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852B1 -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852B1
KR101376852B1 KR1020130078131A KR20130078131A KR101376852B1 KR 101376852 B1 KR101376852 B1 KR 101376852B1 KR 1020130078131 A KR1020130078131 A KR 1020130078131A KR 20130078131 A KR20130078131 A KR 20130078131A KR 101376852 B1 KR101376852 B1 KR 10137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learning
learning unit
spelling
le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13007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06Paper provided with guiding marks, e.g. ruled, squared or scale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자의 철자별로 나누어지게 하는 선이나 점을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에 표기하여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글씨쓰기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글씨쓰기 학습교재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를 나누어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LEARNING MATERIAL AND LEARNING METHOD FOR HANDWRITING}
본 발명은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자의 철자별로 나누어지게 하는 선이나 점을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에 표기하여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글씨쓰기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자는 표기를 함으로써 글쓴이의 의사를 표현하게 되고, 타인은 표기된 글자의 의미를 분별하여 의미 전달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글자는 사람들 사이에 의사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물론 근래들어 컴퓨터,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정형화된 글자를 화상부에 표시되게 하여 의사전달을 하게 된다.
이처럼 의사전달에 있어서 종전에서와 같이 종이에 직접 기재하는 방식에서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글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점점 글자를 쓰는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기 곤란한 상황에서 개인적으로 메모한 글자를 이후에 읽고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기재할 시간이 급박하거나 시간이 짧을 경우 글자를 흘겨 쓸 수밖에 없는 것이며, 이처럼 글씨체를 분명하게 쓰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쓴 글도 이후에 읽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글씨쓰는 연습을 하게 되며, 일부 글씨쓰기 교재가 있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의 글씨쓰기 교재의 경우 일반적인 모든 글자가 적용되게끔 수직으로 중앙에 선이 하나 있는 교재가 대부분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글자들에 맞춤형으로 글씨쓰기 학습을 하기에는 곤란한 것이다. 즉 글자의 자형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글자의 모양에 알맞게 글씨쓰기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나 이에 알맞은 교재가 마련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글자가 위치되는 영역을 중앙에서 단순 구분하는 단일 선만으로 연습한다 하여도, 실생활에서 접하는 종이는 빈 공간이고 글자의 철자를 구분할 수 있는 선은 전혀 없기 때문에, 글자를 구분하는 연습교재에서 아무리 글씨쓰기를 잘한다 하여도, 실생활에서 접하는 빈 공간의 종이에 대한 글씨쓰기의 능력은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84-0010657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1055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글자의 철자별로 나누어지게 하는 선이나 점이 제시되어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에 표기하여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효율이 향상되게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자의 철자별로 글씨쓰기 학습을 수행할 경우,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이 나누어지게 하는 것이 분리된 구역을 형성하거나 또는 분할의 선이나 점으로 구분된 영역을 갖게 하여, 글자의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글자의 철자들이 위치되는 영역이 긴 선으로만 이루어지게 하는 것에 더하여 작은 크기의 선 및 점 등을 이용하여 영역이 분할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글자의 철자들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선 및 점이 표시됨으로써 글자의 철자들의 획과 겹치거나 혼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글씨쓰기 학습교재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를 나누어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글씨쓰기 학습교재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를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기된 글씨알아보기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에 글씨쓰기를 할 수 있도록 글씨쓰기 영역이 구비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가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카드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어 표기된 카드를 포함하고 철자를 나누어진 카드에 표기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카드부; 및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예가 표기된 모양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철자 쓰기의 예로 표기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표기된 뜻-순서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을 위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글자들이 제시되어 제시된 글자를 대상으로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찾아쓰기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제시되며, 글씨쓰기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응용학습영역이 구비된 응용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학습부는: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을 표시한 소리내기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소리-스티커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다수 글자를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문장으로 글씨쓰기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문장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우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하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 및 좌측의 영역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상하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 및 상측의 영역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좌우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 중, 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중하철자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복합철자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통합틀을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틀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틀학습부는: 상기 좌우철자학습부, 상하철자학습부, 좌상하철자학습부, 상좌우철자학습부, 상중하철자학습부 및 복합철자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여 글씨쓰기 학습을 하는 영역이 구비된 기본틀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통합틀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작은선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점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전면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글씨쓰기 학습방법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쓰기학습부에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쓰기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단계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가 나누어 표기되는 분리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분할선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표시된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작은선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점안내학습단계;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전면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글씨쓰기 학습방법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쓰기학습부에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쓰기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단계는: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표시된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작은선안내학습단계; 및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점안내학습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가 표시되고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시된 부분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알아보기학습단계; 및 상기 쓰기학습부가 표시되고 