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047B1 -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 Google Patents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047B1
KR100952047B1 KR1020080023178A KR20080023178A KR100952047B1 KR 100952047 B1 KR100952047 B1 KR 100952047B1 KR 1020080023178 A KR1020080023178 A KR 1020080023178A KR 20080023178 A KR20080023178 A KR 20080023178A KR 100952047 B1 KR100952047 B1 KR 10095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rm
character
area
simplified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032A (ko
Inventor
조소제
Original Assignee
조소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소제 filed Critical 조소제
Priority to KR102008002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0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한글에서 사용하는 정자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의 간체자 및 일본의 약속자를 하나의 구분된 틀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영역에 나누어 표기함으로써, 정자와 간체자 또는 약속자와의 상호 연계 학습을 통해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어 및 약속자를 사용하는 일본어에 대한 학습을 능률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이들 정자와 간체자와 약속자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각 단위문자들 상호간의 변화와 그 의미를 연계시켜 비교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학습지, 편집구조, 한자, 정자, 간체자, 약속자, 단위글자, 연계학습

Description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Editorial structure of workbook for Chinese character and study media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한자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한글에서 사용하는 한자인 정자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의 간체자 및 일본의 약속자를 하나의 구분된 틀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영역에 나누어 표기함으로서, 상호 연계 학습을 통해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어 및 약속자를 사용하는 일본어에 대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자는 영어와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서, 기존의 한국어의 어문체계 및 단어 등에 상당량을 점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한자 문화권에 있는 나라로서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과 약속자를 사용하는 일본이 있다.
최근 들어 세계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이러한 중국과 일본의 언어인 중국어와 일본어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배우려는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중국어나 일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일률적으로 나열된 단어들을 단순히 암기하는 방식으로서, 학습자인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쉽게 지루해 하거나 싫증을 느끼게 됨은 물론, 학습 후 일생활에 적용시에도 어설픈 몇 마디의 짧은 구절을 구사하는 수준 이상의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였다.
특히, 학습자들 중 대다수는 기본이 되는 한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거나 중국어나 일어를 쓰고 말하고 읽고 듣는데 기초가 되는 간체자나 약속자 자체를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는 일시적인 단어의 암기효과만을 제공하는 수박 겉핥기식의 교육이 되어 결과적으론 지속적인 학습을 곤란하게 하여 학습효과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 암기식 학습에서 벗어나 학습하고자 하는 간체자나 약속자를 정자와 함께 하나의 틀에 나누어 표기함으로써, 학습하고자 하는 간체자나 약속자가 정자와의 상호 연계학습에 의한 연상기억법을 통해 문자의 구성 원리 및 특징을 쉽게 이해하며 세가지 유형의 글자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자로부터 간체자 또는 약속자의 변형과정을 쉽게 식별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체자나 약속자 단위글자의 결합과정을 연산기호를 이용한 수학적 형태로 표기하여 정자를 익힌 후 간체자나 약속자를 쉽게 이해하며 익힐 수 있도록 한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체자나 약속자 학습에 기본이 되는 정자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한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자학습교재는,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하나의 단위글자를 3개의 국가별 문자인 정자, 간체자 및 약속자의 개별표시영역으로 나누어 표기할 수 있도록 구분된 틀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문자표기영역과; 상기 문자표기영역에 기재된 정자의 풀이와, 상기 정자로부터 간체자 또는 약속자 중 적어도 어느 한 글자로의 변형과정이 표기되는 문자설명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표기영역은, 