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72B1 -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72B1
KR102360972B1 KR1020200050904A KR20200050904A KR102360972B1 KR 102360972 B1 KR102360972 B1 KR 102360972B1 KR 1020200050904 A KR1020200050904 A KR 1020200050904A KR 20200050904 A KR20200050904 A KR 20200050904A KR 102360972 B1 KR102360972 B1 KR 10236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diameter
shaped part
purpo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470A (ko
Inventor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정 filed Critical 정희정
Priority to KR102020005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터치리스로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보안시스템, 공동현관 출입키, 회원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더를 제공한다. 다목적 홀더는, i) 제1 판형부, ii) 제1 판형부와 이격되고, 제1 판형부와 상호 마주하는 제2 판형부, 및 iii)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에 각각 연결되어 수축 및 신장 가능한 일체형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2 판형부는, i) 판형 버튼, ii) 판형 버튼을 사이에 두고 지지부의 반대편에서 판형 버튼 위에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용 칩셋, iii) 근거리 통신용 칩셋 위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용 칩셋을 덮는 절연층, 및 iv) 판형 버튼을 덮어서 근거리 통신용 칩셋과 절연층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i) 원기둥 형상의 통부, ii) 통부와 제1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1 수용부, 및 iii) 통부와 제2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과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은 각각 통부의 단면적보다 크다.

Description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MULTIPURPOSE HOLD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면서 터치리스(touchless)로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보안 시스템, 회원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됨에 따라 원격근무, 원격 강의, 화상회의 등 소위 언택트(untact) 비즈니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사람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우려로 인해 타인들과의 접촉을 꺼려한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제품들을 접촉없이 동작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른 사용자 또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이에 해당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점차 강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를 기울여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거치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935,212호
터치리스로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보안시스템, 공동현관 출입키, 회원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술한 다목적 홀더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는, i) 제1 판형부, ii) 제1 판형부와 이격되고, 제1 판형부와 상호 마주하는 제2 판형부, 및 iii)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에 각각 연결되어 수축 및 신장 가능한 일체형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2 판형부는, i) 판형 버튼, ii) 판형 버튼을 사이에 두고 지지부의 반대편에서 판형 버튼 위에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용 칩셋, iii) 근거리 통신용 칩셋 위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용 칩셋을 덮는 절연층, 및 iv) 판형 버튼을 덮어서 근거리 통신용 칩셋과 절연층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i) 원기둥 형상의 통부, ii) 통부와 제1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1 수용부, 및 iii) 통부와 제2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과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은 각각 통부의 단면적보다 크다.
제1 수용부는, i) 제1 판형부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직경 유지부, 및 ii) 직경 유지부와 연결되고 통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감소하는 직경 변화부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는, i) 제2 판형부와 연결되고 또다른 기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또다른 직경 유지부, 및 ii) 또다른 직경 유지부와 연결되고 통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감소하는 또다른 직경 변화부를 포함한다. 제1 판형부는, i) 휴대용 단말기와 부착되도록 적용된 부착판, 및 ii) 통부를 향해 부착판 위에 돌출한 링형 고정부를 포함한다. 링형 고정부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중심을 향해 돌출한 복수의 돌기부들을 포함하며, 직경 유지부에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홈들이 형성되고, 직경 유지부는 부착판 및 링형 고정부의 내면에 접하며,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직경 변화부 및 또다른 직경 변화부가 각각 제1 판형부측 및 제2 판형부측으로 함몰되면서 통부가 직경 유지부 및 또다른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고, 직경 유지부 및 또다른 직경 유지부가 상호 접하도록 적용된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센서 및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은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및 사용자 인증 매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덮개는 판형 버튼의 일측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의 작동 방법은 전술한 다목적 홀더를 사용하여 i)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를 각각 가압하는 단계, ii) 통부와 제1 직경 변화부의 접선부가 제1 판형부에 가까워지면서 직경 변화부가 제1 판형부측으로 함몰되고 통부가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는 단계, iii) 통부와 또다른 직경 변화부의 접선부가 제2 판형부에 가까워지면서 또다른 직경 변화부가 제2 판형부측으로 함몰되고 통부가 또다른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는 단계, iv)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판형부 및 제2 판형부를 각각 당기는 단계, 및 v) 통부가 각각 직경 유지부 및 또다른 직경 유지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목적 홀더를 도어락 키, 자동차 키, 보안시스템, 교통카드, 공동현관 출입키, 회원증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목적 홀더가 터치리스 형태로 사용되므로 사람들이 직접 손을 대지 않아도 되어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를 낮추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목적 홀더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비스듬하게 세울 수 있다. 특히, 다목적 홀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각도로 휴대용 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홀더가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므로, 그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휴대용 단말기가 잘 쓰러지지 않는다. 