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545B1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Google Patents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7545B1 KR101777545B1 KR1020170049688A KR20170049688A KR101777545B1 KR 101777545 B1 KR101777545 B1 KR 101777545B1 KR 1020170049688 A KR1020170049688 A KR 1020170049688A KR 20170049688 A KR20170049688 A KR 20170049688A KR 101777545 B1 KR101777545 B1 KR 101777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ymmetrical
- character input
- character
- water
- chine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로서, 한자의 기본 단위를 붓글씨의 기본 구성요소 26개로 정의하고, 이 26개로 이루어진 기본필획을 제1내지 제6대칭필획, 수평필획 및 수직필획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필획들을 키보드 장치에 배치하며, 기본 단위의 입력순서(필획순)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하여 한자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한자 입력 및 검색 방식의 근복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 한자의 입력 및 검색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자의 기본 단위를 붓글씨의 기본 구성요소 26개로 정의하고, 이 26개의 기본 단위의 입력순서(필획순)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하여 한자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한자 입력 및 검색 방식의 근복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 한자의 입력 및 검색 속도를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중국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어 문자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번자체와 이러한 번자체를 현대적으로 간략하게 변형하여 쓰기 쉽도록 만든 간자체로 구분될 수 있다. 번자체는 현재 대만에서 사용되고 있고, 간자체는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번자체 및 간자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중국어 문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문물은 다양한 콘텐츠의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한자라는 문자체계가 가져다 주는 불편함으로 말미암아 정보화 시대의 주역으로 자리잡기에는 한계가 있다.
중국어 한자의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 상형문자의 형태로부터 시작하여 형성된 특성으로 말미암아 수만 자에 이르는 한자의 기본 구성요소를 30개 이내로 정의해 내기가 쉽지 않고, 표음문자로 출발한 여타 언어권에 비해 상형문자에서 비롯된 중국어의 기본 요소를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병음부호법처럼 한자 각 글자의 음가에서 출발해서 해법을 찾아 보려고 할 때 중국어의 기본 음절 수 약 500개에 비해 한자의 글자수는 5-10만개 정도로 지나치게 많아서 음절 대비 글자 대칭은 거의 불가능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같은 음절에 해당하는 수백개의 글자 가운데서 특정 글자를 선택하는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821호에는, 중국어 문자를 분해하여 얻어진 1획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단위획 및 2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부호 중 에서 상기 단위획이나 상기 부호의 조합 또는 상기 부호의 조합에 의해 정보통신기기에서 중국어 문자를 생성하되, 상기 단위획과 상기 부호는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는 현시 문자구성요소와 키보드의 자판에 직접 표시되지 않는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로 구분되고, 상기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는 부호키가 입력되었을 때 비로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비현시 문자구성요소를 이루는 상기 단위획이나 상기 부호는 다수의 획세트에 획수에 따라 분산 배치되는 중국어 문자 생성 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한자 기반의 중국어 자료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상 입력 기호와 문자체계, 즉 입력 부호와 글자의 일대일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으로 인해 여타 국가 및 언어권에 보편적인 보급의 수단으로 제시되기에는 상당한 장애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한자의 기본 단위를 붓글씨의 기본 구성요소 26개로 정의하고, 이 26개의 기본 단위의 입력순서(필획순)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하여 한자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한자 입력 및 검색 방식의 근복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 한자의 입력 및 검색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국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형문자, 표의문자의 특성 및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어 중국어 정보화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방대한 중국의 문화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에 있어서, 키보드 장치의 문자 입력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좌점(左點), 우점(右點)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칭필획과, 좌강(左降), 우강(右降)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칭필획과, 절선(折線), 호구(弧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대칭필획과, 사수(斜竪) 및 사구(斜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4대칭필획과, 별() 및 제(提)로 이루어지는 제5대칭필획과, 별절(), 점제(點提)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6대칭필획으로 구성된 대칭필획; 횡(橫), 횡구(橫鉤), 횡강(橫降), 횡절(橫折), 횡절구(橫折鉤), 을(乙) 