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602A -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602A
KR20060111602A KR1020067012446A KR20067012446A KR20060111602A KR 20060111602 A KR20060111602 A KR 20060111602A KR 1020067012446 A KR1020067012446 A KR 1020067012446A KR 20067012446 A KR20067012446 A KR 20067012446A KR 20060111602 A KR20060111602 A KR 2006011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sound
pronunciation
symbols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오쥐 수
Original Assignee
쿠오쥐 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오쥐 수 filed Critical 쿠오쥐 수
Publication of KR2006011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6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발음표는 풀 사운드 심볼 및 하프 사운드 심볼로 나누어지는 모음 발음 심볼, 및 자음 발음 심볼을 포함한다. 풀 사운드 심볼은 영문 발음 심볼 문자에 의해 표시된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단순한 심볼에 의해 표시된다. 발음표가 영어 교재로 사용되는 것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발음표는 통상적인 사전의 발음 표시에 적합하고 책내에서 실제 단어에 발음을 직접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LANGUAGE PHONE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습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습자에게 정확한 영어 발음을 안내하기 위한 발음 심볼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영어가 지구상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길 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사람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습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들 중 하나는 영어 발음 심볼을 통해 영어를 학습하는 것이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영어 발음표는 케년-노트 발음표(Kenyon-Knott Phonetics), 존스 발음표(Jones Phonetics) 및 웹스터 발음표(Webster Phonetics)이다. 수십년간 이러한 3가지 타입의 발음표가 사용되어 왔지만, 그들 각각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케년-노트 발음표 및 존스 발음표 모두는 발음 심볼로서 국제 음표 문자(IPA)를 채용하고 있다. 비록, IPA가 다른 언어들에 대한 발음 심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IPA가 익숙하지 않고 실수하기 쉬운 수많은 심볼들을 가지고 있고 또 영어 알파벳과 유사하면서도 다르게 발음되는 많은 심볼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어만을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에게는 과다한 부담으로 작용 하고 있다.
웹스터 발음표의 경우에, 웹스터 발음 심볼의 최초 디자인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웹스터 발음 심볼은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최근, 사전에 표시된 웹스터 발음 심볼은 단순화된 형태이며, 결과적으로 최초 디자인과는 상이하다.
또한, 교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3개의 발음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1. 발음 심볼의 명칭이 완전한 것이 아니며, 그에 따라 교육 및 학습에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한다.
2. 발음표의 시스템적인 분석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학습자가 학습하는 발음표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3. 발음 심볼의 이용이 사전에서 영어 단어의 발음을 표기하는데 적합하지만, 책에서 실제 단어에 대한 발음을 직접 표기하는데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이는 발음표 기능의 상한선(upper limit)이다.
상술한 현재의 발음표는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가 새로운 영어 발음표를 발명하였으며, 상기 발음표는 전술한 발음표들의 단점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어 모음의 풀 사운드(full sound) 및 하프 사운드(half sound)라는 새로운 분류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영어 모음의 특징들을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게 하여 적절한 영어 발음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영어 발음을 보다 양호하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영어 학습자들을 위한 발음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특징들을 가진다.
1. 종래의 장음과 단음을 교체하기 위해 모음들은 풀 사운드와 하프 사운드로 분류된다. 풀 사운드의 발음 심볼들은 영어 알파벳 문자로 표시되며, 하프 사운드는 단순한 심볼들로 표시된다. 전술한 디자인은 풀 사운드와 하프 사운드 간의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장음과 단음의 유일한 차이점이 발음의 길이에 있는 장음과 단음의 분류에 의해 영어 학습자가 잘못된 인상을 가지지 않게 하였다.
2. 발음 심볼은 사전에서 영어 단어 발음을 표기하는 종래의 방법에 적합하다. 또한, 실제 단어에 대한 발음을 직접 표기하는데에도 적합하여, 발음표가 영어 교재내의 단어 학습을 촉진할 수 있고 단어로부터 추측되는 발음에 의해 영어 발음시에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발음표의 시스템적인 분석 및 발음 심볼의 완전한 명칭부여(naming)을 달성하였으며, 그에 따라 학습 효과를 높였다.
