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74B1 -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74B1
KR101665374B1 KR1020150053250A KR20150053250A KR101665374B1 KR 101665374 B1 KR101665374 B1 KR 101665374B1 KR 1020150053250 A KR1020150053250 A KR 1020150053250A KR 20150053250 A KR20150053250 A KR 20150053250A KR 101665374 B1 KR101665374 B1 KR 10166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
character
input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514A (ko
Inventor
강윤기
Original Assignee
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기 filed Critical 강윤기
Priority to CN201510450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320292A/zh
Publication of KR201600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용 키보드 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판 문자 배열이 상측 줄에는 ㄱ(ㄲ),ㄷ(ㄸ),ㅂ(ㅃ),ㅅ(ㅆ),ㅈ(ㅉ), ㅑ,ㅕ,ㅛ,ㅠ,ㅔ(ㅖ) 순서로 배열되고, 중앙 줄에는 ㄴ,ㄹ,ㅁ,ㅇ,ㅎ,ㅏ,ㅓ,ㅗ,ㅜ 순서로 배열되고, 그리고 하측 줄에는 ㅋ,ㅌ,ㅍ,ㅊ,ㅐ(ㅒ),ㅣ,ㅡ 순서로 배열됨으로써, 사용자가 숙지하기 편리하도록 구현했으며 또한 손가락 장애인도 일반인과 동일한 자판을 사용하도록 구현했으며, 드래그방식과 접목하여 모음은 1회 터치 및 드래그로 100% 입력할 수 있고, 자음도 더욱 빠르게 입력하고 오타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또한 입력한 단어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단어를 가장 빠르게 검색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BOARD}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용 키보드 또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한글 자판의 보급이 세계화 및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의 한국 쿼티 자판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북한 쿼티 자판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키보드를 이용한 쿼티 문자 입력 방법은 숙지성, 습관성, 분리성, 학습의 용이성, 입력 속도, 인체공학적 문제점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진 문자 입력 방법이다. 또한 손가락 장애자들의 경우 손가락 하나로는 문자를 입력할 수 없는 조건으로 쌍자음 입력 시 Shift키를 누름 상태에서 쌍자음을 입력하는 조건으로 손가락 장애자들은 일반인이 사용하는 동일 쿼티 자판을 사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이들 쿼티 자판은 Shift를 동시에 눌러 쌍자음을 입력함으로 입력 속도가 저하하는 문제점과 쌍자음 입력 시 Shift키를 먼저 떼면 기본 자음으로 입력되어 오타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실제로 기존의 한글 PC 자판 26자를 숙지하여 발표할 수 있는 사람은 1% 이하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숙지성, 습관성, 분리성, 학습의 용이성, 입력 속도, 인체 공학적 문제점 등을 개선하고, 또한 손가락 장애자들은 일반인과 동일한 자판을 사용할 수 없고 그리고 노약자, K-POP 회원, 외국인 등도 자판을 숙지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을 느끼는 바 이러한 숙지의 불편 등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사용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계 언어의 단어 저장 기술과 단어 검색 기술을 가진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상측 줄은 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ㅑ, ㅕ, ㅛ, ㅠ, ㅔ(ㅖ) 순서로 배열되고, 중앙 줄은 ㄴ, ㄹ, ㅁ, ㅇ, ㅎ, ㅏ, ㅓ, ㅗ, ㅜ 순서로 배열되고, 하측 줄은 ㅋ, ㅌ, ㅍ, ㅊ, ㅐ(ㅒ),ㅣ, ㅡ 로 순서로 배열되고, 각 자음과 모음의 해당키를 누르면 각 문자는 한글 조합 규칙에 따라 자모가 조합되어 문자가 입력되고, 각 키의 제2 문자(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와 기호(1(!), 2(@), 3(#)...) 