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065B1 - 한자학습교재 - Google Patents

한자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065B1
KR101049065B1 KR1020090077068A KR20090077068A KR101049065B1 KR 101049065 B1 KR101049065 B1 KR 101049065B1 KR 1020090077068 A KR1020090077068 A KR 1020090077068A KR 20090077068 A KR20090077068 A KR 20090077068A KR 101049065 B1 KR101049065 B1 KR 10104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eaning
kanji
chinese character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513A (ko
Inventor
백성기
Original Assignee
백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기 filed Critical 백성기
Priority to KR102009007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고,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하나의 표이며,
상기 표에는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고, 가로 소리부분[音部]과 세로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 한자학습교재이다.
한자학습,소리부분[音部],뜻부분[意部],동일발음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순 구분표기

Description

한자학습교재{Hanja Text Book}
본 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고,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하나의 표이며,
상기 표에는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고, 가로 소리부분[音部]과 세로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 한자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국어 문장은 한글 낱말과 한자 어휘로 이루어진다. 한글 낱말은 한글로 표기되며, 한자 어휘는 한자로 표기된다. 한글은 풍부한 표음성(表音性)을 가지며 한자는 다양한 표의성(表意性)을 갖는다. 한글과 한자는 서로 조화롭게 화합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이상적인 국어 문장을 이룬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자어는 국어 총 어휘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술어의 경우는 90% 이상이 한자어이다. 만일 국어생활에서 한자어를 완전히 추방할 경우, 우리는 아주 간단한 일상적인 국어생활조차 어렵게 되며, 더욱이 학문의 연구는 거의 불가능하게 되고말 것이다. 그러나 광복 이후의 국어교육은 위와 같은 국어의 특성을 무시한 채 오늘날까지 실제 한글전용교육을 해왔다. 1972년 이후 중고교에서 한자 교육을 시행하고는 있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약한 편이다.
그 결과, 제나라 국어조차도 모르는 반(半) 문맹자를 양산하였다. 한자는 세계적으로 가장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글자이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한자 교육은 그것을 무시하고 비과학적, 비논리적으로 무조건 외우는 식으로 진행하여 왔다.
옛날에는 사회구조가 단순하여 한자의 읽기, 쓰기, 시 짓기 등만을 배웠으나, 오늘날에는 배울 것도 많고 사회구조와 사회환경도 매우 복잡한 상태이어서, 예컨대 초등학생이라도 국어, 수학, 사회, 자연 등의 학교수업 외에 영어, 음악, 미술 등의 과외수업 틈에 시간을 할애하여야만 한자 공부가 가능한 실정이다.
선출원 된 한자학습교재가 몇몇 있으나 학습자에게 참된 학습효과를 거의 주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여 같은 발음을 하는 한자의 소리부분[音部]을 기초로 뜻부분[意部]과 합하여 연상하는 학습법이 가능하므로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이 신속하게 학습 가능토록 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여 학습자가 발음부분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발음의 한자 학습을 가능토록 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를 하나의 표에 나타내도록 하며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나타내도록 하여 하나의 표로 한자 학습을 가능토록 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며, 같은 발음을 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총획수순, 및 부수 순으로 배열하므로 자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 한자학습교재를 제공한다.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하나의 표이며,
표에는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서로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고,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하나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보여줌으로써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별로 학습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여 같은 발음을 하는 한자의 소리부분[音部]을 기초로 뜻부분[意部]과 합하여 연상하는 학습법이 가능하므로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이 신속하게 학습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여 학습자가 발음부분을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별로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발음의 한자 학습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를 하나의 표에 나타내도록 하며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나타내도록 하고,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하나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보여줌으로써 하나의 표로 한자 학습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며, 같은 발음을 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총획수순 및 부수순으로 배열하므로 한자학습자전(漢字學習字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한다.