다목적 홀더는 안정적으로 작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목적 홀더를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1의 다목적 홀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길이 방향”은 다목적 홀더가 수축 및 신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다목적 홀더에 포함된 특정 부품의 길이 방향은 다목적 홀더가 수축 및 신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100)의 부분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다목적 홀더(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목적 홀더(100)는 제1 판형부(10), 제2 판형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제2 판형부(20)는 판형 버튼(201),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 절연층(205) 및 덮개(207)를 포함한다. 이외에, 다목적 홀더(100)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형부(10)는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배면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판형부(10)는 부착 용도로 사용되므로 적절한 접착력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에 부착만 하면 된다. 따라서 그 직경을 제2 판형부(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해도 좋다. 제2 판형부(20)는 z축 방향을 따라 제1 판형부(10)와 이격되어 제1 판형부(10)와 마주한다. 지지부(30)는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즉, 지지부(30)는 탄성 단일 소재,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몰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85D 또는 90D의 경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판형 버튼(201) 위에는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을 부착한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판형 버튼(201)을 사이에 두고 지지부(3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으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또는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고유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인증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또는 사용자 인증 매체 등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RFID 태그는 홀더를 이용해 판형 버튼(201) 위에 고정할 수도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RFID는 RF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인식 시스템을 의미하고, NFC는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을 의미한다. NFC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기술 및 무선 인식 기술과 상호 호환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통하여 예를 들면 도어락 등의 다른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모바일 결제 등을 이용하여 신용 카드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다목적 홀더(100)에 내장된 상태로 제조되어 외부 장치를 통해 다른 단말기와 상호 호환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안테나(미도시, 이하 동일)를 내장해 출력 전기 신호를 자유 공간에서 전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거나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신할 수 있다. 반대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자유 공간에서 떠다니는 무수히 많은 전파 중 원하는 전파만 전달받아 전기 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은 외부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가 전기 에너지를 전자기 유도, 전자기 공명 또는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전송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이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절연층(205)은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 위에 위치한다. 절연층(205)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205)은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을 덮어서 외부로부터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을 절연시켜 보호한다. 덮개(207)는 판형 버튼(201)을 덮어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과 절연층(205)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 한편, 덮개(207)의 외주면에는 회사 로고나 문양, 기타 문자, 기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다목적 홀더(100)를 고객 사은품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덮개(207)는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에폭시 스티커로 제조될 수 있다. 에폭시 스티커는 사은품용 또는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인쇄지 형태로 판형 버튼(201)을 바로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판형 버튼(201)과 덮개(207)를 원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네모 또는 별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다목적 홀더(100)를 스마트폰(P)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를 다른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목적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P)를 거치하기 위해 사용한다. 다목적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P)의 배면(PB)에 부착되어 경사져 기울어진 휴대용 단말기(P)가 넘어지지 않도록 휴대용 단말기(P)를 지지한다. 다목적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P)와 지면(G)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P)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휴대 가능하면서 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PD)를 가진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목적 홀더(100)는 휴대용 단말기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감싸서 보호하는 커버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판형부(10)는 휴대용 단말기(P)의 배면(PB) 또는 휴대용 단말기(P)를 감싸는 커버(미도시, 이하 동일)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판형부(10)의 일면에는 접착 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P)의 배면(PB) 또는 휴대용 단말기(P)를 감싸는 커버(미도시, 이하 동일)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2 판형부(20)는 z축 방향을 따라 제1 판형부(10)와 이격되어 제1 판형부(10)와 마주한다.
지지부(30)는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 사이에 위치하여 수축 및 신장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를 일체형으로 가공해서 지지부(30)로 제조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내구성을 가진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지지부(30)는 여러 개의 부품들이 모여서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작동 등이 없으며 그 내구성이 우수하다.
