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986A -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 Google Patents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986A
KR20160090986A KR1020150010851A KR20150010851A KR20160090986A KR 20160090986 A KR20160090986 A KR 20160090986A KR 1020150010851 A KR1020150010851 A KR 1020150010851A KR 20150010851 A KR20150010851 A KR 20150010851A KR 20160090986 A KR20160090986 A KR 2016009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peaker
electrode layer
microphon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남
박원상
안이준
원병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0986A/ko
Priority to US15/004,669 priority patent/US9838766B2/en
Publication of KR2016009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68Non-printed resona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표시영역과 그 외주의 비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에어홀 하부에 대응하여 장착된 동시 변환가능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되어 구동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름타입 또는 소형의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를 표시패널과 연결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와, 표시패널 세트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고,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 구동회로를 표시패널 구동회로로 이전시킴에 따라서 PCB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마이크로 동시 변환가능한 필름형태로 세트의 상하구분이 없어서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도 줄일 수 있고, 전체 세트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평판 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Flat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and Mick Therein}
본 발명은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와 마이크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필름형 스피커를 표시패널과 일체화하여 구동을 연결시키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 또는 편광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중 액정 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 사이에 액정 셀을 가지는 반면에,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화소 영역과 주변 영역을 제공하는 기판과, 밀봉(encapsulation)을 위해 기판 위에 무기막과 유기막을 한층 이상 교대로 적층하여 봉지하는 플렉서블한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TF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평판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으로 구획된 비표시 영역에는 드라이버 IC와 접속하는 패드들 및 표시 영역과 패드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패드들에는 외부로부터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기존의 스피커와 마이크 부착형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스피커 및 마이크의 배선들은 각각 연결하는 별개의 PCB를 형성하고, 이들을 상기 표시패널과, 스피커, 마이크가 함께 포함되는 시스템 내에 시스템 구동 회로부(미도시)에 연결하였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의 배선들은 별개의 PCB‘“들에 각각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어렵고, 드라이버 IC에서 이들의 연결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회로 집적화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가 개별적으로 상기 표시패널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외장 형태로 설치되므로, 세트 조립 시 상하방향을 고려하여 야하며,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의 배선들을 각각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복수개의 기판 소요로 인한 전체 장치 두께의 증가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타입 또는 소형의 필름형 스피커를 표시패널과 연결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 세트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고, 필름형 스피커 구동회로를 표시패널 구동회로로 이전시킴에 따라서 PCB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마이크로 동시 변환 가능한 필름형태로 세트의 상하구분이 없어서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도 줄일 수 있고, 전체 세트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평판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피커와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표시영역과 그 외주의 비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에어홀 하부에 대응하여 장착된 동시 변환가능한 필름형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필름형 스피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되어 구동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타입 또는 소형의 필름형 스피커를 표시패널과 연결하여 구동시킴으로써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 세트 조립을 단순화할 수 있고, 필름형 스피커 구동회로를 표시패널 구동회로로 이전시킴에 따라서 PCB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마이크로 동시 변환가능한 필름형태로 세트의 상하구분이 없어서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도 줄일 수 있고, 전체 세트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마이크와 스피커 부착형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4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 5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피커와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표시패널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완전한 설명을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스피커와 마이크 부착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스피커와 마이크 부착형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하는 표시영역(2)과 상기 표시영역(3)과는 상관없이 가려지는 비표시영역(4)을 포함하며, 서로 대향하는 제 1, 제 2 기판(11, 13)과, 상기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3)의 배면 각각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표시패널(10)과, 상기 표시패널(10)을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15)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스피커(30) 또는 마이크(50)와, 상기 표시 패널 (10)의 상부를 보호하며, 상기 스피커(30) 또는 마이크(50)에 대응하는 부분에 음향의 유출입을 위한 에어홀(6, 8)을 갖는 윈도우층(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10)의 제 1 기판(11) 상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Gate) 및 데이터 라인(Data)과,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화소 영역에는 화소 전극(미도시)이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10)은 상기 제 1 기판(11)의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제1 PCB(Printed Circuit Board)(8)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피커(30) 및 상기 마이크(50)에 대해서 전원을 인가하고 음원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 2 및 제3 PCB(18', 18")가 필요하다.
