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77B1 -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77B1
KR102074577B1 KR1020180056529A KR20180056529A KR102074577B1 KR 102074577 B1 KR102074577 B1 KR 102074577B1 KR 1020180056529 A KR1020180056529 A KR 1020180056529A KR 20180056529 A KR20180056529 A KR 20180056529A KR 102074577 B1 KR102074577 B1 KR 10207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portable terminal
plate
fixing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754A (ko
Inventor
남동훈
Original Assignee
남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동훈 filed Critical 남동훈
Priority to KR102018005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내장되는 칩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칩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되는 칩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BUILT-IN CHIP}
아래의 실시예들은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칩이 내장되어 칩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도모하기 위한, 보호커버, 거치대 등 다양한 액세서리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회로로 구성되며, 특히 수동형(Passive) RFID는 판독기의 전원으로 태그의 정보를 읽어 전송하고 판독기 측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어,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여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그 적용 범위가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는 카드 등에 내장되어 교통카드, 신용카드, 도어락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RFID 태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 이외에 별도의 RFID 태그가 내장된 카드 등을 휴대하면서 꺼내어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282호는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282호
실시예들은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칩이 내장되어 칩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에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접목한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뿐만 아니라, 칩(카드)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내장되는 칩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칩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되는 칩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칩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칩 고정판은 저면부 일측에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상기 슬릿에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칩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일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내부에 홀(hole)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의 홀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 형상의 제1 부재; 및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상의 제2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기 상판과 상기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링 부재는,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상기 홈부가 변형되어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접목한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뿐만 아니라, 칩(카드)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 및 칩(200)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칩 고정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으로, 칩(200)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칩(200)을 수용하기 위해 칩 고정판(160)이 구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상판(110), 바디(120), 하판(130) 및 칩 고정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링 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판(110)과 바디(120)의 결합 시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상판(1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상부에는 칩 고정판(160)이 안착되는 안착부(111)가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홀(hole)(11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111)는 상판(1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패인 공간을 형성하여 칩 고정판(160)이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판(110)의 안착부(111)에는 일측에 구멍 형태의 슬릿(114)이 형성되어, 칩 고정판(16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1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판(110)은 칩(200)을 수용하는 것으로, 금속 소재가 칩(200)을 가리면 안된다. 즉,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스마트링의 링 부분 등과 같이 전면부에 철판이나 알루미늄 등 금속 소재가 들어갈 경우 내장된 칩(2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칩 고정판(160)은 칩(200)이 수용되는 수용부(161)가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에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예컨대, 칩 고정판(160)은 저면부 일측에 상판(110)의 슬릿(114)과 대응되는 슬릿 형상의 돌출부(163)가 구성되어 슬릿(114)에 돌출부(16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63)에는 칩(200)의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칩 고정판(160)의 수용부(161)의 내부 중앙에는 관통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칩(200)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에 내장되어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칩(카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칩(200)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칩(200)은 교통카드뿐 아니라, 회원카드, 출입카드, 보안키, 체크카드,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IC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칩(200)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티머니 카드의 IC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티머니 카드는 통상의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티머니 카드로, 교통카드의 충전 정보 등이 저장되는 IC 칩 및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는 RFID 태그 모듈을 구비한다. 티머니 카드를 카드 리더기에 근접시키면,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카드 리더기와 IC 칩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IC 칩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카드 리더기가 읽고, 이를 데이터 처리하여 IC 칩에 재저장시킨다.
이러한 티머니 카드의 RFID 태그 모듈은 티머니 제공사가 제공하는 보안카드(PerSam) 및 발급전문이 있어야 해당 IC 칩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인증 받아 보안이 설정된 프로그램으로 카드 리더기(또는 RF 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고, 발급전문 상의 데이터를 RFID 태그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티머니 제공사가 티머니 태그 모듈을 최초로 발급할 때, 티머니 태그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 또는 태그 아이디를 생성하여 IC 칩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칩(200)과 분리되지 않는 칩 고정판(160)에 고유번호를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칩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200)에는 고유번호가 있다. 칩(200)이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에 내장되기 위해서는 칩(200)과 분리되지 않는 칩 고정판(160)에 고유번호를 기재하여야 한다. 이러한 칩(200)의 고유번호는 칩과 분리될 수 있는 부분에 넘버링이 불가능하다.
