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334B1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6334B1 KR102016334B1 KR1020180093586A KR20180093586A KR102016334B1 KR 102016334 B1 KR102016334 B1 KR 102016334B1 KR 1020180093586 A KR1020180093586 A KR 1020180093586A KR 20180093586 A KR20180093586 A KR 20180093586A KR 102016334 B1 KR102016334 B1 KR 1020163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hape
- folded
- coupling
- func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는 복수의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힘부 각각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이 상기 복수의 접힘부에 의해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다각기둥을 형성 가능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가 형성하는 다각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면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된 2개의 결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태블릿은, 휴대전화의 기능은 물론, 전자북 및 노트북 PC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업무용도 및 개인용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태블릿은 노트북 PC와 비교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이 높아 보다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행 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태블릿 은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 없이 터치만으로도 다룰 수 있어 소음에서 매우 자유로워 도서관 등과 같이 조용한 환경에서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어, 학생과 직장인 사이에서 사용이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태블릿은 책상 등에 앉아서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침대에 엎드린 상태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해당 태블릿을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사용하거나 손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개발된 스마트기기 거치대에 관한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563058 스마트폰 거치대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거나 끼우는 불편함 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거치대들이 개발되었으나, 거치의 편리함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성이 용이하며 거치 용도 이외에 보다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의 필요성이 당 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는 복수의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힘부 각각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이 상기 복수의 접힘부에 의해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다각기둥을 형성 가능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가 형성하는 다각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면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된 2개의 결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복수의 다각면은, 제 1 면, 제 2 면, 제 3 면, 제 4 면, 제 5 면 및 제 6 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힘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면과 상기 2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1 접힘부,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3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면과 상기 3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접힘부,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면과 상기 4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3 접힘부, 상기 제 4 면과 상기 제 5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면과 상기 5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4 접힘부 및 상기 제 5 면과 상기 제 6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5 면과 상기 6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5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 6 면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바디와 사용자 휴대 단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 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복수의 접힘부가 접힘 또는 펼쳐짐에 따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다각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메인바디가 변형 가능한 상기 복수의 형상은, 거치 형상, 수납 형상, 지갑 형상 및 커버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거치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에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가 결합된 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의 제 1 접힘부, 제 2 접힘부, 제 3 접힘부 및 제 5 접힘부 각각이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형상이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은 개방되어 각각의 내측이 지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턱과 상기 제 2 면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거치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수납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에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가 결합된 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의 제 1 접힘부, 제 2 접힘부, 제 3 접힘부 및 제 5 접힘부 각각이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형상이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인력을 통해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이 닫힘 상태가 되어 상기 메인바디가 형성한 다각기둥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갑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제 6 면의 외측이 상기 제 2 면의 내측과 접하도록 상기 제 2 접힘부 및 상기 제 4 접힘부가 접히고, 상기 제 1 면의 내측과 상기 제 4 면의 외측이 접하도록 상기 제 1 접힘부가 접히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통해 고정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커버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접힘부가 모두 펼쳐진 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 및 상기 제 6 면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 밴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을 고정 결합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2개의 결합지지부를 결합하여 구성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외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결합지지부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거치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수납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지갑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커버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2개의 결합지지부를 결합하여 구성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외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결합지지부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거치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수납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지갑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커버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2개의 결합지지부를 결합하여 구성된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는 메인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에 포함된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포함하며, 복수의 접힘부(220) 각각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 포함된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은 복수의 접힘부(220)에 의해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 포함된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 각각은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포개질 수 있다. 