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469A -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1469A KR20200081469A KR1020207016276A KR20207016276A KR20200081469A KR 20200081469 A KR20200081469 A KR 20200081469A KR 1020207016276 A KR1020207016276 A KR 1020207016276A KR 20207016276 A KR20207016276 A KR 20207016276A KR 20200081469 A KR20200081469 A KR 20200081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communication
- terminal
- monitoring device
- trapp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갇힘 검출부(30), 동작 제어부(32), 단말 검출부(31), 및 단말 제어부(33)를 구비한다. 동작 제어부(32)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갇힘을 해소하기 위한 해소 동작을 행한다. 단말 제어부(33)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에 억제 동작을 행하게 한다. 억제 동작은,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이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이상 정지하면, 도어의 개폐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 동작이 행해져도 이상이 해소되지 않으면, 감시 센터로의 통보가 행해진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이상 정지하면, 도어의 개폐 동작이 행해진다. 도어가 개폐됨으로써 갇힘이 해소되면, 승객은 근처층의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내릴 수 있다. 도어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 갇힘이 해소되지 않더라도, 이 동작이 종료되면 감시 센터로의 통보가 행해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갇힘이 발생하고 나서 감시 센터로의 통보가 행해질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감시 센터로의 통보가 행해지기 전에, 승객이 인명 구조대 등을 불러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갇힘이 발생했을 경우에, 갇힘이 발생한 직후에 인명 구조대 등으로의 연락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에서 갇힘이 발생했을 경우에, 갇힘이 발생한 직후에 인명 구조대 등으로의 연락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제1 검출 수단이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갇힘을 해소하기 위한 제1 동작을 행하는 동작 제어 수단과,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제1 검출 수단이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에 제2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제2 동작은,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이다.
이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안에서 감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과, 갇힘이 발생했을 때 감시 장치가 출력하는 특정의 신호를 통신 수단이 수신하면,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을 행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에서 갇힘이 발생했을 경우에, 갇힘이 발생한 직후에 인명 구조대 등으로의 연락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표시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표시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 추(2)는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는, 주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3)에 매달린다.
주 로프(4)는 권상기(5)의 구동 시브(6)에 감겨 있다. 제어 장치(7)는 권상기(5) 등의 기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시브(6)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한다. 구동 시브(6)의 회전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1)은 이동한다. 즉, 권상기(5)는 엘리베이터 칸(1)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의 일례이다. 제어 장치(7)에, 감시 장치(8)가 접속된다. 감시 장치(8)는 외부의 감시 센터(40)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는 감시 센터(4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감시 장치(8)는 감시 센터(40)와 음성 통신을 행한다. 감시 장치(8)가 외부의 감시 센터(40)와 통신을 행하는 방식은, 어떤 방식이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예를 들면 도어(10), 모터(11), 표시기(12), 마이크(13), 및 스피커(14)를 구비한다.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칸(1)에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한다. 도어(10)는 모터(11)에 의해서 구동된다. 모터(11)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표시기(12)는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사람에게 정보를 알리는 수단의 일례이다. 마이크(13) 및 스피커(14)는, 엘리베이터 칸(1)에 구비된 인터폰을 구성한다.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사람은, 마이크(13) 및 스피커(14)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대화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휴대 단말(20)은, 승객의 소유물이다. 도 2는 승객이 휴대 단말(20)을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에, 감시 장치(8)와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다. 휴대 단말(20)이 감시 장치(8)와 통신을 행하는 방식은, 어떤 방식이어도 된다. 휴대 단말(20)은 LAN 경유로 감시 장치(8)와 통신해도 되고, 전기 통신사업자를 경유하여 감시 장치(8)와 통신해도 된다.
도 3은 휴대 단말(2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휴대 단말(20)은, 예를 들면 표시기(21), 마이크(22), 스피커(23), 호출 입력부(24), 동작 제어부(25), 및 통신부(26)를 구비한다.
표시기(21), 마이크(22), 및 스피커(23)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된다. 승객은 호출 입력부(2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5)는, 휴대 단말(20)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26)는 휴대 단말(20)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감시 장치(8)는, 예를 들면 갇힘 검출부(30), 단말 검출부(31), 동작 제어부(32), 단말 제어부(33), 및 통신부(34)를 구비한다.