지지부(30)는 스킨처럼 얇은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그 큰 두께를 가진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소재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시 접히는 접선부(미도시) 이외의 지지부(30)의 두께는 1.5mm 내지 1.9mm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접선부(미도시) 이외의 지지부(30)의 두께는 1.6mm 내지 1.8mm일 수 있다. 지지부(30)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소재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지지부(30)의 z축 방향으로의 수축 및 신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0)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지지부(30)가 외부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져서 지지부(3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의 두께는 비교적 크지만,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은 잘 이루어진다. 즉, 지지부(30)의 접선부(미도시)의 두께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므로,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이 자유롭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30)를 z축 방향으로 최대한 신장하여 다목적 홀더(100)를 경사지게 고정시켜 휴대용 단말기(P)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P)를 휴대하는 경우, 지지부(30)를 z축 방향으로 최대한 수축하여 포켓 등에 넣고 다닐 수 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는 우수한 휴대성과 사용성을 가진다.
지지부(30)는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 사이에 위치하여 수축 및 신장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를 일체형으로 가공해서 지지부(30)로 제조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내구성을 가진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지지부(30)는 여러 개의 부품들이 모여서 형성되지 않으므로, 오작동 등이 없으며 그 내구성이 우수하다.
지지부(30)는 스킨처럼 얇은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그 큰 두께를 가진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소재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시 접히는 접선부(미도시) 이외의 지지부(30)의 두께는 1.5mm 내지 1.9mm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접선부(미도시) 이외의 지지부(30)의 두께는 1.6mm 내지 1.8mm일 수 있다. 지지부(30)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소재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지지부(30)의 z축 방향으로의 수축 및 신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0)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지지부(30)가 외부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져서 지지부(3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의 두께는 비교적 크지만,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은 잘 이루어진다. 즉, 지지부(30)의 접선부(미도시)의 두께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므로, 지지부(30)의 수축 및 신장이 자유롭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도 2의 휴대용 단말기(P)와 결합된 다목적 홀더(100)를 사용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다목적 홀더(100)를 디지털 도어락(D)에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다목적 홀더(100)를 스마트폰(P)에 부착한 상태와 다목적 홀더(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도 1에 도시, 이하 동일)으로서 RFID 태그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디지털 도어락(D)에는 RFID 리더(미도시, 이하 동일)가 내장된다. 다목적 홀더(100)에 내장된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인증이 된 경우, RFID 리더는 제어 장치로 인증 신호를 전송해 도어를 개폐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다목적 홀더(100)를 가진 경우, 다목적 홀더(100)를 디지털 도어락(D)에 갖다 대지 않아도 디지털 도어락(D)이 바로 열리게 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으로서 RFID 태그 대신에 NFC 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지털 도어락(D)에 NFC 장치(미도시, 이하 동일)를 설치한다. 그리고 다목적 홀더(1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인증이 된 경우, NFC 장치는 제어 장치로 인증 신호를 전송해 도어를 개폐한다.
도 4는 도 1의 다목적 홀더(100)를 차량(C)에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는 다목적 홀더(100)를 스마트폰(P)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4의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목적 홀더(100)가 부착된 스마트폰(P)을 가진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는 경우,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거나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도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엔진 시동이 꺼지거나 차량 도어가 잠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목적 홀더(10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차량 내부의 엔진 시동 버튼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다목적 홀더(100)가 없는 사용자가 엔진 시동 버튼을 누르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으므로 차량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다목적 홀더(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용 칩셋(202)으로는 RFID 태그 또는 NFC 칩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목적 홀더(100)를 카드 단말기(T)에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다목적 홀더(100)를 스마트폰(P)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카드 단말기(T)는 신용카드 결제기 또는 교통카드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5의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목적 홀더(100)를 신용카드 대신에 사용하여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신용카드 단말기에 비접촉으로 다목적 홀더(100)를 갖다 대면 결제가 이루어진다. 다목적 홀더(100)를 버스 또는 택시의 결제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홀더(100)는 사용자 인증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다목적 홀더(100)는 신분증 또는 회원증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다목적 홀더(100)는 자체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다른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다목적 홀더(100)는 차량, 디지털 도어락 또는 카드 단말기 등에서 무선 전송된 에너지를 통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디지털 도어락 또는 카드 단말기로부터 항상 에너지가 송출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다목적 홀더(100)가 차량, 디지털 도어락 또는 카드 단말기에 근접하는 경우에만 에너지를 송출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다목적 홀더(100)의 정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다목적 홀더(100)의 정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정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30)는 상하로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태를 가진다. 즉, 지지부(30)의 중심을 지나고, xy 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을 그리면 가상의 수평선을 중심으로 그 상부 및 그 하부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지지부(30)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와 합체되는 제1 판형부(10) 및 제2 판형부(20)의 크기 등에 따라 지지부(3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30)는 통부(301), 제1 수용부(303) 및 제2 수용부(305)를 포함한다. 지지부(30)는 속이 빈 중공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303)는 제1 판형부(10)와 통부(301)를 연결하고, 제2 수용부(305)는 제2 판형부(20)와 통부(301)를 연결한다. 즉, 제1 판형부(10)으로부터 제2 판형부(20)까지 제1 수용부(303), 통부(301) 및 제2 수용부(305)가 차례로 위치한다.