따라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자음 발음 심볼 및 모음 발음 심볼을 가지는 타입의 영어 발음 심볼을 제공하며, 상기 영어 발음 심볼은: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
학습 및 기억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는 모음 발음 심볼 리스트; 및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은 다수의 풀 사운드 심볼 및 다수의 하프 사운드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풀 사운드 심볼은 완전한 각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음을 나타내고 그리고 음절의 모음 사운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규정되며, 상기 다수의 하프 사운드 심볼은 다수의 하프 모음 사운드를 각각 나타내고 그리고 음절의 모음 사운드를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하도록 규정되며, 상기 하프 사운드 심볼은 상기 자음 발음 심볼과 조합될 때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모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상기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의 시스템적인 정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하프 사운드 심볼과 조합된 자음 발음 심볼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닛을 정렬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암송(recite)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의 그리고 기타의 본원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그림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보다 분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음 발음 심볼은 풀 사운드 심볼과 하프 사운드 심볼로 나누어진다. 풀 사운드 심볼은 영어 알파벳 문자에 의해 표시되며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 풀 사운드 심볼은 총 8개의 심볼, 즉 "a", "e", "i", "o", "u", "oi", "oo" 및 "ou"를 가지며, 이때 "a", "e", "i", "o" 및 "u" 의 발음은 영어 알파벳의 발음과 동일하다. "oi"는 "oil" 이라는 단어의 "oi"를 나타내며; "oo"는 "too"라는 단어내의 "oo"를 나타내며; "ou" 는 "out"이라는 단어내의 "ou"를 나타낸다. 상기 모음들이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8개의 심볼은 풀 사운드 심 볼이라 한다.
풀 사운드 심볼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은 장모음 사운드의 통상적인 발음 심볼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동일하다. 풀 사운드 심볼만으로도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표시할 수 있다. 풀 사운드 심볼들은 또한 다양한 완전 음절의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다른 자음과 조합될 수도 있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단순한 심볼에 의해 표시되며, 불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낸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총 8개의 심볼 즉,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1
, 및 "--" 를 가진다. 하프 사운드 심볼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은 단모음 사운드의 통상적인 발음 심볼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하프 사운드 심볼의 다른 용도를 갖는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불완전한 음절의 자음 사운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규정되며, 결과적으로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단독으로 표시할 수 없으며, 또한 그 하프 사운드 심볼의 앞에 위치하는 자음 심볼과 함께 사용되는 것 만으로는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표시할 수 없다. 종래의 발음 심볼의 단모음 사운드를 이용하여서는 동일한 규칙을 규정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종래 발음 심볼의 단모음 사운드는 종종 단독으로 사용되어 강세가 없는 음절의 모음 사운드를 나타낸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후속하는 자음 심볼과 조합되어 사용된다. 조합은 완전한 음절을 나타내기 위한 풀 사운드 심볼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며, 또는 다른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자음 심볼과 추가적으로 조합될 수 도 있으며, 예를 들면, 하프 사운드 심볼 "^"이 후속 자음 심볼 "t"와 조합되어 "at"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2
의 사운드를 나타내고, 또는 앞의 자음 심볼 "s"와 조합되어 "sat"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3
의 사운드를 나타낸다.
풀 사운드 심볼은 영어 알파벳 문자에 의해 표시되며, 총 8개의 심볼 즉, "a", "e", "i", "o", "u", "oi", "oo" 및 "ou"를 가진다. 하프 사운드 심볼은 단순한 심볼에 의해 표시되며, 총 8개의 심볼, 즉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4
, 및 "--"를 가진다.
