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365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365B1
KR100411365B1 KR10-2001-0068763A KR20010068763A KR100411365B1 KR 100411365 B1 KR100411365 B1 KR 100411365B1 KR 20010068763 A KR20010068763 A KR 20010068763A KR 100411365 B1 KR100411365 B1 KR 100411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vowel
hangu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536A (ko
Inventor
장치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엔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엔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엔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1-006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3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 휴대폰, 카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에 14개의 자음과 2개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고, 두 개의 ㅗ와 ㅡ의 모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며, 상기 두 개의 모음 키의 상, 하, 좌, 우 방향 표시에 따른 선택적인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자음과 모음을 조합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자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역이 극히 제한된 기존의 PDA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음 14개와 모음 2개로 구성된 최소한의 입력 버튼으로 40개의 자음과 모음,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Key matrix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PDA, 휴대폰, 카 네비게이션용 단말기)에 있어서, 특히 14개의 자음 버튼과 2개의 모음 버튼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저로 하는 경우, 초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ㄸ, ㅃ, ㅆ, ㅉ, 중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ㅚ, ㅟ, ㅓ, ㅘ, ㅝ, ㅙ, ㅞ, 종성 ㄱ, ㄴ, ㄷ,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ㅉ,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ㅯ, 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 172(19×21×28)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약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코드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때는 ㄲ, ㄸ, ㅃ, ㅆ, ㅉ 과ㅑ, ㅕ, ㅛ, ㅠ, ㅒ, ㅖ, ㅔ, ㅐ를 할당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숫자키(1,2,3,4,5,6,7,8,9,0,*,#)로 각각의 모음 및 자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
최근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인터넷,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나 메일(mail)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 한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한글 및 특수 문자의 입력도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연결되고, 화면전환키와 숫자키와 입력완료키 등 다수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부(2)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키 입력부(2)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해주고, 상기 키 입력부(2)에서 입력된 키 값을 표시해주는 액정 표시부(3)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어 한글 폰트를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4)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면, 입력된 키값을 중앙프로세서(1)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화면(3)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한글은 한글폰트메모리(4)에 내장된 한글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값을 검색하여 한글입력 키에 의한 한글입력 내부 오토마타에 따라 한글조합형코드에서 한글완성형코드로 전환되도록 하여 액정 표시부(3)에 표시해준다.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의 제 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단말기의 키 매트릭스인 키 입력부(2)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키 매트릭스의 숫자키에 할당된 자소를 보면, 1번키에는 'ㅣ', 2번키에는 'ㆍ', 3번키에는 'ㅡ', 4번키에는 'ㄱ,ㅋ', 5번키에는 'ㄴ,ㄹ', 6번키에는 'ㄷ,ㅌ', 7번키에는 'ㅂ,ㅍ', 8번키에는 'ㅅ,ㅎ', 9번키에는 'ㅈ,ㅊ' 0번키에는 'ㅇ,ㅁ'등이 배치된 구조이고, *키에는 한영전환 및 영자의 대소문자를 지원하고, #키는 글자사이에 입력된다.
여기서, 모음의 구성을 1, 2, 3번키에 배치된 'ㅣ','ㆍ','ㅡ'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게 된다. 즉, 상기 'ㅣ'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ㅏ'로 조합하고,상기 'ㅣ'와 'ㆍ'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ㅑ'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ㅣ'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ㅓ'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ㆍ'와 'ㅣ'의 입력적인 입력으로 'ㅕ'으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ㅗ'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ㅛ'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ㅜ'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와 'ㆍ'의 연속적으로 입력으로 'ㅠ'로 조합된다.
이러한, 도 2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예를들면" 이라는 글자열 완성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키 입력이 필요하다.
"예" 는 숫자키 0번과 2번과 2번과 1번과 1번으로 완성되며, "를"은 숫자키 5번과 5번과 3번과 5번과 5번으로 완성되고, "들"은 숫자키 6번과 3번과 5번과 5번으로 완성되며, "면"은 숫자키 0번과 0번과 2번과 2번과 1번과 5번으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예를 들면"이라는 글자열은 총 20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의 예를 들어 설명한 한글 입력방법은, 모음 입력방법이 단순하여 기억하기는 좋은 면은 있으나, 복수개가 자소키에 할당된 자음을 여러 번 반복하여 선택한 후 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키가 많아진다. 또한 한글 입력 시간의 단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글 자음을 자소키에 두 개 및 세 개의 자음을 각각 할당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없고 이를 기억하거나 익힐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14개의 자음 버튼과 2개의 모음 버튼을 두어, 자음 버튼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선택하여 모든 자음을 입력하고, 2개의 모음 버튼의 상,하,좌,우 위치별로 할당된 모음을 적어도 한 번 이상 선택하여 모음을 입력함으로써, 조합에 의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키 메트릭스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키 메트릭스 구성도.