여기서, 통부(301)는 그 직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원기둥 형태를 가진다. 통부(301)의 길이 방향, 즉 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제1 수용부(303)를 자른 단면적(s303)의 평균은 통부(301)의 단면적(s301)보다 크다. 제1 수용부(303)는 제1 직경 유지부(3031) 및 제1 직경 변화부(3033)를 포함한다. 제1 직경 유지부(3031)는 제1 판형부(10)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가진다. 제1 직경 유지부(3031)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직경 변화부(3033)의 단면적은 +z축 방향으로 갈수록 커진다. 즉, 단면적(s303)은 통부(301)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그 결과, 제1 수용부(303)의 단면적(s303)의 평균은 통부(301)의 단면적(s301)보다 크다. 따라서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를 각각 지지부(30)를 향해 가압하는 경우, 통부(301)의 반을 제1 수용부(303)에 수용하여 다목적 홀더(10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통부(301)의 폭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제2 수용부(305)를 자른 단면적(s305)의 평균은 통부(301)의 단면적(s301)보다 크다. 제2 수용부(305)는 제2 직경 유지부(3051) 및 제2 직경 변화부(3053)를 포함한다. 제2 직경 유지부(3051)는 제2 판형부(20)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높이를 가진다. 제2 직경 유지부(3051)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직경 변화부(3053)의 단면적은 -z축 방향으로 갈수록 커진다. 즉, 단면적(s3053)은 통부(301)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그 결과, 제2 수용부(305)의 단면적(s305)의 평균은 통부(301)의 단면적(s303)보다 크다. 따라서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를 각각 지지부(30)를 향해 가압하는 경우, 통부(301)의 반을 제2 수용부(305)에 수용하여 다목적 홀더(10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통부(301)의 길이, 즉 z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6mm 내지 9mm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통부(301)의 길이는 7mm 내지 8mm일 수 있다. 통부(301)의 길이가 너무 큰 경우, 다목적 홀더(100)의 크기가 너무 커져서 휴대하기 불편할 수 있다. 또한, 통부(301)의 길이가 너무 작은 경우, 손을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 사이에 걸어서 통부(301)를 파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통부(301)의 길이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의 다목적 홀더(100)를 분해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다목적 홀더(100)의 분해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분해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판형부(10)는 부착판(101) 및 링형 고정부(점선 도시)(103)를 포함한다. 링형 고정부(103)는 부착판(101)의 아래에 위치한다. 부착판(101)은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와 부착된다. 이를 위해 부착판(101)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도포된 접착제 위에 이형지를 붙인 형태로 다목적 홀더(100)가 판매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이형지를 떼어내고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판(101)을 휴대용 단말기에 단단하게 붙여 고정할 수 있다.
링형 고정부(103)는 통부(301)를 향하여 부착판(101) 아래로 돌출된다. 링형 고정부(103)는 제1 판형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링형 고정부(103)는 회전하지 않으며, 부착판(101)으로부터 제거도 불가능하다. 링형 고정부(103)의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폐쇄된 형태로 형성된다. 링형 고정부(103)는 복수의 돌기부들(1031)을 포함한다. 돌기부들(1031)은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들(1031)은 통부(301)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통부(301)를 제1 판형부(10)에 밀착시킨다.
한편, 돌기부들(1031)에 대응하여 직경 유지부(3031)에는 복수의 끼움홈들(3031a)이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홈들(3031a)은 각각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7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부들(1031)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끼움홈들(3031a)에 삽입된다. 그 결과, 직경 유지부(3031)는 제1 판형부(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분리가 불가능하다. 다목적 홀더(100)의 크기 및 가격을 고려시 이를 직경 유지부(3031)와 제1 판형부(10)를 상호 분리할 필요가 전혀 없다. 돌기부들(1031)과 끼움홈들(3031a)은 각각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돌기부들(1031)과 끼움홈들(3031a)의 단면 형상을 이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도 7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직경 유지부(3031)는 부착판(101)에 접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직경 유지부(3031)는 링형 고정부(103)의 내면에 접한다. 즉, 제1 직경 유지부(3031)는 부착판(101)과 링형 고정부(103)의 내면에 각각 밀착하여 외부 이물질이 지지부(30)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지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직경 유지부(3031)가 링형 고정부(103)의 외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면, 복수의 끼움홈들(3031a)이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이 쉽게 지지부(30)내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의 지속적인 수축 및 신장시 지지부(30)를 잡아주도록 링형 고정부(103)는 지지부(3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링형 고정부(103)가 지지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면, 지속적으로 수축 및 신장하는 지지부(30)를 잘 지지할 수 없다.