및 착()으로 구성되고, 상기 횡(橫), 횡구(橫鉤), 횡강(橫降)은 키보드 장치의 문자 입력부 중 제2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배치되고, 상기 횡절(橫折), 횡절구(橫折鉤) 및 을(乙)은 상기 문자 입력부의 제1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배치되고, 상기 착은 상기 문자 입력부의 제3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필획; 및 수(竪), 수구(竪鉤), 수제(竪提), 구수제(鉤竪提), 수절(竪折), 수절구(竪折鉤), 호절(弧折)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문자 입력부의 오른쪽에만 배치가 이루어지는 수직필획;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필획은 상기 제1대칭필획, 제3대칭필획, 제5 및 제6대칭필획은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대칭필획 및 제4대칭필획은 연속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3대칭필획의 양측에 각각 1개씩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2문자 입력부의 중앙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3문자 입력부에 모두 배치되며, 상기 제6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1문자 입력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자 입력 키보드는 사용자가 적어도 1개 이상의 기본필획을 입력하면, 입력된 기본필획과 관련된 참고한자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참고한자가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한자인 경우에는 발음부호에 따라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칭필획, 수평필획 및 수직필획에 각각 포함된 기본필획들에는 개별적으로 1 내지 26까지의 고유순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자의 기본 단위를 붓글씨의 기본 구성요소 26개로 정의하고, 이 26개의 기본 단위의 입력순서(필획순)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하여 한자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한자 입력 및 검색 방식의 근복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어 한자의 입력 및 검색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국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자를 기반으로 하는 방대한 중국의 문화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형문자, 표의문자의 특성 및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어 중국어 정보화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키보드의 기본 필획의 입력시 나타나는 참고 문자 및 획순의 위치를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키보드의 기본 필획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자 입력 키보드의 기본 필획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 장치에 구성된 문자 입력부(110, 120, 130) 상에 배치된 26개의 키 입력부에 대응하는 기본 필획을 구성하고, 상기 기본 필획을 26개의 키 입력부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배치하여 기본 필획만으로도 한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자의 입력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현대 중국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간체자를 채택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체자의 확대와 함께 효과적인 입력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6개의 한자의 기본 필획에 대하여 그 형상에 따라 대칭필획, 수평필획 및 수직필획으로 분류한다.
대칭필획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2개로 구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필획들이 총 6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모양으로 이루어진 2개의 기본필획이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대칭필획은 좌점(左點), 우점(右點)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칭필획으로 구성되고, 좌강(左降), 우강(右降)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칭필획과, 절선(折線), 호구(弧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대칭필획과, 사수(斜竪) 및 사구(斜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4대칭필획과, 별() 및 제(提)로 이루어지는 제5대칭필획과, 별절(), 점제(點提)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6대칭필획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대칭필획은 키보드 장치에 구성된 문자 입력부의 중앙부에 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특히 제1대칭필획, 제3대칭필획, 제5 및 제6대칭필획은 각각의 필획들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대칭필획 및 제4대칭필획은 연속 배치되는 제1 및 제3대칭필획의 양측에 각각 1개씩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 제1대칭필획은 키보드 장치의 문자 입력부 중, 제2문자 입력부(120)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제2문자 입력부(120)의 중앙부에 위치한 G키와, H키에 각각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좌점(左點)은 알파벳 G키에 배칙되고, 우점(右點)은 알파벳 H키에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2대칭필획은 상기 제1대칭필획의 양측부에 각각 1개씩 배치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대칭필획 중, 좌강(左降)은 좌점측의 일측부에 구성된 F키에 배치되고,우강(右降)은 우점측의 일측부에 구성된 J키에 배치가 이루어진다.
즉, 제1 및 제2대칭필획은 제2문자 입력부(120)의 중앙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3대칭필획은 제3문자 입력부(130)에 형성되는 것으로, 알파벳 B 및 N 키의 위치에 절선(折線) 및 호구(弧鉤)가 각각 배치되고, 제4대칭필획은 제3대칭필획의 양측으로 각각 사수(斜竪) 및 사구(斜鉤)가 배치되며, 상기 사수는 절선의 측부에 구성된 V키에 배치되고, 상기 사구는 호구의 측부에 구성된 M키에 각각 배치가 된다.
