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359B1 -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359B1
KR100346359B1 KR1019990019011A KR19990019011A KR100346359B1 KR 100346359 B1 KR100346359 B1 KR 100346359B1 KR 1019990019011 A KR1019990019011 A KR 1019990019011A KR 19990019011 A KR19990019011 A KR 19990019011A KR 100346359 B1 KR100346359 B1 KR 10034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icture
character
unit
m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306A (ko
Inventor
도기원
Original Assignee
최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희 filed Critical 최은희
Priority to KR101999001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3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by regulating the speed of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정상아는 물론 비장상아도 문자를 쉽게 익히게 함과 아울러 양질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아들이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하여 수 계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을 이루는 지면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어느 일정한 부위에 제공되어 합습자가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자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이 제시되는 그림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다른 부위에 제공되어 그림부에 제시된 각 그림의 비정상아들도 쉽게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서 익히도록 이 그림의 뜻에 해당되는 각종 문자를 문장 형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A STUDY PAPER AND A STUDY METHOD USING THE STUDY PAPER}
본 발명은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정상아는 물론 비장상아도 문자를 쉽게 익히게 함과 아울러 양질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아들이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하여 수 계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학습지는 단어(예: 모자, 버스 등)를 나열하는 단어식이나, 자음 또는 모음(예: ㄱ,ㄴ 등)을 나열하는 자모식, 음절(예: 가,나 등)을 나열하는 음절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방법은 학습지에 단순하게 나열된 단어, 자음, 음절 만을 보면서 글을 익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아이들에게는 어느 정도 학습효과가 있을지라도 저능아 또는 부진아(이하 '비정상아' 라 한다)들이 한글과 같은 글을 정확하게 익히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기존의 학습방법은 주입식 교육으로 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문자를 터득하게 되면 더 이상의 두뇌 개발에 활용될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학습질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학습효과도 크게 떨어지게 되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수 계산방법은 수량을 인지시키는 과정에 있어 숫자만 제시되거나 또는 숫자와 다른 위치에 숫자와 동일한 수량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정상아들이 수량을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많은 혼돈을 초래하게 되어 수 계산 능력이 전혀 개발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아는 물론 비장상아도 문자를 쉽게 익히게 함과 아울러 양질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아들이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하여 수 계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을 이루는 지면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어느 일정한 부위에 제공되어 합습자가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자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이 제시되는 그림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다른 부위에 제공되어 그림부에 제시된 각 그림의 비정상아들도 쉽게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서 익히도록 이 그림의 뜻에 해당되는 각종 문자를 문장 형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예 따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다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다른 학습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지는 바닥을 이루는 지면부(1)와;
상기한 지면부(1)의 어느 일정한 부위에 제공되어 합습자가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자(3)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5)이 제시되는 그림부(7)와;
상기한 지면부(1)의 다른 부위에 제공되어 그림부(7)에 제시된 각 그림의 비정상아들도 쉽게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서 익히도록 이 그림(7)의 뜻에 해당되는 각종 문자를 문장 형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부(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면부(1)는 상부에 학습의 단원을 나타내기 위한 단원 표시부(11)를 제공한다.
상기한 그림부(7)에는 설명부(9)에서 설명하는 각 문자(3)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 예컨대, 아버지, 할머니, 가마니, 나, 너, 그림책, 인형, 호미, 어머니, 강아지 등이 그려진다.
상기한 설명부(9)에 표시되는 각 문자는 학습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찐하게 표시하거나, 밑줄을 긋거나,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학습지는 지면부(1)의 어느 부위에 각 단어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을 나타내는 단위 그림부(13)와;
상기한 지면부(1)의 다른 부위에 구획선(15)에 의하여 구분되고, 단위 그림부(13)를 보고 이 단위 그림부의 뜻에 해당되는 문자를 따라서 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문자 유도부(17)를 포함한다.
상기한 문자 유도부(17)의 내부 공간에 학습자의 정확한 문자 쓰기를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이 문자(3)와 동일한 문자를 따라서 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선(18)이 제공된다.
