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906B1 -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906B1
KR101105906B1 KR1020110049373A KR20110049373A KR101105906B1 KR 101105906 B1 KR101105906 B1 KR 101105906B1 KR 1020110049373 A KR1020110049373 A KR 1020110049373A KR 20110049373 A KR20110049373 A KR 20110049373A KR 101105906 B1 KR101105906 B1 KR 10110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type
plus
sentence
lear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1004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란히 배치된 두개의 플러스(+)로 구획되는 각 영역에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구조문법인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각 구문별로 응축시켜 정리함으로써 순간기억의 강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그리고 동사문을 각각 배치하여 명사문 결집화, イ형용사문 결집화, ナ형용사문 결집화 그리고 동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는 결집화 체계 학습부를 구비하되, 제1 플러스(P1)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보통체 4대구문을 배치하는 한편 제2 플러스(P2)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공손체 4대구문을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S1)(S5)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S2)(S6)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S3)(S7)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S4)(S8)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치하여 학습할 수 있는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TEACHING MATERIALS FOR MASTER SUPER AND RAPID INTENSIVE JAPANESE USING MEMORY SYMBOL PRAPRA(++)}
본 발명은 문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일본어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조화롭게 부담 없이 문법을 실용화하여 습득의 간이화 학습의 용이성을 마련하고자 다양한 기억술을 배합시켜 일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일본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란히 배치된 두개의 플러스(+) 또는 열십자형으로 구획되는 각 영역에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구조문법인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각 구문별로 응축시켜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는 언어적 정보가 아닌 그림과 같은 시각적·공간적 정보로 변형하여 정리함으로써 순간기억의 강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프라프라(++)'란 플러스(+) 플러스(+)의 일본어 표기인 프라스 프라스를 변형해 만든 말로써, 2개의 플러스를 나란히 배치하고 각 플러스에 의해 열십자형으로 구획되는 각 사분면에 상기 4대 구문을 배치하여 일본어 학습시 기억효과를 높이는데 사용하는 기억부호이다.
「학습과 기억」을 중심주제로 최근에는 일본어뿐만 아니라 외국어 습득과 관련된 기억술에 관한 연구에서 핵심어 기법(key-word법)의 적용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많다. 핵심어 기법은 음성적 부호화를 이용하여 어휘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어휘습득을 촉진시키고자하는 기억전략으로서 이 방법에 의한 어휘 습득 과정은 먼저 학습하려는 외국어 단어와 발음이 같거나 유사한 자국어를 핵심어로 선정한 다음 그 핵심어와 학습하려는 외국어 단어의 뜻을 심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핵심어가 단서가 되어 학습한 외국어 단어의 뜻을 쉽게 회상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지만 기억술 또는 기억 조성법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어 단어학습에 있어서도 한국어를 핵심어 기법으로 사용하여 기계적 반복절차에 의해 학습하는 어떤 방법보다 더 빨리 암기하고 더 오래 파지(retention)할 수가 있다는 긍정적 결과들도 많다. 하지만 외국어 습득은 단순한 단어 암기만이 아니다. 음성언어의 입장에서 볼 때 일본어와 한국어는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핵심어 기법으로 단순하게 암기한 단어가 과연 일본인에게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일본어 50음도 히라가나는 각각 1음절의 길이이며, 특수박이라는 것이 일본어에는 있다. 특수박이란 한국어에서 받침에 비슷한 역할을 한다. 특수박에는 요음, 촉음, 발음, 장음이 있으며, 요음을 뺀 촉음, 발음, 장음은 1음절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단어를 변별시켜주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예를 틀면 「학교」라는 단어는 일본어 「がっこう」이며 촉음과 장음의 영향으로 일본어에서는 4박으로 이루어진다. 단어 「학교(がっこう)」의 기억조성법인 핵심어 기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면
「친구는 학교갔고 영희는 집에 있다.」
우리말 「갔고」의 음절수는 2박이며 일본어의 「がっこう」는 4박이다. 음절수의 길이에 따라 단어가 변별이 된다는 심각성을 강조하고 싶다. 이는 악센트, 인토네이션, 나아가 포커스를 제대로 못하면 일본인에게 의사소통 전달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에서 일본어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초급일본어과정에서 1,500~2,000어를 배우는데도 불구하고 발화(發話)가 매끄럽지 못하며 순발력 또한 없으며, 오용과 자신감 부족이 눈에 띈다. 이러한 현상을 불 때 문법을 개념규정으로 머리에서 이해는 하고 있으나 결코 발화를 위한 실용성 있는 문법의 습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다음단계인 중급일본어에서 학습하는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을 이용한 일본어 구사능력도 매우 떨어지며 특히 イ형용사, ナ형용사, 동사의 연체형이 취약하며 오용이 심각하고, 준체언조사 「の」의 사용법, 접속방법 또한 오용이 심각할 정도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기존의 일본어 학습에서는 초급에서 공손체 시제활용만 배우고 중급에서 갑자기 보통체 시제활용이 나오기 때문에 학습자는 활용하기 어려워 하며, 접속방법까지 해결해야되기 때문에 회화는 물론이거니와 작문도 제대로 못하게 될 경우가 많다. 이것은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구조문법인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을 지식이 전달이 아닌 습득을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원래 일본어문법에 있어서는 보통체가 너무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여 중급 일본어에서 학습하는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은 거의가 보통체에 접속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효율적 문법 제시와 학습은 이제는 탈피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현재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도 문법용어의 사용을 가능한 한 피하고 문법교육을 일본의 전통적인 국문법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학습자를 위한 문법, 즉 문법의 개념을 머리에서만 이해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용성 있는 문법을 도모해야 한다는 인식은 있으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을 발견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습득을 목적으로 실용성 있는 문법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히,학습자들에게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단기간에 일본어 습득을 위해 「학습과 기억」을 중심 주제로 단순 정보의 기억을 넘어서 보다 높은 차원의 지적 기능의 학습에 적용될 수 있도록 어휘측면보다 언어구문을 보다 많이 생각하여 언어의 이해와 생성을 위하여 문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초급 일본어에서 단단한 기초를 양성, 나아가 중급, 상급에서 더욱더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밑거름을 마련하고자 일본어 문법의 내재화 즉 습관화와 더불어 문법학습에 있어서 시간의 단축화, 습득의 간이화를 도모하여 실용성 있는 문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같은 교착어(膠着語)에 속하여 문형구조상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가장 중요한 문법은 초급 일본어에서는 4대구문의 시제활용이고, 활용 중 사용빈도를 생각하면 4대구문의 공손체 시제활용이며, 다음은 중급일본어에서 학습하는 표현문형과 응용표현의 접속 형태인 4대구문의 보통체 시제활용이므로, 4대구문의 구조문법인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을 공략하였으며 「학습과 기억」을 중심 주제로 삼았던 것은 4대구문의 활용에서 술어의 구조요소를 보면 어말(語末)의 어형변화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어말의 어형변화란 운(韻)을 활용한 기법 중 마지막 음소를 변화시킨 협음법칙(assonance rule)을 이용한다면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즉 운이란 효과적인 기억조성 방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4대구문의 모든 활용어의 내재화를 도모한다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습득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것은 이론적이고 또한 그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초급일본어의 교수요목에서는 문법학습은 문법의 개념규정을 머리에서만 이해시킬 수밖에 없다. 특히 4대구문의 활용은 활용의 법칙을 전달하여 이해의 자원으로 끝난다. 이는 어문적으로 기술된 문법설명이란 언어의 서열적 성질 때문에 학습자가 기술순서에 따라 하나씩 하나씩 접근해 가며 이해하며 습득해가는 복잡하고도 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처럼 복잡하고도 긴 과정을 거쳐가는 동안에 기억한 정보들은 간섭받거나 망각할 위험성이 크다. 이는 실용성 있는 문법과는 거리가 멀어지며 문법의 개념규정을 머리에서만 이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실용성 있는 문법이란 문법의 내재화 즉 기억 활동을 촉진시키지 않으면 안 되지만 언어라는 것이 계열적인 것이기 때문에 기억 활동에 있어서 지각(知覺)한 형태와 기억하고 있는 형태가 일치하지 않으며 저장할 때의 맥락(습득 때의 조건)과 인출할 때의 맥락 또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억 후에 간섭을 받거나 망각을 일으켜 효율적인 기억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시각적·공간적 정보는 병렬적으로 표상 할 수 있다. 즉, 시각적·공간적 정보는 기억해야 할 재료들을 동시에 쉽게 접근 및 처리가 가능하며, 지각(知覺)한 형태와 기억하고 있는 형태의 맥락과 인출할 때의 맥락이 일치하기 때문에 즉 저장방법과 인출방법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기억 수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단어 재인식보다는 그림 재인식이 쉽다. 즉, 단어보다는 그림을 더 잘 기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은 언어적 정보로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는 어마어마한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구조문법인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일목요연하게 한 장의 그림처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플러스(++)안에 담아 시각적·공간적 정보로 변형시켜 기억해야할 정보들을 동시에 쉽게 접근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는 영상효과, 음운적(음성적)으로는 운을 활용한 리듬효과, 청각적으로는 압운(押韻)효과, 어문적(語文的)·어의적(語義的)·의미적(意味的)으로는 어조(語調)와 운을 활용한 위치법 효과를 배합시켜 결집(조직화)하여 순간기억의 강도를 높였다.