보통, 상기 제 1 내지 제3 PCB(8, 8', 8")를 상기 표시패널(10), 상기 스피커(30) 및 상기 마이크(50)가 각각 장착되는 프레임(15) 배면에 배치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패널(10), 상기 스피커(30) 및 상기 마이크(50)의 배선들은 각각의 상기 제 1 내지 제3 PCB(8, 8', 8")에 필름 형태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19)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상술한 기존의 스피커와 마이크 부착형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10), 상기 스피커(30) 및 상기 마이크(50)의 배선들은 각각 연결하는 별개의 상기 제 1 내지 제3 PCB(8, 8', 8")를 형성하고, 이들을 상기 표시패널(10)과, 스피커(30), 마이크(50)가 함께 포함되는 시스템 내에 시스템 구동 회로부(미도시)에 연결하였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0), 상기 스피커(30) 및 상기 마이크(50)의 배선들은 별개의 상기 제 1 내지 제3 PCB(8, 8', 8")에 각각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어렵고, 드라이버 IC에서 이들의 연결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회로 집적화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30, 50)가 개별적으로 상기 표시패널(10)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외장 형태로 설치되므로, 세트 조립 시 상하방향을 고려하여 야하며,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30, 50)의 배선들을 각각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복수개의 기판 소요로 인한 전체 장치 두께의 증가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 패널(100)은 표시영역(102) 및 비표시영역(104)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표시영역(102)은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곳이며, 비표시영역(104)은 안료의 증착이나 인쇄에 의해 전극회로를 가리는 영역으로서, 불투명한 영역이다. 상기 비표시영역(104)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홀(106, 10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홀(106)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필름형 스피커의 진동을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을 하는 부분이나 외부의 음파를 필름형 스피커로 전달하는 마이크 기능을 하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100)은 윈도우층(150)의 비표시영역(104)에 있어서, 그 필름형 스피커 또는 마이크 에어홀(106, 108)에 대응하여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가 동시에 변환 가능한 필름형태로 일체화되어 상부에 스피커(30') 또는 하부에 마이크(50')와 같이 상하 구분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다.
다만 설명을 위하여 도면번호(30')에 대해서는 필름형 스피커로 도면번호 (50')에 대해서는 필름형 마이크로 하지만, 이들을 서로 동시에 변환 가능한 것으로 필름형 스피커로 대표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가 표시패널(100)과 일체화되어 그 배선이 서로 연결되어 구동이 연결되거나, 상기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104)에 형성된 패드에 연결된 필름 형태의 FPC부(190)를 이용하여 하나의PCB(180)에 구동 연결하므로 PCB(180)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PCB(180)에 대한 세트 조립공정이 단순화됨을 알 수 있다.
상기 FPC부(190)는 유연한 성질을 갖는 베이스필름 상에 다수의 신호배선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에는 다수의 입출력핀이 각각 구성된다. 이러한 FPC부(190)는 일단의 입력핀을 통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배선들과 접속되며 타단의 출력핀을 통해 상기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배선 및 게이트 배선과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다수의 링크배선이 실장되어 금속전극층으로 이루어진 컨택트 패드부(111, 113)를 형성하고 상기 FPC부(19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표시패널(100)의 타 끝단에는 다수의 COF(Chip On Film)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COF는 인쇄회로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변형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변형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스피커와 표시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변형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200)은, 기본적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하부기판(210, 230)과,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을 보호하도록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의 비표시영역(202)에 에어홀(206, 208)을 갖는 윈도우층(250)과, 상기 상부기판(210)과 상기 윈도우층(250)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상기 상부기판(210)과 상기 하부기판(230) 사이의 편광 또는 발광물질층의 작동에 따라 편광기능을 수행하는 편광판(270)과, 상기 편광판(270)을 지지 및 보상하기 위한 합성수지보호층(260)을 포함하며, 필름형 스피커(30') 또는 필름형 마이크(50')는 상기 에어홀(206, 208) 하부에서 상기 윈도우층(250)에 일체화되어 상기 표시패널(200)의 비표시영역(20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패드부(211, 231)에 연결되는 FPC부(290)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IC(280)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은 강성기재로 이루어지며, 비표시영역(204)에서 상기 상부기판(210)의 제 1 패드부(211)나 상기 하부기판(230)의 제 2패드부(231)가 노출되도록 서로 오프셋 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부기판(210)의 가장자리에 도출되는 게이드라인 또는 데이터라인이 연결되는 제1 패드부(211)에 출력단이 연결되는 제 1 FPC부(291)의 입력단에 상기 필름형 스피커(30')의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스피커(30')는 필름형 스피커 기판(31'), 상기 필름스피커 기판(31')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홀(206) 내부에 장착되는 보호캡(33'), 상부필름스피커전극층(35'), 및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37')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부 필름 스피커전극층(37')이 제 1 한 쌍의 접착부(38')를 매개로 상기 제1 패드부(111)에 일단이 접속되는 상기 제 1 FPC부(191)의 타단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37')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한 쌍의 접착부(38')가 배치되며, 상기 제 1한 쌍의 접착부(38')상에 상기 필름스피커기판(31')이 설치됨으로써 하부에 진동 공간(36')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한 쌍의 접착부(38') 상부에 제 2 한 쌍의 접착부(39')가 배치되고 그 위에 상기 상부필름스피커전극층(35')이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37')에 대해 접속되도록 양측으로 벤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름스피커기판(31') 상부에도 