갇힘 검출부(30)는 엘리베이터 칸(1)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1)에 사람이 갇힌 것을 간단하게 「갇힘」이라고도 말한다.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갇힘 검출부(30)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1)이 통상의 정지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정지하면, 갇힘의 발생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갇힘 검출부(30)는 호출의 등록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에 사람이 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갇힘 검출부(30)는, 저울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계측한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에 사람이 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단말 검출부(31)는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20)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에 있어서 상기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해당 휴대 단말(20)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감시 장치(8)에 송신된다. 단말 검출부(31)는 감시 장치(8)가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20)을 검출한다. 단말 검출부(31)는 휴대 단말(20)의 검출을 다른 방법으로 행해도 된다.
동작 제어부(32)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동작 제어부(32)는 제어 장치(7)를 통해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단말 제어부(33)는 휴대 단말(20)에 구비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33)는 휴대 단말(20)의 동작 제어부(25)를 통해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34)는 감시 장치(8)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감시 센터(40)는, 예를 들면 표시기(41), 마이크(42), 스피커(43), 및 통신부(44)를 구비한다. 표시기(41), 마이크(42), 및 스피커(43)는, 예를 들면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사용된다. 통신부(44)는 감시 센터(40)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이하에, 도 4 내지 도 8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과 휴대 단말(20)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감시 장치(8)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감시 장치(8)에서는, 갇힘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S101의 No),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예를 들면 통상 운전이 행해진다. 통상 운전은 등록되어 있는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차례로 응답시키는 운전이다.
도 7 및 도 8은 휴대 단말(20)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20)에 있어서 상기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통신부(26)는 감시 장치(8)를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1). 통신부(26)는 감시 장치(8)를 검출하면, 감시 장치(8)와 접속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휴대 단말(20)과 감시 장치(8)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S2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202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20)에서는, 예를 들면 호출의 입력이 행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3). 상술한 것처럼, 승객은 호출 입력부(2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의 호출을 입력할 수 있다. 호출 입력부(24)로부터 호출의 입력이 행해지면, 통신부(26)는 입력에 따른 호출 신호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204). 제어 장치(7)는 감시 장치(8)가 수신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호출을 등록한다.
또, S202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26)는,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로부터 표시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5). 통신부(26)가 감시 장치(8)로부터 표시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제어부(25)는 수신한 표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21)에 메시지를 표시시킨다(S206). S206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점검은 7월 31일입니다. 」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기(21)에 표시된다. 휴대 단말(20)이 엘리베이터 칸(1) 안에 존재하는 경우는, S206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이 엘리베이터 칸은 5층, 8층, 및 12층에 정지합니다. 」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기(21)에 표시되어도 된다.
한편, 감시 장치(8)에서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S101의 Yes), 동작 제어부(32)가 해소 동작을 행한다(S102). 해소 동작은 갇힘을 해소하기 위한 특정의 동작이다. 예를 들면, 동작 제어부(32)는 해소 동작으로서, 도어(10)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동작 제어부(32)는 해소 동작으로서, 안전 장치의 리셋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동작 제어부(32)는 해소 동작으로서, 기기와의 통신 리트라이를 행해도 된다. 해소 동작의 예는,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감시 장치(8)에서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감시 장치(8)에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3). 단말 검출부(31)가 휴대 단말(20)을 검출하면, S103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3에서 Yes로 판정되면, 단말 제어부(33)는, S103에서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에 억제 동작을 행하게 한다. 억제 동작은, 휴대 단말(20)의 사용자에,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이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33)는,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에 대해서 통신부(34)로부터 억제 동작 신호를 송신시킨다(S104).
동작 제어부(32)에 의한 해소 동작이 종료되면, 감시 장치(8)에서는, 갇힘이 해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5). 해소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갇힘이 해소되면(S105의 Yes), 통신부(34)는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에 종료 신호를 송신한다(S106). 종료 신호는 휴대 단말(20)에 있어서 억제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감시 장치(8)가 S104에서 송신한 억제 동작 신호는, 휴대 단말(20)의 통신부(26)에 의해서 수신된다. 휴대 단말(20)에서는, S202에서 Yes로 판정되면, 감시 장치(8)로부터 억제 동작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7). 통신부(26)가 억제 동작 신호를 수신하면(S207의 Yes),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을 행한다(S208). 예를 들면,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으로서, 스피커(23)로부터 음성을 연속적으로 출력시킨다.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으로서, 표시기(21)에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으로서, 마이크(22)의 기능을 무효로 하고, 그 취지를 표시기(21)에 표시해도 된다.
