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407B1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07B1
KR102047407B1 KR1020190016511A KR20190016511A KR102047407B1 KR 102047407 B1 KR102047407 B1 KR 102047407B1 KR 1020190016511 A KR1020190016511 A KR 1020190016511A KR 20190016511 A KR20190016511 A KR 20190016511A KR 102047407 B1 KR102047407 B1 KR 10204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coupled
deformable portion
terminal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슬
김송희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예슬
김송희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슬, 김송희, 김지훈 filed Critical 김예슬
Priority to KR102019001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07B1/ko
Priority to JP2019207917A priority patent/JP691743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61 priority patent/WO20201667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using a rotating endless belt carrying the scanning heads or at least a par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변형을 통해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인 파지구조를 가지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장치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는 제1 변형부,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는 제2 변형부 및 상기 제2 변형부의 타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확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축소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거치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어플들을 통한 다양한 기능들이 있어 영상시청 및 게임 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이를 안정적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거치장치들은 단말기 또는 단말기의 케이스에 부착되면 부피가 증가하고 증량이 크게 증가하여 휴대성에 있어서 단점이 있고, 휴대성이 증가하면 구조의 제약으로 거치기능 또는 파지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말기를 통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기기 위한 거치구조 및 휴대성은 확보하면서,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고, 각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서 영상시청의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996호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2920호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휴대성 및 거치 기능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변형을 통해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개선되고 안정적인 파지구조를 가지는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장치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는 제1 변형부,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는 제2 변형부 및 상기 제2 변형부의 타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확장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거치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변형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는 상기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2 변형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가 수축하면, 서로 일부분이 교차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이 서로 교차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슬롯의 상기 제2 방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 및 슬롯이 서로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장치의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와 연결된 무선모듈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레버가 형성되는 제어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동 가능한 볼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터드는 회동시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들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통로 및 상기 제1 변형부 또는 제2 변형부의 신장 및 수축시 외부공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되, 제2 변형부 일측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의 결합 배열에 의해서 상기 제2 변형부가 제1 변형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의 굴절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방향쪽에 형성되는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장치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확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장구형으로 연장되어 파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장치는 수축 또는 확장을 위해 필요한 가스의 통로가 회동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변형부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회동부의 회동 위치가 반구 형태의 돌기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장치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거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거치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거치 장치의 다른 상태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사시도들.
도 7은 도 6의 거치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8은 도 6의 거치장치의 조이스틱 및 스프링의 분해사시도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장치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거치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거치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거치 장치의 다른 상태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장치(100)는 제1 바디(200), 제1 변형부(300), 회동부(400), 제2 변형부(500) 및 제2 바디(600)를 포함한다.
거치장치(100)는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서 주시하는 경우 장구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들로 파지하기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의 텔레스코픽 형태의 축소 또는 확장 구조를 통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축소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제2 방향(20)의 일측 일부분이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 단말기의 케이스 및 차량의 대시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착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바디(200)의 제2 방향(20)과 반대 방향인 제1 방향(10)쪽 타측 나머지 부분은 제1 바디(200)의 일부분에서 제1 방향(10)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바디(200)는 부착판(210), 커버(210), 배터리(230), 링부재(240) 및 단자(250)를 포함한다.
부착판(21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방향(20)쪽에 해당하는 표면에는 접착물질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면에 접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커버(210)는 부착판(210)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부분이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 방향(10)을 향해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배터리(230)는 커버(210)의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변형부(300)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전선을 통해 회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부재(240)는 커버(22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커버(220)의 외측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제2 방향(20)쪽 일측면은 부착판(210)의 타측과 결합된다.
링부재(240)의 제1 방향(10)쪽 타측에 해당하는 내측면 일부분은 링부재(24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링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커버(220)의 외측면 및 링부재(24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변형부(300)의 일부를 고정시킨다.
단자(250)는 링부재(24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제1 변형부(300)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전선을 통해 회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 또는 헤드폰의 플러그를 삽입시킬 수 있다.