등 28개의 문자 입력은 "Shift"키를 누른 후 목적한 제2 문자키를 소정의 지연 시간(약 2초) 이내에 누름으로 제2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모음 (ㅑ,ㅕ,ㅏ,ㅓ,ㅗ,ㅜ,ㅡ,ㅐ,ㅔ)의 키에 터치한 상태로 우측 드래그하면 “ㅣ” 와 조합된 모음(ㅒ,ㅖ,ㅐ,ㅔ,ㅚ,ㅟ,ㅢ,ㅒ,ㅖ)으로 입력되고, “ㅗ”키에서 상측드래그하면 “ㅙ”,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ㅜ”키에서 상측 드래그하면 “ㅞ”,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가 입력되고, 각 자음키에서 상, 하, 좌, 우로 드래그하면 각 자음과 모음 (ㅗ,ㅜ,ㅏ,ㅓ)과 결합된 문자가 입력되고, 이 과정의 미완성의 모음은 각 키의 개별 모음을 추가로 입력하여 완성된 문자로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각 모음을 지움 없이 수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모음 끼리 조합이 안 되는 모음을 다음 차례로 입력하면 종전의 모음에서 새로 입력한 모음으로 변환되어 지움 없이 모음을 직접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옛글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ㅔ”의 문자를 “ㆍ,ㅿ”의 문자로 교체 할당 배열하고, “ㅐ” 의 문자를 “ㆁ,ㆆ”의 문자로 교체 할당 배열하여 옛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저장 기능과 단어 검색 기능을 구비한 문자 입력 방법은, SMS 또는 이메일에서 붙혀넣기를 포함하여 단어들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하는 단계에서 입력된 단어들을 저장하기 위해 특수키가 눌러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수키의 누름이 검출되면 상기 입력하는 단계에서 입력된 단어들을 스페이스키 코드를 분리 연산자로 사용하여 단어들을 구분하여 구분된 단어들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문자 입력 시 단어를 검색함에 있어서, 조합형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1) 정음, (2) 초성, (3) 합성(초성+정음) 및 (4) 단어에 포함한 일부의 문자를 거르고 순차로 입력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나열식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첫문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1) 자음만, (2) 모음만, (3) 자음 모음 합성 및 (4) 단어에 포함된 일부의 문자를 거르고 순차로 입력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어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관련 단어를 표시하는 단계와, 및 상기 검색 표시된 관련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완성된 문자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PC 키보드에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키(Numlock)가 2회 눌려졌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특정키가 2회 눌러지면, 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전화 번호 창과 문서 입력 창에 상기 PC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및 송신키가 눌러지면 입력된 문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지성, 습관성, 분리성, 학습의 용이성, 입력 속도, 인체 공학적 문제점 등, 또한 손가락 장애자들도 일반인과 동일 자판을 사용할 수 있고, 외국인도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는 자판을 발명하여 남,녀,노,소,외국인 등이 가장 단순하고 쉽게 학습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하고 한글을 세계화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글의 한국 쿼티 자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한글의 북한 쿼티 자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티 키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티 키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저장 방식 및 단어 검색 방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티 키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쿼티 키보드의 자판 키 배열은, 상측 줄이 ㄱ(ㄲ),ㄷ(ㄸ),ㅂ(ㅃ),ㅅ(ㅆ),ㅈ(ㅉ), ㅑ,ㅕ,ㅛ,ㅠ,ㅔ(ㅖ) 배열되고, 중앙 줄은 ㄴ,ㄹ,ㅁ,ㅇ,ㅎ,ㅏ,ㅓ,ㅗ,ㅜ 배열되고, 그리고 하측 줄은 ㅋ,ㅌ,ㅍ,ㅊ, ㅐ(ㅒ),ㅣ,ㅡ 로 배열된다.