억제 동작이 개시되면, 휴대 단말(20)에서는 종료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9). 감시 장치(8)가 S106에서 송신한 종료 신호는, 통신부(26)에 의해서 수신된다. 통신부(26)가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S209의 Yes),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을 종료한다(S210).
한편, 감시 장치(8)에서는, 해소 동작이 행해져도 갇힘이 해소되지 않으면(S105의 No), 감시 장치(8)에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20)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7). 단말 검출부(31)가 휴대 단말(20)을 검출하면, S107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7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34)는 감시 센터(40)와 음성 통신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S108). 그 후, 통신부(34)는 감시 센터(40)와 접속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9).
감시 센터(40)와 감시 장치(8)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S109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9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34)는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에 대해서 호출을 행한다(S110). 단말 검출부(31)가 복수의 휴대 단말(20)을 검출하고 있으면, 통신부(34)는, S110에 있어서 그 복수의 휴대 단말(20)에 대해서 호출을 행한다. 즉, 통신부(34)는, S110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모든 휴대 단말(20)을 호출한다. 통신부(34)는 휴대 단말(20)로의 호출을 행하면, 호출을 행한 휴대 단말(20)이 응답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1).
휴대 단말(20)에서는, 억제 동작이 개시된 후에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 음성 착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11). 음성 착신이 있으면(S211의 Yes), 동작 제어부(25)는 억제 동작을 종료시킨다(S212). 또, S211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20)에서는, 휴대 단말(20)의 사용자가 그 착신에 대한 응답 조작을 행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13).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 음성 착신에 응답할 수 있다. S213에서는, 예를 들면, 통화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휴대 단말(20)의 사용자가 응답 조작을 행하면(S213의 Yes), 통신부(26)는 감시 장치(8)에 대해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214). S214에서 응답 신호가 송신되면, 휴대 단말(20)에서는, 감시 장치(8)와 접속할 수 있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15). 감시 장치(8)와 휴대 단말(20)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S215에서 Yes로 판정된다.
휴대 단말(20)이 S214에서 송신한 응답 신호는, 감시 장치(8)의 통신부(34)에 의해서 수신된다. 통신부(34)가 어느 휴대 단말(2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S111에서 Yes로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장치(8)와 1대의 휴대 단말(20)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휴대 단말(20)과 감시 센터(40)의 사이에서, 감시 장치(8)를 통한 음성 통신이 개시된다(S112).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마이크(22)와 스피커(23)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할 수 있다.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마이크(42)와 스피커(43)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20)의 사용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 또, S111에서 Yes로 판정되면, S110에서 호출을 행한 휴대 단말(20) 중 S111에서 응답한 휴대 단말(20) 이외의 휴대 단말(20)에 대한 호출이 캔슬된다(S113).
감시 센터(40)와 휴대 단말(20)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 통신부(34)는 감시 센터(4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엘리베이터 칸(1)에 구비된 스피커(14)로부터도 출력시킨다(S114).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사람은 오퍼레이터가 말하고 있는 내용을 스피커(14)로부터 들을 수 있다. 그 후, 감시 장치(8)에서는 감시 센터(40)와의 접속이 끊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5). 예를 들면,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가 음성 통신을 끊기 위한 특정의 조작을 행하면, S115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5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34)는 휴대 단말(20)과의 접속을 끊어, 휴대 단말(20)과의 음성 통신을 종료시킨다(S116).
또, S107에서 No로 판정되면, 통신부(34)는 감시 센터(40)와 음성 통신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S117). 그 후, 통신부(34)는 감시 센터(40)와 접속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8). 감시 센터(40)와 감시 장치(8)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S11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8에서 Yes로 판정되면, 감시 센터(40)와 엘리베이터 칸(1)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이 개시된다(S119). 즉, 엘리베이터 칸(1)에 있는 사람은, 마이크(13)와 스피커(14)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할 수 있다.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는, 마이크(42)와 스피커(43)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1)에 있는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다.