또한, 제5대칭필획은 상기 제4대칭필획 중 사수의 측부에 연속적으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제5대칭필획 중 별()은 X키에 배치되고 제(提)는 C키에 각각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3 내지 제5대칭필획은 문자 입력부 중 제3문자 입력부(130) 상에 모두 배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키 입력부의 중앙부에서부터 배치가 이루어지며, 양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칭필획은 문자 입력부에 배치가 이루어질 때, 문자 입력부의 전체 면적 중에서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가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보다 쉽게 배치된 기본필획의 위치에 대해 숙련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대칭필획을 입력함에 있어 양손 모두를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평필획은 문자 입력부의 왼쪽편에 모두 구성된다. 즉, 수평필획은 대칭필획의 왼쪽편에 모두 구성되는 것으로, 수평필획 중 횡(橫)은 제2대칭필획의 좌강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D키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횡구(橫鉤)는 S키에 배치되고, 횡강(橫降)은 A키에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횡절(橫折)은 제6대칭필획의 별절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문자 입력부의 E키에 배치되고, 횡절구(橫折鉤)는 W키, 을(乙)은 Q키에 각각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수평필획 중 횡, 횡구 및 횡강은 제2문자 입력부(120)의 왼쪽에 배치되고, 횡절, 횡절구 및 을은 제1문자 입력부(110)의 왼쪽에 배치되고, 을 및 착은 제3문자 입력부(130)의 왼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수직필획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竪), 수구(竪鉤), 수제(竪提), 구수제(鉤竪提), 수절(竪折), 수절구(竪折鉤), 호절(弧折) 등 총 7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문자 입력부의 오른쪽에 모두 배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직필획은 문자 입력부의 오른쪽편에 모두 구성된다. 즉, 수직필획은 대칭필획의 오른쪽편에 모두 구성되는 것으로, 수직필획 중 수(竪)는 제2대칭필획의 우강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K키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수구(竪鉤)는 L키에 배치되고, 횡강(橫降)은 A키에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직필획 중 수제(竪提) 및 구수제(鉤竪提)는 각각 제1문자 입력부(110)의 알파벳 키 중에서 O키 및 P키에 배치가 이루어지며, 수절(竪折), 수절구(竪折鉤) 및 호절(弧折)은 Y 키, U키 및 I키에 각각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수직필획은 제1 및 제2문자 입력부(110, 120)에만 배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수제, 구수제, 수절, 수절구 및 호절은 제1문자 입력부(110)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수 및 수구는 제2문자 입력부(120)의 오른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 입력 키보드는 키 입력부에 배치된 26개의 기본필획들 마다 입력 코드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입력되는 코드에 따라 기본필획을 디스플레이하여 한자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자의 필획에 따라 알파벳 키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가 문(文)인 경우, 키 입력부에 구성된 "H, D, F, J" 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완성하게 되고, 입력할 한자가 자(字) 인 경우에는 "H, H, S, S, N, D" 의 문자 입력키를 순차 입력하여 완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漢) 이라는 한자를 입력할 경우, "H, H, T, D, K, K, D, K, E, D, D, D, F, J" 의 문자 입력키를 순차 입력해야만 하는데, 이럴 경우 입력해야 할 키가 너무 많아 정확한 입력이 힘들 뿐만 아니라, 입력 시간이 너무 길어 신속한 입력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라 한자의 획 수가 많은 한자인 경우 간체자 입력 방식으로 전환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간체자 입력 방식을 통해 한(漢) 이라는 한자를 입력할 경우, "H, T, A, J" 만 입력하여도 한자의 생성이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 입력 방식으로, 획(劃) 자를 입력하려면, "E, D, D, D, K, D, K, E, D, K, D, C, K, L"을 순차 입력해야 하지만, 간체자 입력 방식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D, M, X, H, K, L" 만을 입력하여도 한자의 생성이 완료됨에 따라 한자 입력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한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획을 긋는 위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기본필획들을 키보드 장치의 왼쪽 부분에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획을 긋는 기본필획들은 키보드 장치의 오른쪽 부분에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자 