상기 쿼티 키보드는 각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면 각 문자는 한글 조합 규칙에 따라 자모가 조합되어 문자가 입력되고, 각 키의 제2 문자(ㄱ(ㄲ),ㄷ(ㄸ),ㅂ(ㅃ),ㅅ(ㅆ),ㅈ(ㅉ)와 기호(1(!),(2(@)....) 등 28개의 문자는 "Shift"키를 누른 후 목적한 제2 문자키를 소정의 지연 시간(약 2초) 이내에 누름으로 제2 문자가 입력됨으로써, 기존의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2 문자키를 누름으로 제2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과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 문자라 함은 일반적으로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목적하는 문자가 표시된 문자키를 동시에 눌러서 입력하는 문자를 말한다.
본 발명의 예를 들면, "ㄲ"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hift"키를 먼저 누르고, 목적한 제2 문자키(ㄱ)를 2초 이내에 누름으로 제2 문자인 "ㄲ"가 입력되고, 제2 문자키를 누름과 동시에 "Shift"키에 따른 소정의 시간(2초)은 리셋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게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제2 문자키를 누름으로 제2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키의 제2 문자(ㄱ(ㄲ),ㄷ(ㄸ),ㅂ(ㅃ),ㅅ(ㅆ),ㅈ(ㅉ)와 기호(1(!),(2(@)....) 등 28개의 문자를 입력하는 다른 방식은 제2 문자가 포함된 해당 문자키(ㄱ,ㄷ,ㅂ,ㅅ,ㅈ,1,2,3..등)를 먼저 누른 후 Shift키를 누름으로 기본 문자에서 제2 문자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Shift키를 연속 누르면 해당된 각 제2 문자가 연속 입력된다.
예를 들면 "ㄲ"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ㄱ"를 누른 후 "Shift"를 누르고, "ㄲㄲ"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ㄱ"를 누른 후 "Shift"키를 누르고 다시 "Shift"키를 누른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식은 손가락 하나인 장애자도 일반인과 동일한 자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티 키보드(터치스크린)는 상기 모음 (ㅑ,ㅕ,ㅏ,ㅓ,ㅗ,ㅜ,ㅡ,ㅐ,ㅔ) 의 각 키에서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 와 결합된 모음(ㅒ,ㅖ,ㅐ,ㅔ,ㅚ,ㅟ,ㅢ,ㅒ,ㅖ)으로 입력되고, “ㅗ”키에서 상측드래그하면 “ㅙ”,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ㅜ”키에서 상측드래그하면 “ㅞ”,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 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쿼티 키보드는 각 자음에서 상, 하, 좌, 우로 드래그하면 각 자음과 모음 (ㅗ,ㅜ,ㅏ,ㅓ)이 조합된 문자가 입력되고, 미완성 모음인 경우 개별 키의 모음을 추가로 입력하여 완성 모음을 입력한다.
즉, “ㄱ” 키에서 터치상태로 상, 하, 좌, 우 로 드래그하면 모음 (상(ㅗ),하(ㅜ),좌(ㅓ),우(ㅏ)에 할당된 모음과 결합한 문자가(고,구,거,가) 입력되고, 각 자음 키에서도 동일하게 드래그하여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쿼티 키보드는 각 모음 수정 방법에 있어서, 각 모음 끼리 조합이 안 되는 모음을 다음 차례로 입력하면 종전의 모음에서 새로 입력한 모음으로 변환되어 지움 없이 모음을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문자 입력 방식이다.
종전의 개발 PC 키보드는 구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컴퓨터에 깔고 사용하는 불편을 가져왔지만, 본 발명에 따른 PC 키보는 USB 단자에 연결하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쿼티 자판 배열과 본 발명에 따른 쿼티 자판 배열 및 문자 입력 방법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쿼티 자판 배열은 쌍자음 배열의 순서 (ㅂ(ㅃ),ㅈ(ㅉ),ㄷ(ㄸ),ㄱ(ㄲ),ㅅ(ㅆ)로 배열되어 있다. 상측에 쌍자음의 배열의 분리성은 좋으나, 문자 배열의 순서가 습관에 위배된 배열로 숙지하는데 매우 어렵고, 발음도 어렵고, 혀도 잘 돌아가지 않는 배열이다. 또한 종래의 쿼티 자판 배열의 경우에는 “ㅁ,ㄴ,ㅇ,ㄹ,ㅎ”의 자음과 탁음 “ㅋ,ㅌ,ㅊ,ㅍ”의 순서 배열도 숙지하기 매우 어려운 배열이다.