이하는 발음 심볼의 리스트, 적용예, 및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5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6
용이한 학습을 위해, 상기 발음 심볼 및 명칭들은 비교적 시스템적으로 디자 인된 것이며, 기본적인 "a", "e", "i", "o" 및 "u" 풀 사운드 심볼 및 대응하는 하프 사운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7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8
을 포함한다. 또한 "o 하프 사운드 플러스(half sound plus)", "o 하프 사운드", "o 하프 사운드 마이너스(half sound minus)" 사운드는 사운드 시리즈이며, 플러스 및 마이너스 라는 명칭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심볼화한 것이다. 또한, 발음 심볼 "∥"("o 하프 사운드 플러스"), ".."("o 하프 사운드"), 및 "--"("o 하프 사운드 마이너스")의 외형은 상술한 3개의 발음 심볼의 시리즈로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상기 6개의 발음 심볼과 별개로, 이러한 발음표들은 "swing"이라는 명칭의 풀 사운드 지시(instruction) 심볼을 또한 가진다. 이러한 "swing" 심볼은 미리 정해진 발음을 가지지 않는다. 이 심볼은 단어내의 문자의 조합 또는 발음 심볼의 발음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1. 풀 사운드 심볼의 발음 특성을 특정하기 위해 풀 사운드 심볼상에 표기될 수 있을 것이다. "swing" 심볼, 즉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09
"의 외형은 발음시에 스윙(swing)의 완전한 "swing" 운동을 심볼화한 것이며, 이는 왜 발음표상에 이러한 심볼 "swing"을 풀 사운드 지시 심볼로서 나열하였는지에 대한 이유가 된다. 예를 들어, "meet"는 [met] 또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0
로 표기될 수 있으나,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1
는 단어의 "ee"의 발음이 "swing" 운동으로서 완전히 연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지시하게 된다. "swing" 심볼 즉,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2
"는 영어 기초 학습자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풀 사운드 심볼이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3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초보자용 교재에서 풀 사운드 심볼 즉, "a","e","i","o","u","oi","oo" 및 "ou"에 "swing" 심볼 즉,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4
"를 부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2. 하프 사운드 심볼의 사운드 연장을 위해, 하프 사운드 심볼을 제한할 수도 있다. 제한되는 하프 사운드 심볼은 풀 사운드 심볼의 특징을 가질 것이며, 그러한 풀 사운드 심볼은 완전한 음절의 발음을 나타내는 사운드를 연장시킨다. 실제 적용시에, 이하의 완전 음절 발음은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5
를 포함하는 풀 사운드 지시 심볼에 의해 제한되는 하프 사운드 심볼에 의해 표시된다. 실제 예를 들면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6
가 있다.
3. 문자들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풀 사운드를 나타내도록, 단어내의 문자들의 조합을 제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7
와 같이 실제 단어 자체에 사운드를 표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풀 사운드 지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8
"에 의해 표시되는 모든 "ea", "ee", "ey" 및 "ei" 가 동일한 "e 풀사운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영어 단어의 강세가 없는 음절에 대한 지시를 설명한다. 영어 단어내의 강세가 없는 음절의 자음 사운드는 상당히 가벼우며(lighter), 그에 따라 자연적으로 짧은 소리를 낸다. 결과적으로, 발음표는 강세가 없는 음절의 자음 사운드를 나타내기 위해 풀 사운드 심볼을 이용한다. 강세가 없는 음절의 발음 요건을 충족시키면 정확한 발음을 달성할 수 있는데, 그 예를 들면 "o"는 "auto"
Figure 112006044087520-PCT00019
소리를 내고, "y"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0
소리를 내며, "e"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1
소리를 낸다. 강세가 없는 음절의 사운드는 모두 풀 사운드 심볼에 의해 표시된다.
이하의 그림은 영어 학습 초심자에게 적합한 모음 사운드 발음 심볼의 시스템적인 리스트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풀 사운드 심볼은 풀 사운드 지시 심볼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2
"과 통합된다. 이러한 모음 사운드 발음 심볼 그림의 배경은 두개의 동심적인 원이다. 외측 원의 외측 둘레에는 5개의 풀 사운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3
, 및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4
, 그리고 5개의 하프 사운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5
"..", 및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6
가 있다. 두개의 동심적인 원들 사이에는 3개의 풀 사운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7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8
및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29
가 있다. 내측 원 내부에는 3개의 하프 사운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0
및 "--" 가 있다. 모두 16개의 발음 심볼이 있으며, 이는 이해 및 기억이 보다 용이할 것이다. 그림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1
영어 단어내의 자음 문자의 발음은 대부분 그 문자 자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발음표는 주요 자음 발음 심볼로서 자음 문자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음표는 자음 심볼을 중간 하프 사운드와 조합함으로써 자음 심볼의 기억 테이블(memorizing table)을 형성하는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기억 테이블의 기능은 학습자가 숙지하거나 기억한 후에 영어 자음의 발음 방법에 보다 익숙해질 수 있게 하여, 영어를 보다 적절하게 발음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음표의 자음 발음 심볼은 이하에 나열되어 있다. 심볼의 명칭 및 적용예는 괄호안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2
이하에는, 이러한 발음표의 자음 발음 심볼의 리스트 기억 테이블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3
이러한 발음표의 모음 발음 심볼의 풀 사운드 심볼은 영어 알파벳의 문자에 의해 표시되며, 하프 사운드 심볼은 단순한 심볼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디자인의 특징은, 이러한 발음표의 심볼들을 실제 단어 자체에 직접 표기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에 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1. 단어내의 문자가 발음표내의 동일한 문자와 동일하게 발음되는 경우에는 발음 심볼을 마킹(marking)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어 "go" 내의 "g" 및 "o"에 대해서는 마킹이 없을 것이다.