가. 결합된 요소들을 통하여 자음(字音)과 자의(字意)를 쉽게 알 수 있다. 즉 소리부분[音部]에서는 자음(字音)을, 뜻부분[意部]에서는 자의(字意)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나. 예로부터 한자가 구성되어 온 과정과 원칙을 엿볼 수 있어서 모든 한자의 구조상의 원칙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된다.
다. 특히,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이 결합된 형성자(形聲字)는 한자 총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형성자의 구조상의 원리를 알면, 한자 총수의 상당 부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라. 결합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하여 형성자의 소리와 뜻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학습이 이루어진다.
마.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한 한자 학습은 한자 구조의 분석·종합의 과정을 거쳐 그 한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가져와 쉽게 잊어버리지 않는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분리하여 표기한 표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의 동일발음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의 추가 예를 보인 도면으로, 한자의 소리부분[音部](2)과 뜻부분[意部](3)을 눈이나 촉각으로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조합된 한자(4)로 표기하고,
같은 소리(예를 들어 도 1a의 경우 "가")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다.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2)과 뜻부분[意部](3)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하나의 표를 들 수 있고,
표에는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눈으로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의 예로는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글씨의 굵기 차이, 색상 차이, 자체(字體)의 차이 중의 일종으로 구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표기수단은, 소리부분[音部]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은 검정색으로 구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록한자 3500자를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의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총획수순, 부수순으로 배열하고,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2)을 빨강색으로 배열하고,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3)을 검정색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가로의 소리부분[音部]과, 세로의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소리부분[音部]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은 검정색으로 하여 완성된 하나하나의 글자를 한자(4)로 배열함으로써, 동일한 형태·동일한 음을 반복적으로 강력하게 각인(刻印)시켜 학습효과를 높인다.
삭제
이렇게 소리부분[音部]이 같이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끼리 모아놓고 학습 가능함으로써, 처음 보는 한자라도 그 한자의 음을 유추(類推)할 수 있는 힘을 키우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자전의 예를 보인 도면으로, 역시 한자의 몸에 해당하는 소리부분[音部](2)(예를 들어 "加")과 부수에 해당하는 뜻부분[意部](3)(예를 들어 "人")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조합된 한자(4)(예를 들어 "伽")로 표기하고,
같은 소리(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 의 경우 "가")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다.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2)과 뜻부분[意部](3)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한자학습자전(漢字學習字典)을 들 수 있고,
자전(字典)의 상단에는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한자를 모은 동아리자전부(1)와,
동아리자전부(1)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같은 소리부분[音部](2)과,
같은 소리부분[音部](2)에 더하여지는 뜻부분[意部](3)이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결합표기된 조합된 한자(4)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해당 소리부분[音部](2) 및 조합된 한자(4)를 포함하는 단어를 병기하여 표기 및 설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의 예로는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글씨의 굵기 차이, 색상차이, 자체(字體)의 차이 중의 일종으로 구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표기수단은, 소리부분[音部]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은 검정색으로 구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로는 동아리자전부(1)를 이루는 동아리 표제자를 소리부분[音部]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은 검정색으로 도 2a 내지 도 2c 와 같이 배열한다. 표제자 앞에 그 표제자의 교육용 기초한자, 한자능력검정시험 급수표시, 부수, 부수 획수· 그 외의 획수(그것을 더하면 총획수를 알 수 있도록)를 표시한다.
그리고 표제자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총획수순, 부수 순으로 배열하되, 소리부분[音部](2)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3)은 검정색으로 표시한다. 필요시 맹인을 위하여 점자로 구분토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뿌리[字源]를 도식으로 밝힌다. 결국, 본 발명의 자전방식으로 한자학습교재를 만들어,
Figure 112009053596540-pat00009
이로써, 한자음에 대한 유추력(類推力)을 키우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분리하여 표기한 표 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의 동일발음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의 추가 예를 보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자전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Claims (5)