글자기재부와, 그 하단에 표기되는 음기재부로 구성하고; 상기 문자설명영역은, 상기 정자의 뜻/음, 풀이 문장이 기재되는 정자풀이영역과, 상기 간체자와 약속자의 변형과정이 각각 표기되는 간체자변형표기영역 및 약속자변형표기영역으로 구성하되; 상기 정자풀이영역에 기재된 정자의 뜻과 음은 제1식별부호 및 제2식별부호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풀이 문장 중 상기 정자의 뜻과 음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식별부호 및 제2식별부호를 동일한 형태로 병행하여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정자풀이영역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에 기재된 정자를 최소 구성단위 한자들로 구분하여 그 글자 및 뜻과 음을 연결 기재하는 동시에, 그 하부에는 정자의 뜻과 음 및 상기한 최소 구성단위 한자들의 뜻풀이를 모두 인용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정자를 하나의 완성된 문장으로 배열하여 풀이한 내용이 기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체변형표기영역 또는 약속자변형표기영역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정자의 단위글자와 이에 대응하는 학습자의 단위글자가 병행 표기되는 복수개의 단위글자부와 상기 간체자표기영역 또는 약속자표기영역에 기재된 글자가 표기되는 학습자기재부가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문자표기영역은, 학습대상이 되는 하나의 정자를 상이한 2이상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단위글자들의 조합으로 구성하고, 상기 간체자 또는 약속자 중 정자로부터 변형된 글자는 상기 정자의 단위글자와 대응되는 부분이 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기되도록 하여, 각 문자 상호간과 이들 문자를 구성하는 단위글자 상호간의 뜻과 음이 연계 학습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단위글자부는 서로 연산기호 '+'로, 상기 단위글자부와 학습자기재부는 연산기호 '='를 이용하여 수학적 형태로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한자학습교재는 바람직하게, 인쇄된 출판물, 전자출판물, 또는 웹상의 화면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체자 또는 약속자를 정자와 하나의 틀에 나누어 표기함으로서 연계학습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종래 학습지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정자 자체의 뜻과 풀이를 알지 못하여 간체자와 약속자를 체계적으로 암기하고 학습하기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고, 동시에 한자의 세가지 유형(잔체자, 약속자, 정자)을 익혀 이를 기초로 한 중국어나 일본어 학습능률을 높이고, 문장 구사 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자를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들로 구분하여 복잡하게 이루어진 한자도 쉽게 분해되어 필순에 따라 기재된 풀이 문장을 통해 뜻과 음의 구분이 명확히 이루어지므로 이는 정자를 기본으로 하는 간체자 및 약속자와도 쉽게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정자, 간체자, 약속자를 복수개의 단위글자로 나누고 서로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색상으로 일치시켜 표기하며, 간체자나 약속자의 단위글자와 학습하고자 하는 글자는 연산기호를 통해 수학적 형태로 표기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간체자 또는 약속자의 변형과정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그 연상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의 간체자 변형과정을 도시한 실시예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의 약속자 변형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를 지면에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한자학습교재는, 정자와, 상기 정자와 동일한 글자 형태로 이루어진 약속자와, 상기 정자로부터 글자의 형태가 변형되는 간체자를 상호 연계하여 익히기 위한 것으로서, 학습지의 지면을 좌측의 문자표기영역과 우측의 문자설명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도 1의 기재내용을 주로 인용하며, 도 2의 내용은 필요시 추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문자표기영역은 학습자가 같은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하나의 단위글자인 정자, 간체자, 약속자를 각 글자의 변형을 서로 연계하며 쉽고 오랫동안 인식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구분된 각 국가별 문자의 개별표시영역으로 나누어 구분된 틀로 이루어진 트리구조로 구성된다.
이 같은 문자표기영역은, 위로부터 상부에 학습하고자 하는 한자의 정자 및 그 뜻과 음이 구분 기재되는 정자표기영역(10)과, 그 하부 좌측에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와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며 글자 형태만 변형되는 간체자 및 그 음 '동'이 구분하여 기재되는 간체자표기영역(20)과,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의 우측으로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와 동일한 의미와 글자 형태를 갖는 약속자 및 그 음 '토우'가 구분하여 기재되는 약속자표기영역(30)으로 구성된다.
이때, 판독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정자표기영역(10)은 글자 '東'이 기재되는 글자기재부(10a)와 상기 글자기재부(10a) 하단에 그 뜻과 음인 '동녘 동'이 기재되는 뜻음기재부(10b)로 구분하여 표기되고,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 및 약속자표기영역(30)은 각각 해당 단위글자가 기재되는 글자기재부(20a)(30a)와 상기 글자기재부(20a)(30a) 하단에 그 음이 기재되는 음기재부(20b)(30b)로 각각 구성된다.