글씨쓰기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모양써보기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가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카드쓰기학습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카드쓰기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쓰기학습단계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된 카드에 표기되는 분리안내카드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분할선안내카드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작은선안내카드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점안내카드학습단계; 및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전면카드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예가 표기된 모양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모양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철자 쓰기의 예로 표기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표기된 뜻-순서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뜻-순서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을 위한 글자들이 표시된 찾아쓰기학습부에 표시된 글자들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찾아쓰기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의 스티커를 붙이는 영역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에 글자의 철자의 스티커가 붙여지는 스티커학습단계;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는 응용학습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응용학습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학습단계는: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들의 윤곽이 표시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소리내기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들의 윤곽이 표시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의 스티커가 붙여지는 소리-스티커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다수 글자를 학습할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많은낱말학습단계;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문장으로 글씨쓰기 학습할 영역에 제시된 문장에 대한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문장학습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좌우로 나누어지는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좌우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좌우철자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상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하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하철자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좌우로 나누어지고 좌측이 상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 및 좌측의 영역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좌상하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좌상하철자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 중 상하로 나누어지고 상측이 좌우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 및 상측의 영역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좌우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좌우철자학습단계;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 중 상중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 중, 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중하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중하철자학습단계;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 중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복합철자학습부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복합철자학습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통합틀을 포함한 통합틀학습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통합틀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틀학습단계는: 상기 좌우철자학습단계, 상하철자학습단계, 좌상하철자학습단계, 상좌우철자학습단계, 상중하철자학습단계 및 복합철자학습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의 학습부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기본틀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분할통합틀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작은선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점학습단계;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학습부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전면학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글자의 철자별로 나누어지게 하는 선이 제시되어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에 표기하여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효율이 향상되게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글자의 철자별로 글씨쓰기 학습을 수행할 경우, 글자의 철자별로 구분된 영역이 나누어지게 하는 것이 분리된 구역을 형성하거나 또는 분할의 선으로 구분된 영역을 갖게 하여, 글자의 철자별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글자의 철자들이 위치되는 영역이 긴 선으로만 이루어지게 하는 것에 더하여 작은 크기의 선 및 점 등을 이용하여 영역이 분할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글자의 철자들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작은 선 및 점이 표시됨으로써 글자의 철자들의 획과 겹치거나 혼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대한 기본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기본적인 쓰기학습단계에 대한 기본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보기와 쓰기에 대한 기본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카드를 이용한 글씨쓰기에 대한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여러 방식을 이용한 글씨쓰기에 대한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글자의 종류별로 글씨쓰기에 대한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통합틀을 이용한 글씨쓰기에 대한 학습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좌우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상하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좌우 배열 및 좌측이 상하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상하 배열 및 상측이 좌우로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상중하로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자의 유형에 중에서 좌우 및 상하로 복합 배열된 철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배열, 상하배열, 좌상하배열된 받침없는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상좌우배열, 상중하배열, 복합배열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분할점의 예시에 대한 것으로, 중앙의 단일 분할점, 상하로 위치된 두 개의 분할점, 상하 및 중앙에 배치된 분할점 등에 대한 학습부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배열 및 상하배열, 그리고 이들에 의한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상좌우배열 및 상중하배열, 그리고 이들에 의한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 및 상하로 다수 배열 구조를 갖는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 및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좌상하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된 상좌우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중하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되며, 다시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복합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되고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좌상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된 상좌우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중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복합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카드쓰기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철자들이 좌우로 배열된 글자들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들을 학습하는 과정이 제시된 예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작은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모양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뜻-순서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찾아쓰기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소리내기학습부 및 소리-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우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문장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철자들이 좌우로 배열된 글자들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들을 학습하는 과정이 제시된 예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작은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모양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뜻-순서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찾아쓰기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소리내기학습부 및 소리-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문장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철자들이 좌우로 배열된 글자들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알아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들을 학습하는 과정이 제시된 예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작은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모양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뜻-순서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찾아쓰기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리안내학습부,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소리내기학습부 및 소리-스티커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좌상하철자학습부 중에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 점안내학습부 등이 표시된 문장학습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9 등에서와 같이, 글자를 이루는 요소인 철자를 쓰는 방법 및 교재에 대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적용되는 글자로는 한글, 한문, 영어, 일어 등 다양한 글자가 해당될 것이다. 