감시 센터(40)와 엘리베이터 칸(1)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 감시 장치(8)에서는, 감시 센터(40)와의 접속이 끊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20). S120에서 Yes로 판정됨으로써, 감시 센터(40)와 엘리베이터 칸(1) 사이의 음성 통신이 종료된다.
한편, S215에서 휴대 단말(20)이 감시 장치(8)와 접속함으로써, 이 휴대 단말(20)과 감시 센터(40)의 사이에서, 감시 장치(8)를 통한 음성 통신이 개시된다(S216). 즉,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마이크(22)와 스피커(23)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40)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할 수 있다. 그 후, 휴대 단말(20)에서는, 감시 장치(8)와의 접속이 끊어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17). S217에서 Yes로 판정됨으로써, 휴대 단말(20)과 감시 센터(40) 사이의 음성 통신이 종료된다. S217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20)의 처리는 S202로 돌아간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동작 제어부(32)가 해소 동작을 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20)에서는, 갇힘 검출부(30)가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억제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갇힘이 발생한 직후에, 휴대 단말(20)로부터 인명 구조대 등에게 연락이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의 스피커(23)로부터 소리가 흐르고 있을 때, 사람은 그 휴대 단말(20)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억제 동작으로서는, 스피커(23)로부터 음성을 연속적으로 출력시키는 것이 적합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S211에서 Yes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5)가 억제 동작을 종료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억제 동작을 종료시키는지 여부의 판단은, 감시 장치(8)측에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단말 제어부(33)는, 통신부(34)가 감시 센터(40)와의 통신을 개시할 때, 휴대 단말(20)에서 행해지고 있는 억제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러한 경우, 단말 제어부(33)는, 예를 들면 S108에서 처리를 개시할 때, 억제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34)에 송신시킨다. 단말 제어부(33)는, S109에서 Yes로 판정되었을 때, 억제 동작을 종료시키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34)에 송신시켜도 된다. 다른 예로서, 단말 제어부(33)는, 단말 검출부(31)가 검출한 휴대 단말(20)을 통신부(34)가 S110에서 호출할 때, 휴대 단말(20)에서 행해지고 있는 억제 동작을 종료시켜도 된다.
다음에, 휴대 단말(20)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휴대 단말(20)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S215에서 Yes로 판정된 후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20)에 모드 설정부(27)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10은 표시기(2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모드 설정부(27)가 휴대 단말(20)의 동작 모드로서 난청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27a)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표시기(21)에 표시된 버튼(27a)을 누름으로써, 휴대 단말(20)의 동작 모드를 난청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과 감시 센터(40)의 사이에서 감시 장치(8)를 통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S216), 휴대 단말(20)에서는, 동작 모드가 난청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18).
예를 들면, 동작 모드가 난청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S218의 Yes), 동작 제어부(25)는 감시 센터(40)로부터의 음성을 나타내는 파형을 표시기(21)에 표시시킨다(S219). 또, 동작 제어부(25)는 음성 신호의 입력에 맞춰 상기 파형을 변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파형이 변동하고 있는 것을 보고, 감시 센터(40)의 오퍼레이터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25)는 동작 모드가 난청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정형 메시지를 음성으로 보내기 위한 메시지 버튼을 표시기(21)에 표시시킨다(S220). 그리고, 휴대 단말(20)에서는, 메시지 버튼이 눌렸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21). 표시기(21)에 표시된 메시지 버튼이 눌리면, 눌린 메시지 버튼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가 감시 센터(40)에 송신된다(S222).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20)의 사용자는, 버튼 조작에 의해서 음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덧붙여, 표시기(21)에 표시된 메시지 버튼이 눌렸을 때, 눌린 메시지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감시 센터(40)에 송신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시 장치(8)에 각종 기능이 구비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감시 장치(8)가 구비하는 상기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어 장치(7)에 구비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30~34에 나타내는 각부는,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11은 감시 장치(8)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감시 장치(8)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51)와 메모리(5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50)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8)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5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30~34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5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52)로서,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를 채용해도 된다. 채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및 EEPROM 등이 포함된다.