도 4a,4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는
14개의 자음을 일대일로 대응하여 할당된 14개의 버튼과;
2개의 모음 및 이와 유사한 모음의 입력을 적어도 한 번 이상 버튼의 선택으로,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음 입력 버튼 및 그의 상/하/좌/우 위치별 버튼을 포함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고,
두 개의 ㅗ와 ㅡ의 모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며,
상기 두 개의 모음 키의 상, 하, 좌, 우 방향 표시에 따른 선택적인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자음과 모음을 조합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음 ㅗ 키의 상측에는 ㅗ,ㅛ를 할당하고, 하측에는 ㅜ,ㅠ를 할당하며, 좌측에는 ㅓ,ㅕ를 할당하고, 우측에는 ㅏ,ㅑ를 할당하고, 상기 모음ㅡ 키의 상/하측에는 ㅣ, 좌/우측에는 ㅡ를 배치하여 할당하며,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버튼 선택으로 상기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모음 버튼에 할당된 위치별 모음은 클릭 또는 선택적인 누름 이동을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키 메트릭스 구성도이고, 도 4a,4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모음 입력 버튼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3 및 도 4(4a,4b)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 화면상에는 화면 표시부(21), 확인 버튼(22), 14개의 자음 입력 버튼(23), 2개의 모음 입력버튼(24,25), 영문/숫자 입력 전환버튼(26), 삭제(DEL) 버튼(27), 취소 버튼(28)으로 구성된다.
14개의 자음 입력 버튼(23)에는 기본 자음으로서, 제 1열의 각 버튼에 'ㄱ',ㄴ','ㄷ','ㄹ'을 각각 할당하고, 제 2열의 각 버튼에 'ㅁ', 'ㅂ', 'ㅅ', 'ㅇ'을 각각 할당하며, 제 3열의 각 버튼에 'ㅈ', 'ㅊ', 'ㅋ', 'ㅌ'를 각각 할당하고, 제 4열의 각 버튼에 'ㅍ', 'ㅎ'를 각각 할당하는 구조로서, 자음 'ㄱ'부터 'ㅎ'까지 14개 버튼만을 구비한다. 모음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모음 입력버튼(24)('ㅗ')와 제 2모음 입력버튼(25)('ㅡ') 두 개의 버튼 만을 구성하고, 단 모음에서는 'ㅗ'와 'ㅡ'에 각각 상/하/좌/우에 방향 표시를 하여 다른 모음을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자음인 초성 입력에서 'ㄲ','ㄸ','ㅉ','ㅆ'을 표현할 때에는 연속적으로 'ㄱ','ㄷ','ㅈ', 'ㅅ'을 두 번씩 누르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음인 초성 입력 후 중성을 입력할 때에는 제 1 모음입력버튼(24) 'ㅗ'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를 터치함으로 'ㅏ','ㅓ','ㅗ','ㅜ'를 표현할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ㅡ'를 중심으로 'ㅡ',와 'ㅣ'를 표현하게 된다.
이때, 제 1모음입력버튼(24) 'ㅗ'에서의 표현방식의 규칙은 'ㅗ'를 중심으로 위치별(상/하/좌/우) 방향성으로 결정하였으므로, 'ㅗ'를 오른쪽 방향으로 누르면 'ㅏ'가 되고, 좌측으로는 'ㅓ'를 표현하며, 이중 모음 'ㅑ','ㅕ','ㅠ','ㅛ'와 같은 경우에는 'ㅏ','ㅓ','ㅜ','ㅗ'를 각각 한번씩 더 누르면 된다. 여기서 'ㅒ'를 표현할 때에는 'ㅗ'의 오른쪽을 클릭한 후 'ㅣ'의 위 또는 아래 쪽 버튼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한글 입력 예를 설명하면, '구'를 입력 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1모음입력버튼(24) 'ㅗ' 의 아래 부분을 클릭하거나, 아래 방향으로 당겨주면 '구'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거'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1모음 입력 버튼(24) 'ㅗ'의 왼쪽 부분을 클릭하거나, 왼쪽 방향으로 당겨주면 'ㅗ'가 'ㅓ'로 입력되어 거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고'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모음 입력 버튼 'ㅗ'의 위쪽 부분을 클릭하거나, 위쪽 방향으로 당겨주면 'ㅗ'가 'ㅗ'로입력되어 '고'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ㅑ', 'ㅛ', 'ㅠ', 'ㅕ'와 같은 모음은 'ㅏ' 또는 'ㅓ' 또는 'ㅗ' 또는 'ㅜ' 를 입력하는 방법을 연속적으로 두 번 시행하여 입력한다.