특히 한자와 한글은 대부분 글자의 범위가 사각 틀 내에서 쓰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적용 대상으로 가장 잘 알맞을 것이며, 기타 다른 언어에 대한 학습도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첨부된 도면에서의 예와 같이 한글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에서는 최적의 실시대상이 될 것이므로, 한글글자의 글씨쓰기에 적용이 제일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글자의 철자에 대한 글씨쓰기의 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의 바람직한 대상이 되는 한글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3 등의 예를 들어 기본적인 형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3 등에서 제시된 한글에 대해서 살펴보면, 한글을 예쁘게 쓰기 위해서는 음절글자인 한글의 디자인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자형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이에 초성, 중성, 종성의 위치 및 초성, 중성, 종성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야 바르게 쓰기 위한 글씨쓰기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도 8 내지 도 10에서처럼 받침이 없는 한글 글자의 자형이 제시되어 있고, 이 중에서 글자의 철자들이 도 8에서처럼 좌우배열, 도 9에서처럼 상하배열, 도 10에서처럼 좌우배열되고 좌측이 상하로 배열되는 좌상하배열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받침이 있는 한글 글자의 자형에 대한 예로 도 11 내지 도 13 등으로, 도 11에서처럼 상하로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로 배열되는 상좌우배열, 도 12에서처럼 상중하 배열, 도 13에서처럼 좌우와 상하로 다수 배열된 복합배열 등이 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살펴볼 수 있는 한글 글자들에 대해서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글씨쓰기의 학습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 및 교재는 글씨쓰기의 쓰기학습부(20)를 구비하고, 이러한 쓰기학습부(20)에서는 철자들이 철자분할선(15), 철자집약분할선(16), 철자분할점(17)(도 33 등에 도시됨) 등으로 구분되어 글씨쓰기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대한 구성 설명을 첨부된 도 14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글씨쓰기 학습교재(10)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쓰기학습부(20)는,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작은선안내학습부(23), 점안내학습부(24),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글씨쓰기학습교재(10)를 이용한 글씨쓰기 학습방법으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쓰기학습부(20)에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쓰기학습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분리안내학습부(21)를 살펴보면,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를 나누어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것이다. 즉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된 학습 영역에 각각 나누어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안내학습부(21)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가 나누어 표기되는 분리안내학습단계(S21)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분리안내학습부(21)에 의하여, 처음 글자를 접하고 글씨쓰기를 학습하는 초기의 학습생에 다양한 글자별로 포함되는 철자들을 나누어 살피면서 개별 철자들을 구분되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분리안내학습부(21)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나누어 쓰기 학습을 하게 됨으로써 각 철자들의 쓰기 학습이 구분되어 잘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살펴보면,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15)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선(15)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15)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분할선안내학습단계(S22)를 수행한다.
즉 글자의 철자들이 배치되는 영역이 구분되게 영역들을 철자분할선(15)으로 구분하여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철자분할선(15)이 구분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것으로 글씨쓰기 학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분할선안내학습부(22)는 후술되는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와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는 철자분할선이 글자들의 형태별로 알맞게 구획된 영역을 갖게 이루어진 것이며,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는 분류별 또는 모든 글자들이 해당되게 통일된 형태로 구획된 영역을 갖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처럼 글자의 철자들이 선이나 점선 등으로 된 철자분할선으로 나누어지게 함으로써, 철자들이 구분되게 쓰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글자의 모양을 바로잡을 때 도움이 된다. 아울러 분리안내학습부(21)를 통하여 학습한 이후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통하여 학습하게 되면 더욱 기초적인 철자의 쓰기 학습이 잘 이루어질 것이다. 물론 이러한 철자분할선과 일부 철자들의 획이 겹치거나 또는 철자분할선이 철자처럼 보여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후술되는 학습부로 추가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작은선안내학습부(23)는,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일측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16)이 표시되어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작은선안내학습부(23)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표시된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작은선안내학습단계(S23)를 수행한다.
즉 글자의 철자들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해서, 영역이 구분되는 구분위치에 작은 길이의 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16)을 표시하여 작은선안내학습부(23)가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작지만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구분되는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학습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은선안내학습부(23)는 이전의 학습으로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 학습한 다음에 작은선안내학습부(23)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면 좀더 용이하게 글씨쓰기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은선안내학습부(23)는 앞선 분리안내학습부(21) 및 분할선안내학습부(22)에서보다 작은 크기의 선인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쓰는 영역이 구분되게 이루어진 것이므로, 쓰기 학습을 하기 위한 철자의 획과 겹치거나 서로 혼동할 우려는 거의 없게 된다.
아울러 점안내학습부(24)는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일측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17)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17)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점안내학습부(24)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17)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점안내학습단계(S24)를 수행한다.
즉 점안내학습부(24)는 글자의 철자들이 구분되는 영역의 구분 위치에 점으로 된 철자분할점(17)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17)으로 구분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글씨 쓰기 학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전의 선으로 쓰기의 영역을 구분함에 더하여 철자분할점(17)으로 영역이 구분되게 함으로써 철자를 쓸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쓰기 학습이 더욱 잘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점안내학습부(24)는 이후 구분선이나 구분요소가 없는 전면학습부(25)에 비하여 구분된 요소가 점으로 있긴 하지만, 거의 구분 영역을 잘 살피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안내학습부(24)를 이용한 쓰기 학습 이전에,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등을 이용한 글씨쓰기 학습을 먼저 수행하게 되면, 점안내학습부(24)를 이용한 글씨쓰기 학습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처럼 영역을 점으로 이루어진 철자분할점(17)이 표시된 점안내학습부(24)에 의하면 거의 모든 글자들에 대한 쓰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글씨쓰기의 학습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면학습부(25)는,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면학습부(25)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전면학습단계(S25)를 수행한다.
