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921A -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 Google Patents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921A
KR20020040921A KR1020000070603A KR20000070603A KR20020040921A KR 20020040921 A KR20020040921 A KR 20020040921A KR 1020000070603 A KR1020000070603 A KR 1020000070603A KR 20000070603 A KR20000070603 A KR 20000070603A KR 20020040921 A KR20020040921 A KR 2002004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basic
pronunciation
letters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은
Original Assignee
김성은
(주)브릿지북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주)브릿지북스코리아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00007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921A/ko
Publication of KR2002004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언어 학습교재는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을 교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언어의 기본 글자 각각의 발음에 대응하는 제1언어를 설명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포함하는 그림 세트가 제2언어의 기본 글자별로 인쇄되는 인쇄 학습부; 인쇄 학습부를 통해 학습한 기본 글자의 발음을 복습하기 위한 다수의 연습문제가 인쇄된 복습부; 및 다수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제1언어의 단어를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심화 학습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따르면, 언어 학습자가 그림과 기본 글자를 연계시키는 연상작용에 의해 외국어를 학습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반복학습에 의한 단순암기보다 짧은 시간내에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LAGNUAGE TEACHING MATERIALS BY ASSOCIATION AND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언어 학습자에게 영어와 같은 외국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Phonics)을 교육하기 위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각 국가간의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외국어 습득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외국어의 조기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어린이(즉, 언어 학습자)들에게 정확하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외국어를 습득시키기 위한 학습교재 및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외국어의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외국어의 기본 글자(예를 들어 영어의 알파벳)를 먼저 습득한 후, 상기 기본 글자들로 이루어진 단어, 문장 및 문법을 학습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학습자들에게 외국어의 기본 글자를 교육하는 과정은 외국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발시킴과 동시에, 외국어의 기초를 가르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외국어의 기본 글자를 교육하기 위한 종래의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은 동일한 음으로 발음되는 다수의 단어들을 모아두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상기 단어들을 반복적으로 발음하도록 하면서, 사전(Dictionary)에 기재되어 있는 발음 기호를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은 단순한 반복학습에 의한 암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외국어의 언어 체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난점을 극복하기 곤란하므로, 학습과정이 어렵고,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가 교육내용을 쉽게 잊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인쇄 학습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복습부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심화 학습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 학습부 20 : 복습부
30 : 심화 학습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을 교육시키기 위한 언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는 제2언어의 기본 글자 각각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를 설명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포함하는 그림 세트가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별로 인쇄되는 인쇄 학습부; 상기 인쇄 학습부를 통해 학습한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을 복습하기 위한 다수의 연습문제가 인쇄된 복습부; 및 다수의 상기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단어를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심화 학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전술한 언어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을 교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언어 교육방법은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또는 모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A)단계; 다수의 연습문제를 통해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를 복습시키는 B)단계; 및 다수의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상기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단어를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설명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1a 내지 도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어 학습자는 한국어(Korean)의 자음과 모음을 숙지하고 있는 어린이이며, 상기 어린이가 학습해야할 교육내용은 영어의 알파벳(Alphabet)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는 인쇄 학습부(10), 복습부(20) 및 심화 학습부(30)를 포함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인쇄 학습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인쇄 학습부(10)는 알파벳의 갯수와 동일한 수의 그림 세트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그림 세트는 각 알파벳과 상기 각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자음 또는 모음간의 관계를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림 세트는 소정갯수의 알파벳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제1그림 세트(12)와 상기 제1그림 세트(12)에 의해 설명하기 곤란한 알파벳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다수의 제2그림 세트(14)로 구분된다. 상기 제1그림 세트(12)는 알파벳의 형태를 상기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자음 또는 모음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연속되는 그림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그림 세트(12)는 사람이 알파벳 "A"의 상단부를 분리시켜 "A"를 "ㅐ"로 변형시키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과 "ㅐ"를 "ㅏ" 및 "ㅓ"의 형태로 변형시키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구비하여, 상기 알파벳 "A"의 발음이 한국어의 모음 "ㅐ", "ㅏ", "ㅓ" 등에 대응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그림 세트(12)는 알파벳 대문자를 그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대문자에 대응하는 소문자를 설명하는데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림 세트(14)는 알파벳이 이용되는(또는 삽입되는) 소정의 상황을 나타내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그림 세트(14)는 혓바닥을 내밀어 알파벳 "Q"의 형상으로된 일가족의 입모양을 강조하고, 한국어 "큐"를 강조하므로써, 상기 알파벳 "Q"의 발음이 한국어의 자음 "ㅋ"에 대응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이용하여 알파벳과 상기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므로, 어린이는 그림을 통해 각 알파벳의 발음을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에 연관지어 기억하게 된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복습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복습부(20)는 어린이가 인쇄 학습부(10)를 통해 학습한 알파벳의 발음을 복습하기 위한 다수의 연습문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습부(20)는 연습문제의 형태에 따라 제1복습부(22) 및 제2복습부(24)로 구분된다. 