010-12-15 휴대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312A KR20120066949A (ko) 2010-12-15 2010-12-15 휴대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949A true KR20120066949A (ko) 2012-06-25

Family

ID=466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312A KR20120066949A (ko) 2010-12-15 2010-12-15 휴대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469A (ko) * 2018-04-10 2020-07-07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469A (ko) * 2018-04-10 2020-07-07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87B1 (ko) 키패드를 이용하는 표음식 입력
KR100411439B1 (ko) 음성 통역 서비스 방법 및 음성 통역 서버
US8843164B2 (en) Method for creating short messa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90085376A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합성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8337380A (zh) 自动调整用户界面以用于免提交互
KR102056330B1 (ko) 통역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63982A (ko) 시각장애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277313B1 (ko) 의사소통 보조 장치 및 방법
US20070281748A1 (en) Method & apparatus for unlocking a mobile phone keypad
KR101959439B1 (ko) 통역방법
CN108735049B (zh) 聋哑人辅助发声系统及其发声方法
KR20120066949A (ko) 휴대전화
JP2014186713A (ja) 会話システムおよびその会話処理方法
CN101098357B (zh) 支持盲文输入的通信终端及在该终端上发送盲文的方法
JP2000101705A (ja) 無線電話機
KR20090062632A (ko)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0029236A (ko) 통역방법
KR102496398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 페어링되어 음성-텍스트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1251429A (ja) 携帯電話を使用した音声翻訳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
KR20050052943A (ko) 여행자용 키워드 기반 음성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78541A (ko) 대화식 문자표시 장치 및 표시방법
JP6837173B1 (ja) 九列五段電話機
KR20030026547A (ko) 휴대용 통역 안내장치
JP2015115740A (ja) 電話通信装置、電話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094721A (ja) 携帯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