즉 전면학습부(25)는 글자의 철자를 나누는 것이 없고, 따라서 앞서 수행할 수 있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작은선안내학습부(23), 점안내학습부(24) 등을 이용한 학습을 먼저 수행한 후 전면학습부(25)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면학습부(25)는 비록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지만 전면학습부(25)에 철자분할선이나 철자집약분할선, 또는 철자분할점 등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글씨쓰기 학습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대해서, 특히 철자집약선분할선(16)으로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영역이 구분되게 하는 작은선안내학습부(23), 및 작은선안내학습단계(S23) 등이 본 발명에서의 주요 특징 구성 중 하나에 해당된다.
또한 철자분할점(17)으로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영역이 구분되게 하는 점안내학습부(24) 및 점안내학습단계(S24) 등이 본 발명에서의 주요 특징 구성 중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다.
즉 철자집약선분할선(16)과 철자분할점(17)을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글씨쓰기의 학습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면서 학습하는 학습자에게도 다양한 글씨쓰기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있어서, 기본 구성인 철자분할선(15), 철자집약분할선(16), 철자분할점(17) 등을 포함하여 쓰기학습부(20)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쓰기학습부(20)는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작은선안내학습부(23), 점안내학습부(24), 전면학습부(25) 중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처음에 분리안내학습부(21) 및 분리안내학습단계(S21), 그리고 분할선안내학습부(22) 및 분할선안내학습단계(S22) 등을 먼저 수행하여 글자들의 철자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글씨쓰기 학습을 충분히 이행하여 쓰기의 기초학습과정을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철자분할선보다 작은 크기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이루어진 작은선안내학습부(23) 및 작은선안내학습단계(S23), 이후 과정으로 작은 점인 철자분할점으로 이루어진 점안내학습부(24) 및 점안내학습단계(S24) 등을 이용하여 심화된 글씨쓰기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글씨쓰기의 능력을 한층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일반적인 글씨쓰기의 환경과 같은 전면학습부(25) 및 전면학습단계(S25) 등을 통하여 글씨쓰기의 학습과정을 완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면학습부(25)를 통한 학습을 수행함에 있어 전면학습부(25)에 각 글자별로 해당되는 위치에 철자분할선, 철자집약분할선 또는 철자분할점 등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학습하여 글씨쓰기 학습이 실생활에서와 같이 하여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학습구성 및 학습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도 14 내지 도 19 등을 통하여 이들 글씨쓰기 학습구성들에 대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배열, 상하배열, 좌상하배열된 받침없는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14에서는 주로 받침이 없는 글자들의 철자들에 대해 글씨쓰기를 학습하기 위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철자분할선(15)으로 된 분할선안내학습부(22)와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상좌우배열, 상중하배열, 복합배열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15는 주로 받침이 있는 글자들의 철자들에 대해 글씨쓰기를 학습하기 위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철자분할선(15)으로 된 분할선안내학습부(22)와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분할점의 예시에 대한 것으로, 중앙의 단일 분할점, 상하로 위치된 두 개의 분할점, 상하 및 중앙에 배치된 분할점 등에 대한 학습부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처럼 도 14 내지 도 16은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에 대한 다양한 학습구성을 보인 것이다.
아울러 도 17 내지 도 19는 점안내학습부(24)에 더하여, 철자집약분할선(16)을 포함한 작은선안내학습부(23)를 더 부가하여 구성한 학습구성의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배열 및 상하배열, 그리고 이들에 의한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17은 철자분할선(15)을 포함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및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보인 것이고, 또한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와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상좌우배열 및 상중하배열, 그리고 이들에 의한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18은 철자분할선(15)을 포함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및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를 보인 것이고, 또한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와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글씨쓰기의 학습부에 대한 유형 중에서 좌우 및 상하로 다수 배열 구조를 갖는 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즉 도 19는 철자분할선(15)을 포함한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철자집약분할선(16)을 포함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철자분할점(17)을 포함한 점안내학습부(24) 등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 예시의 구성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한 학습교재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0, 도 33 내지 도 41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우철자학습부(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우철자학습부(31)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좌우로 나누어지는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좌우철자학습부(31)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좌우철자학습단계(S31)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좌우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1, 도 42 내지 도 50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하철자학습부(32)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하철자학습부(32)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상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하철자학습부(32)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하철자학습단계(S32)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상하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2, 도 51 내지 도 59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 및 좌측의 영역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상하철자학습부(33)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상하철자학습부(33)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중 좌우로 나누어지고 좌측이 상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 및 좌측의 영역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좌상하철자학습부(33)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좌상하철자학습단계(S33)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좌우로 나누어지고 좌측이 상하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 및 상측의 영역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좌우철자학습부(34)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좌우철자학습부(34)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 중 상하로 나누어지고 상측이 좌우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 및 상측의 영역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좌우철자학습부(34)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좌우철자학습단계(S34)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상하로 나누어지고 상측이 좌우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 중, 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중하철자학습부(35)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중하철자학습부(35)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 중 상중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상, 중, 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상중하철자학습부(35)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상중하철자학습단계(S35)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상, 중, 하 등으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나아가 도 