상기 제1복습부(22)는 일측에 다수의 알파벳이 일렬로 인쇄되고, 타측에 상기 다수의 한국어 자음 또는 모음이 일렬로 인쇄되거나 상기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복습부(22)는 해답의 기재 형식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번째의 제1복습부(22)는 일측에 영어의 알파벳 "J", "O", "K" 및 "L"이 인쇄되며, 상기 알파벳에 인접하게 각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을 기재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두번째의 제1복습부(22)는 일측에 영어의 알파벳 "J", "K", "L", "O", "B" 및 "A"가 일렬로 인쇄되고, 타측에 한국어의 "ㄹ", "ㅈ", "ㅋ", "ㅗ, ㅓ", "ㅏ, ㅓ, ㅔ, ㅐ" 및 "ㅂ"이 일렬로 인쇄되어, 어린이가 각 알파벳과 상기 각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복습부(22)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복습하는 어린이는 알파벳과 그의 발음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자음 또는 모음을 일대일 대응시킨다. 한편, 상기 제2복습부(24)에는 다수의 알파벳으로 각각 이루어진 다수의 영어 단어가 일측에 일렬로 인쇄되고, 한국어로 읽혀질 경우, 상기 다수의 영어 단어 각각의 발음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발음되는 사물 또는 상황을 나타내는 그림이 인쇄되거나 각 영어 단어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 단어를 기재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복습부(24) 역시 해답의 기재형태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번째의 제2복습부(24)에는 영어 단어 "KO", "KAL", "JA" 및 "BABO"가 인쇄되며, 상기 영어 단어 각각의 일측에는 각 영어 단어의 알파벳별 발음을 한국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기재하는 공간과, 상기 한국어의 자음 및 모음이 결합된 하나의 한국어 단어를 기재하는 공간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번째 제2복습부(24)의 일측에는 영어 단어 "KOLLA", "JADA", "BAL" 및 "BBALLA"가 일렬로 인쇄되고, 타측에는 빨랫줄에 널려 있는 빨래가 그려진 그림, 콜라가 담겨 있는 병과 컵이 그려진 그림, 잠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그림 및 발의 그림이 일렬로 인쇄되어, 어린이가 각 알파벳과 상기 각 알파벳의 발음에 대응하는 그림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어의 알파벳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복습할 경우, 본 발명의 언어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영어를 학습하는 어린이는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되어 영어를 좋아하게 되며, 특히 한국어와 영어간의 발음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의 심화 학습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3a는 복합글자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도3b는 기본 개념이 설명된 복합글자의 활용상태를 나타낸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심화 학습부(30)는 복합글자"ng"가 각각의 음가인 "ㄴ"과 "ㄱ"으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고, "ㅇ"으로 발음되는 것을 그림을 통해 나타낸다. 그리고,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심화 학습부(30)는 복합글자 "Kong"의 일측에 "Kong"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 "콩"을 구성하는 한국어의 자음 및 모음 "ㅋㅗㅇ"이 나열되어 "ng"의 발음을 설명하며, 복합글자 "Pang"의 일측에 "Pang"의 발음에 대응하는 한국어 "팡"을 구성하는 한국어의 자음 및 모음 "ㅍㅏㅇ"이 나열되어 "ng"의 발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학습지와 같이 교육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형태의 교재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학습교재는 외국어의 기본 글자에 대한 교육내용이 AV(Audio-Visual)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 및 동영상으로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테이프, 씨디 타이틀(CD title) 등과 같은 기록매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에 따르면, 제1언어와 제2언어를 과학적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수집한 언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두 언어 체계간의 차이로 인한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 어린이 즉 언어 학습자가 그림과 기본 글자를 연계시키는 연상작용에 의해 외국어를 학습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반복학습에 의한 단순암기보다 짧은 시간내에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을 학습시키기 위한 언어 학습교재에 있어서,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 각각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를 설명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포함하는 그림 세트가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별로 인쇄되는 인쇄 학습부;
    상기 인쇄 학습부를 통해 학습한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을 복습하기 위한 다수의 연습문제가 인쇄된 복습부; 및
    다수의 상기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단어를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나타내는 심화 학습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림 세트가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 중 소정 기본 글자의 형태를 상기 소정 기본 글자의 발음에 대응되는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또는 모음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수의 연속되는 제1그림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1그림 세트; 및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 중 상기 소정 기본 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기본 글자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나머지 기본 글자가 이용된 소정의 상황을 나타내는 다수의 연속되는 제2그림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제2그림 세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부는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또는 모음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제1복습부; 및
    상기 제2언어로 이루어진 단어와, 상기 제2언어로 읽혀질 경우, 상기 제2단어로 이루어진 단어 각각의 발음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발음되는 사물 또는 상황을 나타내는 제3그림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제2복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4.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발음을 교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또는 모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A)단계;
    다수의 연습문제를 통해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를 복습시키는 B)단계; 및
    다수의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상기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단어를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설명하는 C)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교육방법.