또한 체계적으로는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을 똑같은 방식과 똑같은 형태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규칙적인 학습과 더불어 반복·암송의 유지시연을 이용하여 기억증진효과를 높여, 영구기억으로 전이 즉 완벽한 문법(시제활용을 포함한 4대구문의 구조문법법칙)의 습관화를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다양한 기억술을 조합하여 체계화한 기억전략을 발명하여 실용성 있는 문법을 실현하였다. 이는 구조적으로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체계적이고 조직적이고 구체적으로 방식과 형태를 정교화시킨 기억전략을 갖춘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이 학습자 중심으로 보다 총합적이며 보다 장기적 전망에 서서 학습자 스스로 응용과 활용을 할 수 있도록 또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발화(發話)를 유도하며 자립성의 육성과 표현력, 응용력, 순발력, 구사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는,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를 나란히 배치하여, 일본어의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그리고 동사문에 대하여 각 구문별로 보통체를 제1 플러스(P1)에 배치하고 공손체를 제2 플러스(P2)에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S1)(S5)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S2)(S6)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S3)(S7)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S4)(S8)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치한 각 구문별 결집화 체계 학습부를 구비한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에 이어,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으로 이루어진 4대구문의 결집화 체계를 한 장에 배치하여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군집화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군집화 학습부에 이어, 상기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 군집화 학습부를 재구성하여 보통체 종지형, 공손체 종지형,종지형 변형, 연체형, の의 연체형으로 계층적으로 조직화한 상태로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한장에 배치하여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형태로 조직화한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에 이어,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에서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의 특수항목만을 남기고 그밖의 언어정보들은 제거하여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문법범주에 따른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기억전략 4단계의 기억심상화 학습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에서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 하단 괄호영역(S9)에는 운(韻)을 활용하여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부로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 긍정 및 부정의 접속어인 て형, 부사적용법을 추가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은, 명사문 결집화 체계에서는 명사와 명사 사이에 「の」가 배치되어 연결된 것이고, イ형용사문 결집화 체계에서는 단어끝에 「い」가 붙는 형용사의 기본형과 명사가 결합된 것이며, ナ형용사문 결집화 체계에서는 단어끝에 「な」와 명사가 결합된 것이며, 동사문 결집화 체계에서는 동사의 기본형과 명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에 의하면, 기억전략 1단계에서 4단계에 이르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이 영구기억으로 전이되어 중급일본어에서 제시되는 응용표현을 쉽게 이해하며 학습하는 순간에 자연스럽게 입에 배이기 때문에 성취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기억술을 배합하여 기억효과가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1. 시각적 효과
프라프라(++)형을 그림처럼 생각하여 눈 사진을 찍듯이 기억하므로 눈을 감아도 뇌리에 새겨져 있기 때문에 시각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머릿속에 공간적 그림을 그리고 그 공간적 그림에 학습자 자신이 주체가 되어 시제활용을 영상처럼 떠오르게 만든 것이다. 즉 영상력을 더하여 익혀가는 것이다.
시각적·공간적 정보 즉 시각적 기법을 사용하면 정보들은 일목요연하게 조직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시각적 형태를 기억케 해 주기 때문에 언어적 형태보다 더 효과적이다. 시각화 기법은 논리적으로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는 교재 내용을 기억할 때 효과적이며, 많은 정보를 알기 쉽게 조직화시켜 놓은 것이 바로 시각화 기법이다. 기억해야 할 정보를 조직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힐 수 있겠다.
또한 시각적 기법은 시각적 심상(心像)에 유용하며, 심상(imagery)이란 시각상 즉 시각적 기억을 말하며, 심상화는 구체적인 대상이나 사물이 눈에 보이지 않아도 머리 속에 떠 올릴수 있는 상(그림)을 말한다. 그림은 그 자체가 시각적 심상으로 기억될 수 있고 사람들이 심상을 만들어 낼 필요가 없다. 그림은 단어보다 기억이 더 잘 되고 구체적인 단어는 추상적인 단어보다 더 기억이 잘 된다. 시각적 심상이 효과적인 기억부호가 될 수 있다고 하는 한 가지 증거는 사람들이 단어 재인식보다 그림 재인식이 쉽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기억에 가장 오랫동안 부착시켜 놓을 수 있는 종류의 심상을 수립하여야 한다. 즉 심상생성을 위한 법칙으로 유사한 것들을 가능한한 뚜렷하게 하거나 지극히 아름답게 하거나 혹은 아주 추하게 하거나 우스꽝스럽게 하거나 하는 것은 우리의 기억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2. 음운적(음성적)효과와 청각적효과
기억 수행에 있어서 운(韻)이란 효과적인 기억조성 방법의 하나인데 운을 붙일 수 있는 단어는 그럴 수 없는 단어보다 일반적으로 학습하기가 더 쉽다. 본 발명에서의 운 활용에는 「hat - fat」와 같은 운법칙과 「hat - hag」, 「pit - pin」와 같은 협음법칙을 이용하였다.
2개의 프라스(+) 프라스(+)의 각간을 이용하여 음운적(음성적), 어문적·어의적·의미적으로 지정된 번호(위치법을 이용한 암송순서)를 순서대로 발음하면 운(韻)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하기 쉬우며 리듬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압운(押韻)효과에 의하여 비슷한 음을 반복하면서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분절적 부호(articulatory code)의 효과
분절적(分節的) 부호란 근육동작의 유형을 강조하는 기억술이다. 분절적부호로 제시된 절차 자극은 발음할 때마다 일관성 있게 입 주변 근육변화가 입력이 되며, 여기에 청각적 효과가 더하여 쉽게 기본형과 활용형이 입에 배게 된다. 특히 동사활용에 효과적이다. 일본어 동사는 3종류로 분류가 되며, 가장 어려운 것은 1그룹동사 이다.