2. 단어내의 문자에 발음 심볼을 마킹할 때, 마킹된 문자는 발음 심볼에 의 해 표시된 바에 따라 발음될 것이다. 예를 들어,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4
내의 "e" 사운드는 "e 하프 사운드"이다.
3. 음절내의 제 1 문자 아래의 선의 길이는 강세 음절의 강세 레벨을 나타낸다.
4. 단어내의 모음 문자 조합이 풀 사운드 지시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5
"에 의해 마킹되었을 때, 모음 문자들은 미리 정해진 발음으로 제한되며, 이하의 심볼들과 같이, 미리 정해진 풀 사운드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6
5. 영어 단어내의 문자의 발음은 특정 규칙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모든 문자들이 발음 심볼의 마킹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가장 일반적인 예를 들면, "coke"내의 "e"는 묵음이다. "location"과 같은 단어내의 "tion" 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발음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교재에 적용될 때, 심볼의 마킹은 학습자의 수준에 다라 단순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영어 단어 교재에서 실제 단어상에 직접 마킹하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
6. 실제 단어상에 직접 마킹하는 것의 예: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7
이러한 발음표는 학습자가 영어 발음표를 익힐 수 있도록 인쇄물, 영상 매체 또는 기타 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상기 그림 및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이 완전하고도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조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원리내에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내의 모든 개량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Claims (9)

  1.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
    다수의 자음 발음 심볼;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 및
    학습 및 기억이 용이한 모음 발음 심볼 리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은 다수의 풀 사운드 심볼 및 다수의 하프 사운드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풀 사운드 심볼의 각각은 전체 모음 사운드를 각각 나타내고 완전한 음절 발음을 각각 나타낼 수 있도록 미리 규정되며, 상기 다수의 하프 사운드 심볼의 각각은 하프 모음 사운드를 각각 나타내고 그리고 완전한 음절 발음을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하도록 규정되며,
    상기 다수의 자음 발음 심볼의 각각은 자음 사운드를 각각 나타내며, 상기 하프 사운드 심볼은 상기 자음 발음 심볼과 조합되어 완전한 음절 발음을 나타내며,
    상기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시스템적으로 정렬된 다수의 조합된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조합된 유닛의 각각은 자음 발음 심볼과 하프 사운드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암송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모음 발음 심볼은 시스템적으로 정렬되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풀 사운드 심볼의 각각은 영어 알파벳내의 하나 이상의 문자에 의해 각각 표시되고, 상기 다수의 하프 사운드 심볼의 각각은 단순한 심볼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음 심볼의 각각은 모음 발음 심볼 명칭 및 미리 정해진 사운드를 각각 가지며,
    상기 다수의 모음 발음 심볼은:
    영어 알파벳내의 "a"와 같은 "a"의 제 1 사운드를 나타내며, "a 풀 사운드"의 제 1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8
    또는 "a" 심볼;
    영어 알파벳내의 "e"와 같은 "e"의 제 2 사운드를 나타내며, "e 풀 사운드"의 제 2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39
    또는 "e" 심볼;
    영어 알파벳내의 "i"와 같은 "i"의 제 3 사운드를 나타내며, "i 풀 사운드"의 제 3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0
    또는 "i" 심볼;
    영어 알파벳내의 "o"와 같은 "o"의 제 4 사운드를 나타내며, "o 풀 사운드"의 제 4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1
    또는 "o" 심볼;
    영어 알파벳내의 "u"와 같은 "u"의 제 5 사운드를 나타내며, "u 풀 사운드"의 제 5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2
    또는 "u" 심볼;
    영어 단어 "oil"의 "oi"와 같은 제 6 사운드를 나타내며, "oi 풀 사운드"의 제 6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3
    또는 "oi" 심볼;