따라서 종래의 쿼티 자판 배열은 사용자의 습관에 근거하여 볼 때, 예를 들어 12345....0 또는 13579는 학습의 습관으로 그 배열의 숙지가 쉬우나, 만약 13579를 95371의 순서로 배열하고 숙지하라고 한다면 매우 어려울 것이다. 기존의 쿼티 자판은 쌍자음의 배열 순서를 95371의 순서와 같이 뒤죽박죽 배열하여 숙지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쿼티 자판 배열은 자음 배열 (ㄱ(ㄲ), ㄷ(ㄸ), ㅂ(ㅃ), ㅅ(ㅆ),ㅈ(ㅉ)을 보면 숙지하기 쉬운 기준의 “가나다..” 순으로, 즉 13579 순으로 배열되어 “가나다..”순서의 학습한 습관에 근거하기 때문에 숙지하기가 매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티 자판 배열은 “ㄴ,ㄹ,ㅁ,ㅇ,ㅎ” 순서로 (나라마아하)의 학습한 순서(13579..)의 배열로 발음도, 혀도 잘 돌아가서 숙지하기 쉽다. 또한 탁음 배열(ㅋ,ㅌ,ㅍ,ㅊ)도 ㄱ,ㄷ,ㅂ,ㅈ 의 기본 자음의 진화된 탁음의 순서에 맞는 상,하의 대칭 배열로 매우 숙지하기가 쉽다.
한편, 종래의 쿼티 자판 배열과 본 발명에 따른 쿼티 자판 배열 각각의 모음 문자 입력 방법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모음배열은 ㅛ,ㅕ,ㅑ,ㅐ(ㅒ),ㅔ(ㅖ) 의 배열로 발음하기도 어렵고, 혀도 안 돌아가는 학습의 습관에 위배된 배열로 숙지하는데 매우 어렵다. 그리고 중앙의 모음배열 ㅗ,ㅓ,ㅏ,ㅣ 또는 하측의 배열 “ㅠ, ㅜ ,ㅡ ”의 순차 배열은 복모음과 단모음 등의 비유사 문자를 혼합 배열하므로 발음을 하기도 어렵고, 숙지하기도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복모음과 단모음 또는 비계열 모음과 뒤섞인 순차 배열은 숙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모음 자판 배열은, 상측 배열; ㅑ,ㅕ,ㅛ,ㅠ, 중앙 배열; ㅏ,ㅓ,ㅗ,ㅜ, 하측 배열; ㅣ ㅡ 로 배열하여 한번만 보면 누구나 단순하게 숙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음 자판 배열은 계열별로 학습한 순서로 순차 배열하여 매우 숙지하기가 쉽다.
즉 기존의 쿼티 자판의 상측 한 줄(ㅛ,ㅕ,ㅑ,ㅐ(ㅒ),ㅔ(ㅖ))의 모음 5자 숙지하는 것 보다 본 발명의 상측 줄10자를 모두를 숙지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쓰기, 읽기의 학습과 습관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가나다라…의 숙지의 습관인 바, 앞뒤가 뒤섞인 자판 배열은 숙지하기 매우 어렵다.
또한 모음 입력에 있어서도, 실수로 오타를 입력할 경우에 지움을 하지 않고 수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서 “갸”를 입력하는데, 실수로“가”를 입력 했을 경우는 지움을 하지 않고 직접 “ㅑ”를 입력하면 “가”의 모음이 “갸”의 모음으로 수정되어 입력되는 기술이다. 또는 실수로 “교”를 입력하고 “ㅗ”를 입력하면 “고” 로 변환되어 자동 입력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음과 모음이 조합되지 않는 모음을 다음 차례로 입력하면 지움 없이도 다음 모음으로 변환되어 입력된다.