진공 공간(3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은 강성기재로서 타측으로 돌출되는 하부기판(230)의 가장자리에는 제2패드부(231)가 돌출되는데, 상기 제 2 패드부(231)에 대해 상기 필름형 마이크(50')의 구동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3 한 쌍의 접착부(58')을 매개로 제2FPC부(293)가 접속될 수 있으며, 드라이브 IC(280)가 집적화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필름형 마이크(50')는 필름형 마이크 기판(51'), 상기 필름마이크 기판(51')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홀(206) 내부에 장착되는 보호캡(53'), 상부필름마이크전극층(55') 및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5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57')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3 한쌍의 접착부(58')가 배치되며, 상기 제 3한쌍의 접착부(58')상에 상기 필름마이크기판(51')이 설치됨으로써 하부에 진동 공간(5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한쌍의 접착부(58') 상부에 제 4 한쌍의 접착부(59')가 배치되고 그 위에 상기 상부필름마이크전극층(55')이 일단이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57')에 대해 접속되도록 양측에서 벤딩되기 때문에 상기 필름마이크기판(51') 상부에도 진공 공간(5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기판(210, 230) 또는 상기 윈도우층은 강화유리(tempered glass)나 일반 판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화유리는 성형 판유리를 유리전이온도(Tg)에 가까운 500 내지 600 ℃로 가열하고,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부를 압축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켜 강화한 유리 또는 이온치환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강화한 유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은 투명하면서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필름은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패널(200)이 액정패널인 경우에는 상기 하부기판(130)에 액정 배열에 따라 표시를 하기 위한 화소영역(23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판(230)상에서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233)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Gate) 및 데이터 라인(Dat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210)에는 공통전극을 구성하는 투명전극층(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층(213)은 투명하면서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을 증착하고 일정한 패턴으로 식각함으로써 형성되는데, ITO(Indium Tin Oxide)인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 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Carborn Nano Tube), 전도성 고분자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213)의 두께는 ITO로 하는 경우에, 0.01 내지 0.02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0.01 ㎛보다 더 얇은 경우에는 도전성에 문제가 생길 뿐 아니라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0.02 ㎛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는 필요한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식각 공정을 수행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부(111, 131)는 투명전극 링크(211a, 231a)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ACF(211b, 231b)와, 상기 투명전극 링크(211a, 231a)보다 도전성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층(211c, 23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부(111, 131)는 상기 투명전극층(113)의 양측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압을 가하여 상기 투명전극층(113)의 양단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금속전극층(211c, 231c)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은(A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의 합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전극층(211c, 231c)은 해당 금속 페이스트의 인쇄나 증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름스피커기판(31')은 압전고분자필름 또는 유리(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필름스피커기판(31')을 유리로 하는 경우 압전고분자필름을 적용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으나 스피커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압전고분자필름은 절연체인 고분자 필름으로서, 불화폴리비닐리덴(Polyvinyllidene Fluoride, PVDF)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EE), 불화에틸렌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FEP) 등의 다른 불소수지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35', 37')은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부기판(110) 하부에 형성된 투명전극층(113)과 다른 전기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불투명한 도전성 물질인 금속으로 형성하여 필름스피커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제1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37')은 상기 금속전극층(211c, 231c)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홀(206, 208)은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마이크(30',50')가 직접 공기에 노출되고, 노출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마이크(30', 50')의 상하에 공기층이 자리 잡음으로써, 음파의 전달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홀(206, 208)의 단면의 형태나 크기는 표시패널(200)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종류나 디자인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기판(210)과 하부기판(230)을 오프셋되게 배치하여 노출되는 상기 상부기판(210)의 제 1 패드부(211)와 상기 하부기판(230)의 제 2 패드부(231)에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291, 293)를 이용하여 윈도우층(2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 IC(280)에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패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불필요하며, 기존공정을 사용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2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표시패널(3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302)과 비표시영역(3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 3의 200)과 동일하다.