즉,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면(210)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면(210) 각각이 이웃하는 다른 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2개의 결합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00)에 포함된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된 메인바디(200)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지지부(30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는 결합지지부(300)와 결합되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가 변형될 수 있는 복수의 형상은 거치 형상, 수납 형상, 지갑 형상 및 커버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메인바디(200) 및 결합지지부(30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에 따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결합지지부(300)는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임의의 결합지지부(300)에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2개의 결합지지부(300) 각각에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 각각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지지부가 포함할 수 있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의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결합지지부(300)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을 통해 스피커 및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100)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피커 및 보조배터리 등을 따로 소지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외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들은 메인 바디가 구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합판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들은 외부를 감싸는 외부 덮개로 감싸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20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합판들을 외부 덮개로 연결하고, 이격된 부분에 복수의 접힘부(220)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합판은, 나무판, 플라스틱판, 고무판 및 PVC판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덮개는 천연 가죽, 합성 피혁 및 면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덮개는 메인바디(200)의 외부를 감싸고, 복수의 면(210)들을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시켜 복수의 접힘부(220)를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200)에는 일정 간격에 따른 복수의 접힘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 각각을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에 포함된 복수의 면(210)은 복수의 접힘부(220)에 의해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다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 각각은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포개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면(210) 및 복수의 접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210)은 제 1 면(211), 제 2 면(212), 제 3 면(213), 제 4 면(214), 제 5 면(215) 및 제 6 면(2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접힘부(220)는 제 1 면(211)과 제 2 면(2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면(211)과 상기 제 2 면(212)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1 접힘부(221), 제 2 면(212)과 제 3 면(2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면(212)과 상기 제 3 면(213)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접힘부(222), 제 3 면(213)과 제 4 면(2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면(213)과 상기 제 4 면(214)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3 접힘부(223), 제 4 면(214)과 제 5 면(21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면(214)과 상기 제 5 면(215)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4 접힘부(224) 및 제 5 면(215)과 제 6 면(216)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5 면(215)과 상기 제 6 면(216)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5 접힘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바디(200)가 복수의 면(210)과 복수의 접힘부(220)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메인바디(200)를 적은 부피를 형성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어, 휴대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면(210)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가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복수의 면이 삼각기둥의 형상을 이루도록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복수의 면(210)이 각각 포개지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메인바디(200)가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복수의 면(21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변형될 수 있는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에 포함된 복수의 면(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복수의 면(210)이 포개지는 형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면(210)이 포개지는 형상이 유지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면(2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 1 면(211), 제 2 면(212) 및 제 6 면(216) 각각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경우, 제 2 접힘부(222) 및 제 4 접힘부(224)가 접혀 제 6 면(216)의 외측과 제 2 면(212)의 내측이 접할 때, 상기 제 6 면(216) 및 상기 제 2 면(212)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제 1 접힘부(221)가 접혀 제 1 면(211)의 내측과 제 4 면(214)의 외측이 접할 때, 상기 제 1 면(211)의 내부에 위치한 자석과 상기 제 6 면의 내부에 위치한 자석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도 7과 같은 지갑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지지턱(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가 포함하는 지지턱(250)은 상기 메인바디(200)가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다양한 위치에 구성되어 케이스(100)에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바디(200)의 제 1 접힘부(221), 제 2 접힘부(222), 제 3 접힘부(223) 및 제 5 접힘부(225) 각각이 결합지지부(30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350)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350)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제 1 면(211) 및 제 6 면(216)은 개방되어 각각의 내측이 지면과 접함으로써, 제 1 면(211)과 제 2 면(212)이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1 