또한 각 모음키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의 모음과 결합된 모음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ㅑ,ㅕ,ㅏ,ㅓ,ㅗ,ㅜ,ㅡ,ㅐ,ㅔ”의 각 모음 키에서 터치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ㅣ”의 모음과 조합된 모음 “ㅒ,ㅖ,ㅐ,ㅔ,ㅚ,ㅟ,ㅢ,ㅒ,ㅖ”이 추가 입력된다. 그리고 “ㅗ”의 키에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ㅙ” ,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ㅜ”의 키에서 상측으로 드래그하면 “ㅞ” ,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 가 입력되어 모음 21자를 1회 터치 및 드래그로 100%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쿼티 키보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쿼티 키보드의 자판 배열은 옛글을 사용할 경우의 자판 배열의 예로, 도 3에 도시된 쿼티 키보드에서, “ㅔ”의 문자를 “ㆍ,ㅿ”의 문자로 교체 할당 배열하고, “ㅐ”의 문자를 “ㆁ,ㆆ”의 문자로 교체 할당 배열하여 옛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쿼티 키보드뿐만 아니라 3*4 키보드(12키) 등의 모든 키보드 자판에 있어서 문자 입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어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단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저장 방식 및 단어 검색 방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SMS 또는 이메일 화면에 키보드를 이용하여 단어들을 입력한다(S502). 이후 입력된 단어들을 저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엔터키와 같은 특수키가 눌러지는지를 검출한다(S504).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문장을 완성한 후에 입력된 전체 단어들을 모두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해 특수키를 누를 수 있으며, 또한 송신할 메시지를 모두 완성한 후에 특수키를 누를 수 있다. 여기서 특수키란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한 예로 설명된 엔터키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정의된 키를 말한다.
특수키의 누름이 명령되면 SMS 또는 이메일 등의 문자 입력 창의 화면에 입력된 단어들을 스페이스키 코드를 분리 연산자로 사용하여 단어들을 구분한다(S506). 이를 위해 특수키의 검출로부터 저장 명령이 출력되고, 출력된 저장 명령에 따라 입력된 단어들을 스페이스키(띄움) 코드를 분리 연산자로 사용하여 단어들을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분된 모든 단어들은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08). 이 경우 저장은 단어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로 저장되는데, 저장하고자 하는 단어들에 의해 지정된 저장 한도 개수, 예를 들어 5만 단어를 초과하면 빈도수가 적은 단어 수순으로 자동으로 삭제한 후에 단어들을 저장한다. 이에 의해 SMS 또는 이메일 등의 문자 입력 창의 화면에 입력된 단어들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단어를 한 번에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장을 복사하고 문자 입력 창에 터치하여 붙혀넣기를 하고 특수키를 누르면, 입력창에 올려진 많은 단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다.
문자 입력 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어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관련 단어를 표시한다(S510).
한글과 같은 조합형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먼저 한글 단어의 문자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관련 단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글 단어의 정음 문자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으면, 초성(ㄱ,ㄴ,ㄷ,ㄹ,ㅂ…)이 연속하여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관련된 문자를 포함한 단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초성의 자음(ㄱ)과 정음(강)이 혼용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관련 단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어의 문자를 일부 뺀(거른) 경우에도 순차적으로만 문자를 입력하면 단어에 포함된 문자로 검색하여 목적한 단어가 검색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한글 검색 방식은 한글로 외국어 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특히 중국어와 같은 복잡한 언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면 문자 입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어와 같은 나열식의 세계 문자 등의 입력의 경우에는 상술한 문자 저장 방식으로 간단하게 단어를 만들어 저장하고, 저장된 단어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단어의 첫 문자 입력 후 자음만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단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고, 단어의 첫 문자 입력 후 모음만 입력하여도 단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어에 포함된 일부 문자를 거르고 순차로 입력하여도 단어가 검색되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나열식 문자의 경우 자음 수(영어 : 21자)는 많아 일반적으로 중복율이 적으나 모음 수(영어 : 5자)는 적어 중복율이 높은 편이다. 영어 등 세계 언어의 단어는 이러한 자음과 모음의 문자 빈도수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 빈도수가 적은 자음만 연속하여 입력하면 긴 단어를 가장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만 단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음만 4자리 연속 입력하면 목적하는 단어를 100%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데, 10만/21 * 10만/21 * 10만/21 * 10만/21 = 10만 단어/194,481 = 약 0.5자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검색 표시된 관련 단어들 중에서 소망하는 문자를 선택함으로써 완성된 문자를 입력한다(S512).