상기 제 2 표시패널(3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 1표시패널(3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은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비표시영역(304)에 있어서, 스피커 에어홀(306) 하부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기판(310, 330)이 마찬가지로 강성을 가지고,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마이크 에어홀(308) 하부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330)이 상기 상부기판(310)보다 길게 연장되어 드라이버 IC(380)가 설치 및 집적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310)과 상기 윈도우층(350) 사이에 편광기능을 위한 편광층(370)을 더 갖되, 이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보호층(270)에 매립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311)이 유리나 합성수지로된 상기 상부기판(310)에 대해 상기 편광층(250)이 정전기 등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상기 편광층(250) 하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패널(20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FPC부(391, 393)를 이용하여 윈도우층(3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금속전극층인 하부필름전극층(37')과 표시패널(300)을 구동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층(311)에 접속되는 공통 컨택트 패드부(311)를 상기 합성수지층(360)내에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311)는 투명전극층(311a)와, 그 위에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311b)과 금속전극층(311c)을 가지며, 상기 투명전극층(311)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311)를 상기 상부기판(310) 상부의 상기 합성수지보호층(260)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391, 393)가 거의 같은 높이에서 평행하게 연장하기만 하면 되므로 배선이 용이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391, 393)가 절약되고, 상기 상하부기판(310, 330)을 오프셋시킬 필요가 없어서 세트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3표시패널(4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402)과 비표시영역(4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 도 3의 200)과 동일하다.
제 3 표시패널(4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 1표시패널(2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은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비표시영역(404)에 있어서, 스피커 에어홀(406) 하부까지 상기 상부기판(410)이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마이크 에어홀(408) 하부까지 상기 상부기판(410)이 연장되고, 상기 하부기판(430)은 상기 상부기판(410)과 오프셋되어 상기 마이크 에어폴(408)측에서 보다 길게 연장되어 드라이버 IC(480)를 설치 및 집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제 3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3표시패널(400)에 있어서, 윈도우층(4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이 표시패널(300)과 구동 연결하기 위하여 직접 상기 상부기판(410) 상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층(4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필름전극층(37', 57')은 투면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전극층(411)은 상기 상부기판(410)과, 상기 상부기판(410) 상부에 편광기능을 위하여 설치되는 편광층(470) 사이에 샌드위치 형성되며, 상기 편관층(470)과 상기 투명전극층(411)은 합성수지보호층(460)에 의해서 매립상태로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보호층(460)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근처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 접착부(38', 39')의 측면에 대해 결합하며, 결합측면을 따라서 상기 상부필름접착층(37', 57')이 벤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표시패널(400)은 상기 상부기판(410)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하부까지 연장되어 FPC부 없이 직접 상기 상부기판(410) 상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311)과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을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와 상기 표시패널(400)의 구동연결이 상부기판(410)상에 상기 합성수지보호층(460)에 의해 보호 지지되어 내구성 및 탈착 등에 의한 고장 우려가 감소될 수 있으며, FPC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서 FPC를 절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4표시패널(5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502)과 비표시영역(5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 3의 200)과 동일하다.