'기'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2모음입력 버튼(25) 'ㅡ'의 아래 또는 위 부분을 클릭하거나 아래 또는 위 부분으로 당겨주면 '기'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그'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2모음입력 버튼(25) 'ㅡ'의 왼쪽 또는 오른쪽 부분을 클릭하거나 왼쪽 또는 오른쪽 부분으로 당겨주면 'ㅡ'가 입력되어 '그'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다.
'개', '게', '괴', '귀' 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1 모음입력버튼(24) 'ㅗ'의 'ㅏ' 또는 'ㅓ' 또는 'ㅗ' 또는 'ㅜ'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클릭 하여 입력한 후, 연달아 제 2모음 입력버튼(25) 'ㅡ'의 상 또는 하 부분을 클릭한다.
'걔', '계'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1모음입력 버튼(24) 'ㅗ'를 상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ㅑ' 또는 'ㅕ'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클릭후, 연달아 제 2모음입력 버튼(25) 'ㅡ'의 상 또는 하 부분을 클릭한다.
'과', '궈'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모음 입력판 'ㅗ'를 이용하여 'ㅗ' 클릭 후 연달아 'ㅏ'를 클릭하여 '과'를 완성하고, 'ㅜ'를 클릭한 후 연달아 'ㅓ'를 클릭하여 '궈'를 완성한다.
'괘'를 입력할 경우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 버튼을 누르고 제 1모음입력 버튼 'ㅗ'를 이용하여 'ㅗ'와 'ㅏ'를 연속적으로 입력한 후, 제 2모음입력 버튼(25)(ㅡ)의 왼쪽 또는 오른쪽 부분 클릭하여 '괘'를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궤'도 제 1모음입력 버튼(24) 'ㅗ'를 이용하여 'ㅜ'와 'ㅓ'를 연속적으로 입력한 후, 'ㅡ' 제 2모음 입력 버튼(25)의 위 또는 아래 쪽 부분을 클릭하여 입력한다.
'강'과 같은 받침이 있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가' 입력 후,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ㅇ'을 입력하면 받침으로 인식하며 '강'이 입력된다.
'깍'과 같은 쌍 받침이 있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ㄱ'을 두번 연속눌러 'ㄲ'을 만든 후, 제 1모음입력 버튼의 'ㅏ'를 입력하여 "까"를 만든다음, 자음 입력 버튼(23)에서 'ㄱ'을 눌러서 입력한다.
'ㄲ', 'ㄸ', 'ㅃ', 'ㅆ', 'ㅉ' 과 같은 자음은 'ㄱ','ㄷ','ㅂ','ㅅ','ㅈ' 입력 버튼을 연속적으로 두 번 클릭하여 입력한다.
문자 표시부(21)는 일반 한글 워드 프로그램과 같이, 상기에서 입력한 자음 및 모음, 그리고 한글이 완성된 결과가 표시되며, 입력한 결과에 대한 오류 확인이 즉시 가능하며, 삭제 버튼(27)을 이용하여 오 입력 정정 및 삭제, 영문/숫자 입력 전화버튼(26)을 이용하여 영문이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 키 메트릭스에는 영문 및 숫자가 별도로 할당되었지만 도시 하지 않았다.
또한 단말기의 모든 키 메트릭스를 소정의 입력 펜, 손가락 등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여,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키(버튼) 값이 입력되면(S21) 초성/중성/종성 여부를 확인하고(S22), 초성일 경우 자음이므로 이전 입력값이 자음이고 ㄱ,ㄷ,ㅂ,ㅅ,ㅋ 이며 이전 입력 값과 현재 입력 값이 같은가를 확인한다(S23). 이때, 동일한 값이 아닐 경우에는 새로운 키 값을 입력받아 초성/중성/종성 여부를 확인하고(S22), 동일한 값이 경우에는 자음 이중 조합(ㄲ, ㄸ, ㅃ, ㅆ, ㅉ)의 문자 조합 테이블로서(S24), 완성형 키 값이 출력된다(S34).