    영어 단어 "too"의 "oo"와 같은 제 7 사운드를 나타내며, "oo 풀 사운드"의 제 7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4
    또는 "oo" 심볼;
    영어 단어 "out"의 "ou"와 같은 제 8 사운드를 나타내며, "ou 풀 사운드"의 제 8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5
    또는 "ou" 심볼;
    영어 단어 "map"의 "a"와 같은 제 9 사운드를 나타내며, "a 하프 사운드"의 제 9 심볼 명칭을 가지는 "^" 심볼;
    영어 단어 "set"의 "e"와 같은 제 10 사운드를 나타내며, "e 하프 사운드"의 제 10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6
    심볼;
    영어 단어 "sit"의 "i"와 같은 제 11 사운드를 나타내며, "i 하프 사운드"의 제 11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7
    심볼;
    영어 단어 "not"의 "o"와 같은 제 12 사운드를 나타내며, "o 하프 사운드"의 제 12 심볼 명칭을 가지는 ".." 심볼;
    영어 단어 "push"의 "u"와 같은 제 13 사운드를 나타내며, "u 하프 사운드"의 제 13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8
    심볼;
    영어 단어 "cost"의 "o"와 같은 제 14 사운드를 나타내며, "o 하프 사운드 플러스"의 제 14 심볼 명칭을 가지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49
    심볼;
    영어 단어 "actor"의 "o"와 같은 제 15 사운드를 나타내며, "중립 하프 사운 드"의 제 15 심볼 명칭을 가지는 "." 심볼; 및
    영어 단어 "bus"의 "u"와 같은 제 16 사운드를 나타내며, "o 하프 사운드 마이너스"의 제 16 심볼 명칭을 가지는 "--" 심볼;을 포함하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a 풀 사운드" 심볼, "e 풀 사운드" 심볼, "i 풀 사운드" 심볼, "o 풀 사운드" 심볼, "u 풀 사운드"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그룹, "a 하프 사운드" 심볼, "e 하프 사운드" 심볼, "i 하프 사운드" 심볼, "o 하프 사운드" 심볼, "u 하프 사운드" 심볼로 이루어진 제 2 그룹, "oi 풀 사운드" 심볼, "oo 풀 사운드" 심볼, "ou 풀 사운드"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그룹, 및 "o 하프 사운드 플러스" 심볼, "중립 하프 사운드" 심볼, 및 "o 하프 사운드 마이너스" 심볼로 이루어진 제 4 그룹을 포함하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발음 심볼 리스트는 두개의 동심적인 원으로 이루어진 배경을 포함하며, 상기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0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1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2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3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4
    심볼, "^"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5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6
    심볼, ".." 심볼,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7
    심볼은 상기 동심적인 원 중 외측 원의 외측 둘레에 정렬되고, 상기 "oi" 심볼, "oo" 심볼, 및 "ou" 심볼은 상기 두개의 동심적인 원들 사이에 정렬되며, 상기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8
    심볼, "." 심볼, 및 "--" 심볼은 상기 동심적인 원들 중 내측 원의 내부에 정렬되어, 다 음과 같이 도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59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발음 심볼 리스트의 다수의 조합된 유닛은 상기 중립 하프 사운드 심볼과 각각 조합된 자음 발음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조합된 유닛은 이하의 리스트와 같이 시스템적으로 정렬되는,
    Figure 112006044087520-PCT00060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스윙 심볼"이라는 제 17 명칭을 가지며 발음이 미리 정해지지 않은 "
    Figure 112006044087520-PCT00061
    " 심볼을 포함하며, 상기 "스윙 심볼"은 상기 풀 사운드를 위한 지시 심볼을 나타내고, 상기 "스윙 심볼"은 상기 발음 심볼상에 마킹되어 또는 영어 단어내의 문자 조합상에 마킹되어 미리 정해진 풀 사운드를 나타내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발음 심볼들 중 하나는 실제 단어의 문자상에 직접 마킹되며, 상기 문자는 상기 문자 발음 심볼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사운드와 동일한 발음을 가지는,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 사운드 심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상기 영어 알파벳내의 문자들은 동일한 사운드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폰트에 적합한, 영어 발음 심볼 시스템.