입력시 사용자는 키보드 상에 배치된 기본필획의 형상 뿐만 아니라, 획을 긋는 방향을 통해서도 입력할 기본필획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자 입력 키보드는 사용자가 적어도 1개 이상의 기본필획을 입력하면, 입력된 기본필획과 관련된 한자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본필획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한자가 우선순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좌점에 대한 기본필획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좌점을 제1획으로 활용하는 모든 한자 가운데 가장 단순한 한자가 우선순위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좌점을 입력한 경우, 이에 대한 참고 한자로 심(心)이라는 한자가 우선순위로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한자가 사용자가 입력할 한자라면, 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할 한자가 아니라면, 추가로 기본필획을 입력하여 또 다른 한자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필획을 입력하는 횟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에 근접하는 한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입력할 한자의 모든 기본필획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한자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기본필획에 따라 제공되는 참고한자가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한자인 경우에는 발음부호에 따라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발음부호에 따른 정렬은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제공되는 참고한자가 토(土), 또는 사(士) 등과 같이 그 형상이 유사한 경우에는 발음되는 순서대로 사(士)를 먼저 디스플레이한 후, 이후에 토(土)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본필획이 입력되면, 입력된 기본필획의 명칭을 함께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 G키를 누르게 되면, 상기 G 키에 대응하는 기본필획의 필획 명칭 정보인 좌점(左點)의 용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하는 기본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순서 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대칭필획, 수평필획 및 수직필획에 각각 포함된 기본필획들에는 개별적으로 1 내지 26까지의 고유순서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대칭필획 중에서 좌점에 대한 고유순서는 "1"이 되고, 수평필획에 있어서 횡에 대한 고유순서는 "13"이며, 수직필획의 수에 대한 고유순서는 "20"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한자들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기본필획의 입력에 따라 제공되는 참고한자를 더욱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한자의 입력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문자 입력부 120: 제2문자 입력부
130: 제3문자 입력부
130: 제3문자 입력부
Claims (4)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 장치의 문자 입력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좌점(左點), 우점(右點)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칭필획과, 좌강(左降), 우강(右降)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2대칭필획과, 절선(折線), 호구(弧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3대칭필획과, 사수(斜竪) 및 사구(斜鉤)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4대칭필획과, 별() 및 제(提)로 이루어지는 제5대칭필획과, 별절(), 점제(點提)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6대칭필획으로 구성된 대칭필획;
횡(橫), 횡구(橫鉤), 횡강(橫降), 횡절(橫折), 횡절구(橫折鉤), 을(乙) 및 착()으로 구성되고, 상기 횡(橫), 횡구(橫鉤), 횡강(橫降)은 키보드 장치의 문자 입력부 중 제2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배치되고, 상기 횡절(橫折), 횡절구(橫折鉤) 및 을(乙)은 상기 문자 입력부의 제1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배치되고, 상기 착은 상기 문자 입력부의 제3문자 입력부의 왼쪽에 각각 배치되는 수평필획; 및
수(竪), 수구(竪鉤), 수제(竪提), 구수제(鉤竪提), 수절(竪折), 수절구(竪折鉤), 호절(弧折)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문자 입력부의 오른쪽에만 배치가 이루어지는 수직필획;을 포함하고,