  5. 제1언어를 숙지하고 있는 언어 학습자에게 제2언어의 기본 글자 교육내용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속되는 그림을 이용하여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또는 모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A)모듈;
    다수의 연습문제를 통해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와 상기 기본 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를 복습시키는 B)모듈; 및
    다수의 상기 제2언어의 기본 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글자의 발음을 상기 복합글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1언어의 단어를 상기 제1언어의 자음 및 모음으로 분해하여 설명하는 C)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교육방법이 음성/영상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가능하도록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00070603A 2000-11-25 2000-11-25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KR20020040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03A KR20020040921A (ko) 2000-11-25 2000-11-25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03A KR20020040921A (ko) 2000-11-25 2000-11-25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921A true KR20020040921A (ko) 2002-05-31

Family

ID=1970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03A KR20020040921A (ko) 2000-11-25 2000-11-25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9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45A (ko) * 2001-03-13 2001-06-05 조동진 시간과 공간의 순차원리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그학습지 및 기록매체
KR100741397B1 (ko) * 2000-09-18 2007-07-20 이스트 캐롤라이나 유니버스티 말을 더듬는 사람의 유창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외래발생 언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59207B1 (ko) * 2005-06-03 2013-04-29 모튼 제이. 사넷 한자 서체 및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그 밖의 다른 언어의서체를 습득하기 위한 방법
KR101434442B1 (ko) * 2012-12-03 2014-08-26 윤혜경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97B1 (ko) * 2000-09-18 2007-07-20 이스트 캐롤라이나 유니버스티 말을 더듬는 사람의 유창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외래발생 언어 신호들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44645A (ko) * 2001-03-13 2001-06-05 조동진 시간과 공간의 순차원리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그학습지 및 기록매체
KR101259207B1 (ko) * 2005-06-03 2013-04-29 모튼 제이. 사넷 한자 서체 및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그 밖의 다른 언어의서체를 습득하기 위한 방법
KR101434442B1 (ko) * 2012-12-03 2014-08-26 윤혜경 한글­알파벳 결합서체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ad Children's creative spelling
O'Donnell et al. Variety in contemporary English
Blommaert et al. On being declared illiterate: Language-ideological disqualification in Dutch classes for immigrants in Belgium
Gillingham et al. The gillingham manual
Olson Towards a psychology of literacy: On the relations between speech and writing
Mahmudah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their vocabulary mastery
Mayer et al. Deaf children learning to spell
Yannicopoulou Visual aspects of written texts: Preschoolers view comics
US8131538B2 (en) Phoneme decoding system and method
Ehri The emergence of word reading in beginning reading
KR20020040921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Athey Language development factors related to reading development
Nakajima On developing HyperCard stacks for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KanjiCard
Pennington Cross-language effects in biliteracy
Weiss The three stages of learning to read
KR20090003956A (ko) 연상작용을 이용한 언어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언어교육방법
Murray Whose “standard”? What the Ebonics debate tells us about language, power, and pedagogy
KR100453076B1 (ko)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Wilairatana et al. The effect of final consonants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ai language
WO19970168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english
Karakas Exploring Psycholinguistic Difficulties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y in Light of the English Language
Lee Emergent literacy in Chinese: Print awareness of young children in Taiwan
Chrisman Spelling Instruction in ESL: English Orthography and Resources for Spelling Instruction i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Mcevedy Some social, cultural and linguistic issues in teaching reading to children who speak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FERRIE Reading and Spe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