25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복합철자학습부(36)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철자학습부(36)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 중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철자가 표기되기 위해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영역이 표시된 복합철자학습부(36)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복합철자학습단계(S36)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글자 중 글자의 철자가 좌우 및 상중하 등의 다수로 나누어지는 글자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도 20 내지 도 31 등에서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시 학습교재 및 학습방법에 대해서, 철자분할선(15) 등이 통합되게 나누어지는 통합틀을 이용하는 학습교재 및 학습방법이 더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도 20 내지 도 22는 철자분할선(15)에 의해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4분할되는 4분할통합틀에 대한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좌우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4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중앙 십자(+)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중앙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1은 상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4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중앙 십자(+)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중앙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4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 및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좌상하 배열의 4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2는 좌상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4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중앙 십자(+)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중앙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3 내지 도 25 등은 철자분할선(15)에 의해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6분할되는 6분할통합틀에 대한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된 상좌우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3은 상좌우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6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6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중하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4는 상, 중, 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6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6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6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되며, 다시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복합 배열의 6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5는 복합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6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6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6 내지 도 31 등은 철자분할선(15)에 의해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8분할되는 8분할통합틀에 대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6은 좌우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7은 상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좌우 배열되고 좌측이 상하로 배열된 좌상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8은 좌상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아울러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하 배열되고 상측이 좌우 배열된 상좌우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29는 상좌우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상중하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30은 상중하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나아가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통합틀 중에서 8분할통합틀 학습부에 대한 것으로, 복합 배열의 8분할통합틀이 제시된 글자의 글씨쓰기 학습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31은 복합 분할의 철자분할선(15)이 포함된 기본분할선안내학습부(221), 그리고 8분할통합틀인 통합분할선안내학습부(222) 등의 분할선안내학습부(22), 8분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포함된 작은선안내학습부(23), 상하 2개 점 및 중앙의 큰점 등의 철자분할점(17)이 포함된 점안내학습부(24), 그리고 전면학습부(25) 등을 포함한 것이다.
이처럼 도 20 내지 도 31 등에서처럼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분할되는 통합틀을 이용한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있어서,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러한 통합틀에 대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통합틀을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틀학습부(40)를 포함하여 글씨쓰기학습교재(10)가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통합틀학습부(4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통합틀을 포함한 통합틀학습부(40)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통합틀학습단계(S40)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통합틀학습부(40) 및 통합틀학습단계(S4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좌우철자학습부(31), 상하철자학습부(32), 좌상하철자학습부(33), 상좌우철자학습부(34), 상중하철자학습부(35) 및 복합철자학습부(3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여 글씨쓰기 학습을 하는 영역이 구비된 기본틀학습부(41)가 마련된다.
이러한 기본틀학습부(41)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좌우철자학습단계(S31), 상하철자학습단계(S32), 좌상하철자학습단계(S33), 상좌우철자학습단계(S34), 상중하철자학습단계(S35) 및 복합철자학습단계(S36)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단계의 학습부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기본틀학습단계(S41)를 수행한다.
또한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통합틀학습부(42)가 마련된다.
이러한 분할통합틀학습부(42)를 이용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분할통합틀학습단계(S42)를 수행한다.
아울러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작은선학습부(43)가 마련된다.
이러한 통합작은선학습부(43)를 이용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작은선학습단계(S43)를 수행한다.
그리고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점학습부(44)가 마련된다.
이러한 통합점학습부(44)를 이용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는 부분, 특히 8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 특히 8분할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점학습단계(S44)를 수행한다.
나아가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전면학습부(45)가 마련된다.
이러한 통합전면학습부(45)를 이용한 것으로,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학습부 영역에 글자의 철자가 표기되는 통합전면학습단계(S45)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교재에 적용되는 카드쓰기학습부에 대한 예시도로, 학습교재가 카드 형태로 된 카드쓰기학습부(300)가 마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쓰기학습부(20)가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카드쓰기학습부(300)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쓰기학습부(20)가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카드쓰기학습부(300)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카드쓰기학습단계(S30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도 32에서와 같이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안내학습부(21)의 각 철자의 카드, 분할선안내학습부(22)의 카드, 작은선안내학습부(23)의 카드, 점안내학습부(24)의 카드, 전면학습부(25)의 카드 등을 이용하여 글자를 완성하거나, 또는 글씨쓰기학습교재(10)에 마련된 카드 결착 부분에 해당 카드들을 결합하여 글씨쓰기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카드쓰기학습부(300) 및 카드쓰기학습단계(S300) 등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어 표기된 카드를 포함하고 철자를 나누어진 카드에 표기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카드부(3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안내학습카드부(31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된 카드에 표기되는 분리안내카드학습단계(S310)를 수행한다.