이하에서는 세계 언어의 검색 실시예를 각각 설명한다.
먼저, 한글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감사합니다'를 검색할 수 있다.
(1) 정음; 감사합…
(2) 초성; ㄱㅅㅎㄴㄷ
(3) 합성(초성+정음); ㄱㅅ합ㄴㄷ
(4) 거르고 입력; ㄱ합ㄴㄷ
그리고 영어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telecommunication'을 검색할 수 있다.
(1) 자음만 입력; 1) tcmct, 2) tcmmt, 3) tcmmc 등
(2) 모음만 입력 ; 1) teoua, 2) touio, 3) teeia 등
(3) 자음 모음합성; 1) tcuct, 2) tcomt, 3) temc 등
그리고 중국어의 병음 입력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中華民國'(ZhonghuaMinguo)를 검색할 수 있다.
(1) 자음만 입력; 1) ZhMg, 2) ZghMg, 3) ZnhMg 등
(2) 모음만 입력; 1) Zouai, 2) Zuaiu, 3) Zuiuo 등
(3) 자음모음합성 입력; 1) Zhhomg, 2) Zughm, 3) Zhamg 등
한편, 중국어의 경우에는 한글로 중국어를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중화민국'(中華民國)을 검색할 수 있다.
(1) 정음; 중화민…
(2) 초성; ㅈㅎㅁㄱ
(3) 합성(초성+정음); 중ㅎㅁㄱ, ㅈㅎ민ㄱ
(4) 거르고 입력; 중민국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문자 입력에 있어서 상술한 단어 저장 방식과 단어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빠르게 단어를 검색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C 키보드에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키, 예를 들어 Num Lock 키를 2회 눌러졌는지를 확인한다(S602). 특정 키가 2회 눌러지면, 디스플레이부에 메시지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다(S604). 전화 번호 창에 PC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화 번호 및 성명을 입력한다(S605). 그리고 문서 입력 창에도 상기 PC 키보드를 이용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를 직접 입력한다(S608). 모든 창에 대한 문자 입력이 완성된 후 사용자가 송신 키를 누르면, 문자 메시지를 간단하게 송신한다(S61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측 줄은 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ㅑ, ㅕ, ㅛ, ㅠ, ㅔ(ㅖ) 순서로 배열되고,
    중앙 줄은 ㄴ, ㄹ, ㅁ, ㅇ, ㅎ, ㅏ, ㅓ, ㅗ, ㅜ 순서로 배열되고,
    하측 줄은 ㅋ, ㅌ, ㅍ, ㅊ, ㅐ(ㅒ),ㅣ, ㅡ 로 순서로 배열되고,
    각 자음과 모음의 해당하는 물리적인 키를 누르면 각 문자는 한글 조합 규칙에 따라 자모가 조합되어 문자가 입력되고, 각 물리적인 키의 제2 문자(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와 기호(1(!), 2(@), 3(#)...)의 문자 입력은 "Shift"키를 눌렀다가 뗀 후 목적한 제2 문자키를 소정의 지연 시간(약 2초) 이내에 누르면 입력되고 또한 제2 문자키를 누름과 동시에 "Shift"키에 따른 소정의 지연 시간은 리셋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서,
    상측 줄은 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 ㅑ, ㅕ, ㅛ, ㅠ, ㅔ(ㅖ) 순서로 배열되고,
    중앙 줄은 ㄴ, ㄹ, ㅁ, ㅇ, ㅎ, ㅏ, ㅓ, ㅗ, ㅜ 순서로 배열되고,
    하측 줄은 ㅋ, ㅌ, ㅍ, ㅊ, ㅐ(ㅒ),ㅣ, ㅡ 로 순서로 배열되고,
    각 자음과 모음의 해당키를 누르면 각 문자는 한글 조합 규칙에 따라 자모가 조합되어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키보드는 모음 (ㅑ,ㅕ,ㅏ,ㅓ,ㅗ,ㅜ,ㅡ,ㅐ,ㅔ)의 키에 터치한 상태로 우측 드래그하면 “ㅣ” 와 조합된 모음(ㅒ,ㅖ,ㅐ,ㅔ,ㅚ,ㅟ,ㅢ,ㅒ,ㅖ)으로 입력되고, “ㅗ”키에서 상측드래그하면 “ㅙ”,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ㅘ” 가 입력되고, “ㅜ”키에서 상측 드래그하면 “ㅞ”, 하측으로 드래그하면 “ㅝ”가 입력되고, 각 자음키에서 상, 하, 좌, 우로 드래그하면 각 자음과 모음 (ㅗ,ㅜ,ㅏ,ㅓ)과 결합된 문자가 입력되고, 이 과정의 미완성의 모음은 각 키의 개별 모음을 추가로 입력하여 완성된 문자로 조합하여 입력되고, 그리고
    각 모음을 지움 없이 수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모음 끼리 조합이 안 되는 모음을 다음 차례로 입력하면 종전의 모음에서 새로 입력한 모음으로 변환되어 지움 없이 모음을 직접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3250A 2014-07-29 2015-04-15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6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50170.4A CN105320292A (zh) 2014-07-29 2015-07-28 利用键盘的文字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6648 2014-07-29