1그룹동사의 활용 법칙은 복잡하지만, 입 모양을 생각 할 때 모음 「あ(아), い(이), う(우), え(에), お(오)」로 크게 5종류의 변화밖에 없다. 따라서 분절적부호를 이용해서 발음을 할 때 의식적으로 입 모양을 크게 벌려서 정확하게 발음시키며 입 주변 근육에 어미변화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다양한 기억술이 배합 된 기억부호 프라프라(++)형과 더불어 쉽게 기본형에서 활용형, 활용형에서 기본형으로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4. 위치법의 효과
위치법은 일련의 순서로 되어있는 정보를 기억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써 이 기법이 효과적인 이유는 기억해야 할 정보를 심상을 통해 조직화시켜주기 때문에 기억이 잘 되며 자료를 의미 있는 형태로 변화시켜주기 때문에 구체적 정보를 기억하는 데에 아주 효과적이며 기억할 항목을 순서대로 기억하고자 할 때 효율적으로 기억이 강도가 높아진다. 위치법의 효과는 분명한 시각적 이미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어디에 무엇이 있고, 그 다음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재생해 낼 수 있다. 따라서 기억정보를 엄격한 순서에 따라 기억함으로써 각기의 위치가 기억 속에서 분명히 눈에 떠오르게 되며 기억한 정보의 요점들은 순서에 따라 시각적으로 영상화되어 기억한 정보의 내용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각 위치(장소)를 단서로 하여 기억했던 영상을 인출하게 된다.
5. 체계적 효과
체계적으로는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을 같은 방식과 같은 형태로 결집시켜 조직화하여 유사성(같은 방식과 같은 형태)과 특유성(독특성과 정교화)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규칙적인 학습과 더불어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유지시연(반복·암송)을 수행할 수 있어 기억의 강도는 높아져 왁벽한 문법의 내재화 즉 습관화를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촉진시 실용성 있는 문법을 실현화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시제활용 뿐만 아니라 주요문법을 응축(凝縮)시킴으로 조화로운 순서로 속성학습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학습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였다.
6. 유사성과 특유성(독특성·정교화)의 효과
사람들은 내재된 의미가 유사하거나 발음이 유사한 단어끼리 모아서 재생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람들은 시각적 형태의 유사성을 기초로 쉽게 기억할 수 있으며, 기억 수행에 있어서 유사성을 이용하여 형태를 범주화한다는 것은 「가장 가까운 이웃법칙」이며, 이는 범주의 구성형태가 비슷할수록 인출된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 이다. 특유성이란 독특성과 정교화를 의미한다. '특유한'이라는 말은 어떤 항목들을 다른 항목과 구별하기가 얼마나 쉬운가를 일컫는다. 즉 독특성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정교화란 어떤 항목을 보다 특유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한다. 정교화는 기억해야 할 정보에 무엇인가를 덧붙이거나 다른 정보와 서로 관련시킴으로써 기억을 돕는 전략을 의미하며 정교화의 요소에는 방식으로는 조직화, 형태로서는 심상체제(심상부호 즉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체제(어문적이나 어의적 또는 의미적 결합을 이용하여 기억증진 높이는 기법)가 있으며, 정교화를 정교화시연 또는 정교화전략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유사성과 특유성(독특성·정교화)은 기억정보를 영구기억에 전이시키는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이며 이는 기억과 회상(재생·인출)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에는 일련의 정교화시연인 방식은 물론이거와 형태로서는 심상체제와 언어체제의 배합을 갖추고 있으며, 독특성 또한 갖추고 있어서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체계적이고 조직적이고 구체적으로 정교화된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이 유사성과 특유성(독특성·정교화)은 기억정보를 영구기억에 전이시키는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이며 이는 기억과 회상(재생·암송)을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7. 시연효과
시연에는 유지시연과 정교화시연이 있다. 유지시연은 반복·암송을 의미하며 정교화시연은 기억해야 할 정보에 무엇인가를 덧붙이거나 다른 정보와 서로 관련시킴으로써 기억을 돕는 전략을 의미하며 정교화의 요소는 방식으로는 조직화, 형태로서는 심상체제(심상부호 즉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체제(어문적이나 어의적 또는 의미적 결합을 이용하여 기억증진 높이는 기법)가 있다.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주의집중과 반복훈련(유지시연)이 가장 핵심적인 방법으로서 반복은 재생을 증진시킨다. 여기에 최근에는 정교화시연의 중요성도 강조 되고 있다. 정보를 영원히 기억해야 할 경우에는 유지시연보다는 정교화시연이 유용하다는 주장도 많다. 본 발명에서도 유지시연과 정교화시연을 갖추고 있다.
8. 조직화의 효과
「과학자는 조직하여야 한다. 돌을 가지고 집을 짓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실을 가지고 과학을 만든다」라는 이야기도 있다. 지식이 조직은 어디에서나 필요하며, 이 필요성은 과학에서 뿐만 아니라 예술 및 문화에서도 적용한다.
기억 수행에 있어서 조직화는 기억 저장고에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기억해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보를 영구히 보존하려면 정보를 조직화 시켜야 한다. 이는 기억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부호화 하며, 체계적으로 구조화 시키고 조직화시키는데 있다.
9.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효과
결집화는 조직화 전략의 하위전략으로서 가장 원시적인 전략이지만 단일한 정보 단위를 더 큰 단위로 묶어 단기기억의 제한적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이다. 단기기억의 측면에서는 자료의 형태에 상관없이 약 7±2개의 정보를 저장 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3909081691을 외우는데 3-9-0-9-0-8-1-6-9-1으로 한다면 10개의 단위가 되지만 두 개의 수치를 결집으로 한다면 39-09-08-16-91이 되고 정보의 단위 수는 5개로 줄어든다. 즉 정보들을 결집(유의미한 것으로 묶음)시키면 파지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플러스(+) 플러스(+)와 괄호「( )」를 이용함으로써 어마어마한 4대구문의 구조문법을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는 기존의 문법 설명을 시각적·공간적 정보로 변환시켜 기억할 수 있는 정보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10. 인출효과와 망각
망각이란 정보를 저장할 때의 맥락과 인출할 때의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항상 기억해야할 정보들은 저장할 때의 맥락(습득 때의 조건)과 인출할 때의 맥락(인출 조건)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기억은 향상되며 재생·인출 수행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 프라프라(++)형의 효과
의미망으로 조직화된 정보는 무선적으로 저장된 정보들보다 더 쉽게 인출될 수 있으며 의미망을 연결짓는 노드(node)는 통로로서 통로의 길이가 짧을수록 연합의 강도가 더 강하며 인출도 더 쉽게 된다. 즉 2개의 플러스 플러스와 괄호「( )」는 구조문법인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의 의미망을 연결짓는 노드(node)의 역할을 한다.