제1 변형부(300)의 일단은 제1 바디(200)의 타측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축소되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변형부(300)는 일단부(310), 경사부(320), 중단부(330) 및 경사부(340)들을 포함한다.
일단부(310)는 커버(220)의 외측면 및 링부재(24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 및 내측면 각각은 링부재(240)의 내측면 및 커버(220)의 외측면 각각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경사부(320)의 제2 방향(20)쪽 일단 일부분은 일단부(310)와 연결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며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중단부(330)의 일단과 결합된다.
경사부(320)는 탄성 및 변형도가 높은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고, 제2 방향(20)으로 이동하면서 변형되어 일부분은 배터리(230)와 밀착될 수 있다.
중단부(330)는 경사부(320) 타단의 제1 방향(10)쪽 표면과 결합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부(320, 340)들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변형부(300)가 제1 방향(10)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 기능을 한다.
경사부(340)의 일단은 중단부(330)의 제1 방향(10)쪽 표면과 결합되는 링 ㅎ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외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면서 축소되도록 연장되어 회동부(400)의 일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바디(200)의 타측에서 경사부(340)의 타단 중앙까지는 일단부(310), 경사부(320), 중단부(330) 및 경사부(340)가 둘러싸는 변형공간이 형성되고, 중단부(330) 및 회동부(400)가 제2 방향(20)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20, 340)들 각각은 절곡되면서 제2 방향(20)으로 이동하여 배터리(230)와 밀착된다.
회동부(400)는 프레임(410), 모듈(420), 볼스터드(430)(Ball stud) 및 롤러(440, 450)들을 포함한다.
회동부(400)의 일단은 경사부(340)의 타단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변형공간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경사부(340)와 접착물질을 통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어 제2 변형부(500)와 결합된다.
회동부(40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볼조인트 형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제2 변형부(500)와 결합되고, 제2 변형부(500)는 회동부(400)를 축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회동부(400)는 배터리(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모듈의 무선 연결 기능을 통해 인접한 단말기(10)와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고, 회동부(400) 타단의 회동입력을 단말기(10)에 전달하여 조이스틱 또는 마우스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400)는 무선으로 단말기(10)와 연결된 상태로 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는 단자(250)에 삽입된 플러그를 통해 영상 또는 음악 플레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임(410)의 일단은 제2 방향(20)쪽을 향해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0)쪽으로 원통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외관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410)의 제1 방향(10)쪽 내부에는 볼스터드(430)의 일부분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밀착되는 원형의 회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공간의 일부는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되어 볼스터드(430)의 일부분이 제1 방향(10)을 향해 배치된다.
프레임(410)의 외측면은 경사부(34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프레임(410)이 제2 방향(20)쪽으로 이동하면 경사부(320), 중단부(330) 및 경사부(340)가 제2 방향(20)을 향해 이동 및 수축하여 경사부(320), 중단부(330) 및 경사부(340)들은 링부재(240)보다 제2 방향(20)쪽에 배치된다.
모듈(420)은 프레임(4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단말기(10)와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230) 및 단자(250)와 연결되어 무선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또는 데이터를 단자(250)를 통해 이어폰 또는 다른 단말기에 전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러그를 단말기(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단자에 삽입할 필요없이 거치장치(100)의 단자(250)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10)를 거치장치(100)를 통해 거치한 상태에서 플러그가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장치(100)는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을 통해 이어폰의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여 이어폰 케이블의 권취를 통한 이어폰 보관이 용이하고, 이어폰의 플러그가 단자(250)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플러그가 단말기(10)의 거치방향을 제한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볼스터드(430)의 일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프레임(410)의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분이 원통형으로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변형부(5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단말기(10), 제1 바디(200) 및 제1 변형부(300)는 프레임(410)과 결합된 상태에서 볼스터드(430)의 일단을 축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볼조인트처럼 회동이 가능하고, 반대로, 제2 변형부(500) 및 제2 바디(600)는 볼스터드(430)의 일단을 축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볼조인트처럼 회동이 가능하다.