면(211)의 외측에는 지지턱(250)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턱(250)은 상기 제 1 면(211)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상기 제 2 면(212) 사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거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23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에 포함된 복수의 면(2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 내측에 수납 공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구비된 수납 공간(230)은 천연 가죽, 합성 피혁 및 면 소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복수의 수납 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 공간(23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면(212)에 제 1 수납 공간(230), 제 2 수납 공간(231), 제 3 수납 공간(232) 및 제 4 수납 공간(2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 공간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소지한 소지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수납 공간의 구비되는 개수 및 복수의 수납 공간이 위치하는 면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상기 메인바디(20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미도시) 및 고무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모듈(미도시)은 메인바디(200)의 제 1 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모듈(미도시)은 사용자 단말(10)이 상기 고정 모듈(미도시)이 구비된 메인바디(200)와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클립 형태, 핀 형태, 끼움 형태, 자석 형태 및 접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 모듈(미도시)의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제 1 면(211)의 내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고무밴드(24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에 포함된 복수의 면(2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의 내측에 고무밴드(2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밴드(240)가 구비되는 위치는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이 고정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의 화면을 가리지 않는 제 6 면(216)의 내측일 수 있다. 상기 고무밴드(240)는 양 끝단의 일부가 상기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고정되며, 탄력을 가진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무밴드(240)는 탄력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상기 고무밴드(240)가 구비된 메인바디(2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힘부(220) 각각이 일정각도(즉, 180도)를 형성함으로써 모두 펼쳐진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메인바디(200)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 모듈(미도시)을 및 고무밴드(240)를 이용하여 펼쳐진 형상의 메인바디(200)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바디(200)의 외측면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의 후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보호하는 커버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결합지지부의 세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결합지지부(300)는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에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임의의 결합지지부(300)에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2개의 결합지지부(300) 각각에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 각각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2개의 결합지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지지부가 포함할 수 있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의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지지부(300)는 메인바디(200)와 고정 결합되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결합지지부(300)가 포함하는 음향 출력 모듈 및 충전 모듈이 제공하는 스피커 및 충전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결합지지부(300)를 단독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2개의 결합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구성도를 통해 상기 결합지지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의 (a)는 결합지지부(300)의 정면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지지부(300)는 상기 결합지지부(300)의 내부에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부(300)의 정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에서 생성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홈(3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부(300)의 정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에서 생성된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볼륨 조절 버튼(331, 332) 및 음향 출력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버튼(3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륨 조절 버튼(331. 332)은 음향의 크기를 키우는 불륨 상승 버튼(331)과 음향의 크기를 줄이는 불륨 하강 버튼(3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음향 출력 모듈과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생성된 음향이 음향 출력홈(34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사용자는 결합지지부(300)에 포함된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보다 풍부한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결합지지부(300)의 외측에 구비된 불륨 조절 버튼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지지부(300)는 상기 결합지지부(300)의 내부에 충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 모듈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충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US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지지부(30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연결된 USB를 수용하기 위한 USB 포트(3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부(300)의 외측에는 충전 모듈 자체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3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충전 모듈은 결합지지부의 외측에 구비된 USB 포트(310) 및 충전 포트(32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에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b)는 결합지지부(300)의 후면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지지부(300)는 상기 결합지지부(300)의 후면에 메인바디(20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결합홈(35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210)은 상기 복수의 면(210) 사이에 각각 존재하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결합홈(350)에 대응하는 각도로 조절되어 상기 결합홈(35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홈(350)은 상기 결합홈(350)에 끼워지는 메인바디(2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50)은 결합지지부(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변에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홈(350)에 끼워지는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로 변환되도록 상기 결합홈(350)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4의 (b)와 같이 결합지지부(300)가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아랫 변에는 결합홈(350)을 생성하지 않음으로, 메인바디(200)가 