의미망의 개념은 패키지(package)가 된(즉 조직화가 된)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한 장의 그림개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무선적으로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학습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학습에 용이성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적인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기억하기보다 한 장의 그림을 접하여 기억하는 것이 주의집중에도 효과적이다. 프라프라(++)형의 노드는 기억의 통로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가 무엇을 기억하고자 할 때는 기억하려는 사실에 대한 어떤 정신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러한 이미지를 공간적 이미지의 구조 내에서 어떤 위치를 갖게 하여 저장하면 기억은 효과적이다. 위치를 배열하면 사실들의 순서가 보존되며 그 위치 속에 있는 사실에 대한 이미지는 사실 자체를 밝혀주게 된다.
또한 어떤 항목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기억술의 배합이야말로 하나의 기억술보다 그 항목을 회상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킨다.
12. 주의 집중효과
주의 집중 능력은 기억하고자 하는 정보 및 자료의 성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어떤 정보들은 그것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특징 때문에 자연스럽게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의 색채, 광고 문구, 노래, 목소리 등은 특별한 성질로 인해 집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억수행에서 집중으로 보다 잘 통제할 수 있을 때 정보는 빨리 기억이 되며, 주의 집중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정보나 자료보다 눈에 띄게 해야 만이 기억의 강도는 증가한다.
13. 기억전략 2단계의 프라프라(++) 범주 군집화의 효과
2단계에서는 1단계의 4대구문의 각 결집화를 같은 형식과 같은 형태 그리고 같은 절차를 강조하여 결집시켜 조직화했기 때문에 4대구문의 각 결집화된 조직화를 한자리에 모아 범주 군집화 형태로 재구성하여 재조직할 수 있었다. 즉, 프라프라(++)형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유사성(같은 형식, 같은 형태, 같은 기억수행 절차)을 이용하여 형태를 범주화한 조직화는 연합적인 관계를 맺어 전체적인 조화성과 체계성이 있기 때문에 동화되어서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며 보기 좋게 대칭적 그리고 완전한 것으로 기억 정보는 재구성되어 영구기억에 저장되기 때문에 재생·회상·인출은 우수해지며 효과적으로 인출이 쉬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범주화한 조직화는 「가장 가까운 이웃범주」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형태를 범주화하기보다 범주의 구성형태가 비슷할수록 인출된 확률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범주화의 확립은 계속적인 학습에 대한 필요를 감소시키며, 범주화는 환경의 복잡성을 줄이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4대구문의 시제활용과 주요문법을 일목요연하게 한 장의 그림처럼 한 눈에 파악이 가능하며 기억증진효과는 매우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재생·회상·인출이 쉬워지는 것이다.
14. 스키마(schemes)와 쉐마(schema) 효과
스키마(schemes)란 영구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조직화된 정보의 묶음이며, 쉐마(schema) 란 인간은 투입된 정보들을 통합하여 다소간에 조리가 있고 구조적인 어떠한 구조로 만들어 가는데 이것을 쉐마라고 한다. 사람은 기억의 재구성에서 기존의 쉐마와 관련을 갖게 되면 자료를 쉽게 조직화할 수 있으며 파지의 기준점이 되는 닻을 쉽게 가지게 된다.
15. 기억전략 3단계의 프라프라(++)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의 효과
정보를 영구기억의 저장고에 잘 보관하는 전략은 위계적 조직화이며 위계적 조직화의 저변에 깔려있는 기본적인 전제는 정보를 논리적으로 저장한다면 정보를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무선적인 정보를 위계적으로 조직화하면 정보들은 서로 고리를 형성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위계적 조직화 내의 어느 정보이든 간에 하나를 인출하면 그 밖의 정보를 인출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즉 정보들을 위계적인 범주로 조직화 하게 되면 이 범주들의 각 위계들은 인출단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며 위계적 조직화는 시각적 형태(visual pattern)를 분류하는 것과 같은 인지적 관계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억정보의 재생을 증진시키며, 기억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집중적인 연습을 통하여 사람의 기억범위를 극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는 기억전략 1단계 결집화의 효과와 2단계 범주 군집화의 효과, 즉 스키마와 쉐마 효과를 바탕으로 결합적으로 개념적으로 조리가 있는 연계관계를 지닌 조직적인 구조의 체제화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정보를 논리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쉽게 기억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적으로 저장된 정보보다 더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이다. 이는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된 의미망을 형성하는 프라프라(++형)은 정보를 연결짓는 노드(node)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정보들은 서로 고리를 형성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위계적 조직화 내의 어느 정보이든 간에 하나를 인출하면 그 밖의 정보들도 인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본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는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의 복잡한 접속방법을 시각적으로 음운적(음성적)으로, 청각적으로, 어문적·어의적·의미적으로 조직적으로 체계적으로 5종류 「공손체 종지형」,「보통체 종지형」,「종지형 변형」,「연체형」, 「の의 연체형」의 형태로 범주별로 위계적으로 조직화로 분류하였다. 분류에 있어서 5종류의 차이점은 하나는 공손체 술어형이며, 나머지 4종류는 보통체 술어형으로 그 차이점은 오직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 긍정형이 다르다는 점을 프라프라(++)형을 이용함으로써 한 장의 그림형태로 쉽게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5종류를 한자리에 배치하더라도 각각 분류하더라도 항상 하나의 그림형태로 인식시킬 수 있게 되어, 문법을 시각을 통하여 교통표식과 같은 시각상징으로서 인식시켜 실용성 있는 문법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학습자는 4대구문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의 복잡한 접속을 생생하고 특이한 그림 형태로 인식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문법설명 필요 없이 각 문형과 표현을 쉽고도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되며 접속에 있어서 오용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학습자는 시제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능동적인 발화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현력, 응용력, 순발력, 구사력 나아가 자립성의 육성과 창조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16. 기억전략 4단계의 프라프라(++) 기억심상화의 효과란
심상(imagery)이란 시각상 즉 시각적기억을 말하며, 심상화는 구체적인 대상이나 사물이 눈에 보이지 않아도 머리 속에 떠 올릴수 있는 상(그림)을 말한다. 그림은 그 자체가 시각적 심상으로 기억될 수 있고 사람들이 심상을 만들어 낼 필요가 없다. 그림은 단어보다 기억이 더 잘 되고 구체적인 단어는 추상적인 단어보다 더 기억이 잘 된다. 시각적 심상이 효과적인 기억부호가 될 수 있다고 하는 한 가지 증거는 사람들이 단어 재인보다 그림 재인이 쉽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기억에 가장 오랫동안 부착시켜 놓을 수 있는 종류의 심상을 수립하여야 한다. 즉 심상생성을 위한 법칙으로 유사한 것들을 가능한한 뚜렷하게 하거나 지극히 아름답게 하거나 혹은 아주 추하게 하거나 우스꽝스럽게 하거나 하는 것은 우리의 기억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심상은 정보를 영구기억에 정보를 조직화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기 때문에 심상을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다면 모든 학습에 큰 효과를 가져 온다.