롤러(440)는 프레임(410)의 내부에서 제2 방향(20)쪽에 배치되어 볼스터드(430)의 일단 일부분과 밀착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0, 20)과 수직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볼스터드(430)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신호를 모듈(420)에 전송한다.
롤러(450)는 프레임(410)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볼스터드(430)의 일단 하부 일부분과 밀착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0, 20)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볼스터드(430)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신호를 모듈(420)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변형부(500) 또는 제2 바디(600)를 볼스터드(430)의 일단을 축으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롤러(440)가 회전하면서 단말기(10)의 화면에 구동되어 나타나는 화면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거나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는 구동이 단말기(10)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2 변형부(500) 또는 제2 바디(600)를 볼스터드(430)의 일단을 축으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롤러(450)가 회전하면서 단말기(10)의 화면에 구동되어 나타나는 화면이 전방 또는 후방를 향해 이동하거나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는 구동이 단말기(10)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제2 변형부(500)의 일단은 회동부(4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어 제2 바디(6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제2 변형부(500)는 제2 바디(600)를 제2 방향(20)으로 이동시키면 텔레스코픽 형태로 축소되고, 다시 제2 바디(600)를 제1 방향(10)으로 이동시키면 텔레스코픽 형태로 확장되면서 연장된다.
제2 변형부(500)가 제1 방향(10)으로 확장된 상태에서의 길이는 제1 변형부(300)가 제1 방향(10)을 향해 확장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거나 같고, 제2 바디(600)가 다양한 위치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말기(10)가 회동부(400)를 통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변형부(500)는 일단부(510), 경사부(520), 중단부(530), 경사부(540), 중앙부(550), 경사부(560), 타단부(570), 배터리(580) 및 커버(590)를 포함한다.
일단부(51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 일부분은 볼스터드(430)의 타단과 결합되며, 제1 방향(10)쪽 일부분은 경사부(520)의 일단과 결합되어 경사부(520)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경사부(520)의 제2 방향(20)쪽 일단은 일단부(510)의 제1 방향(10)쪽 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곡면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의 공간이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중단부(530)는 일단부(510)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20)쪽 일측면은 경사부(52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1 방향(10)쪽 타측면은 경사부(540)의 일단과 결합된다.
경사부(540)의 제2 방향(20)쪽 일단은 중단부(530)의 타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곡면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의 공간이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경사부(520, 540)들의 내부의 공간은 중단부(5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변형이 용이한 고분자 재질로 형성된다.
중앙부(550)는 중단부(530)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20)쪽 일측면은 경사부(5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1 방향(10)쪽 타측면은 경사부(560)의 일단과 결합된다.
경사부(560)의 제2 방향(20)쪽 일단은 중앙부(550)의 타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곡면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의 공간이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타단부(570)는 중앙부(550)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20)쪽 일측면은 경사부(56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1 방향(10)쪽 타측면은 제2 바디(600)와 밀착된다.
따라서, 제2 변형부(500) 내부의 변형공간은 일단부(510), 경사부(520), 중단부(530), 경사부(540), 중앙부(550), 경사부(560) 및 타단부(570)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 방향(10, 20)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변형부(500)는 제2 바디(600)를 제2 방향(20)으로 이동시키면, 중단부(530), 중앙부(550) 및 타단부(570)가 일단부(510)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경사부(520, 540, 56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일부분은 제2 바디(600)에 밀착되며, 경사부(520, 540, 56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절곡된다.
제2 바디(600)는 부착판(610), 커버(620), 배터리(630), 링부재(640) 및 결합부(650)를 포함한다.
제2 바디(600)의 제2 방향(20)쪽 일측 일부분은 제2 변형부(500)의 타단과 밀착되며 결합되어 제2 변형부(500) 내부의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된 변형공간을 커버한다.