도 12는 감시 장치(8)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 장치(8)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51), 메모리(52), 및 전용 하드웨어(5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50)를 구비한다. 도 12는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5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5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53)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호 24~27에 나타내는 각부는, 휴대 단말(20)이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휴대 단말(20)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11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휴대 단말(20)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20)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24~27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휴대 단말(20)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또, 휴대 단말(20)이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와 엘리베이터 장치와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 추
3: 승강로 4: 주 로프
5: 권상기 6: 구동 시브
7: 제어 장치 8: 감시 장치
10: 도어 11: 모터
12: 표시기 13: 마이크
14: 스피커 20: 휴대 단말
21: 표시기 22: 마이크
23: 스피커 24: 호출 입력부
25: 동작 제어부 26: 통신부
27: 모드 설정부 30: 갇힘 검출부
31: 단말 검출부 32: 동작 제어부
33: 단말 제어부 34: 통신부
40: 감시 센터 41: 표시기
42: 마이크 43: 스피커
44: 통신부 50: 처리 회로
51: 프로세서 52: 메모리
53: 전용 하드웨어
3: 승강로 4: 주 로프
5: 권상기 6: 구동 시브
7: 제어 장치 8: 감시 장치
10: 도어 11: 모터
12: 표시기 13: 마이크
14: 스피커 20: 휴대 단말
21: 표시기 22: 마이크
23: 스피커 24: 호출 입력부
25: 동작 제어부 26: 통신부
27: 모드 설정부 30: 갇힘 검출부
31: 단말 검출부 32: 동작 제어부
33: 단말 제어부 34: 통신부
40: 감시 센터 41: 표시기
42: 마이크 43: 스피커
44: 통신부 50: 처리 회로
51: 프로세서 52: 메모리
53: 전용 하드웨어
Claims (12)
-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는 제1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갇힘을 해소하기 위한 제1 동작을 행하는 동작 제어 수단과,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을 검출하는 제2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검출 수단이 갇힘의 발생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에 제2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말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동작은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인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동작으로서,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의 제1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연속적으로 출력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이 행해져도 갇힘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 외부의 감시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통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감시 센터의 통신을 개시할 때 상기 제2 동작을 종료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이 행해져도 갇힘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을 호출하여, 해당 휴대 단말과 외부의 감시 센터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을 개시시키는 통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을 상기 통신 수단이 호출할 때 상기 제2 동작을 종료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수단은 사람이 엘리베이터 칸에 갇힌 것을 검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제2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2 검출 수단이 검출한 휴대 단말과 상기 감시 센터의 사이에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 상기 감시 센터로부터의 음성을 상기 제2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안에서 감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과,
갇힘이 발생했을 때 상기 감시 장치가 출력하는 특정의 신호를 상기 통신 수단이 수신하면, 통화를 위한 발신 조작을 주저시키기 위한 특정의 동작을 행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휴대 단말. - 청구항 8에 있어서,
스피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의 동작으로서, 상기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연속적으로 출력시키는 휴대 단말. -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을 입력하기 위한 호출 입력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휴대 단말. -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기와,
난청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서 난청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동작이 개시된 후에 상기 감시 장치를 통해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 음성 신호의 입력에 맞춰 변동하는 파형을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휴대 단말.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서 난청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동작이 개시된 후에 상기 감시 장치를 통해서 음성 통신이 개시되면, 버튼 조작에 의해서 음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표시를 상기 표시기에 행하는 휴대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8/015108 WO2019198157A1 (ja) | 2018-04-10 | 2018-04-10 |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携帯端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1469A true KR20200081469A (ko) | 2020-07-07 |
KR102402700B1 KR102402700B1 (ko) | 2022-05-30 |
Family
ID=6489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6276A KR102402700B1 (ko) | 2018-04-10 | 2018-04-10 |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443598B1 (ko) |