지지부(30)는 제1 판형부(10) 및 제2 판형부(20) 사이에서 수축 및 신장을 반복한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30)가 제1 판형부(10) 및 제1 판형부(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돌기부들(1031)을 끼움홈들(3031a)에 끼우는 형태의 기계적인 결합을 통해 지지부(30)를 제1 판형부(10) 및 제1 판형부(2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다목적 홀더(100)의 크기를 고려시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판형부(20)는 판형 버튼(201) 및 링형 고정부(203)를 포함한다. 링형 고정부(203)는 판형 버튼(201)의 위에 위치하며 판형 버튼(201)과 일체로 형성된다. 판형 버튼(201)의 직경은 부착판(10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부착판(101)은 휴대용 단말기(미도시)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하지만, 판형 버튼(201)은 이보다는 파지가 용이하면서 휴대하기에 부담스럽지 않도록 부착판(101)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를 위해 판형 버튼(201)의 직경은 부착판(101)의 직경의 0.7 내지 0.9일 수 있다. 판형 버튼(201)에는 디자인 인쇄, 에폭시 스티커 부착, 실리콘 캐릭터 부착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추가적인 작업을 실시해 다목적 홀더(100)를 판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판형 버튼(201)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판형 버튼(201)을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캐릭터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 고정부(203)는 통부(301)를 향하여 판형 버튼(201) 위에 돌출된다. 링형 고정부(203)는 복수의 돌기부들(2031)을 포함한다. 돌기부들(2031)은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한편, 돌기부들(2031)에 대응하여 직경 유지부(3051)에는 복수의 끼움홈들(3051a)이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홈들(3051a)은 각각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돌기부들(2031)은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끼움홈들(3051a)에 삽입된다. 돌기부들(2031)과 끼움홈들(3051a)은 각각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돌기부들(2031)과 끼움홈들(3051a)의 단면 형상을 이와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7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경 유지부(3051)는 판형 버튼(201)에 접한다. 또한, 제2 직경 유지부(3051)는 링형 고정부(203)의 내면에 접한다. 즉, 제2 직경 유지부(3051)는 판형 버튼(201)과 링형 고정부(203)의 내면에 각각 밀착하여 외부 이물질이 지지부(30)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지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만약 제2 직경 유지부(3051)가 링형 고정부(203)의 외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면, 복수의 끼움홈들(3051a)이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이 쉽게 지지부(30)내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의 지속적인 수축 및 신장시 지지부(30)를 잡아주도록 링형 고정부(203)가 지지부(3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링형 고정부(203)가 지지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면, 지속적으로 수축 및 신장하는 지지부(30)를 잘 지지할 수 없다.
한편, 제1 직경 유지부(3031) 및 제2 직경 유지부(3051) 각각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 즉 통부(30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통부(301)의 길이의 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통부(301)가 제1 수용부(303)(도 6에 도시) 및 제2 수용부(305)(도 6에 도시)에 함께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1 직경 유지부(3031) 및 제2 직경 유지부(3051) 각각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너무 작은 경우, 통부(301)의 완전한 수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두께를 크게 줄일 수 없어서 휴대하기 불편하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다목적 홀더(100)의 통부(301)의 반을 수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제1 판형부(10)는 -z축 방향, 제2 판형부(20)는 +z축 방향으로 각각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를 가압한다. 이 경우, 통부(301)와 제1 직경 변화부(3033)의 접선부(302)가 제1 판형부(10)에 가까워지도록 변화된다. 접선부(302)는 지지부(30)의 일반적인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므로, 가압력에 의해 접히는 개시점으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접선부(302)는 비교적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선부(302)을 얇게 형성해야 접선부(302)를 기준으로 제1 직경 변화부(3033)가 쉽게 뒤집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선부(302)의 두께는 0.5mm 내지 0.95mm일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접선부(302)의 두께는 0.6mm 내지 0.85mm일 수 있다. 접선부(302)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접선부(302)의 제조가 어렵고 접선부(302)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접선부(302)의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접선부(302)가 뒤집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접선부(302)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한다.