즉 이러한 분리안내학습카드부(310) 및 분리안내카드학습단계(S310)에 의하여 글자의 철자별로 분리된 카드 형태의 학습영역에 철자를 표기하여 조합하여 글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글씨쓰기학습교재(10)의 카드 접착 부분에 분리안내학습카드부(310)를 결합하여 학습하게 된다.
또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15)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선(15)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카드부(3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할선안내학습카드부(32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15)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분할선안내카드학습단계(S320)를 수행한다.
아울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일측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16)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집약분할선(16)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카드부(3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은선안내학습카드부(33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16)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작은선안내카드학습단계(S330)를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일측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17)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점(17)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카드부(3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안내학습카드부(34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된 철자분할점(17)이 표시된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점안내카드학습단계(S340)를 수행한다.
또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카드부(3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면학습카드부(350)를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카드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전면카드학습단계(S350)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과정의 예를 첨부된 도 33 내지 도 59 등을 이용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도 33 내지 도 41 등에는 글자의 철자들이 좌우로 배열되는 글자들의 학습구성인 좌우철자학습부(31)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고, 도 42 내지 도 50 등에는 글자의 철자들이 상하로 배열되는 글자들의 학습구성인 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를 보이고 있으며, 도 51 내지 도 59 등에는 글자의 철자들이 좌우로 배열되고 좌측이 상하로 배열되는 글자들의 학습구성인 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에 우선 도 33 내지 도 34, 도 42 내지 도 43, 도 51 내지 도 52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20)를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기된 글씨알아보기학습부(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글씨알아보기학습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표시되고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시된 부분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알아보기학습단계(S210)를 수행한다.
이러한 글씨알아보기학습부(210) 및 글씨알아보기학습단계(S210)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의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에서 수행되는 글씨쓰기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피면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일차적으로 익히게 된다.
특히 글씨알아보기학습부(210)에서는 글자의 다양한 분류별 형태, 글자의 철자의 기재 형태 등이 예시되고, 또한 다양한 글자별 철자들에 대해, 분리안내학습, 분할선안내학습, 작은선안내학습, 점안내학습, 전면학습 등의 학습과정을 미리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5 내지 도 41, 도 44 내지 도 50, 도 53 내지 도 59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20)에 글씨쓰기를 할 수 있도록 글씨쓰기 영역이 구비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2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표시되고 글씨쓰기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모양써보기학습단계(S220)를 수행한다.
이러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220) 및 글씨모양써보기학습단계(S22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의 다양한 학습과정을 학습하게 되어, 글씨쓰기 실력을 더욱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5(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4(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3(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예가 표기된 모양학습부(4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양학습부(41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예가 표기된 모양학습부(410)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모양학습단계(S410)를 수행한다.
즉 이러한 모양학습부(410) 및 모양학습단계(S410)를 통하여 예제로 제시된 글자의 철자들을 표기하는 예를 살피면서, 철자를 표기하는 해당 영역에 철자를 표기함으로써 글씨쓰기 학습을 수행한다. 따라서 글씨쓰기 초기 단계에서 접하는 글자들의 철자의 모양을 익히면서 서서히 글자를 알아보거나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초기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작은선안내학습부(23), 그리고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6(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5(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4(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철자 쓰기의 예로 표기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표기된 뜻-순서학습부(4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뜻-순서학습부(42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철자 쓰기의 예로 표기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표기된 뜻-순서학습부(420)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뜻-순서학습단계(S420)를 수행한다.