제2 바디(600)의 제1 방향(10)쪽 타측 일부분은 일측에서 제1 방향(10)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타측면에는 거울 또는 거치를 위해 회동 가능한 거치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판(610)은 부착판(210)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방향(10)쪽 표면은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책상에 부착시킬 수 있는 접착물질 또는 거울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620)는 부착판(6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부분은 제2 방향(20)을 향해 연장되어 내부공간이 제2 방향(20)을 향해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620)는 회동부(400)를 사이에 두고 커버(220)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220, 620)들은 동일한 구조 및 사이즈로 형성되므로 제작편의성이 높다.
배터리(63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배터리(230)와 동일한 형태 및 사이즈이고, 커버(620)에서 제2 방향(20)쪽에 배치되며, 커버(6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회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부재(640)는 커버(62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링부재(640)의 내측면은 커버(620)의 외측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1 방향(10)쪽 표면은 부착판(610)의 제2 방향(20)쪽 표면과 밀착 결합된다.
링부재(640)의 제2 방향(20)쪽 일측에 해당하는 내측면 일부분은 링부재(64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링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커버(620)의 외측면 및 링부재(64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타단부(570)가 삽입 및 고정된다.
결합부(650)는 링부재(640)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부(650)의 내측면은 링부재(640)의 외측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1 방향(10)쪽 표면은 부착판(610)의 제2 방향(20)쪽 일측면 가장자리와 면결합된다.
결합부(650)의 제1 방향(10)쪽에 해당하는 내측면 일부분은 부착판(610)과 밀착된 상태에서 링부재(640)를 향해 연장되어 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링부재(64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링부재(640)와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부(650)의 내측면 및 링부재(640)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2 방향(20)을 향해 개방된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결합부(650)는 상기 연결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 방향(20)으로 더 연장되어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이 수축된 상태에서 회동부(400)를 외측으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10)는 회동부(9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거치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장치(110)는 회동부(900)를 포함한다.
거치장치(110)는 회동부(900)의 회동으로 제1 변형부(300) 및 제2 변형부(500)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면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사이의 각도를 유지시키면서 부착판(210)에 부착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이 결합된 케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회동부(900)는 프레임(910) 및 볼스터드(920)를 포함하고, 프레임(910)은 돌기(922)들을 포함한다.
회동부(900)의 일단은 제1 변형부(300)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어 제2 변형부(50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각각의 내부에 해당하는 변형공간을 연결하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각각의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각각이 수축 또는 확장하는 과정에서 가스는 상기 통로를 통해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 내부의 변형공간으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910)의 일단은 제1 변형부(3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원통형태로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며, 프레임(910)의 타단면에는 제2 방향(20)을 향해 반원형태로 함몰된 회동공간(3)이 형성되어 볼스터드(920)의 일단이 삽입된다.
프레임(910)의 일단면 중앙에는 프레임(910)의 제2 방향(20)쪽 공간과 프레임(910)의 제1 방향(10)쪽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제1 통공(2)이 형성되고, 회동부(900)가 제2 방향(20)쪽으로 이동하여 제1 변형부(300)가 수축하면 제1 변형부(300) 내부의 가스는 제1 통공(2)을 통해 프레임(910)의 제1 방향(10)쪽에 위치한 상기 회동공간(3)으로 이동한다.
프레임(910)의 외측면에는 경사부(340)의 타단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볼스터드(920)의 일단은 상기 회동공간(3)에 삽입되어 프레임(91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볼스터드(920)의 일단은 원형의 볼의 제2 방향(20)쪽 일부분이 제1 방향(10)을 향해 반구형태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제1 방향(10)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부(510)와 결합된다.
볼스터드(920)의 일단 내부에는 일단 중앙부터 제1 방향(10)을 향해 볼스터드(920)의 일단을 관통하며 연장되는 연결통로(6)가 형성되고, 볼스터드(920)의 타단 내부에는 연결통로(6)와 연결되어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며 제1 방향(10)쪽에 위치한 제2 변형부(500)의 내부공간으로 개방되는 제2 통공(7)이 형성된다.