제 4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4 표시패널(5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 1표시패널(200)의 각층의 특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강성 기재로 이루어진 상부판 대신에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층(410)을 이용하며 화소영역(531)이 상기 박막 봉지층(410) 내부에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층(510)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소자 등을 밀봉할 수 있는 유기막 봉지층과 무기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4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4 표시패널(50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에, 기존의 액정표시패널과는 달리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부기판(530)을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Acry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등으로 사용함을 통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4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 4표시패널(500)에 있어서, 윈도우층(5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이 표시패널(500)과 구동 연결하기 위하여 직접 상기 박막봉지층(510) 상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층(5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필름전극층(37', 57')은 투면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박막봉지층(510)과 하부기판(530)이 윈도우층(5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하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투명전극층(511)은 상기 박막봉지층(510)과, 상기 박막봉지층(510) 상부에 편광기능을 위하여 설치되는 편광층(570) 사이에 샌드위치 형성되며, 상기 편관층(570)과 상기 투명전극층(511)은 합성수지보호층(560)에 의해서 매립상태로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합성수지보호층(560)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근처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 접착부(38', 39')의 측면에 대해 결합하며, 결합측면을 따라서 상기 상부필름접착층(37', 57')이 벤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표시패널(500)은 상기 박막봉지층(510) 및 하부기판(530)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 하부까지 연장되어 FPC부 없이 직접 상기 박막봉지층(510) 상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511)과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을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와 상기 표시패널(500)의 구동연결이 상기 박막봉지층(510)을 지지하는 하부기판(530)상에서 상기 합성수지보호층(460)에 의해 보호 지지되어 내구성 및 탈착 등에 의한 고장 우려가 감소될 수 있으며, FPC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서 FPC를 절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표시패널(6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602)과 비표시영역(6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3의 200)과 동일하다.
제 5 표시패널(6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1 표시패널(200) 또는 제 4표시패널(5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은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제 5 표시패널(600)은 상기 제 4 표시패널(500)과, 윈도우층(6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30') 또는 필름형 마이크(50')가 상기 제 5표시패널(600)의 공통 컨택트 패드부(611)에 연결되는 FPC부(690)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IC(680)에 구동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때, 표시영역(604)의 스피커 에어홀(606) 하부에 있어서, 박막봉지층(610)과 하부기판(630)이 동일한 길이를 갖되, 상기 스피커(30')로부터 이격설치되며, 마이크 에어홀(608) 하부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630)만이 상기 박막봉지층(610)보다 길게 연장되어 드라이버 IC(680)가 설치 및 집적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박막봉지층(610)과 상기 윈도우층(650) 사이에 편광기능을 위한 편광층(670)을 더 갖되, 이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보호층(660)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투명전극층(611)이 유리나 합성수지로된 상기 박막봉지층(610)에 대해 상기 편광층(670)을 정전기 등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상기 편광층(670) 하부에 더 포함됨은 제 4 표시패널(500)과 마찬가지이다.
제 5 변형실시예에 따른 제5 표시패널(60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FPC부(691, 693)를 이용하여 윈도우층(6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제5표시패널(600)을 구동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층(611)에 접속되는 공통 컨택트 패드부(611)를 상기 박막봉지층(610)상에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611)는 투명전극층(611a)와, 그 위에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611b)과 금속전극층(611c)을 가지며, 상기 투명전극층(611)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611)를 상기 박막봉지층(610) 상부의 상기 합성수지보호층(660)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691, 693)가 거의 같은 높이에서 평행하게 연장하기만 하면 되므로 배선이 용이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691, 693)가 절약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691, 693)의 배선탈락 등에 의한 고장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표시패널(7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702)과 비표시영역(7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3의 200)과 동일하다.