KR1020067012446A 2003-11-24 2004-10-23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KR20060111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1,768 US7004758B2 (en) 2003-11-24 2003-11-24 Language phone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721,768 2003-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602A true KR20060111602A (ko) 2006-10-27

Family

ID=3459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446A KR20060111602A (ko) 2003-11-24 2004-10-23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04758B2 (ko)
EP (1) EP1695322A4 (ko)
JP (1) JP2007512576A (ko)
KR (1) KR20060111602A (ko)
CN (1) CN1902671A (ko)
WO (1) WO2005057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2971B2 (en) * 2003-10-27 2007-11-06 Kuojui Su Language phone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SG131791A1 (en) * 2005-10-14 2007-05-28 Subramaniam Athirubarani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spelling and pronunciation of a language
US20080167873A1 (en) * 2007-01-08 2008-07-10 Wei-Chou Su Orientation pronunciation
US20080206724A1 (en) * 2007-02-28 2008-08-28 Volden Jane S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US20090047640A1 (en) * 2007-08-16 2009-02-19 Mesrop Khachatrian Teaching the letter shapes, their basic sounds and basic reading and writing
US20100068682A1 (en) * 2008-09-15 2010-03-18 Kuojui Su Phonetic words system and method
TW201104643A (en) * 2009-07-16 2011-02-01 Wei-Zhou Su Language teaching system
US20110028621A1 (en) * 2009-07-30 2011-0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aging resistant polyamide compositions including polyhydroxy polymers
US20130054227A1 (en) * 2011-08-28 2013-02-28 George Mizhen Wang Phonetic Symbol System
US8629341B2 (en) * 2011-10-25 2014-01-14 Amy T Murphy Method of improving vocal performance with embouchure functions
TWI621105B (zh) * 2017-03-03 2018-04-11 黃心慧 英文發音提示系統及其方法
CN113947958A (zh) * 2021-08-30 2022-01-18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然拼读的背单词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38821A (en) * 1965-04-14 1969-01-01 Sir Isaac James Pitman Knight Means for demonstrating the pronunciation of language
US3407516A (en) * 1966-05-25 1968-10-29 Joseph T. Blaske Jr. Test analyser
US3426451A (en) * 1966-08-09 1969-02-11 Banesh Hoffmann Phonic alphabet
US4007548A (en) * 1975-01-31 1977-02-15 Kathryn Frances Cytanovich Method of teaching reading
US4030211A (en) * 1976-02-10 1977-06-21 Mcginley Edward J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4193212A (en) * 1978-05-17 1980-03-18 Al Kufaishi Hassan A Unified English pronouncing alphabet
US4655713A (en) * 1984-03-05 1987-04-07 Weiss Martin M Device for reading and writing and the teaching of literacy
US4656713A (en) * 1985-10-24 1987-04-14 Ap Industries, Inc. Method for forming an air gap pipe
US6126447A (en) * 1997-12-08 2000-10-03 Engelbrite; L. Eve Color-assonant phonetics system
US6077080A (en) * 1998-10-06 2000-06-20 Rai; Shogen Alphabet image reading method
US6468083B1 (en) * 2000-09-29 2002-10-22 Joseph Mathias Global communication means
US6824388B2 (en) * 2002-11-05 2004-11-30 Sheila Goodfriend Strong and weak vowel method of teaching re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7522A1 (en) 2005-06-23
US7004758B2 (en) 2006-02-28
EP1695322A1 (en) 2006-08-30
US20050234721A1 (en) 2005-10-20
EP1695322A4 (en) 2009-09-16
US20050112532A1 (en) 2005-05-26
CN1902671A (zh) 2007-01-24
JP2007512576A (ja)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mer English intonation with systematic exercises
US4030211A (en)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JP2000112326A (ja) アルファベットのイメージ音読方法
US20050234721A1 (en) Language phone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70024498A (ko) 언어 교습방법
Eyre et al. Interactions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in ancient Egypt
US8131538B2 (en) Phoneme decod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68682A1 (en) Phonetic words system and method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Souzandehfar How to improve pronunciation? An in-depth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sound-spelling systems in English and Persian
Hvenekilde Literacy training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Norway
Desberg et al. Word Attack Skills: Review of Literature.
Yang Some explicit linguistic knowledge for Chinese pronunciation teaching
Awramiuk et al. Unseized opportunity. Respelling of English words in L1 Polish textbooks
Benson The secret life of grammar translation–Part 2
Tuladhar Using smartphones to detect and self-correct pronunciation in ESL classrooms of Japan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Schütz Reading between the lines: a closer look at the first Hawaiian primer (1822)
Bekzod O’ktam o’g ANALYSIS OF ENGLISH PHONETICS
Dickerson English orthography as a resource for learners of English
Hayes et al. English spelling: Making sense of a seemingly chaotic writing system
Crystal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Shodiya THE MODIFIER LETTER APOSTROPHE (ʼ) AND ITS USE IN ELEMENTARY GRADES
Zhang et al. Tonal errors of Japanese students learning Chinese: A study of disyllabic words
Fiktorius Phonetics transcrip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