본 4단계의 기억심상화는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를 재구성하여 시각적 이미지화하였다. 이는 문법범주에 따른 4대구문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접속 형태인 5종류에서 오직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만이 다르다는 점과 그밖에는 접속형태가 5종류 똑 같다는 점을 쉽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의 항목만 남기고 그밖의 언어정보들은 뺀 형태로 시각적 이미지화하였다. 즉 심상화(imagery)하여, 시각적·공간적으로 배열된 프라프라(++)형의 상이 직접 눈에 보이지 않아도 상(그림)으로써 머리 속에 떠올릴 수 있도록 기억심상화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억술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교수법에 있어서 프라프라(++)형은 단순한 기억부호가 아닌 정교화 된 기억심상부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교화 된 기억심상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함으로써 기억전략 1단계에서 4단계의 각 단계별 조직화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기억의 강도를 높여가는 정밀하고도 정교한 조직화 과정, 즉 정교화 방식(조직화)과 정교화 형태(심상체제와 언어체제를 배합 )가 배합되어 있어서 이론적으로 매우 정밀하고도 정교하며 구조적으로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체계적이고 조직적이고 구체적으로 정밀한 기억전략마져 발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발명은 종래의 언어적 정보로 복잡하게 설명이 기술되어 제시되는 4대구문의 구조문법에 따른 법칙이 본 발명으로 집대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오래 걸렸던 학습순서와 달리 학습시간의 단축화, 습득의 간이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속성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학습과제에서 학습을 용이하게 하며 습득 환경 이상의 장점(자신감, 동기유발)을 학습자에게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문법학습에 있어서 학습자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원활하게 또한 재미있게 리듬으로 조화롭고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4대구문의 모든 활용어가 자유자재로 입에서 배어나오며 또한 활용어를 기본형(사전형)으로 자유롭게 입에서 배어나오기 때문에 학습자 스스로 응용과 활용을 할 수 있게 되어 배우는 순간부터 학습에 재미를 느끼며 그것이 더욱더 실력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학습자의 능동적인 발화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현력, 응용력, 순발력, 구사력 및 자립성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어서 초급일본어에서 단단한 기초(토대)를 양성, 나아가 중급, 상급에서 더욱더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밑거름을 마련하여 교수력 증진에도 크나큰 장점을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인지적인 측면에서의 효과는 학습자에게는 학습과제에서 학습의 용이성과 지식이 전달이 아닌 습득의 즐거움을 교수자에게는 교수력 증진을 부여하며,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학습자에게는 습득 환경 이상의 장점(자신감, 동기유발)을 교수자에게는 가르치는 즐거움과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는 혁명적인 교수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을 이수한 교수자 여러 명에게 각 교육장에서 본 발명을 적용시, 기존에 비해 훨씬 짧은 시간에 목표에 도달하였다. 목표도달기준은. 일반적으로 일본어능력시험을 측정도구로 삼았다. 원래 일본어능력시험을 볼 기준은 1급(900시간), 2급(600시간), 3급(300시간), 4급(150시간)으로 상정되어 있지만, 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으로 학습한 학습자는 4급은 대상자가 10명 이내라면 약 70시간, 15명 이내라면 약 90시간, 20명 이상이라면 약 100시간, 3급은 대상자가 10명 이내라면 약 150시간, 15명 이내라면 약 170시간, 20명 이상이라면 약 220시간이며, 2급은 10명 이내라면 약 300시간(초급 단계 학습시간 포함), 15명 이내라면 340시간, 20명 이상이라면 약 640시간이라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각 교육장의 담당 교수자는 달라도 교육시간수 및 성적은 비슷비슷하였다. 이는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이 매우 과학적이라는 점도 시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명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
도 1b는 도 1a에서의 운활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イ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운활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ナ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
도 3b는 도 3a에서의 운활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
도 4b는 도 4a에서의 운활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4a의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례(1그룹동사),
도 5b는 도 4a의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례(1그룹동사),
도 5c는 도 4a의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례(1그룹동사),
도 6은 도 4a의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례(2그룹동사),
도 7은 도 4a의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례(3그룹동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대구문의 범주 군집화(++명사문,++イ형용사문,++ナ형용사문,++동사문의 총집합) 학습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도 9a의 일부 확대도면,
도 9c는 도 9a의 다른 일부 확대도면,
도10은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 기억심상화 학습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응용표현의 접속응용례,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표현문형의 접속응용례,
도 13a 및 도 13b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종조사의 접속응용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억전략 1단계와 2단계는 초급일본어에서 「4대구문의 구조문법을 중심으로 기억의 체계화」를 기재하였으며, 기억전략 3단계와 4단계는 중급일본어에서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을 위한 기억의 체계화」를 기재하였다. 여기서 기억전략 제1단계는 명사문 결집화, イ형용사문 결집화, ナ형용사문 결집화 그리고 동사문 결집화로 나뉘어 기재되어 있고, 기억전략 2단계는 1단계에서의 4대구문의 각 결집화를 한 자리에 결집시켜 깔끔하게 정리된 한 장의 그림처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프라프라(++)형의 시각상(視覺像)을 강조한 범주 군집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억전략 3단계는 상기 2단계의 범주 군집화를 문법 범주에 따라 범주별로 위계조직화(位階組織化)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제4단계는 상기 3단계에서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를 재구성하여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의 특수항목만을 남기고 그밖의 언어정보들은 뺀 형태를 시각적 이미지화 즉 심상화한 기억심상화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명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사문의 결집화 즉 프라프라(++) 명사문은 시각적으로는 영상효과, 음운적(음성적)으로는 운(韻)(운법칙(韻法則)과 협음법칙(協音法則)중 협음법칙)을 활용한 리듬효과, 청각적 부호로는 압운(押韻)효과, 어문적·어의적·의미적(語文的·語義的·意味的)으로는 어조(語調)와 운(韻)을 활용한 위치법효과 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중 하나인 명사문 배치하여 명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플러스(P1)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보통체 4대구문을 배치하는 한편 제2 플러스(P2)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공손체 4대구문을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열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플러스(P1)에는 보통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 또 제2 플러스(P2)에는 공손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으로 8칸에 배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 하단에 기타 문을 배열하기 위한 괄호영역(S9) 안에는 운(韻)을 활용하여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 긍정및 부정의 접속어인 て형, 부사적용법을 추가로 배열하여 기억수행의 용이성, 학습의 용이성 그리고 순간기억과 기억증진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조직화로 구성되어 있다.
도 1b는 도 1a에서 운을 활용한 기억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운을 활용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리듬화가 가능하게 되어 귀와 입을 자극하여 익히기 쉽게 되어 있다. 운 활용에는 hat - fat와 같은 운법칙(韻法則)과 「hat - hag」, 「pit - pin」와 같은 협음법칙(協音法則)이 있다. 본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결집화(조직화)에는 협음법칙을 이용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같은 교착어(膠着語)에 속하여 문형구조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술어의 구조요소를 보면 어말(語末)의 어형변화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국어에 있어서도 똑같이 운을 밝기 때문에 지정된 번호의 순서대로 발음하면서 암송하면 기억하기 쉬우며 시각적으로는 위치법 효과가 더하여 기억의 강도는 높아진다.
도 1b에 설명된 바와 같이, 1번과 2번, 3번과 4번, 5번과 6번, 7번과 8번, 9번과 10번은 협음법칙을 이용하여 배치한 것이지만 11번, 12번, 13번, 14번은 운 활용에 따라 배치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억수행에 있어서 운 활용 항목과 운 활용이 아닌 항목의 조합은 극과 극의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오히려 기억하기 쉽다.