  1. 삭제
  2.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하고,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매체는 하나의 표이며,
    상기 표에는 가로 칸에는 소리부분[音部]을, 세로 칸에는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고, 가로 소리부분[音部]과 세로 뜻부분[意部]이 만나는 칸에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 한자학습교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은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글씨의 색상차이나, 글씨의 굵기 차이나, 자체(字體)의 차이 중의 일종으로 구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4. 제 3항에 있어서, 소리부분[音部]은 빨강색으로, 뜻부분[意部]은 검정색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학습교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의 소리부분[音部]과 뜻부분[意部]을 구분 가능한 표기수단으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같은 소리로 발음되는 동아리한자[동음한자(同音漢字)]를 가나다순, 동아리글자[동형동음문자(同型同音文字)]별 구분에 이어, 총획수순, 부수순으로 더 세분하여 자전(字典) 형태로 학습가능하게 배열한 한자학습교재.
KR1020090077068A 2009-08-20 2009-08-20 한자학습교재 KR10104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68A KR101049065B1 (ko) 2009-08-20 2009-08-20 한자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68A KR101049065B1 (ko) 2009-08-20 2009-08-20 한자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513A KR20110019513A (ko) 2011-02-28
KR101049065B1 true KR101049065B1 (ko) 2011-07-15

Family

ID=4377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068A KR101049065B1 (ko) 2009-08-20 2009-08-20 한자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745B1 (ko) * 2011-11-14 2013-03-06 조명숙 좌표로 배우는 한자학습교재 및 한자학습을 위한 기록매체
KR101955017B1 (ko) * 2017-04-26 2019-03-07 이원태 한자학습교재의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55Y1 (ko) 2002-05-24 2002-10-11 원종호 한자의 형성(形聲) 구조를 이용한 한자학습책자
KR20060117293A (ko) * 2006-07-27 2006-11-16 조소제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080065847A (ko) * 2007-01-10 2008-07-15 권성우 형태의미소 단위로 구별되는 한자 단어 표시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한자 단어 학습표
KR20090098032A (ko) * 2008-03-13 2009-09-17 조소제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55Y1 (ko) 2002-05-24 2002-10-11 원종호 한자의 형성(形聲) 구조를 이용한 한자학습책자
KR20060117293A (ko) * 2006-07-27 2006-11-16 조소제 한자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KR20080065847A (ko) * 2007-01-10 2008-07-15 권성우 형태의미소 단위로 구별되는 한자 단어 표시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한자 단어 학습표
KR20090098032A (ko) * 2008-03-13 2009-09-17 조소제 학습지 편집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학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513A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hoeven et al. Learning to read across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Orton The Orton-Gillingham approach
US4443199A (en) Method of teaching the pronounciation and spelling and distinguishing between the written and spoken form of any language
Eyre et al. Interactions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in ancient Egypt
Ahmad Introduction to Qur'anic script
Saarela The Early Modern Travels of Manchu: A Script and Its Study in East Asia and Europe
KR101049065B1 (ko) 한자학습교재
KR20060111602A (ko)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Friesen Old Literacies and the “New” Literacy Studies: Revisiting Reading and Writing
KR20200001936U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F Alshahad Design simple instructional package of Arabic Language learning for non-Arabic speakers
Seward et al. Linking design principles with educational research theories to teach sound to symbol reading correspondence with multisensory type.
Bunce 12 The English Alphabet: Alpha-Best or Alpha-Beast?
EP0040221A1 (en) Teaching aid: phoneti-peuter mobile
Bunce Biscriptal English learners: A blind spot in global English language teaching
Goodman The process of reading in non-alphabetic languages: An introduction
WeI Issues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strategies for foreign learners outsid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circle
Downing Is literacy acquisition easier in some languages than in others?
JP2014081597A (ja) 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表、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方法、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用教材及び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方法
Sheridan Primary Chinese language instruct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KR200323457Y1 (ko) 견출(見出)한자 학습서
Hu Teaching Chinese characters: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rtega et al. University Students' Use of Electronic Dictionaries in Hidalgo, Mexico
Hsu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arning strategies of Western students and Eastern Asian students in Taiwan
Prabhu Unscripted: An Inquiry into Symbol-Sound Association in Typographic Design for Non-Native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