KR1020140096648 2014-07-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53A Division KR101665372B1 (ko) 2016-03-03 2016-03-03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514A KR20160014514A (ko) 2016-02-11
KR101665374B1 true KR101665374B1 (ko) 2016-10-13

Family

ID=5535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250A KR101665374B1 (ko) 2014-07-29 2015-04-15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71A (ko) * 2017-12-05 2019-06-13 필아이티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에서 입력 액션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252A (ja) 2005-04-28 2006-11-09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127B1 (ko) * 2005-05-30 2007-01-30 임재연 컴퓨터의 쉬운 한글 키보드 자판
KR100862241B1 (ko) * 2006-07-10 2008-10-09 강훈기 Pc 키보드와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324765B1 (ko) * 2011-03-22 2013-11-05 진용옥 모바일 기기의 중간 내부 치환을 이용한 문자 입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1252A (ja) 2005-04-28 2006-11-09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514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7904C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10990192B2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US201401649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data input, compression, recognition, correction , and translation through frequency-based language anaysis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US1146772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CN101984389B (zh) 输入汉语字符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Billah et al. Accessible gesture typing for non-visual text entry on smartphones
US11112879B2 (en) Multi-mode keyboard
KR101665374B1 (ko)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6201003B (zh)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KR101665372B1 (ko)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TW2011028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lnfiai et al. Improved Singeltapbraille: Developing a Single Tap Text Entry Method Based on Grade 1 and 2 Braille Encoding.
US8878704B2 (en) Character and function key input device using dictionary order and use frequency
CN105426109A (zh) 一种滑行输入文字的方法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N105320292A (zh) 利用键盘的文字输入方法
KR20030008254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087852B1 (ko) 키패드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27524B1 (ko)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AU747901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KR1010662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