이러한 뜻-순서학습부(420) 및 뜻-순서학습단계(S420)를 통하여, 다수로 제시되는 글자들로 이루어진 낱말의 뜻을 생각하면서 낱말들의 쓰는 순서에 따른 의미를 생각하여 글씨쓰기를 학습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7(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6(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5(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쓰기학습을 위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글자들이 제시되어 제시된 글자를 대상으로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찾아쓰기학습부(4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찾아쓰기학습부(43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쓰기학습을 위한 글자들이 표시된 찾아쓰기학습부(430)에 표시된 글자들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찾아쓰기학습단계(S43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찾아쓰기학습부(430) 및 찾아쓰기학습단계(S430)를 통하여, 다수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제시된 예시 그림이나 설명에 해당하는 단어의 글자를 골라서, 해당 글자의 철자들을 기재하는 영역에 표기하여 학습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8(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7(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6(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제시되며, 글씨쓰기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4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티커학습부(44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의 스티커를 붙이는 영역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440)에 글자의 철자의 스티커가 붙여지는 스티커학습단계(S44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티커학습부(440) 및 스티커학습단계(S440)를 통하여, 제시된 그림이나 설명에 해당하는 글자의 철자들의 스티커를 해당 영역에 붙여서 학습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리안내학습부(21),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9 내지 도 41(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8 내지 도 50(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7 내지 도 59(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응용학습영역이 구비된 응용학습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응용학습부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는 응용학습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응용학습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응용학습부 및 응용학습단계를 통하여, 글씨쓰기의 다양한 학습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응용학습부 및 응용학습단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 39(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8(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7(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을 표시한 소리내기학습부(45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내기학습부(45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포함되고 글자의 철자들의 윤곽이 표시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소리내기학습단계(S45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내기학습부(450) 및 소리내기학습단계(S450)를 통하여, 제시된 도면 설명에서처럼 글씨를 쓰면서 소리내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웃음소리와 같이 의성어일 경우 웃어보는 등 해당 소리를 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9(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8(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7(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소리-스티커학습부(46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스티커학습부(46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포함되고 글자의 철자들의 윤곽이 표시된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의 스티커가 붙여지는 소리-스티커학습단계(S46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스티커학습부(460) 및 소리-스티커학습단계(S460)를 통하여, 소리에 맞는 그림을 찾아서 스티커를 붙이고 해당 글씨의 철자들을 표기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0(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49(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8(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다수 글자를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47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낱말학습부(47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포함되고 다수 글자를 학습할 영역에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많은낱말학습단계(S47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많은낱말학습부(470) 및 많은낱말학습단계(S470)를 통하여, 제시된 단어별로 글자의 철자를 쓰는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글자들로 이루어진 단어들의 글씨쓰기의 학습을 이룰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1(좌우철자학습부(31)의 예), 도 50(상하철자학습부(32)의 예), 도 59(좌상하철자학습부(33)의 예) 등에서와 같이, 상기 쓰기학습부(20)를 포함하고 문장으로 글씨쓰기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문장학습부(48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학습부(480)를 이용하여, 상기 쓰기학습부(20)가 포함되고 문장으로 글씨쓰기 학습할 영역에 제시된 문장에 대한 글자의 철자들이 표기되는 문장학습단계(S480)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학습부(480) 및 문장학습단계(S480)를 통하여, 문장에 포함된 글자들의 철자들에 대한 글씨쓰기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문장에 대한 이해도 함께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들에서 제시된 학습부로는 분할선안내학습부(22), 점안내학습부(24) 등이 제시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씨쓰기학습방법 및 글씨쓰기학습교재(10) 등을 이용하여 글자의 철자들을 쓰는 학습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특히 분리안내학습의 과정, 분할선안내학습의 과정 등 기초적인 글씨쓰기 학습과정에 더하여, 작은선안내학습의 과정, 점안내학습의 과정 등 심화된 글씨쓰기 학습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글자의 글씨쓰기의 능력을 더욱 향상하게 된다. 이후 글자의 철자들이 위치되는 영역을 구분되게 하는 표식이 없는 전면학습부를 이용하여 학습하되, 빈 영역의 전면학습부에 철자들을 구분할 수 있는 선이나 점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학습하게 하여, 글씨쓰기 학습 효율을 더욱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글씨쓰기학습교재 15 : 철자분할선
16 : 철자집약분할선 17 : 철자분할점
20 : 쓰기학습부 21 : 분리안내학습부
22 : 분할선안내학습부 23 : 작은선안내학습부
24 : 점안내학습부 25 : 전면학습부
31 : 좌우철자학습부 32 : 상하철자학습부
33 : 좌상하철자학습부 34 : 상좌우철자학습부
35 : 상중하철자학습부 36 : 복합철자학습부

Claims (10)

  1. 글씨쓰기 학습교재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를 나누어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되어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되어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를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기된 글씨알아보기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부에 글씨쓰기를 할 수 있도록 글씨쓰기 영역이 구비된 글씨모양써보기학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가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카드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쓰기학습부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어 표기된 카드를 포함하고 철자를 나누어진 카드에 표기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리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선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된 철자집약분할선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작은선안내학습카드부;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이 표시된 카드로 이루어지고 카드의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점안내학습카드부; 및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전면학습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예가 표기된 모양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철자 쓰기의 예로 표기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표기된 뜻-순서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쓰기학습을 위한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글자들이 제시되어 제시된 글자를 대상으로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찾아쓰기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이 제시되며, 글씨쓰기의 설명글 또는 설명그림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스티커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응용학습영역이 구비된 응용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학습부는: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을 표시한 소리내기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씨쓰기를 수행할 글자의 윤곽에 해당하는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 소리-스티커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다수 글자를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많은낱말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문장으로 글씨쓰기 학습할 영역이 표시된 문장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우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하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의 철자를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 및 좌측의 영역이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좌상하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하로 나누어진 영역 및 상측의 영역이 좌우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좌우철자학습부;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상, 중, 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상중하철자학습부; 및
    상기 쓰기학습부를 포함하고 글자의 철자를 좌우 및 상중하의 다수로 나누어진 영역에 쓸 수 있게 쓰기 영역이 표시된 복합철자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7. 제 6항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분할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통합틀을 이용하여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틀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틀학습부는:
    상기 좌우철자학습부, 상하철자학습부, 좌상하철자학습부, 상좌우철자학습부, 상중하철자학습부 및 복합철자학습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학습부를 포함하여 글씨쓰기 학습을 하는 영역이 구비된 기본틀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쓰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분할통합틀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작은선학습부;
    글자의 철자를 기재하는 영역이 좌우 및 상하로 다수로 분할되게 분할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되어 다수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시되게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점학습부;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이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기 위한 통합전면학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교재.