또한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기억해야 할 문법 항목을 똑같은 형식과 형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억절차(암송순서 즉, 정해진 번호순서)와 위치법의 효과로 운 활용이 아닌 11번, 12번, 13번, 14번 또한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사문의 결집화 체계에 따라 새로운 명사마다 발음하게 되면 명사문에 대하여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イ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イ형용사문의 결집화 즉 프라프라(++) イ형용사문은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는 영상효과, 음운적(음성적)으로는 운을 활용한 리듬효과, 청각적 부호로는 압운효과, 어문적·어의적·의미적으로는 어조와 운을 활용한 위치법효과 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중 하나인 イ형용사문을 배치하여 イ형용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플러스(P1)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イ형용사문의 보통체 4대구문을 배치하는 한편 제2 플러스(P2)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イ형용사문의 공손체 4대구문을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열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플러스(P1)에는 보통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 또 제2 플러스(P2)에는 공손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으로 8칸에 배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 하단에 기타 문을 배열하기 위한 괄호영역(S9) 안에도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 긍정및 부정의 접속어인 て형, 부사적용법을 추가로 배열하여 기억수행의 용이성, 학습의 용이성 그리고 순간기억과 기억증진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조직화로 구성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에서 운을 활용한 기억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운을 활용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리듬화가 가능하게 되어 귀와 입을 자극하여 익히기 쉽게 되어 있다. 이때 어미「い」의 변화 즉 활용. 「い」에 신경 쓰게 하며 기억시킨다. 앞서 명사문 결집화 체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 활용에는 「hat - fat」와 같은 운법칙(韻法則)과 「hat - hag」, 「pit - pin」와 같은 협음법칙(協音法則)이 있다. 본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결집화(조직화)에는 협음법칙을 이용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같은 교착어(膠着語)에 속하여 문형구조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술어의 구조요소를 보면 어말(語末)의 어형변화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국어에 있어서도 똑같이 운을 밝기 때문에 지정된 번호의 순서대로 발음하면서 암송하면 기억하기 쉬우며 시각적으로는 위치법 효과가 더하여 기억의 강도는 높아진다.
도 2b에 설명된 바와 같이, 1번과 2번, 3번과 4번, 5번과 6번, 7번과 8번, 9번과 10번, 1번과 11번, 12번과 13번은 협음법칙을 이용하여 배치한 것이지만, 14번은 운 활용에 따라 배치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억수행에 있어서 운 활용 항목과 운 활용이 아닌 항목의 조합은 극과 극의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오히려 기억하기 쉽다.
또한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기억해야 할 문법 항목을 똑같은 형식과 형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억절차(암송순서 즉, 정해진 번호순서)와 위치법의 효과로 운 활용이 아닌 14번 또한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イ형용사문의 결집화 체계에 따라 새로운 イ형용사마다 발음하게 되면 イ형용사문에 대하여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ナ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ナ형용사문의 결집화 즉 프라프라(++) ナ형용사문은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는 영상효과, 음운적(음성적)으로는 운을 활용한 리듬효과, 청각적 부호로는 압운효과, 어문적·어의적·의미적으로는 어조와 운을 활용한 위치법효과 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중 하나인 ナ형용사문을 배치하여 ナ형용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플러스(P1)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ナ형용사문의 보통체 4대구문을 배치하는 한편 제2 플러스(P2)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ナ형용사문의 공손체 4대구문을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열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플러스(P1)에는 보통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 또 제2 플러스(P2)에는 공손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으로 8칸에 배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 하단에 기타 문을 배열하기 위한 괄호영역(S9) 안에도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 긍정및 부정의 접속어인 「て」형, 부사적용법을 추가로 배열하여 기억수행의 용이성, 학습의 용이성 그리고 순간기억과 기억증진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조직화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는 도 3a에서 운을 활용한 기억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운을 활용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리듬화가 가능하게 되어 귀와 입을 자극하여 익히기 쉽게 되어 있다. 앞서 명사문 결집화 체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 활용에는 「hat - fat」와 같은 운법칙과 「hat - hag」, 「pit - pin」와 같은 협음법칙이 있다. 본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결집화(조직화)에는 협음법칙을 이용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같은 교착어에 속하여 문형구조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술어의 구조요소를 보면 어말(語末)의 어형변화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국어에 있어서도 똑같이 운을 밝기 때문에 지정된 번호의 순서대로 발음하면서 암송하면 기억하기 쉬우며 시각적으로는 위치법 효과가 더하여 기억의 강도는 높아진다.
도 3b에 설명된 바와 같이, 1번과 2번, 3번과 4번, 5번과 6번, 7번과 8번, 9번과 10번은 협음법칙을 이용하여 배치한 것이지만, 11번, 12번, 13번, 14번은 운 활용에 따라 배치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억수행에 있어서 운 활용 항목과 운 활용이 아닌 항목의 조합은 극과 극의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오히려 기억하기 쉽다.
또한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기억해야 할 문법 항목을 똑같은 형식과 형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억절차(암송순서 즉, 정해진 번호순서)와 위치법의 효과로 운 활용이 아닌 11번, 12번, 13번, 14번 또한 쉽게 기억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ナ형용사문의 결집화 체계에 따라 새로운 ナ형용사마다 발음시키게 되면 ナ형용사문에 대하여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동사문의 결집화 즉 프라프라(++) 동사문은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는 영상효과, 음운적(음성적)으로는 운을 활용한 리듬효과, 청각적 부호로는 압운효과, 어문적·어의적·의미적으로는 어조와 운을 활용한 위치법효과 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중 하나인 동사문을 배치하여 동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플러스(P1)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동사문의 보통체 4대구문을 배치하는 한편 제2 플러스(P2)에 의해 구획되는 4반영역에는 동사문의 공손체 4대구문을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열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 플러스(P1)에는 보통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 또 제2 플러스(P2)에는 공손체의 시제를 「현재/과거」와 「긍정/부정」으로 8칸에 배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러스와 제2 플러스 하단에 기타 문을 배열하기 위한 괄호영역(S9) 안에도 명사문 결집화 체계와 마찬가지로 명사구의 연체수식절, 긍정및 부정의 접속어인 「て」형, 부사적용법을 추가로 배열하여 기억수행의 용이성, 학습의 용이성 그리고 순간기억과 기억증진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조직화로 구성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에서 운을 활용한 기억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운을 활용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리듬화가 가능하게 되어 귀와 입을 자극하여 익히기 쉽게 되어 있다. 앞서 명사문 결집화 체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 활용에는 「hat - fat」와 같은 운법칙과 「hat - hag」, 「pit - pin」와 같은 협음법칙이 있다. 본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결집화(조직화)에는 협음법칙을 이용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학적으로 같은 교착어에 속하여 문형구조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술어의 구조요소를 보면 어말의 어형변화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국어에 있어서도 똑같이 운을 밝기 때문에 지정된 번호의 순서대로 발음하면서 암송하면 기억하기 쉬우며 시각적으로는 위치법 효과가 더하여 기억의 강도는 높아진다.
도 4b에 설명된 바와 같이, 1번과 2번, 3번과 4번, 5번과 6번, 7번과 8번, 9번과 10번, 1번과 11번, 12번과 13번과 14번은 협음법칙을 이용하여 배치한 것이지만, 15번은 운활용에 따라 배치된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억수행에 있어서 운활용항목과 운 활용이 아닌 항목의 조합은 극과 극의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오히려 기억하기 쉽다.
또한 동사문 결집화에서 15번은 프라프라(++) 명사문, 프라프라(++) イ형용사문 및 프라프라(++) ナ형용사문에서는 14번에 해당하는 부사적용법이다.