제1 직경 변화부(3033)가 제1 판형부(10) 측으로 함몰되면서 통부(301)의 반 정도가 제1 수용부(303)에 수용된다. 즉, 제1 직경 변화부(3033)는 -z축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졌으나 +z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뒤집어지거나 이에 가깝게 함몰되면서 통부(301)를 수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목적 홀더(100)를 전부 신장시키지 않고 반 정도만 신장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를 크게 경사지게 놓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통부(301)의 반만 수용하여 다목적 홀더(100)를 사용한다. 그 결과, 다목적 홀더(100)를 좀더 편리하게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통부(301)를 수용하기 위해 제1 직경 유지부(3031)의 길이(l3031)는 통부(301)의 길이(l301)의 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다목적 홀더(100)의 지지부(30)를 완전히 수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는 도 8의 다목적 홀더(100)의 작동 상태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경 유지부(3051)의 z축 방향, 즉 통부(30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3051)는 통부(301)의 길이(l301)의 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통부(301)는 제1 직경 유지부(3031) 및 제2 직경 유지부(3051)에 의해 완전히 수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통부(301)와 제2 직경 변화부(3053)의 접선부(304)가 제2 판형부(20)에 가까워지면서 제2 수용부(305)가 뒤집어지면서 함몰된다. 그리고 통부(301)는 제1 수용부(303) 뿐만 아니라 제2 수용부(305)에도 수용된다. 그 결과, 제1 직경 유지부(3031)와 제2 직경 유지부(3051)가 상호 접하면서 다목적 홀더(100)의 두께가 최소화되어 다목적 홀더(100)를 쉽게 휴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목적 홀더(100)를 신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 즉, 각각 +z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제1 판형부(10)와 제2 판형부(20)를 잡아당긴다. 제1 판형부(10) 및 제2 판형부(20)의 직경이 각각 지지부(30)의 직경보다 크므로, 손을 안으로 넣어 제1 판형부(10) 및 제2 판형부(20)를 쉽게 잡아당길 수 있다. 그 결과, 통부(301)가 제1 수용부(303) 및 제2 수용부(305)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다목적 홀더(100)를 최대로 신장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경사져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의 다목적 홀더(200)의 구조는 도 1의 다목적 홀더(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27)는 판형 버튼(201)에 결합된 힌지부(229)에 의해 여닫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힌지부(229)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거나 판형 버튼(201)의 구조를 변형하여 판형 버튼(201)의 일측이 덮개(227)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덮개(227)가 여닫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판형 버튼(201) 위에 원하는 액세서리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형 거울을 절연층(205) 위에 설치하여 화장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홀더(300)의 분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의 다목적 홀더(300)의 구조는 도 1의 다목적 홀더(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303)에 포함된 직경 변화부(3033)의 내부에 코일형 탄성 부재(32)를 설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32)는 코일형으로 형성되어 직경 변화부(3033)의 내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통부(301)를 제1 수용부(303)에 수용했다가 빼내는 경우, 탄성 부재(32)의 탄성을 이용해 좀더 쉽게 빼낼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수용부(305)도 코일형 탄성 부재(32)를 이용해 쉽게 변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판형부(10) 및 제2 판형부(2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다목적 홀더(20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신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다목적 홀더를 제조하는 경우, 수축과 신장이 반복되는 지지부의 탄성이 매우 중요하다. 지지부의 강도가 너무 큰 경우, 그 탄성이 약하여 수축과 신장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반대로, 지지부의 강도가 너무 작은 경우, 다목적 홀더가 휴대용 단말기를 잘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지지부의 수축 및 신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되므로, 지지부의 소재 및 두께 등이 중요해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소재로 사용하여 판형부 2개를 사출 성형하였다. 그리고 경도 90D의 폴리우레탄 칩을 금형에 넣고 이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형 지지부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지지부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지지부(301)의 형상과 동일하였다. 다양한 금형들을 사용해 우레탄의 두께와 접선부의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지지부의 상단과 하단을 홀더에 고정시킨 후 압축 및 신장 과정을 100회 반복하여 수축 및 신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지지부의 수축 및 신장이 잘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였고, 지지부의 파손 여부도 관찰하였다. 이러한 수축 및 신장 테스트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1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3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3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2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3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3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3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4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4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4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4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4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5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5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6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5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5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7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6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6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8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6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6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9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7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7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0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7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7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1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8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8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2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8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8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3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9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9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4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1.9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0.9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5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2.0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1.00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6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를 2.0mm로 하고, 접선부의 두께를 1.05mm로 하여 지지부를 사출 성형하였다. 나머지 실험 과정은 전술한 실험예와 동일하였다.