또한, 학습자가 보다 쉽고 오랫동안 기억하여 학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은 틀의 테두리를 중국을 상징하는 느낌이 표출되는 붉은색으로 나타내고, 약속자표기영역(30)은 일본을 상징하는 느낌이 표출되게 틀의 테두리를 파란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색상들은 붉은색과 파란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얼마든지 다른 색상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틀의 색상을 달리하는 구조는 틀을 구성하는 선의 굵기 및 형태를 달리하여도 그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는 도 1의 '木'은 파란색으로 '日'은 주황색으로, 도 2에 있어서는 '門'의 좌우를 나누어 좌측은 파란색 우측은 주황색으로 표기한 것과 같이, 각각 상이한 색상을 이용한 단위글자로 구분하여 표기되고,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에 기재되는 간체자 또한 상기 정자와 대응되는 각각의 부분이 이와 동일한 색상으로 병행하여 표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의 음기재부(20b)에는 중국어 회화력 향상을 위해 한글발음 '동'과 함께 영어발음표기
Figure 112008018194926-pat00001
를 병행하여 기재하고, 상기 약속자표기영역(30)의 음기재부(30b)에는 일어 회화력 향상을 위해 한글발음 '토우'와 일본어
Figure 112008018194926-pat00002
를 함께 병행하여 기재함으로써 학습자가 정확한 약속자 및 간체자의 발음을 인지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이뤄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자설명영역은, 상측부에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 및 그 뜻과 음, 풀이문장이 기재되는 정자풀이영역(40)과, 그 하측으로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에 기재된 간체자의 글자변형과정이 기재되는 간체자변형표기영역(50)과 상기 약속자표기영역(30)에 기재된 약속자의 글자변형과정이 기재되는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되는 정자의 뜻과 음은 바람직하게는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띄어쓰기를 하여 구성하되, 더 바람직하게는 학습자의 집중력과 식별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뜻 '동녘'은 제1식별부호(41) 밑줄로, 음 '동'은 제2식별부호(42) 사각박스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이 같은 예에 따르면, 편의상 한자의 뜻을 가리키는 제1식별부호(41)는 밑줄 로 표기하고, 한자의 음을 가리키는 제2식별부호(42)는 사각박스를 이용하여 표기하였으나, 이는 2개 이상의 밑줄, 원 또는 마름모 등 다양한 형태로 필요시 얼마든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는 기재된 정자 '東'을 그 문자를 구성하는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 '木'과 '日'로 쪼갠 후, 각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들을 기재된 정자의 필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기재하고 그 아래에는 '나무', '해'와 같은 뜻과 음, 또는 도 2에 도시된 '두 짝의 문'과 같이 간략한 단어로 된 풀이를 함께 기재하여 학습자가 문자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된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들은 '+'와 같은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표기하고,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단위글자와 일치하는 경우 각각의 글자 색상 및 글자 아래에 표기되는 뜻 또한 학습자의 식별력을 향상시키도록 단위글자의 색상과 동일하게 병행하여 표기함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 2에서와 같이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되는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 '門'과 정자 및 간체자의 단위글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엔 단일 색상으로 글자와 뜻을 표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학습지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한자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등의 수준별 한자를 모아 각각 단계별로 나뉘어 구성할 수 있는바,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되는 최소 구성단위 한자 중 선행단계에서 익힌 문자가 나오는 경우, 이를 그 필순에 따른 뜻과 음을 인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문장으로 표기한 보조설명부(도시생략)를 상기 정자풀이영역(40)이나 다른 지면 일부에 추가로 기재함으로써, 이전 학습단계에서 익힌 학습내용을 복습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자풀이영역(40)의 최소 구성단위 한자 하측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정자의 뜻을 한글로 풀어 하나의 완성된 문장 '나무 사이를 뚫고 해가 나오는 곳이 동녘 동이다.'로 기재하였다.
이때, 상기 뜻풀이 내용은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들의 풀이, 및 정자의 뜻과 음을 이용하여 학습능력을 고려한 서술식 배열방식을 통해 풀어 쓴 것으로, 그 뜻풀이 내용 중 상기 최소 구성단위와 대응하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그와 동일한 순서로 기재함과 동시에 각각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를 표기하는데 사용된 것과 같이 파란색과 주황색의 동일한 색상으로 일치되게 표기하고, 상기 뜻풀이 내용 중 상기 정자의 뜻과 음에 대응하는 부분 '동녘'과 '동'은 각각 이와 동일한 제1식별부호(41) 및 제2식별부호(42)를 이용하여 일치되게 병행하여 표기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단조로움 및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식별력 및 흥미를 가지면서 필순에 따라 각 최소 구성단위의 풀이 및 학습하고자 하는 한자의 뜻과 음을 서로 연계하여 학습하게 되므로 한자의 암기력 및 학습능률이 현저히 상승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 학습지 등은 자원풀이가 미약하며 필순에 따른 풀이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적인 암기가 어려운 반면에, 본 발명은 정자를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들로 구분하여 복잡하게 이루어진 한자도 쉽게 분해되어 풀이문장에 필순에 따라 기재된 풀이를 통해 뜻과 음의 구분이 명확히 이루어져 쉽게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한자를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이 연상방식으로 서술된 문장을 통해 한자를 습득하게 되면 학습자가 모르는 한자가 나오더라도 스스로 본원발명의 규칙을 이용하여 연상하며 풀어나가 한자의 뜻과 음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체자표기영역(50)은 각각의 단위글자가 기재되는 복수개의 단위글자부(51)와 완성된 글자가 기재되는 학습자기재부(52)로 구분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간체자의 필순이 기재된다.