칩 고정판(160)을 이용하는 경우, 칩(200)이 안착되는 부분을 따로 떼어 내어 칩(200)을 결합 후 칩(200)의 고유번호를 넘버링할 수 있으며, 이후 칩(200)이 포함된 칩 고정판(160)을 상판(110)에 조립 시 칩(200)의 고유번호가 보일 수 있도록 상판(110)에 구멍을 내어 칩(200)의 고유번호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칩 고정판(160)의 전면부에 기재하는 경우 심미적 효과를 저해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덮개 등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저면부에 고유번호를 기재하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판(110)의 저면을 통해 칩(2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판(110)에는 슬릿(114)을 구성하고 칩 고정판(160)의 저면부에는 칩(200)의 고유번호가 기재된 돌출부(163)를 구성하여, 슬릿(114)에 돌출부(163)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판(110) 및 칩 고정판(16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부(163)에 기재된 칩(2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에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접목한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뿐만 아니라, 칩(카드)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하측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파지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바닥 또는 별도의 장치에 지지 시 사용자가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는 각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교통카드 등의 기능의 칩(카드)이 내장되어 칩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 및 칩(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상판(110), 바디(120), 하판(130), 제1 부재(140), 제2 부재(150) 및 칩 고정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링 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의 상부에는 칩 고정판(160)이 안착되는 안착부(111)가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홀(hole)(112)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111)는 상판(1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패인 공간을 형성하여 칩 고정판(160)이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10)은 소정 두께의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판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패인 직사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칩 고정판(16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판(110)은 원판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상 다양한 디자인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판(110)의 안착부(111)에는 일측에 구멍 형태의 슬릿(114)이 형성되어, 칩 고정판(16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1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판(110)은 홀(112)이 형성되는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부(113)가 구성되어 바디(120)의 상부를 수용하며, 상판(110)보다 연질의 바디(120)의 상부가 압착 시 또는 당기는 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아일렛(eyelet) 등의 부재(140, 150)의 결합을 활용하여 상판(110)과 바디(120)의 결합 시 아일렛의 압착하는 힘 또는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당기는 힘에 의하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연질의 바디(120)의 상단부(121)가 휘어지면서 상판(110)과 바디(120) 사이의 밀착부위가 살짝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여 상판(110)의 하단 부분을 원형의 돌기처럼 내려 우레탄 바디(120)의 상단부(121)를 감싸 마감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심미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바디(120)는 상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판(110)의 홀(112)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12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연질의 원통 형상 또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파지를 용이하게 하거나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20)를 휴대 단말기와 부착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 바디(120)의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을 파지하게 되며, 이 때 휴대 단말기와 손가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있어 자연스럽게 손가락이 휘어 감는 형상이 되므로 보다 편하게 휴대 단말기를 감싸듯이 파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120)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부는 상판(110)과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121)와, 상단부(121)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경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부는 제1 바디부의 경사부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중단부(123)와, 중단부(123)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2 경사부(124)와, 제2 경사부(124)와 연결되고 하판(130)을 수용하는 링 형상의 하단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 내에 제1 바디부가 수용되거나 제2 바디부의 하단부(125) 내에 중단부(123) 및 제2 경사부(124)가 수용된 후, 다시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의 하단부(125) 내에 중단부(123), 제2 경사부(124) 및 제1 바디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한번의 큰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의 하단부(125) 내에 중단부(123), 제2 경사부(124) 및 제1 바디부가 한번에 수용될 수 있다.
하판(130)은 바디(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 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3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판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상 다양한 디자인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판(110) 및 하판(130)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판(110)의 크기를 하판(130)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하여 미는 힘을 통해 압착시킨 후 당기는 힘을 통해 바디(120)를 팽창시킬 때,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상판(110)을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13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40)는 상판(110)의 홀(112)에 삽입되어 바디(120)의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40)는 머리부(141) 및 몸체부(142)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1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재(150)는 제1 부재(140)와 결합되는 것으로, 바디(1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제1 부재(140)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2 부재(150)는 내부에 홀(152)이 형성된 링 형상(1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140) 및 제2 부재(150)는 금속의 아일렛(eyelet)으로 이루어져, 압착에 의해 각각 상판(110)과 바디(120)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1 부재(140) 및 제2 부재(15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110)과 바디(120)의 결합 시 제1 부재(140) 및 제2 부재(150)의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판(110)과 연질의 바디(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칩 고정판(160)은 칩(200)이 수용되는 수용부(161)가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에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예컨대, 칩 고정판(160)은 저면부 일측에 상판(110)의 슬릿(114)과 대응되는 슬릿 형상의 돌출부(163)가 구성되어 슬릿(114)에 돌출부(16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63)에는 칩(200)의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칩 고정판(160)의 수용부(161)의 내부 중앙에는 관통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링 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링 부재(17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120)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한편, 바디(120)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바디(1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126)가 형성될 수 있고, 하판(130)은 몸체(131)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132)가 형성되어, 바디(120)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돌기부(132)가 홈부(126)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링 부재(170)는 바디(120)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연질로 이루어진 바디(120)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홈부(126)가 변형되어 돌기부(13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링 부재(170)의 내주면에는 바디(120)의 돌기부(132)의 끝단을 수용하는 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압축된 바디(120)를 복원하기 위해 사용자가 하판(130) 및 바디(120)를 파지하여 당기는 경우, 바디(120)의 하부에 구성된 홈부(126)가 하판(130)의 돌기부(132)를 고정시켜야 하나, 이 경우 힘이 돌기부(132)에 집중되어 바디(120)의 홈부(126)가 늘어날 수 있다. 