제1 통공(2), 회동공간(3), 연결통로(6) 및 제2 통공(7)은 서로 연결되고, 제1 변형부(300) 및 제2 변형부(500)의 변형공간은 제1 통공(2), 회동공간(3), 연결통로(6) 및 제2 통공(7)들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배출통로(4)의 일단은 연결통로(6)에 해당하는 공간의 볼스터드(920)의 하부 내측면에서 제1 방향(10)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부의 공간과 연결통로(6)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배출통로(5)의 일단은 연결통로(6)에 해당하는 공간의 볼스터드(920)의 상부 내측면에서 제1 방향(10)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부의 공간과 연결통로(6)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1 변형부(300)가 제2 방향(20)을 향해 수축하는 과정에서 제1 변형부(300) 내부의 변형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는 제1 통공(2), 회동공간(3), 연결통로(6) 및 배출통로(4,5)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1 변형부(300)가 제1 방향(10)을 향해 확장하는 과정에서 제1 변형부(300) 내부의 변형공간에는 제1 통공(2), 회동공간(3), 연결통로(6) 및 배출통로(4,5)들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가스가 제1 변형부(300) 내부의 변형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2 변형부(500)가 제2 방향(20)을 향해 수축하는 과정에서 제2 변형부(500) 내부의 변형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는 제2 통공(7), 연결통로(6) 및 배출통로(4,5)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변형부(500)가 제1 방향(10)을 향해 확장하는 과정에서 제2 변형부(500) 내부의 변형공간에는 제2 통공(7), 연결통로(6) 및 배출통로(4,5)들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가스가 제2 변형부(500) 내부의 변형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거치장치(110)는 제1 및 제2 통공(2, 7)들, 회동공간(3), 연결통로(6) 및 배출통로(4, 5)들을 통해 제1 또는 제2 변형부(300, 500)들의 수축 또는 확장이 용이하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각각에 가스의 유출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0)들 각각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돌기(922)들 각각은 프레임(910) 타단의 회동공간(3)에 해당하는 내측면에서 프레임(910)의 타단 중앙을 향하도록 반구형태로 돌출되고, 프레임(910)타단의 회동공간(3)에 해당하는 내측면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볼스터드(920)의 일단 외측면에는 돌기(922)들 각각이 삽입되도록 반구형태의 고정홈들이 형성되고, 볼스터드(920)의 일단의 회동에 따라 돌기(922)들 각각이 삽입되는 상기 고정홈들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볼스터드(920)의 회동 후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거치장치(110)는 프레임(9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922)들을 통해 볼스터드(920)가 회동한 후 볼스터드(920)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1 또는 제2 변형부(300, 500)에 부착되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용 케이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거치장치를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거치장치의 조이스틱 및 스프링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20)는 제2 변형부(505)의 일단부(510)가 제외되고, 제1 바디(205)의 링부재(240)에 형성된 슬롯(245a, 245b)들, 제2 바디(605)의 결합부(650)에 형성된 돌기(655a, 655b)들, 연결부(700), 제어부(800) 및 스프링(820)들이 추가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거치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장치(120)는 제1 바디(205), 제1 변형부(300), 제2 변형부(505), 제2 바디(605), 연결부(700), 제어부(800) 및 스프링(820)을 포함한다.
거치장치(120)는 제1 방향(10)을 향해 확장된 상태에서는 일측면의 형태가 장구 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들로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제2 방향(20)을 향해 축소된 상태에서는 양단이 서로 밀착되어 휴대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거치장치(120)는 제1 바디(205), 제2 변형부(505), 제2 바디(605) 및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205)는 슬롯(245a, 245b)들을 더 포함하고, 제2 바디(605)는 돌기(655a, 655b)들을 더 포함한다.