실험결과
전술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6에 따른 실험 결과를 요약해서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수축 및 신장성에 있어서는 접선부 이외의 두께가 작을수록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4에서는 수축 및 신장성이 아주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실험예 5 내지 실험예 12에서는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만, 지지부의 두께가 더 커짐에 따라 실험예 13 및 실험예 14에서는 수축 및 신장이 다소 뻣뻣해져서 다소 양호로 평가되었으며, 실험예 15 및 실험예16에서는 지지부의 두께가 너무 커서 수축 및 신장성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접선부를 제외한 바림직한 지지부의 두께는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4의 0.3mm 내지 0.95mm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파손 여부 실험 결과,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4에서 접선부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였다. 즉, 접선부의 두께가 너무 작아서 반복 응력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파손에 의해 지지부가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에 잘 수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험예 5 및 실험예 6의 경우, 접선부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다소 불안정한 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를 다소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실험예 7 내지 실험예 16은 접선부의 두께가 어느 정도 되어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수축 및 신장성과 파손 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험예 5 내지 실험예 14가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는 1.5mm 내지 1.9mm인 것이 바람직하였고, 접선부의 두께는 0.5mm 내지 0.95mm인 것이 바람직하였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실험예 7 내지 실험예 12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접선부 이외의 지지부의 두께는 1.6mm 내지 1.8mm인 것이 바람직하였고, 접선부의 두께는 0.6mm 내지 0.85mm인 것이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지지부를 제조하는 경우, 이러한 실험예를 바탕으로 접선부의 두께와 이를 제외한 부분의 두께를 정하여 다목적 홀더의 지지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예 접선부 이외의 두께 접선부 두께 수축 및 신장성 파손 여부
실험예 1 1.3mm 0.3mm 아주 양호 파손 발생
실험예 2 1.3mm 0.35mm 아주 양호 파손 발생
실험예 3 1.4mm 0.4mm 아주 양호 파손 발생
실험예 4 1.4mm 0.45mm 아주 양호 파손 발생
실험예 5 1.5mm 0.5mm 양호 다소 양호
실험예 6 1.5mm 0.55mm 양호 다소 양호
실험예 7 1.6mm 0.6mm 양호 양호
실험예 8 1.6mm 0.65mm 양호 양호
실험예 9 1.7mm 0.7mm 양호 양호
실험예 10 1.7mm 0.75mm 양호 양호
실험예 11 1.8mm 0.8mm 양호 양호
실험예 12 1.8mm 0.85mm 양호 양호
실험예 13 1.9mm 0.9mm 다소 양호 양호
실험예 14 1.9mm 0.95mm 다소 양호 양호
실험예 15 2.0mm 1mm 불량 양호
실험예 16 2.0mm 1.05mm 불량 양호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20. 판형부
30. 지지부
32. 코일형 탄성 부재
100. 다목적 홀더
101. 부착판
103, 203. 링형 고정부
201. 판형 버튼
202. 근거리 통신용 칩셋
205. 절연층
207, 227. 덮개
229. 힌지부
301. 통부
302, 304. 접선부
303, 305. 수용부
1031, 2031. 돌기부
3031, 3051. 직경 유지부
3031a. 끼움홈
3033, 3053. 직경 변화부
C. 차량
D. 디지털 도어락
G. 지면
P. 휴대용 단말기
PB. 배면
PD. 디스플레이
T. 카드 단말기

Claims (5)

  1. 제1 판형부,
    상기 제1 판형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판형부와 상호 마주하는 제2 판형부, 및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에 각각 연결되어 수축 및 신장 가능한 일체형 지지부
    를 포함하는 다목적 홀더로서,
    상기 제2 판형부는,
    판형 버튼,
    상기 판형 버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판형 버튼 위에 위치하는 근거리 통신용 칩셋,
    상기 근거리 통신용 칩셋 위에 위치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용 칩셋을 덮는 절연층, 및
    상기 판형 버튼을 덮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용 칩셋과 상기 절연층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원기둥 형상의 통부,
    상기 통부와 상기 제1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통부와 상기 제2 판형부를 연결하는 제2 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과 상기 통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수용부를 자른 평균 단면적은 각각 상기 통부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판형부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제1 높이를 가지는 제1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1 직경 유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감소하는 제1 직경 변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판형부와 연결되고 기설정된 제2 높이를 가지는 제2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2 직경 유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단면적이 감소하는 제2 직경 변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형부는,
    휴대용 단말기와 부착되도록 적용된 부착판, 및
    상기 통부를 향해 상기 부착판 위에 돌출한 링형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 고정부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중심을 향해 돌출한 복수의 돌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직경 유지부에는 방사상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직경 유지부는 상기 부착판 및 상기 링형 고정부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직경 변화부 및 상기 제2 직경 변화부가 각각 상기 제1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2 직경 유지부에 뒤집어져 수용되면서 각각 상기 제1 판형부측 및 상기 제2 판형부측으로 볼록하게 함몰되고, 면서 상기 통부가 상기 제1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2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고며, 상기 제1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2 직경 유지부가 상호 접하도록 적용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상기 통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높이와 상기 제2 높이의 합과 동일한 다목적 홀더.