상기 단위글자부(51)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의 글자기재부(10a) 및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된 정자의 단위글자와, '=>(51a)'와 같은 식별부호와,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의 글자기재부(21a)에 기재된 간체자 중 상기 정자의 단위글자와 대응되는 단위글자가 순차적으로 기재되며, 각각의 단위글자부(51)는 '+'와 같은 연산기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단위글자부(51)와 간체자기재부(52)는 '='와 같은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수학적 형태로 연결되게 기재된다.
더불어, 상기 간체자표기영역(50)에 기재되는 모든 정자 및 간체자의 단위글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 및 간체자표기영역(20)에 기재된 것과 대응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병행하여 표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와 동일한 글자 형태를 갖는 약속자의 경우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에 간단히 '정자와 같음' 이란 표기를 하여 식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한자의 문자적 특성이 기재되도록 문자유형표시영역(도시생략)을 추가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문자유형표기영역에 기재되는 내용은 예를 들어, 회의문자, 상형문자, 형성자, 지사문자 등과 같은 한자의 문자적 특징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는 표기와 더불어, 각 문자적 특성에 따른 한자의 구성 원리를 간략하게 표기하여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자의 구성 원리 및 특성을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문자유형표기영역에는 필요시 정자표기영역에 기재된 한자가 포함되며 동일한 음을 갖는 유사어기재부를 추가로 기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자유형표시영역에 기재되는 내용이 '상형문자'인 경우 상형문자는 사물의 형태를 본떠 구성되는 문자인바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되는 문장식 뜻풀이에 '모양'이란 단어를 포함시켜 상형문자임을 강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 중 정자 '同'에서 약속자 '仝'로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정자와 이와 동일한 형태의 간체자와 상기 정자로부터 변형되는 약속자를 트리구조의 문자표기영역에 구분하여 표기하여 상호 연계하여 학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문자표기영역에 있어서 간체자표기영역(20)의 글자기재부(20a)에는 정자표기영역(10)의 글자기재부(10a)에 기재된 정자'同'과 동일한 글자 '同'을 표기하고, 약속자표기영역(30)의 글자기재부(30a)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 '同'으로부터 변형된 약속자 '仝'을 표기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간체자와 약속자의 해당 기재내용의 특징이 서로 뒤바뀐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각각의 글자기재부(20a)(30a) 하단에 위치한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의 음기재부(20b)에는 간체자의 발음인 '통'과 그 영어발음표시인 'tong'을 표기하고, 상기 약속자표기영역(30)의 음기재부(30b)에는 일어발음인 '
Figure 112009073704015-pat00003
' 와 한글발음인 '도우'를 함께 병행 표기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약속자 및 간체자의 발음을 인지하며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자 '同'은 단위글자로 분리하면 '人', '一', '口'로 분리되며, 이는 정자 '同'의 최소 구성단위의 한자와 일치하는바, 문자설명영역의 정자풀이영역(40)에 연산기호 '+'를 이용하여 수학적 형태로 나열하여 기재하였다.
그리고,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은 각각의 단위글자가 표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글자부(61)와 완성된 약속자 '仝'이 표기되는 학습자기재부(62)로 구분하여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약속자의 필순이 기재된다.