상기한 안내선(18)은 학습자가 문자 유도부(17)의 외곽선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각 획마다 점선 또는 쇄선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지면부(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위 그림부(13)와 동일한 그림의 스티커(19)가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학습지는 지면부(1)에 일정한 구획선(15)에 의하여 구분되고,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 문자가 쓰여지기 위한 문자 공간부(21)와;
상기한 지면부(1)에 문자 공간부(21)와 인접하여 구획선(15)에 의하여 구분되고, 문자 공간부에 쓰여 있는 문자에 해당되는 스티커(19)를 부착하기 위한 스티커 공간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학습지를 이용한 문자 학습방법은 학습자가 설명부(9)에 제시된 문장을 따라 읽으면서 암기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암기된 문장을 떠올리면서 이 문장에 제시된 각 문자(3)에 해당되는 그림(5)을 그림부(7)에서 찾아 보고, 각 그림(5)에 해당되는 문자(3)를 이해하면서 각 문자(3)를 쉽게 익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그림부(7)에서 제시된 각 그림(5)을 보면서 이 그림에 해당되는 문자의 의미를 익히면서 이 문자(3)를 문자 유도부(17)에 제시된 공간을 따라 쓸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문자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지의 지면부(1)에 쓰여진 문자(3)를 보고, 이 문자에 해당되는 그림(5)이 그려진 스티커(19)를 지면부(1)의 공간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학습방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학습하려면, 학습자가 도 1과 같은 설명부(9)의 문장을 암기한 후 이 문장을 발성하거가 떠올리게 되는데, 예컨대,아버지를 떠올리게 되면, 그림부(7)에서 아버지 그림(5)을 찾아서 보고 아버지에 대한 문자(3)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지면부(1)의 단위 그림부(13)에 그려진 아버지 그림(5)을 보고, 이 아버지에 대한 문자(3)를 인식하면서 문자 유도부(17)를 따라 아버지를 쓰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지면부(1)의 문자 공간부(21)에 쓰여진 아버지를 인식 한 후 아버지에 해당되는 스티커(19)를 지면부(1)에서 떼어 낸 후 스티커공간부(23)에 부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학습지는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학습지에는 수 계산을 할 때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숫자(25)의 일측에 이 숫자에 해당되는 수량(27)이 표시되는 수량 표시부(29)가 제공된다.
상기한 수량 표시부(29)에 표시되는 각 수량(27)은 학습자가 수량의 혼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량(예, 5개)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배치하고,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학습지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 4와 같이 3 + 2 덧셈 계산을 하게 되면, 숫자 3(25)에 해당되는 수량(27)은 3 수량 표시부(29)에 표시된 수량(27)을 보고 인식하고, 숫자 2(25)에 해당되는 수량(27)은 2 수량 표시부(29)에 표시된 수량을 보고 인식한 후 이 덧셈 결과에 해당되는 숫자(25)는 5 수량 표시부(29)에 표시된 수량(27)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인식한 후 괄호 안에 5를 기재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5 이상의 숫자(25)를 계산할 때는 수량 표시부(29)에 수량(27)이 5개식 구분되어 있으므로 학습자가 수량을 인식하게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수 계산을 10의 보수를 이용하여 쉽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숫자(25)의 합이 10을 넘는 수 계산을 할 때 어느 한 숫자(25)의 일측에 이 숫자와 다른 숫자(25)의 합이 10이 되는 숫자(31)를 표시한 10의 보수 표시부(33)와, 이 숫자(31)와 10의 보수 표시부(33)에 표시된 숫자(31)의 차이에 해당되는 숫자(35)를 표시한 차이 표시부(37)가 분리되어 제공된다.
예컨대, 도 6과 같이 8 + 7 의 덧셈 계산을 하게 되면, 숫자 7(25)을 숫자 8(25)과 10이 되기 위한 2(31)를 10의 보수 표시부(33)에 표시하고, 숫자 7(25)과 2(31)의 차이에 해당되는 숫자 5(35)를 차이 표시부(37)에 표시한 후 10의 보수 표시부(33)와 차이 표시부(37)를 이용하여 덧셈 결과가 15가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덧셈을 위한 숫자(25)중에서 아래쪽으로 위치한 숫자(25)를 10의 보수로 분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과 같이 덧셈을 위한 숫자중에서 위쪽으로 위치한 숫자를 10의 보수로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숫자(25)의 내부 공간에 학습자의 정확한 숫자 쓰기를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이 숫자(25)와 동일한 숫자를 따라서 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내선(39)이 제공된다.