상기 대칭필획은 상기 제1대칭필획, 제3대칭필획, 제5 및 제6대칭필획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대칭필획 및 제4대칭필획이 연속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3대칭필획의 양측에 각각 1개씩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2문자 입력부의 중앙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3문자 입력부에 모두 배치되며, 상기 제6대칭필획은 상기 문자 입력부 중 제1문자 입력부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한자 입력 키보드는 사용자가 적어도 1개 이상의 기본필획을 입력하면, 입력된 기본필획과 관련된 참고한자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참고한자가 유사한 형태를 이루는 한자인 경우에는 발음부호에 따라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필획, 수평필획 및 수직필획에 각각 포함된 기본필획들에는 개별적으로 1 내지 26까지의 고유순서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688A KR101777545B1 (ko) | 2017-04-18 | 2017-04-18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CN201710880109.2A CN107608537A (zh) | 2017-04-18 | 2017-09-26 | 基本笔画汉字键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9688A KR101777545B1 (ko) | 2017-04-18 | 2017-04-18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7545B1 true KR101777545B1 (ko) | 2017-09-26 |
Family
ID=600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9688A KR101777545B1 (ko) | 2017-04-18 | 2017-04-18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7545B1 (ko) |
CN (1) | CN10760853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43661A (zh) * | 2018-10-29 | 2019-02-15 | 吴崧毅 | 一种宏编程按键装置 |
KR20220078118A (ko) * | 2020-12-03 | 2022-06-10 | 정석근 |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376B1 (ko) * | 2014-03-31 | 2014-10-10 | 정창수 |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632725A (zh) * | 2003-03-28 | 2005-06-29 | 张阳 | 实现汉字结构变化不同同步显示的汉字输入系统 |
CN1598743A (zh) * | 2004-07-23 | 2005-03-23 | 李钢 | 按规范笔顺输入汉字的输入法及其键盘 |
KR100643856B1 (ko) * | 2005-03-31 | 2006-11-10 | 박인기 |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
-
2017
- 2017-04-18 KR KR1020170049688A patent/KR1017775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6 CN CN201710880109.2A patent/CN107608537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376B1 (ko) * | 2014-03-31 | 2014-10-10 | 정창수 |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43661A (zh) * | 2018-10-29 | 2019-02-15 | 吴崧毅 | 一种宏编程按键装置 |
CN109343661B (zh) * | 2018-10-29 | 2022-04-29 | 吴崧毅 | 一种宏编程按键装置 |
KR20220078118A (ko) * | 2020-12-03 | 2022-06-10 | 정석근 |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555122B1 (ko) | 2020-12-03 | 2023-07-12 | 정석근 | 한자 사전 기록 매체와, 한자 사전 기록 매체에서 한자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608537A (zh) | 2018-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1068B1 (ko) | 표의 문자 발생기 | |
GB2238641A (en) | Encoding Chinese characters | |
WO2006104322A1 (en) |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 |
KR101777545B1 (ko) | 기본필획을 이용한 한자 입력 키보드 | |
JP2020510874A (ja) | 漢字構成部品、形成されるホゾ継ぎ構造漢字システム及び漢字入力方法 | |
KR100757372B1 (ko) | 표의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처리 방법 | |
KR101559477B1 (ko) |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입력시스템 | |
CN102508557B (zh) | 汉字三笔输入法 | |
TW201314498A (zh) | 嵌合字根式中文輸入法 | |
CN101587374A (zh) | 一种输入键盘及其拼音输入方法 | |
CN101952790B (zh) | 适用于中文教学的汉字输入方法 | |
KR100702483B1 (ko) |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0501649C (zh) | 一种汉字形声编码输入法 | |
CN103677302A (zh) | 手机中文快捷拼音输入的方法 | |
CN101145082A (zh) | 大字符集顺手输入法 | |
US7032175B2 (en) | Collision-free ideographic character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l languages | |
KR101274598B1 (ko) | 만주문자 입력 장치 | |
KR101612391B1 (ko) |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 |
CN101957663B (zh) | 五笔汉字输入方法 | |
CN103488308A (zh) | 优拼码汉字输入法 | |
KR20190137762A (ko) | 한글 모음 입력 방법 | |
CN1694046A (zh) | 一种计算机编码汉字键盘输入方法及信息码 | |
Padun et al. | Exploring historical letterforms to design unique Assamese typeface for digital devices: Experimenting possibilities. | |
CN1332293C (zh) | 一二三首笔输入法 | |
CN1327313C (zh) | 计算机汉字十大结构符型输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