이 때, 링 부재(170)를 바디(120)의 하부에 한번 더 감싸주어 집중되는 힘을 양측으로 분산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우레탄 바디(120)의 홈부(126)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링 부재(170)는 하판(130)의 돌기부(132)가 바디(120)의 홈부(126)에 결합된 형상을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판(110)과, 보다 연질인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20)가 서로 암수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가 약하여 힘주어 당길 경우 상판(110)과 바디(120)가 이탈하여 제품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판(110)과 바디(120)를 아일렛 등의 부재(140, 150)의 결합을 활용하여 단단하고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상판(110)과 바디(120)의 이탈로 인한 제품 분리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70)를 통해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켜줌으로써, 바디(120)의 홈부(126)가 늘어나 바디(120)와 하판(1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칩(200)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에 내장되어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칩(카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칩(200)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칩(200)은 교통카드뿐 아니라, 회원카드, 출입카드, 보안키,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IC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칩(200) 및 칩 고정판(160)과 상판(11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덮개는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판(110), 칩 고정판(160) 및 칩(200)을 수용하며,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는 하부에 상판(110)의 수용 후 외주면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판(11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덮개는 칩 고정판(160) 및 칩(200)이 결합되어 있는 상판(110) 상측에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특정 디자인을 덮어 씌워주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덮개는 소정의 탄성을 가져 상판(110)과 분리 후, 다른 디자인의 덮개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판(110)에 다양한 디자인의 덮개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특정 로고, 그림, 문자 등을 통해 광고 효과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소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상판과 바디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당기는 힘에 의해 상판과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파지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바닥 또는 별도의 장치에 지지 시 사용자가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는 각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항상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에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접목한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뿐만 아니라 칩(카드)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내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태블릿 PC, 스마트기기뿐만 아니라 휴대를 위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및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내장되는 칩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칩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성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되는 칩 고정판;
    내부 중앙에 홀(hole)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칩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의 홀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판;
    상기 상판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의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 형상의 제1 부재; 및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상의 제2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기 상판과 상기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판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패인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칩 고정판이 상기 패인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구멍 형태의 상기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칩 고정판은 저면부 일측에 상기 상판의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상기 슬릿에 상기 돌출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가 기재되어 외부에 노출되되,
    상기 칩 고정판에 상기 칩을 결합한 후 상기 칩의 고유번호를 넘버링하며, 상기 칩이 포함된 상기 칩 고정판을 상기 상판에 조립 시 상기 칩의 고유번호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칩은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IC 칩이며, 제공사가 태그 모듈을 최초로 발급할 때 태그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 또는 태그 아이디를 생성하여 상기 IC 칩에 기록하되, 상기 칩과 분리되지 않는 상기 칩 고정판에 상기 칩의 고유번호를 기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링 부재는,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상기 홈부가 변형되어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20180056529A 2018-05-17 2018-05-17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207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29A KR102074577B1 (ko) 2018-05-17 2018-05-17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29A KR102074577B1 (ko) 2018-05-17 2018-05-17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54A KR20190131754A (ko) 2019-11-27
KR102074577B1 true KR102074577B1 (ko) 2020-02-06

Family

ID=6872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29A KR102074577B1 (ko) 2018-05-17 2018-05-17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42Y1 (ko) * 2020-02-18 2021-05-10 주식회사 트리탑 Usb 메모리 착탈형 휴대기기용 핸드 그리퍼
KR102360972B1 (ko) * 2020-04-27 2022-02-08 정희정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102567990B1 (ko) * 2022-12-07 2023-08-17 주식회사 씨큐앤비 원패스키 기능을 탑재한 그립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101891667B1 (ko)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140A (ko) * 2004-07-23 2006-01-26 장창웅 Rf 칩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세서리, 이를이용한 광고 방법, 데이터 수집 및 광고효과 분석방법
KR101210762B1 (ko) * 2011-04-21 2012-12-10 이동훈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03379U (ko) * 2014-03-04 2015-09-14 이호천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101891667B1 (ko)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54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577B1 (ko)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6978940B2 (en) Contactless SIM card carrier with detachable antenna and carrier therefor
US6991172B2 (en) Contactless transaction card and adapter therefor
US20130331156A1 (en) Back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20147035A1 (en) Multifunctional battery box of a mobile telephone
KR200490903Y1 (ko) 거울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070091730A1 (en) Watchstrap
TW201031530A (en) Pen with USB storage device
KR200496958Y1 (ko)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US7760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personal data
US9128667B2 (en) Protective cover for slot and screen of mobile terminal
KR102072676B1 (ko) 영상 및 음악이 내장된 카드형태 앨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20058409A (ko) 스마트 단말기용 악세서리
CN106412176B (zh) 移动终端配件
KR100984137B1 (ko) 카드형 유에스비 장치
KR102671721B1 (ko)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및 그의 기하학적 착탈 구조체
US20050114584A1 (en) Multimedia access device
US20230351127A1 (en) Accessory for smart device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0487392Y1 (ko) 이동단말기 수납용 파우치
US7052312B2 (en) Multiple-in-one retaining seat
KR20160003288U (ko) 휴대폰케이스
KR20160003466U (ko) 휴대폰 케이스
US9544026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ccessing content at a device using a case for that device
KR20047925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