슬롯(245a, 245b)들 각각의 일단은 상대적으로 제1 방향(10)쪽에 해당하는 링부재(240)의 후방 및 전방 외측면 일부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각이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돌기(655a, 655b)들 각각의 일단은 상대적으로 제2 방향(20)쪽에 해당하는 결합부(650)의 내측면의 후방 및 전방 내측면 일부분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각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돌기(655a)는 슬롯(245a)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돌기(655a)는 제2 바디(605)가 제2 방향(20)으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5)들이 제2 방향(20)을 향해 수축한 상태에서 슬롯(245a)의 하부를 지나 슬롯(245a)의 제2 방향(20)쪽에 배치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바디(605)를 제2 방향(20)의 연장선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시키면, 돌기(655a)가 슬롯(245a)을 지나 슬롯(245a)보다 제2 방향(20)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슬롯(245a)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면서 돌기(655a) 및 슬롯(245a)들이 서로 밀착된다.
돌기(655b)는 슬롯(245b)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돌기(655b)는 제2 바디(605)가 제2 방향(20)으로 이동하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5)들이 제2 방향(20)을 향해 수축한 상태에서 슬롯(245b)의 상부를 지나 슬롯(245ba)의 제2 방향(20)쪽에 배치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 바디(605)를 제2 방향(20)의 연장선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시키면, 돌기(655b)가 슬롯(245b)을 지나 슬롯(245b)보다 제2 방향(20)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슬롯(245b)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면서 돌기(655b) 및 슬롯(245b)들이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제1 바디(205) 및 제2 바디(605)는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5)들이 제1 방향(10)을 향해 수축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돌기(655a, 655b)들 각각이 슬롯(245a, 245b)들과 각각 밀착 결합되면서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5)들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연결부(70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방향(20)쪽 일측면은 경사부(340)의 타단과 결합되며, 중앙의 관통홀에는 제어부(800)가 배치되어 연결부(700)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연결부(700)의 제1 방향(10)쪽 타측면은 경사부(520)의 일단과 결합되고, 경사부(520)의 일단 안쪽에는 스프링(820)의 일단이 연결부(700)의 타측면 일부분과 결합되며, 스프링(820)의 타단은 경사부(520), 중단부(530) 및 경사부(540)를 지나 중앙부(550)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바디(605)가 제2 방향(20)을 따라 이동하여, 돌기(655a, 655b)들 및 슬롯(245a, 245b)들을 통해 제1 바디(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820)의 타단은 배터리(630)를 압박하여 제2 바디(605)를 제1 방향(10)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탄성 압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바디(200, 605)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605)를 제2 방향(20)의 연장선상을 축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655a, 655b)들 및 슬롯(245a, 245b)들이 서로 분리되고, 스프링(820)의 탄성으로 제2 변형부(505)가 제1 방향(10)을 향해 일부분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제2 바디(605)를 잡고 제1 및 제2 변형부(300, 505)를 확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80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700)의 관통홀에서 연결부(7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스프링(820)의 안쪽에서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스프링(82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800)의 일단에는 단말기(10)와 연결되도록 무선 연결 모듈 및 조이스틱 모듈이 형성되고, 전선을 통해 단자(240) 및 배터리(230, 630)들과 연결되며, 제어부(800)의 타단에 형성된 레버(810)의 회동을 통해 단말기(10) 화면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레버(810)가 스프링(820)과 밀착되고, 스프링(820)은 제2 바디(605) 및 제2 변형부(505)의 상부, 하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벤딩과 함께 변형되므로, 사용자는 제2 바디(605) 또는 제2 변형부(505)를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조작하여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820)의 일단은 연결부(700)의 제2 방향(20)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30)는 제2 바디(601)의 부착판(611), 스피커(612), 패킹(613), 돌기(614), 거울(615), 홈(617), 삽입홈(618) 및 결합부(651)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거치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장치(130)는 제2 바디(601)를 포함한다.
제2 바디(601)는 부착판(611), 스피커(612), 패킹(613), 돌기(614), 거울(615), 홈(617), 삽입홈(618) 및 결합부(651)를 포함한다.