상기한 안내선(39)은 도 8과 같이 학습자가 숫자의 외곽선(41)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각 획마다 점선 또는 쇄선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상아는 물론 비장상아도 문자를 쉽게 익히게 함과 아울러 양질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아들이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하여 수 계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바닥을 이루는 지면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어느 일정한 부위에 제공되어 합습자가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종 문자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이 제시되는 그림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다른 부위에 제공되어 그림부에 제시된 각 그림의 비정상아들도 쉽게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서 익히도록 이 그림의 뜻에 해당되는 각종 문자를 문장 형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학습지는 지면부의 어느 부위에 각 단어의 뜻에 해당되는 그림을 나타내는 단위 그림부와;
    상기한 지면부의 다른 부위에 구획선에 의하여 구분되고, 단위 그림부를 보고 이 단위 그림부의 뜻에 해당되는 문자를 따라서 쓸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문자 유도부를 포함하는 학습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학습지는 지면부에 일정한 구획선에 의하여 구분되고, 학습을 필요로 하는 각 문자가 쓰여지기 위한 문자 공간부와;
    상기한 지면부에 문자 공간부와 인접하여 구획선에 의하여 구분되고, 문자 공간부에 쓰여 있는 문자에 해당되는 스티커를 부착하기 위한 스티커 공간부를 포함하는 학습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 계산을 할 때 수량을 정확하면서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숫자의 일측에 이 숫자에 해당되는 수량이 표시되는 수량 표시부가 제공되는 학습지.
  8. 숫자의 합이 10을 넘는 수 계산을 할 때 어느 한 숫자의 일측에 이 숫자와 다른 숫자의 합이 10이 되는 숫자를 표시한 10의 보수 표시부와, 이 숫자와 10의보수 표시부에 표시된 숫자의 차이에 해당되는 숫자를 표시한 차이 표시부가 분리되어 제공되는 학습지.
  9. 삭제
KR1019990019011A 1999-05-26 1999-05-26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034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11A KR100346359B1 (ko) 1999-05-26 1999-05-26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11A KR100346359B1 (ko) 1999-05-26 1999-05-26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06A KR20000049306A (ko) 2000-08-05
KR100346359B1 true KR100346359B1 (ko) 2002-08-01

Family

ID=1958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011A KR100346359B1 (ko) 1999-05-26 1999-05-26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17A (ko) * 2001-02-27 2002-09-05 이명우 장애인용 학습 교재
KR102567787B1 (ko) * 2021-11-25 2023-08-16 김은주 그림책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이 가능한 글놀이 노트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06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ingham et al. The gillingham manual
US8342850B2 (en) Literacy educ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SD)
US6077080A (en) Alphabet image reading method
US4030211A (en)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6305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through interactive comprehension, recognition and generation of sounds, words and sentences
US20070031796A1 (en) Literacy system
US4345902A (en) Simplified phonics in the sequential steps to reading
Waller Graphic aspects of complex texts: Typography as macropunctuation
McCall Accessing the curriculum
JP3230975U (ja) フォニックス学習支援具
US4696492A (en) Soundwriting--A phonetic script with keyboard
US40903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dyslexic children
Westwood What teachers need to know about spelling
KR100346359B1 (ko)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US6612844B1 (en) Educational aid and method
US20150064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Alphabet Characters Of An Unfamiliar Language
Cronnell Punctuation and Capitaliz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1508337B1 (ko) 만화 및 이미지 캐릭터 보드가 구비된 영어학습용 인쇄매체
KR200194261Y1 (ko) 학습효율을 극대화한 링크기억 학습교구재
WO19970168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english
KR20020040921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Royster et al. Reading past resistance: A response to Valerie Balester
Wedge Wrighting in Englesh is harde: An error analysis of Norwegian pupils' L2 English spelling errors
JP3090563U (ja) 外国語学習用テキスト
Steinberg On Chomsky and Halle's Optimal Orth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