  8. 글씨쓰기 학습방법에 있어서,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영역이 쓰기학습부에 표시되어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쓰기학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쓰기학습단계는:
    글자의 철자들이 분할되게 나누어져 철자가 나누어 표기되는 분리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분할선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표시된 작은 길이의 실선 또는 점선의 철자집약분할선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작은선안내학습단계;
    글자의 철자들을 분할하는 부분에 점으로 표시된 철자분할점으로 분할된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점안내학습단계; 및
    글자의 철자를 분할하는 부분이 없는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전면학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학습부가 표시되고 글씨쓰기의 학습을 하는 과정이 표시된 부분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알아보기학습단계; 및
    상기 쓰기학습부가 표시되고 글씨쓰기 영역에 철자가 표기되는 글씨모양써보기학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씨쓰기 학습방법.
KR1020130078131A 2013-07-04 2013-07-04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KR10137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131A KR101376852B1 (ko) 2013-07-04 2013-07-04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131A KR101376852B1 (ko) 2013-07-04 2013-07-04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852B1 true KR101376852B1 (ko) 2014-03-20

Family

ID=5064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131A KR101376852B1 (ko) 2013-07-04 2013-07-04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93B1 (ko) * 2014-05-23 2016-04-14 이병대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글꼴 패턴 제공방법 및 장치, 그 기록매체
KR101612391B1 (ko) * 2014-04-28 2016-04-14 이병대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KR20220159061A (ko) * 2021-05-25 2022-12-02 이유 한글 쓰기 연습용 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47Y1 (ko) * 2001-12-03 2002-11-13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JP2003135648A (ja) * 2001-11-01 2003-05-13 Aichi Insatsu Kogyo:Kk 尻取りゲーム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9180900A (ja) * 2008-01-30 2009-08-13 Shosha Shodo Kyoiku Kenkyusho:Kk 文字練習教材、文字練習システム、および、文字練習プログラム
KR200456676Y1 (ko) 2009-01-29 2011-11-10 황수연 기능성 학습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48A (ja) * 2001-11-01 2003-05-13 Aichi Insatsu Kogyo:Kk 尻取りゲーム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94647Y1 (ko) * 2001-12-03 2002-11-13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JP2009180900A (ja) * 2008-01-30 2009-08-13 Shosha Shodo Kyoiku Kenkyusho:Kk 文字練習教材、文字練習システム、および、文字練習プログラム
KR200456676Y1 (ko) 2009-01-29 2011-11-10 황수연 기능성 학습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91B1 (ko) * 2014-04-28 2016-04-14 이병대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KR101612393B1 (ko) * 2014-05-23 2016-04-14 이병대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글꼴 패턴 제공방법 및 장치, 그 기록매체
KR20220159061A (ko) * 2021-05-25 2022-12-02 이유 한글 쓰기 연습용 교재
KR102602103B1 (ko) 2021-05-25 2023-11-15 이유 한글 쓰기 연습용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852B1 (ko) 글씨쓰기 학습방법 및 학습교재
CN101908290B (zh) 英语读物及其识读机
JP5249059B2 (ja) 漢字演習ノート
KR101264087B1 (ko) 부수에 대응되는 그림을 이용한 한자 학습 교재
CN201853386U (zh) 英语电子读物、英语教材或书籍及其识读机
KR102237725B1 (ko) 영어 초보자를 위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KR100815979B1 (ko) 악필교정용 단계별 맞춤학습 교재
JP3193230U (ja) 教材における発音情報配置構造
JP3193230U7 (ko)
KR100952047B1 (ko)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CN219916494U (zh) 一种英语单词记忆工具
JP2015089613A (ja) 漢字練習教材
JP3224567U (ja) 漢字ドリル
KR20110019513A (ko) 한자학습교재
Kiekel et al. Evaluating apps to ensure learning outcomes
KR101266013B1 (ko) 반복 학습용 교육 교재
CN203405981U (zh) 一种新型拼音卡
Hodges Science speaks: Improving readability of texts
Fowler Writing-Intensive Approaches in a Typographic Design Studio Class: Using Writing as a Tool toward More Intentional Design
KR102190002B1 (ko) 초보자를 위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KR100645974B1 (ko) 외국어 교육용 교재
KR20110092858A (ko) 필순 표시의 순차적 제거 기능을 이용한 한자 연상 학습 시스템
KR20090000504U (ko) 한자학습교재
KR200464185Y1 (ko) 한자의 기본한자 학습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