제2 바디(601)의 결합부(651)는 도 1 내지 4들의 결합부(650)에 비해 제1 방향(10)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제작되고, 상단 일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단 일부분은 부착판(611)의 일단에 해당하는 상단과 연결된다.
결합부(651)의 내부에는 삽입홈(618)이 형성되고, 결합부(651)의 내측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안쪽 중앙을 향해 환 형태의 플레이트 형태로 내측면 일부분이 연장되어 중앙부에 거울(615)이 삽입될 수 있는 거울삽입공간이 형성된다.
결합부(651) 및 부착판(611)의 일단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어 부착판(611)의 일단을 축을 부착판(611)의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하부를 향해 이동시켜 결합부(651)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618)을 커버할 수 있다.
부착판(611)의 일단은 결합부(651)의 상단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결합부(651)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부(651) 안쪽에 형성된 삽입홈(618)에 삽입되어 결합부(651)의 안쪽을 커버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스피커(612)는 부착판(611)이 삽입홈(618)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착판(611)의 제2 방향(20)쪽 표면 중앙에 결합되고, 부착판(611)의 일단을 축으로 타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스피커(612)는 제1 방향(10)을 향해 개방된다.
스피커(612)는 회동부(400) 내부의 모듈(420) 및 배터리(230, 630)들과 연결되고, 모듈(420) 및 단자(250)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패킹(613)은 부착판(611)이 삽입홈(618)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착판(611)의 제2 방향(20)쪽 표면에서 스피커(612)를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패킹(613)의 외측면은 부착판(611)이 삽입홈(618)에 삽입된 상태에서 거울(615)의 제1 방향(10)쪽에 밀착되어 상기 거울삽입공간에서 결합부(651)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거울(615)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거울(615)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거울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외측면에 결합부(651)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1 방향(10)을 향해 거울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부착판(611)을 개방하여 거울(615)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614)는 부착판(611)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삽입홈(618)이 개방된 상태에서, 부착판(611)의 상부에 형성되고, 부착판(611)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하강하고 삽입홈(618)에 삽입된 후 돌기(614)를 홈(617)에 삽입시켜 부착판(611)을 안정적으로 결합부(65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130: 거치장치
200, 205: 제1 바디 300: 제1 변형부
400, 900: 회동부 500: 제2 변형부
600, 605: 제2 바디 700: 연결부
800: 제어부

Claims (8)

  1.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는 제1 변형부;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는 제2 변형부;
    상기 제2 변형부의 타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2 변형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들이 수축하면, 서로 일부분이 교차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확장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 변형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디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바디들이 서로 교차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바디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슬롯의 상기 제2 방향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 및 슬롯이 서로 밀착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와 연결된 무선모듈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스프링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레버가 형성되는 제어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동 가능한 볼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볼스터드는,
    회동시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홈과,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들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통로 및 상기 제1 변형부 또는 제2 변형부의 신장 및 수축시 외부공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되, 제2 변형부 일측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의 결합 배열에 의해서 상기 제2 변형부가 제1 변형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의 굴절된 자세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8.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바디와 이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는 제1 변형부;
    일단은 상기 제1 변형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텔레스코픽 연결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는 제2 변형부; 및
    상기 제2 변형부의 타단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쪽에 형성되는 거울을 포함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확장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장치.


