결합홈(350)에 끼워진 경우, 상기 아랫 변을 통해 메인바디(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됨으로써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거치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는 메인바디(200) 및 결합지지부(300)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가 변형 가능한 복수의 형상 중 거치 형상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 형상은 메인바디(200)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 각각에 2개의 결합지지부(300)가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거치 형상은 메인바디(200)의 제 1 접힘부(221), 제 2 접힘부(222), 제 3 접힘부(223) 및 제 5 접힘부(225) 각각이 결합지지부(30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350)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350)에 끼워진 형상일 수 있으며, 제 1 면(211) 및 제 6 면(216)은 개방되어 각각의 내측이 지면과 접함으로써, 제 1 면(211)과 제 2 면(212)이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 1 면(211)의 외측에는 지지턱(250)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거치 형상은 상기 제 1 면(211)의 외측에 구비된 지지턱(250)과 상기 제 1 면(211)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상기 제 2 면(212) 사이에 사용자 휴대 단말(10)을 거치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케이스(100)가 거치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10)을 보다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에 2개의 결합지지부가 고정 결합되어 변형된 수납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00)는 메인바디(200) 및 결합지지부(300)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가 변형 가능한 복수의 형상 중 수납 형상은 사용자가 소지한 물건을 보호 및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및 수납하기 위한 물건은 안경, 선글라스 및 케이블 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구성에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다양한 물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가 변형 가능한 복수의 형상 중 수납 형상은 메인바디(200)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 각각에 2개의 결합지지부(300)가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수납 형상은 메인바디(200)의 제 1 접힘부(221), 제 2 접힘부(222), 제 3 접힘부(223) 및 제 5 접힘부(225) 각각이 결합지지부(30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350)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350)에 끼워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수납 형상은 제 1 면(211) 및 제 6 면(216)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면(211) 및 상기 제 6 면(216)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인력을 통해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이 닫힘 상태가 되어 메인바디(200)가 형성한 다각기둥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케이스(100)가 상기 수납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물건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메인바디(200)의 제 1 면(211) 및 제 6 면(216)에 구비된 자석의 인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저장하거나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지갑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힘부(220) 각각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210)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가능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바디(200)는 복수의 접힘부(220)가 복수의 면(210) 각각의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메인바디(2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각기둥의 형상 및 복수의 면(210) 각각이 포개지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면(210) 각각이 포개지는 형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면(210)이 포개지는 형상이 유지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복수의 면(2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 1 면(211), 제 2 면(212) 및 제 6 면(216) 각각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경우, 제 2 접힘부(222) 및 제 4 접힘부(224)가 접혀 제 6 면(216)의 외측과 제 2 면(212)의 내측이 접할 때, 상기 제 6 면(216) 및 상기 제 2 면(212)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제 1 접힘부(221)가 접혀 제 1 면(211)의 내측과 제 4 면(214)의 외측이 접할 때, 상기 제 1 면(211)의 내부에 위치한 자석과 상기 제 6 면(216)의 내부에 위치한 자석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도 7과 같은 지갑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200)의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의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수납 공간(230)에 현금 및 카드 등을 보관함으로써, 메인바디(200)를 지갑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바디가 접힘부를 통해 커버 형상으로 변형되는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접힘부(220)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200)가 변형 가능한 복수의 형상 중 커버 형상은 복수의 접힘부(220)가 모두 펼쳐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커버 형상은 메인바디(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면(210)이 상기 복수의 면(21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힘부(220) 각각이 180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복수의 면(210)이 모두 펼쳐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커버 형상은 메인바디(200)에 구비된 고정 모듈(미도시) 및 고무밴드(24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10)과 고정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고정 모듈(미도시)은 휴대 단말과 메인바디(200)가 분리 또는 이탈되지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클립 형태, 핀 형태, 끼움 형태, 자석 형태 및 접착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 모듈(미도시)의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10)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제 1 면(211)의 내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형상은 메인바디(200)의 제 1 면(211)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 모듈(미도시) 및 제 6 면(216)의 내측에 구비된 고무밴드(240)를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10)이 고정된 형상일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써,
복수의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힘부 각각을 사이에 두고 분할된 복수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이 상기 복수의 접힘부에 의해 일정 각도를 이룸으로써 다각기둥을 형성 가능한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가 형성하는 다각기둥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면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2개의 결합지지부;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 중 하나는 상기 메인바디와 분리되어 단독사용 가능하며 그리고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메인바디와 분리되어 단독사용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휴대 단말로 제공하는 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제어부, 및 음향 출력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충전 모듈은,