즉,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의 기억해야 할 문법 항목을 똑같은 형식과 형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기억절차(암송순서 즉, 정해진 번호순서)와 위치법의 효과로 운 활용이 아닌 15번 또한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사문의 결집화 체계에 따라 새로운 동사마다 발음하게 되면 동사문에 대하여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동사문의 도입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든 동사활용은 항상 처음에 학습할 때는 기본형에서 활용형으로 활용을 발음시킨다. 즉 연역적 제시를 철저하게 수행한다. 이는 분절적부호(articulatory code)를 이용하는 것이다. 분절적부호란 근육동작의 유형을 강조하는 기억술이다. 기본형을 꼼꼼하게 발음시켜야 하며 동사연용형 즉 「ます」형에 있어서는 4대구문의 ++(프라프라)형에서 지정된 번호대로 긍정의 「현재·과거」 즉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1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2
그리고 부정의 「현재·과거」 즉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3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4
의 순서로 발음시켜야 하며 함께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5
도 발음시킨다.
1그룹동사의 「る동사」와 2그룹동사의 「る동사」를 구별할 수 있도록 1그룹동사의 「る동사」 「ります」, 2그룹동사의 「る동사」는 「ます」를 항상 확인시키며 발음시킨다. 또한 활용방법에 있어서는 1그룹동사의 어미 「う·つ·る·ぬ·む·ぶ·す·く·ぐ」의 순서로 다음은 2그룹동사 「る」, 다음은 3그룹동사 「くる·する」의 순서로 진행해야 된다. 이는 분절적부호로 제시된 절차 자극은 발음할 때마다 일관성 있게 입 주변 근육변화가 입력이 되며, 여기에 청각적 효과가 더하여 쉽게 기본형과 활용형이 입에 배게 된다.
활용방법 중 1그룹동사가 복잡하지만, 입 모양을 생각 할때 모음 あ(아), い(이), う(우), え(에), お(오)로 크게 5종류의 변화 밖에 없다. 따라서 발음을 할 때 의식적으로 입 모양을 크게 벌려서 정확하게 발음시키며 입 주변 근육에 어미변화를 입력시킨다. 이것은 동사활용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인 ++(프라프라)형을 학습자가 부담 없이 조화롭게 리듬으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규칙적인 학습과 번호효과로 연역적 제시는 물론이거니와 귀납적 제시에도 학습자 스스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는 배운 동사는 물론이거니와 배우지 못한 동사에 있어서도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을 또한 활용형에서 기본형(사전형)으로 자유자재로 발음이 나오는 것에 매우 감동하게 된다. 그것뿐만 아니라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을 또한 활용어에서 기본형(사전형)이 자유자재로 입에서 배어나오므로 학습자 스스로 응용과 활용 또한 사전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며, 학습자의 자립성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4a의 동사문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 예시도에서 1그룹동사에 대한 기억방식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특히 도 5a는 어미가 「う·つ·る」로 끝나는 동사문의 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어미가 「ぬ·む·ぶ」로 끝나는 동사문의 예를 나타내며, 도 5c는 어미가 「す·く·ぐ」로 끝나는 동사문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도 4a의 동사문의 결집화 체계 예시도에서 2그룹동사에 대한 기억방식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4a의 동사문의 결집화 체계 예시도에서 3그룹동사에 대한 기억방식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2그룹동사란 어미의 「る」만 빼고 조동사와 접속하면 되는 동사문의 그룹을 나타내고, 3그룹동사란 변격동사인
Figure 112011071587228-pat00006
,「する(하다)」 2개의 동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동사문의 기억방식 구체예의 도입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동사문 프라프라(++) 즉 동사의 시제 활용에 있어서 활용의 법칙이 3종류가 있다.종류별로는 1그룹동사, 2그룹동사, 3그룹동사로 나누어 진다. 가장 어려운 것은 동사활용은 1그룹동사이다. 2그룹동사는 어미의「る」만 빼고 조동사와 접속하면 된다. 3그룹동사는 변격동사로서 2개
Figure 112011039020280-pat00007
,「する(하다)」밖에 없어 무조건 암기만 하면 된다. 가장 어려운 1그룹동사는 어미「う·つ·る·ぬ·む·ぶ·す·く·ぐ」의 변화가 어렵다. 따라서 분절적부호(articulatory code)를 이용한다.
활용방법에 있어서는 1그룹동사의 어미「う·つ·る·ぬ·む·ぶ·す·く·ぐ」의 순서로 다음은 2그룹동사「る」, 다음은 3그룹동사 「くる·する」의 순서로 진행해야 된다. 이는 분절적부호로 제시된 절차 자극은 발음할 때마다 일관성 있게 입 주변 근육변화가 입력이 되며, 여기에 청각적 효과가 더하여 쉽게 기본형과 활용형이 입에 배게 된다. 활용방법 중 1그룹동사가 복잡하지만, 입 모양을 생각 할 때 모음 あ(아), い(이), う(우), え(에), お(오)로 크게 5종류의 변화밖에 없다. 따라서 발음을 할 때 의식적으로 입 모양을 크게 벌려서 정확하게 발음시키며 입 주변 근육에 어미변화를 입력시킨다. 이것은 동사활용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인 프라프라(++)형을 학습자가 부담 없이 조화롭게 리듬으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일관성 있는 규칙적인 학습과 번호효과로 연역적 제시는 물론이거와 귀납적 제시에도 학습자 스스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는 배운 동사는 물론이거와 배우지 못한 동사에 있어서도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을 또한 활용형에서 기본형(사전형)으로 자유자재로 발음이 나오는 것에 매우 감동하게 된다. 그것뿐만 아니라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을 또한 활용어에서 기본형(사전형)이 자유자재로 입에서 배어나오므로 학습자 스스로 응용과 활용 또한 사전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며, 학습자의 자립성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4대구문의 범주 군집화(++명사문,++イ형용사문,++ナ형용사문,++동사문의 총집합) 학습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억전략 2단계인 프라프라(++) 범주군집화 학습부에서는 기억전략 1단계의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동사문으로 이루어진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을 포함한 주요문법을 응축시킨 각 결집화를 한 자리에 배치하여 깔끔하게 정리된 한 장의 그림처럼 일목요연하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조직화 형태를 갖추게 한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일부 확대도면이며, 도 9c는 도 9a의 다른 일부 확대도면을 나타낸다.
기억전략 3단계인 프라프라(++)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에서는, 기억전략 2단계의 프라프라(++) 범주 군집화를 재구성하여 ①「보통체 종지형」, ②「공손체 종지형」,③「종지형 변형」, ④「연체형」, ⑤「の의 연체형」식으로 위계적으로 조직화하여 재조직하였다.
본 기억전략 3단계의 위계적 조직화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깔끔하게 정리된 한장의 그림처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즉 어마어마한 문법범주의 법칙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조직화 형태를 갖추게 하였다.
분류에 있어서는 2단계의 프라프라(++) 범주 군집화에서 공손체 술어형을 ②「공손체 종지형」으로, 보통체 술어형을 4종류 ①「보통체 종지형」,③「종지형 변형」, ④「연체형」, ⑤「の의 연체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에 있어서 5종류의 차이점은 공손체 술어형은 하나 뿐이며, 보통체 술어형은 4종류로서 차이는 오직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 긍정형이 다르다는 점을 프라프라(++)형을 이용함으로써 한 장의 그림형태로 쉽게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5종류를 한자리에 배치하더라도 각각 분류하더라도 항상 하나의 그림형태로 인식시킬 수 있게 되어, 문법을 시각을 통하여 교통표식과 같은 시각상징으로서 인식시켜 실용성 있는 문법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 기억심상화 학습부를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기억전략 4단계인 프라프라(++) 기억심상화 학습부는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를 시각적 이미지화한 것이다. 이는 문법범주에 따른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시각적이며 공간적으로 배열된 프라프라(++)형의 상(像)이 직접 눈에 보이지 않아도 상(그림)으로써 머리 속에 떠올릴 수 있도록 기억심상화하였다. 본 기억심상 프라프라(++)형에는 심상체제(심상부호 즉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체제(어문적어의적·의미적 등의 부호)를 결합시킨 정교화 형태를 갖추게 하였다.