제 6 표시패널(7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 1표시패널(200) 또는 제 4 표시패널(5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은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제 6 표시패널(700)은 상기 제 5 표시패널(5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표시패널(500)과, 윈도우층(7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30') 또는 필름형 마이크(50')가 상기 제 6표시패널(700)의 공통 컨택트 패드부(711)에 연결되는 FPC부(790)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IC(780)에 구동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때, 표시영역(704)의 스피커 에어홀(706) 하부에 있어서, 박막봉지층(710)과 하부기판(730)이 동일한 길이를 갖되, 상기 스피커(30')로부터 이격설치되며, 마이크 에어홀(708) 하부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730)만이 상기 박막봉지층(710)보다 길게 연장되어 드라이버 IC(780)가 설치 및 집적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박막봉지층(710)과 상기 윈도우층(750) 사이에 편광기능을 위한 편광층(770)을 더 갖되, 제 6 표시패널(700)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770)을 상기 박막봉지층(710) 및 상기 하부기판(730)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상, 하의 지지층 사이에 편광자가 개재된 구조로 구현되는데, 상기 편광자는 입사되는 광의 편광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PVA(Poly Vinyl Alcohol)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를 흡수한 PVA 필름을 강한 장력으로 연신함을 통해 편광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광자의 상,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층은 상기 PVA 필름을 보호, 지지하기 위한 TAC(TriAcetyl Cellulose) 재질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편광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층을 제거하고, 상기 지지체를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현하거나, 상기 플렉서블 지지체 상에 코팅형 편광층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보호층(760)이 상기 편광층(770)상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6 표시패널(700)에 있어서, 상기 편관층(770)이 내부에 투명전극층(711)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FPC부(791, 793)를 이용하여 윈도우층(7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제6표시패널(700)을 구동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층(711)에 접속되는 공통 컨택트 패드부(711)를 상기 편광층(770) 내에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711)는 투명전극층(711a)와, 그 위에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711b)과 금속전극층(711c)을 가지며, 상기 투명전극층(711)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711)를 상기 편광층(770) 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791, 793)가 거의 같은 높이에서 평행하게 연장하기만 하면 되므로 배선이 용이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791, 793)가 절약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791, 793)의 배선탈락 등에 의한 고장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표시패널(800)의 평면구조는 표시영역(702)과 비표시영역(504)으로 구분되고, 이는 제 1 표시패널(도3의 200)과 동일하다.
제 7 표시패널(800)을 이루는 각층의 특성은 제 2표시패널(300)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그 부분은 참조하기로 한다.
다만, 제 7 표시패널(800)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870)이 편광판과 같이 강성기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투명전극층(811)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FPC부(891, 893)를 이용하여 윈도우층(850)에 일체화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제7표시패널(800)을 구동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층(811)에 접속되는 공통 컨택트 패드부(811)를 상기 편광층(870) 내에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811)는 투명전극층(811a)와, 그 위에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층(811b)과 금속전극층(811c)을 가지며, 상기 투명전극층(811)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통 컨택트 패드부(811)를 상기 편광층(870) 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30', 50')의 하부필름전극층(37', 57')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891, 893)가 거의 같은 높이에서 평행하게 연장하기만 하면 되므로 배선이 용이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891, 893)가 절약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FPC부(891, 893)의 배선탈락 등에 의한 고장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30, 30': 스피커
50, 50': 마이크
311, 411, 511, 611, 711, 811 : 공통 컨택트 패드부
313, 413, 513, 613, 713, 813 : 공통 컨택트 패드부
291, 691, 791, 891 : 제 1 FPC 부
293, 693, 793, 893 : 제 2 FPC 부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표시패널
110, 210, 310, 410, 810 : 상부기판
510, 610, 710 : 박막봉지층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하부기판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편광층

Claims (13)

  1. 표시영역과 그 외주의 비표시영역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비표시영역의 에어홀 하부에 대응하여 장착된 동시 변환가능한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필름형 마이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화되어 구동이 연결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하부기판과, 상기 상하부기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상하부기판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을 갖는 윈도우층과,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윈도우층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사이의 편광 또는 발광물질층의 작동에 따라 편광기능을 수행하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을 지지 및 보상하기 위한 합성수지보호층을 포함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상기 필름형 마이크는 필름형 스피커 또는 마이크 기판, 상기 필름스피커 또는 마이크 기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홀 내부에 장착되는 보호캡, 상기 필름형 스피커 또는 마이크 기판을 중심으로 한 쌍의 이방성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부필름 스피커전극층 또는 상부필름 마이크전극층과 하부필름 스피커전극층 또는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을 포함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은 서로 오프셋되어 각각 가장자리에 상기 표시패널의 신호라인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패드부를 노출시켜, 필름형태의 제 1 및 제2 FPC부의 일단과 접속하고, 그 타단을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과 접속하여 구동 연결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에어홀에서 멀리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과 접속하도록 상기 합성수지보호층 내에 공통 컨택트 패드부를 형성하여, 필름형태의 제 1 및 제2 FPC부의 일단과 나란하게 접속하고, 그 타단을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과 나란히 접속하여 구동 연결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은 상기 투명전극층보다 전도율이 좋은 금속전극층을 사용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이 상기 에어홀 하부까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편광층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과 접속하도록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이 연장되어 구동 연결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이 상기 투명전극층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9. 