상기 단위글자부(61)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의 글자기재부(10a) 및 학습문자풀이영역(40)에 기재된 정자의 단위글자 '人', '一', '口'와, '=>(61a)'와 같은 식별부호와, 상기 약속자표기영역(30)의 글자기재부(31a)에 기재된 간체자 중 상기 정자의 단위글자와 대응되는 단위글자 '人', '一', '
Figure 112009073704015-pat00004
' 가 순차적으로 기재되며, 각각의 단위글자부(61)는 '+'와 같은 연산기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단위글자부(61)와 학습자기재부(62)는 '='와 같은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수학적 형태로 연결된다.
이때, '一'의 경우 정자와 약속자가 서로 동일하므로 '+'기호는 생략하였다.
더불어, 상기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에 기재되는 모든 정자 및 약속자의 단위글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 및 간체자표기영역(20)에 기재된 것과 대응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병행하여 파란색, 주황색, 녹색으로 각각 표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와 동일한 글자 형태를 갖는 간체자의 경우 간체자변형표기영역(50)에 간단히 '정자와 같음' 이란 표기를 하여 식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문자표기영역과 문자설명영역의 하측에는 익힌 글자를 연습하는 구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자로부터 변형되는 간체자를 후술하는 정자의 단위글자로 구분하여 그 변형과정을 숙지하면서 적어도 1회 이상 표기하며 익힐 수 있도록 한 기본학습영역(70)과, 상기한 정자, 간체자 및 약속자를 반복적으로 표기하며 익힐 수 있도록 내용은 비어있는 상기 문자표기영역과 동일한 형태로 된 틀이 적어도 1개 이상 반복적으로 도시된 반복학습영역(80)을 순차적으로 구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학습영역(70)은 '+'와 '='을 포함하는 간체자변형표기영역(50) 또는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의 틀이 내용이 비어있는 상태로 제공되어짐으로써, 학습자가 정자의 단위글자와 학습하고자 하는 간체자 또는 약속자의 단위글자를 서로 비교하며 써내려가 반복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 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는 문자표기영역이 좌측에 위치하고, 문자설명영역은 그 우측에 위치한 구조를 가지나 이러한 위치적 구조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한 것이며, 더불어 상기 문자표기영역의 간체자표기영역과 약속자표기영역의 위치 또한 서로 좌우로 바뀔 수 있으며, 트리구조도 역삼각형 마름모 형태 등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재된 정자, 간체자, 약속자의 단위글자를 구분하는 색상 표시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색상에 국한되지 않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간체자와 약속자가 모두 정자와 다른 경우 상기한 일실시예와 이실시예의 구성을 합쳐 간체자변형표기영역(50)과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 모두에 변형과정이 표기되는 구조로 구성하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한자 한자학습교재를 가지고 학습하는 학습매체에 의해서도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학습매체는 종이에 인쇄된 출판물은 물론 전자출판물을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웹상에서 구현되는 모니터의 화면 등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한자 학습지의 편집구조가 반복되어 구성되되, 학습문자풀이영역에 기재되는 최소 구성단위를 나타내는 기초 한자들은 본 한자 이전에 학습할 수 있도록 페이지를 할당하여 배치됨으로써, 학습자가 이미 배운 한자들을 재차 복습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여 학습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의 간체자 변형과정을 도시한 실시예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의 간체자 변형과정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의 약속자 변형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자학습교재를 지면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면 10 ; 정자표기영역
20 ; 간체자표기영역 30 ; 약속자표기영역
40 ; 정자풀이영역 41 ; 제1식별부호
42 ; 제2식별부호 50 ; 간체자변형표기영역
60 ; 약속자변형표기영역 70 ; 기본학습영역
80 ; 반복학습영역

Claims (7)

  1.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하나의 단위글자를 3개의 국가별 문자인 정자, 간체자 및 약속자의 개별표시영역으로 나누어 표기할 수 있도록 구분된 틀로 이루어진 트리구조의 문자표기영역과; 상기 문자표기영역에 기재된 정자의 풀이와, 상기 정자로부터 간체자 또는 약속자 중 적어도 어느 한 글자로의 변형과정이 표기되는 문자설명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표기영역은, 글자기재부(10a)(20a)(30a)와, 그 하단에 표기되는 음기재부(10b)(20b)(30b)로 구성하고; 상기 문자설명영역은, 상기 정자의 뜻/음, 풀이 문장이 기재되는 정자풀이영역(40)과, 상기 간체자와 약속자의 변형과정이 각각 표기되는 간체자변형표기영역(50) 및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으로 구성하되;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 기재된 정자의 뜻과 음은 제1식별부호(41) 및 제2식별부호(42)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풀이 문장 중 상기 정자의 뜻과 음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식별부호(41) 및 제2식별부호(42)를 동일한 형태로 병행하여 표시하는 한편; 상기 정자풀이영역(40)에는 상기 