  2. 제1항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용 칩셋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센서 및 LED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다목적 홀더.
  3. 제2항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용 칩셋은 도어락 키, 자동차 키, 결제 카드 및 사용자 인증 매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홀더.
  4. 제1항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판형 버튼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 다목적 홀더.
  5. 제1항에 따른 다목적 홀더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를 각각 가압하는 단계,
    상기 통부와 상기 제1 직경 변화부의 접선부가 상기 제1 판형부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1 직경 변화부가 상기 제1 판형부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통부가 상기 제1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는 단계,
    상기 통부와 상기 제2 직경 변화부의 접선부가 상기 제2 판형부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직경 변화부가 상기 제2 판형부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통부가 상기 제2 직경 유지부에 수용되는 단계,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판형부 및 상기 제2 판형부를 각각 당기는 단계, 및
    상기 통부가 각각 상기 제1 직경 유지부 및 상기 제2 직경 유지부로부터 빠져나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목적 홀더의 작동 방법.
KR1020200050904A 2020-04-27 2020-04-27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10236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04A KR102360972B1 (ko) 2020-04-27 2020-04-27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04A KR102360972B1 (ko) 2020-04-27 2020-04-27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70A KR20210132470A (ko) 2021-11-04
KR102360972B1 true KR102360972B1 (ko) 2022-02-08

Family

ID=7852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04A KR102360972B1 (ko) 2020-04-27 2020-04-27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90B1 (ko) * 2022-12-07 2023-08-17 주식회사 씨큐앤비 원패스키 기능을 탑재한 그립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8B1 (ko)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732315B1 (ko)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102047407B1 (ko) * 2019-02-13 2019-11-21 김예슬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4259B2 (en) 2016-08-17 2018-08-21 Popsockets Llc Expanding socket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074577B1 (ko) * 2018-05-17 2020-02-06 남동훈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8B1 (ko)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732315B1 (ko)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102047407B1 (ko) * 2019-02-13 2019-11-21 김예슬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990B1 (ko) * 2022-12-07 2023-08-17 주식회사 씨큐앤비 원패스키 기능을 탑재한 그립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470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3998B2 (en) Wireless charging pa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267251B2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US20140266624A1 (en)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KR10231023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KR102360972B1 (ko)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20030038432A (ko) 에스아이엠 카드 캐리어
WO2004077345A1 (ja) Simリーダライタおよび携帯電話機
US11611238B2 (en) Wireless charging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1262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US20070223179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smart card
KR102074577B1 (ko)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JP2998293B2 (ja) 個人識別電話装置
KR102585986B1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CN211208660U (zh) 一种移动终端rfid识别辅助装置
US20220142315A1 (en) Cover including pen receiving par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2005204188A (ja) 携帯可能な非接触通信デバイス
US20020177337A1 (en) Connector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with a card ejection device
JP2004118771A (ja) Usb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simホルダーとsim
KR101542458B1 (ko) 단말기의 휴대용 배터리
JP4293202B2 (ja) 非接触識別タグ
US2023039363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nic pen storage structure, and electronic pen
KR102306904B1 (ko)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KR102016334B1 (ko)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CN221225514U (en) Detachable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508109B (zh) 一种单指纹系统的电子钥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