제 5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유기봉지막 또는 무기봉지막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박막봉지층인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아크릴(Acry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은 상기 에어홀에서 멀리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편광층 내에 배치되는 투명전극층과 접속하도록 상기 편광층 내에 공통 컨택트 패드부를 형성하여, 필름형태의 제 1 및 제2 FPC부의 일단과 나란하게 접속하고, 그 타단을 상기 하부필름스피커전극층 또는 상기 하부필름마이크전극층과 나란히 접속하여 구동 연결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강성 편광판으로 구성되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유기봉지막 또는 무기봉지막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박막봉지층이며, 상기 편광층은 플렉시블한 기재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KR1020150010851A 2015-01-22 2015-01-22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KR20160090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51A KR20160090986A (ko) 2015-01-22 2015-01-22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US15/004,669 US9838766B2 (en) 2015-01-22 2016-01-22 Speaker and microphone integrated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51A KR20160090986A (ko) 2015-01-22 2015-01-22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986A true KR20160090986A (ko) 2016-08-02

Family

ID=5643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51A KR20160090986A (ko) 2015-01-22 2015-01-22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38766B2 (ko)
KR (1) KR201600909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702A (ko)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20230000417U (ko) * 2021-08-19 2023-02-28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0991B2 (en) * 2016-07-06 2018-10-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echanically out-of-phase speakers
JP2018026774A (ja) * 2016-08-12 2018-02-15 ▲隆▼造 宇田川 小型情機器のディスプレイマイク スマートデバイスと携帯の相互同時操作機能を可能とするディスプレイマイク
KR101807146B1 (ko) * 2016-09-09 2017-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고감도 마이크로폰 및 그 제조 방법
CN107786696B (zh) * 2017-12-13 2024-06-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幕及移动终端
KR102386452B1 (ko) * 2018-05-02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99439B2 (en) * 2018-09-11 2021-08-24 Apple Inc. Display device assembly having a spacer layer surrounding the integrated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364B1 (ko) 2005-03-0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19134A1 (en) * 2005-07-19 2007-01-25 Won-Sang Park Polarizing film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23853A (ko)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마이크와 카킷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294668B1 (ko) 2006-12-27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
US20090074226A1 (en) 2007-09-14 2009-03-19 William Chris Eaton Pcb with embedded speaker assembly
US20090196452A1 (en) * 2008-02-05 2009-08-06 Fortemedia, Inc. Microphone assembly capable of avoiding deformation and shifting of non-woven fabric
JP2012114683A (ja) * 2010-11-25 2012-06-14 Kyocera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エコー低減方法
CN103514818A (zh) 2012-06-15 2014-01-15 鑫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装置
JP6075163B2 (ja) * 2013-03-29 2017-02-08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防水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702A (ko)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20220054555A (ko) * 2017-12-19 202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20230000417U (ko) * 2021-08-19 2023-02-28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38766B2 (en) 2017-12-05
US20160219354A1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986A (ko)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TWI737745B (zh) 可撓性顯示裝置
KR10184933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208900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multiple supporting members
CN105209967A (zh) 拼接显示器
TW201919227A (zh) 一種顯示器件
CN110911451A (zh) 电子设备及制造其的方法
WO2014028128A1 (en)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KR10190125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280807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ircuit board having sound generator
JP2022515638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246882A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US12089381B2 (en) Display device
WO2017022609A1 (ja) 表示パネル
US2011005107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649254B2 (en) Display
US1050928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445297B2 (en) Display device
TWI674523B (zh) 觸控顯示裝置
KR20210076299A (ko) 표시 장치 및 입력 센서
US12200991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JP2004093718A (ja) 表示装置
US20130128445A1 (en) Electronic product with video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09122318A (ja) 表示装置
KR20210145025A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