정자표기영역(10)에 기재된 정자를 최소 구성단위 한자들로 구분하여 그 글자 및 뜻과 음을 연결 기재하는 동시에, 그 하부에는 정자의 뜻과 음 및 상기한 최소 구성단위 한자들의 뜻풀이를 모두 인용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정자를 하나의 완성된 문장으로 배열하여 풀이한 내용이 기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체변형표기영역(50) 또는 약속자변형표기영역(60)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정자의 단위글자와 이에 대응하는 학습자의 단위글자가 병행 표기되는 복수개의 단위글자부(51)(61)와 상기 간체자표기영역(20) 또는 약속자표기영역(30)에 기재된 글자가 표기되는 학습자기재부(52)(62)가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표기영역은, 학습대상이 되는 하나의 정자를 상이한 2이상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단위글자들의 조합으로 구성하고, 상기 간체자 또는 약속자 중 정자로부터 변형된 글자는 상기 정자의 단위글자와 대응되는 부분이 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기되도록 하여, 각 문자 상호간과 이들 문자를 구성하는 단위글자 상호간의 뜻과 음이 연계 학습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글자부(51)(61)는 서로 연산기호 '+'로, 상기 단위글자부(51)(61)와 학습자기재부(52)(62)는 연산기호 '='를 이용하여 수학적 형태로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를 가지는 한자학습교재가, 인쇄된 출판물, 전자출판물, 또는 웹상의 화면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매체.
KR1020080023178A 2008-03-13 2008-03-13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KR10095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78A KR100952047B1 (ko) 2008-03-13 2008-03-13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78A KR100952047B1 (ko) 2008-03-13 2008-03-13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32A KR20090098032A (ko) 2009-09-17
KR100952047B1 true KR100952047B1 (ko) 2010-04-07

Family

ID=4135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78A KR100952047B1 (ko) 2008-03-13 2008-03-13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65B1 (ko) * 2009-08-20 2011-07-15 백성기 한자학습교재
KR20170057578A (ko) * 2015-11-17 2017-05-25 박준범 한자 학습용 교재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758A (ko) * 2004-11-24 2006-05-29 김정찬 한자학습교재
KR200434818Y1 (ko) * 2006-07-28 2006-12-28 박재성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한자학습교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758A (ko) * 2004-11-24 2006-05-29 김정찬 한자학습교재
KR200434818Y1 (ko) * 2006-07-28 2006-12-28 박재성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한자학습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32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tt et al. Reading culture: Using literature to develop C2 competence
Acrey et al. Using universal design to unlock the potential for academic achievement of at-risk learners
CN105718855A (zh) 一种在线作文测评方法及其系统
CN101636774A (zh) 英文单词的切分、重读标注方法及其应用
CN101908290B (zh) 英语读物及其识读机
JP2010158877A (ja) 漢字演習ノート
KR100952047B1 (ko)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매체
KR20200001936U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CN201853386U (zh) 英语电子读物、英语教材或书籍及其识读机
KR20060117293A (ko)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Johnson Teacher assessments and literacy profil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South Africa
KR101049065B1 (ko) 한자학습교재
KR200391859Y1 (ko)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WO2001073728A1 (en) An educational aid and method
CN203405981U (zh) 一种新型拼音卡
KR101160591B1 (ko) 외국어 학습에 이용되는 색깔 암기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교재 편집 구조 및 학습방법
US20230267850A1 (en) Reading system with coded words and hand/finger signs
KR200194261Y1 (ko) 학습효율을 극대화한 링크기억 학습교구재
JP3090563U (ja) 外国語学習用テキスト
CN101630456A (zh) 一种按随文译注法排版的外语学习用书用品及其它载体
KR100346359B1 (ko)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Sary et al. Analysis Of The Montessori Method In Beginning Reading Skills Of Indonesian Subjects In Of Students Sd Negeri 1 Jatiwaringin
JP3055471U (ja) ローマ字ドリルノート
CN103440799A (zh) 一种新型拼音卡及其使用方法
Varchuk The benefits of learning English with mind m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