KR (1) | KR102402700B1 (ko) |
CN (1) | CN111699147B (ko) |
WO (1) | WO201919815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12316B2 (ja) * | 2020-10-30 | 2024-01-12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CN117980248A (zh) * | 2021-10-05 | 2024-05-03 |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 电梯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7412A (ja) | 1995-09-14 | 1997-03-25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
KR20110096269A (ko) * | 2010-02-22 | 2011-08-30 | 성기수 |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66949A (ko) * | 2010-12-15 | 2012-06-25 | 고스트리트(주) | 휴대전화 |
JP6306133B1 (ja) * | 2016-11-24 | 2018-04-04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86098A1 (ja) * | 2006-01-24 | 2007-08-0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エレベータの遠隔発報システム |
JP5660594B2 (ja) * | 2009-12-15 | 2015-01-28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
EP2652972A1 (en) * | 2010-12-14 | 2013-10-23 | Kone Corporation | Method for testing elevator emergency phones and elevator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
JP5651028B2 (ja) * | 2011-01-27 | 2015-01-07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エレベータの通報システム |
CN103231961A (zh) * | 2013-05-03 | 2013-08-07 | 天津市安维康家科技发展有限公司 | 可视电梯运行动态监测管理系统 |
JP6161565B2 (ja) * | 2014-04-11 | 2017-07-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
JP6425630B2 (ja) * | 2015-07-22 | 2018-11-21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昇降機のかご呼び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
CN105540377A (zh) * | 2015-12-28 | 2016-05-04 | 深圳神州科创电子科技有限公司秦皇岛分公司 | 具有人脸匹配功能的物联网远程电梯监控系统 |
JP6555173B2 (ja) * | 2016-03-31 | 2019-08-07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6250095B2 (ja) * | 2016-05-13 | 2017-12-20 |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
JP2017218264A (ja) * | 2016-06-06 | 2017-12-14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システム |
JP6335222B2 (ja) * | 2016-06-22 | 2018-05-30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
JP6568507B2 (ja) * | 2016-09-13 | 2019-08-28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CN206940151U (zh) * | 2017-06-23 | 2018-01-30 | 何根巨 | 一种电梯故障应急自救系统 |
-
2018
- 2018-04-10 CN CN201880088876.2A patent/CN111699147B/zh active Active
- 2018-04-10 WO PCT/JP2018/015108 patent/WO201919815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4-10 KR KR1020207016276A patent/KR1024027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10 JP JP2018540501A patent/JP6443598B1/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7412A (ja) | 1995-09-14 | 1997-03-25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エレベータの故障復旧装置 |
KR20110096269A (ko) * | 2010-02-22 | 2011-08-30 | 성기수 |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66949A (ko) * | 2010-12-15 | 2012-06-25 | 고스트리트(주) | 휴대전화 |
JP6306133B1 (ja) * | 2016-11-24 | 2018-04-04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98157A1 (ja) | 2019-10-17 |
CN111699147A (zh) | 2020-09-22 |
JP6443598B1 (ja) | 2018-12-26 |
CN111699147B (zh) | 2022-04-19 |
KR102402700B1 (ko) | 2022-05-30 |
JPWO2019198157A1 (ja) | 2020-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25980B2 (en) | Elevator device that transmits inspection data when inspection operation after earthquake is interrupted | |
JP6668520B1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 |
JP6352367B2 (ja) |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CN103130060B (zh) | 电梯的安全系统 | |
KR102683119B1 (ko) | 엘리베이터의 인터폰의 점검에 이용되는 감시 장치 | |
KR10240270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및 휴대 단말 | |
CN103635408B (zh) | 电梯装置 | |
JP6555173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973204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7260068B2 (ja) |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 |
JP4201663B2 (ja) |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遠隔救出システム | |
JP5878832B2 (ja) | エレベータ用敷居溝異物検出装置 | |
JP2004359405A (ja) |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 |
CN116940515A (zh) | 电梯装置 | |
KR102490052B1 (ko) |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 |
KR20150071688A (ko) |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 |
CN113905969A (zh) | 电梯装置 | |
JP7226665B2 (ja) |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 |
JP7405315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6897135B (zh) | 电梯装置 | |
KR20150019195A (ko) |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 |
JP6923102B1 (ja)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CN112218813A (zh) | 具备向电梯轿厢的内部通知信息的功能的监视装置 | |
CN114981193A (zh) | 实施发生灾害时的训练的电梯的灾害训练装置以及电梯系统 | |
CN116897136A (zh) | 电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