재구성에 있어서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의 접속형태인 ②「공손체 종지형」, ①「보통체 종지형」,③「종지형 변형」, ④「연체형」, ⑤「の의 연체형」의 5종류중 공손체 술어형은 하나 뿐이며, 보통체 술어형은 4종류로서 그 차이점은 오직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만이 다르다는 점과 그밖에 접속형태는 4종류 똑같다는 점을 쉽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의 특수항목만을 남기고 그밖의 언어정보들은 뺀 형태를 시각적 이미지화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응용표현의 접속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억전략 1단계에서 4단계에 이르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이 영구기억으로 전이되어 중급일본어에서 제시되는 도 11의 응용표현을 쉽게 이해하며 학습하는 순간에 자연스럽게 입에 배이기 때문에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에서의 성취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문법 학습처럼 지식의 전달이 아닌 습득을 목적으로 실용화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표현문형의 접속응용예를 나타낸다.
기억전략 1단계에서 4단계에 이르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이 영구기억으로 전이되어 중급일본어에서 제시되는 도 12a 내지 도 12d의 표현문형을 쉽게 이해하며 학습하는 순간에 오용 없이 자연스럽게 입에 배이기 때문에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 교수법」에서의 성취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구사력 또한 매우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기존의 문법 학습처럼 지식의 전달이 아닌 습득을 목적으로 실용화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종조사의 접속응용예로써 보통체 종지형과 공손체 종지형을 갖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프라(++)형과 종조사의 접속응용예로써 보통체 종지형을 갖는 예를 나타낸다.
기억전략 1단계에서 4단계에 이르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는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시제활용 및 주요문법이 영구기억으로 전이되어 고급일본어에서 제시되는 도 13a 및 도 13b 그리고 도 14a 내지 도 14e의 종조사의 접속 형태를 쉽게 이해하며 학습하는 순간에 오용 없이 자연스럽게 입에 배이기 때문에 본 발명인 「기억전략 프라프라(++)교수법」에서의 성취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구사력 또한 매우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기존의 문법 학습처럼 지식의 전달이 아닌 습득을 목적으로 실용화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P1 -- 제1 플러스, P2 -- 제2 플러스,
S1 -- 제1 플러스의 좌상면, S2 -- 제1 플러스의 좌하면,
S3 -- 제1 플러스의 우상면, S4 -- 제1 플러스의 우하면,
S5 -- 제2 플러스의 좌상면, S6 -- 제2 플러스의 좌하면,
S7 -- 제2 플러스의 우상면, S8 -- 제2 플러스의 우하면,
S9 -- 괄호영역.

Claims (6)

  1.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를 나란히 배치하여, 일본어의 4대구문인 명사문, イ형용사문, ナ형용사문 그리고 동사문에 대하여 각 구문별로 보통체를 제1 플러스(P1)에 배치하고 공손체를 제2 플러스(P2)에 배치함과 아울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의 각 4반영역중 좌상면(S1)(S5)에는 현재형의 긍정형, 좌하면(S2)(S6)에는 과거형의 긍정형, 우상면(S3)(S7)에는 현재형의 부정형, 그리고 우하면(S4)(S8)에는 과거형의 부정형을 배치한 명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イ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ナ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그리고 동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를 구비한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1단계의 결집화 체계 학습부에 이어, 상기 명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イ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ナ형용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 그리고 동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를 한 장에 배치하여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군집화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군집화 학습부에 이어, 상기 기억전략 2단계의 범주 군집화 학습부를 재구성하여 보통체 종지형, 공손체 종지형,종지형 변형, 연체형, の의 연체형으로 계층적으로 조직화한 상태로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한장에 배치하여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의 시각상을 강조한 형태로 조직화한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
    상기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에 이어,
    기억전략 3단계의 범주의 위계적 조직화 학습부에서 명사문과 ナ형용사문의 현재긍정형의 특수항목만을 남기고 그밖의 언어정보들은 제거하여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문법범주에 따른 4대구문의 보통체와 공손체의 술어형과 응용표현 및 표현문형과의 여러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기억전략 4단계의 프라프라(++) 기억심상화 학습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49373A 2011-05-25 2011-05-25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KR10110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73A KR101105906B1 (ko) 2011-05-25 2011-05-25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73A KR101105906B1 (ko) 2011-05-25 2011-05-25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906B1 true KR101105906B1 (ko) 2012-01-17

Family

ID=4561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373A KR101105906B1 (ko) 2011-05-25 2011-05-25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413A (ko) 2016-03-23 2017-10-11 장오현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865A (ko) * 2003-07-09 2005-01-21 김경희 ++(프라프라)형을 쓴 초속성 일본어 교수 및 마스터 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865A (ko) * 2003-07-09 2005-01-21 김경희 ++(프라프라)형을 쓴 초속성 일본어 교수 및 마스터 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413A (ko) 2016-03-23 2017-10-11 장오현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udernik An introduction to narratology
Fang Going beyond the fab five: Helping students cope with the unique linguistic challenges of expository reading in intermediate grades
Lynch Theoretical perspectives on listening
Forster The value of songs and chants for young learners
Rose The Japanese writing system: Challenges,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for learning kanji
Jousse In Search of Coherence: Introducing Marcel Jousse's Anthropology of Mimism
Adamson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n introduction
Mahmud Teaching students to develop paragraphs by poetry writing
Salim A companion to teaching of English
Ghonsooly et al. Role of cognitive style of field-dependence/independence in using metacognitive and cognitive reading strategies by a group of skilled and novice Iranian students of English literature
KR101105906B1 (ko)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Du Application of schema theory in college english listening teaching
Teranishi et al. Literature and the role of background knowledge for EFL learners
Ellis Vocabulary acquisition
ALJa’am et al. An Assistive computerized syste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learning disabilities
Cheng et al. Analysis on the strategies of cultivating student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wareness in English teaching in higher vocational colleges in the era of big data
Ford How to read a poem: Seven steps
Skar et al. Exploring of Multiple Perspectives on Early Writing Development
Liu Study on the Popularity of Phonics Among Chinese Elementary Students and Its Implications for EFL Teachers
Marinetti SAMUEL BECKETT AND MODERNISM’S NARRATIVES OF REDUCTION
Tang A Study of Basic Strategies and Construction of College English Listening Training on Machine
Mendoza An Esp Program to Improve Pronunciation and Cultural Awareness in International Priests
Iman Festian S AN ANALYSIS OF IDIOMATIC EXPRESSION IN SUICIDE SQUAD MOVIE SCRIPT
Bekturdiyeva PHILOLOGICAL AND METHODOLOGICAL NECESSITIES OF TEACHING WESTERN LITERATURE TO UZBEK PUPILS
Attri LEARNING AND ACQUISITION: TEACHING WRITING SKILLS THROUGH LITERARY TEX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