그리고, 단계 S22의 판단결과 입력한 키 값이 중성일 경우 이전 입력값 유무를 확인하고(S25), 이전 입력값이 있을 경우에는 초성/중성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S26), 초성일 경우에는 초성과 중성의 조합에 의한 문자 조합 테이블로서(S27), 문자 표시부에 완성형 문자가 출력된다(S34). 그리고 상기 단계 S26 판단결과 입력한 키 값이 중성일 경우 중성과 중성 조합에 의한 한글로서(S28), 문자 조합 테이블에 의해 완성형 문자가 문자 표시부에 표시된다(S34).
상기 단계 S22의 판단결과 종성일 경우 이전 입력값 유무를 확인하고(S30), 이전 입력값이 있을 경우에는 현재 입력값이 자음이고(S31),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문자 조합 테이블로서(S32), 문자 표시부에 완성형(키 값 출력) 문자가 출력된다(S34). 그리고, 단계 S30의 판단결과 이전 입력값이 없을 경우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문자 조합 테이블로서 한글이 완성되어 완성형 문자로서 표시된다(S33,S3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의하면, 입력 자판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역이 극히 제한된 기존 PDA나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자음 14자와 모음 2자로 구성된 최소한의 입력 버튼으로 최소한 40개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입력 할 수 있으며, 한글의 초/중/종성을 완벽히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4개의 자음을 일대일로 대응하여 할당된 14개의 버튼과;
2개의 모음 및 이와 유사한 모음의 입력을 적어도 한 번 이상 버튼의 선택으로,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모음 입력 버튼 및 그 버튼의 상/하/좌/우 위치별 버튼을 포함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14개의 한글 기본 자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고,
두 개의 ㅗ와 ㅡ의 모음을 해당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하며,
상기 두 개의 모음 키의 상, 하, 좌, 우 방향 표시에 따른 선택적인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자음과 모음을 조합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ㅗ 키의 상측에는 ㅗ,ㅛ를 할당하고, 하측에는 ㅜ,ㅠ를 할당하며, 좌측에는 ㅓ,ㅕ를 할당하고, 우측에는 ㅏ,ㅑ를 할당하고,
상기 모음 ㅡ 키의 상/하측에는 ㅣ, 좌/우측에는 ㅡ를 배치하여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키를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버튼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음 입력 버튼에 할당된 위치별 모음은 클릭 또는 선택적인 누름 이동을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2001-0068763A 2001-11-06 2001-1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411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63A KR100411365B1 (ko) 2001-11-06 2001-1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63A KR100411365B1 (ko) 2001-11-06 2001-1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36A KR20030037536A (ko) 2003-05-14
KR100411365B1 true KR100411365B1 (ko) 2003-12-18

Family

ID=2956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63A KR100411365B1 (ko) 2001-11-06 2001-11-06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42B1 (ko) * 2007-01-22 2008-07-11 김기주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235A (en) * 1991-09-03 1996-06-18 Edward D. Li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KR20010000173A (ko) * 2000-07-22 2001-01-05 조관현 Pcs 단말기의 확장키보드 장치
KR20010108593A (ko) * 2000-05-30 2001-12-08 김종한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93280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235A (en) * 1991-09-03 1996-06-18 Edward D. Li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JPH09116605A (ja) * 1995-10-16 1997-05-02 Sony Corp 電話装置
KR20010108593A (ko) * 2000-05-30 2001-12-08 김종한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00173A (ko) * 2000-07-22 2001-01-05 조관현 Pcs 단말기의 확장키보드 장치
KR20020093280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42B1 (ko) * 2007-01-22 2008-07-11 김기주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36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JPWO2008029492A1 (ja) 入力装置
KR100749137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113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메트릭스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0322914B1 (ko)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4004372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100350781B1 (ko) 조그다이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3704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20090010144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숫자 조합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053971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0623061B1 (ko)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73890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29782B1 (ko)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KR100655552B1 (ko)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5078107A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90468Y1 (ko)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