상기 충전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 및 휴대 단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USB 포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은,
제 1 면, 제 2 면, 제 3 면, 제 4 면, 제 5 면 및 제 6 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힘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면과 상기 2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1 접힘부,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3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면과 상기 3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2 접힘부,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3 면과 상기 4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3 접힘부, 상기 제 4 면과 상기 제 5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면과 상기 5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4 접힘부 및 상기 제 5 면과 상기 제 6 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5 면과 상기 6 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 5 접힘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 6 면의 내측에는 상기 메인바디와 사용자 휴대 단말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 밴드가 구비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복수의 접힘부가 접힘 또는 펼쳐짐에 따라 통해 복수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가 변형 가능한 상기 복수의 형상은,
거치 형상, 수납 형상, 지갑 형상 및 커버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에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가 결합된 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의 제 1 접힘부, 제 2 접힘부, 제 3 접힘부 및 제 5 접힘부 각각이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형상이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은 개방되어 각각의 내측이 지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턱과 상기 제 2 면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거치 가능한 형상인,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가 이루는 다각기둥의 측면에 상기 2개의 결합지지부가 결합된 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의 제 1 접힘부, 제 2 접힘부, 제 3 접힘부 및 제 5 접힘부 각각이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각도로 접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형상이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의 인력을 통해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6 면이 닫힘 상태가 되어 상기 메인바디가 형성한 다각기둥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인,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갑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제 6 면의 외측이 상기 제 2 면의 내측과 접하도록 상기 제 2 접힘부 및 상기 제 4 접힘부가 접히고, 상기 제 1 면의 내측과 상기 제 4 면의 외측이 접하도록 상기 제 1 접힘부가 접히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 상기 제 2 면 및 상기 제 6 면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통해 고정 가능한 형상인,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형상은,
상기 메인바디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접힘부가 모두 펼쳐진 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면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 및 상기 제 6 면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 밴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을 고정 결합 가능한 형상인,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3586A KR102016334B1 (ko) | 2018-08-10 | 2018-08-10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3586A KR102016334B1 (ko) | 2018-08-10 | 2018-08-10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6334B1 true KR102016334B1 (ko) | 2019-08-30 |
Family
ID=6777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3586A KR102016334B1 (ko) | 2018-08-10 | 2018-08-10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633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671Y1 (ko) * | 2005-03-22 | 2005-06-16 | (주)큐세븐 |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
KR20100003589U (ko) * | 2008-09-25 | 2010-04-02 | 고정섭 | 안경보관용 케이스 |
KR20100006178U (ko) * | 2008-12-10 | 2010-06-18 | 이상탁 | 절첩식 안경케이스 |
KR20120004918U (ko) * | 2010-12-28 | 2012-07-06 | 김권일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
KR20130141957A (ko) * | 2012-06-18 | 2013-12-27 | 현민지 | 휴대폰 케이스 |
-
2018
- 2018-08-10 KR KR1020180093586A patent/KR1020163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671Y1 (ko) * | 2005-03-22 | 2005-06-16 | (주)큐세븐 |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
KR20100003589U (ko) * | 2008-09-25 | 2010-04-02 | 고정섭 | 안경보관용 케이스 |
KR20100006178U (ko) * | 2008-12-10 | 2010-06-18 | 이상탁 | 절첩식 안경케이스 |
KR20120004918U (ko) * | 2010-12-28 | 2012-07-06 | 김권일 |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겸용 케이스 |
KR20130141957A (ko) * | 2012-06-18 | 2013-12-27 | 현민지 | 휴대폰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88832A1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 |
KR200466058Y1 (ko) |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 |
US9379563B2 (en) | Charger | |
US8727116B2 (en) |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 |
US20130016468A1 (en) | Wireless keyboard for tablet pc with stand | |
US10892625B1 (en) | Cases and folios for carrying and charging accessories | |
US20160072933A1 (en) |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 |
US20130214661A1 (en) | Folding Tablet Keyboard Case | |
KR101421220B1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 |
US20150280768A1 (en) |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 |
KR101392562B1 (ko) |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 |
US20150027911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n adhesive panel | |
US20140146464A1 (en) | Carrying case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 |
CN105680500A (zh) | 便携式电源装置 | |
US20140049851A1 (en) |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 |
US20130313252A1 (en) | Protective shell | |
KR101461004B1 (ko) |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 |
KR20160018306A (ko) |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
KR102016334B1 (ko) |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 |
KR200479106Y1 (ko) |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 |
US20170097658A1 (en) | Smart Mobile Pouch Device | |
KR102266193B1 (ko) | 스마트폰 케이스 | |
KR102025187B1 (ko) |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 |
KR101424938B1 (ko) | 다용도 거치대 | |
KR101310934B1 (ko) |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