KR1020190016511A 2019-02-13 2019-02-13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204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11A KR102047407B1 (ko) 2019-02-13 2019-02-13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JP2019207917A JP6917438B2 (ja) 2019-02-13 2019-11-18 携帯端末用スタンド
PCT/KR2019/016961 WO2020166799A1 (ko) 2019-02-13 2019-12-03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11A KR102047407B1 (ko) 2019-02-13 2019-02-13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407B1 true KR102047407B1 (ko) 2019-11-21

Family

ID=6869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11A KR102047407B1 (ko) 2019-02-13 2019-02-13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17438B2 (ko)
KR (1) KR102047407B1 (ko)
WO (1) WO20201667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799A1 (ko) * 2019-02-13 2020-08-20 김예슬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2301971B1 (ko) * 2020-08-26 2021-09-16 김예슬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KR20210132470A (ko) * 2020-04-27 2021-11-04 정희정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102352821B1 (ko) * 2020-09-29 2022-01-17 김혜진 휴대 기기 살균용 그립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798A (ja) * 2002-04-12 2005-07-28 ヘンリー ケイ. オバーマイヤー, 多軸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そのためのトランスデューサー手段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101891667B1 (ko) *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180262603A1 (en) * 2017-03-08 2018-09-13 Harald Richter Hol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bile Phon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634A (ja) * 2000-09-20 2002-03-29 Kiyota Engineering:Kk 携帯電話用スタンド
US8560031B2 (en) * 2011-03-16 2013-10-15 David B. Barnett Extending socket for portable media player
JP3187419U (ja) * 2013-08-20 2013-11-28 有限会社 長尾製作所 携帯電話用か、タブレット又は小物用の支持台
EP3285466A4 (en) * 2015-04-15 2018-12-26 Woong Soo Shin Terminal support stand,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US10054259B2 (en) * 2016-08-17 2018-08-21 Popsockets Llc Expanding socket accessory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364006B1 (ko) * 2017-05-21 2022-02-17 야론 레브 스마트 홀더
CN207034574U (zh) * 2017-11-27 2018-02-23 桑堇馨 支架
CN208489889U (zh) * 2018-06-29 2019-02-12 深圳市博贝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伸缩型手机支架
KR102047407B1 (ko) * 2019-02-13 2019-11-21 김예슬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798A (ja) * 2002-04-12 2005-07-28 ヘンリー ケイ. オバーマイヤー, 多軸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そのためのトランスデューサー手段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US20180262603A1 (en) * 2017-03-08 2018-09-13 Harald Richter Hol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bile Phones
KR101891667B1 (ko) * 2017-09-29 2018-08-24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799A1 (ko) * 2019-02-13 2020-08-20 김예슬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10132470A (ko) * 2020-04-27 2021-11-04 정희정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102360972B1 (ko) * 2020-04-27 2022-02-08 정희정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KR102301971B1 (ko) * 2020-08-26 2021-09-16 김예슬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WO2022114515A1 (ko) * 2020-08-26 2022-06-02 김예슬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US11689237B2 (en) 2020-08-26 2023-06-27 Ye Seul KIM Accessory for electronic device
KR102352821B1 (ko) * 2020-09-29 2022-01-17 김혜진 휴대 기기 살균용 그립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5850A (ja) 2020-08-31
WO2020166799A1 (ko) 2020-08-20
JP6917438B2 (ja)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40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N101051847B (zh) 便携式终端及其滑动支架
KR100630126B1 (ko) 귀 착용 타입 무선 헤드셋 폰
JP2010503343A (ja)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
TWI338518B (ko)
US9853672B2 (en) Mobile terminal
US9142925B2 (en) D-shaped connector
US20170264991A1 (en) Headphone or earphone assembly having a pivotable usb charging connector integrated into a housing thereof
US20140329416A1 (en)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93571Y1 (ko)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US20120172090A1 (en) Protective Case with Speaker and Microphone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KR20070055677A (ko) 무선 헤드셋
US10448160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2221468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20220286544A1 (en) Attachment module for coupling at least one wireless earphone with a mobile device
WO2008125013A1 (fr) Oreillette sans fil
CN112546615A (zh) 游戏手柄和电子组件
JP4705136B2 (ja) ヘッドホン機能付携帯電話
JP3229782U (ja) モバイルバッテリー
US20190045294A1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881069B1 (ko) 힌지부를 구비하는 넥 밴드 헤드셋
KR102048202B1 (ko) 무선 이어폰용 보관케이스
US201002674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16720467U (zh) 多合一接头及手机连接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