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677A -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677A
KR20070055677A KR1020050113925A KR20050113925A KR20070055677A KR 20070055677 A KR20070055677 A KR 20070055677A KR 1020050113925 A KR1020050113925 A KR 1020050113925A KR 20050113925 A KR20050113925 A KR 20050113925A KR 20070055677 A KR20070055677 A KR 20070055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wireless headset
stat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278B1 (ko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앤블루 filed Critical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to KR102005011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278B1/ko
Priority to PCT/KR2006/004907 priority patent/WO2007061213A1/en
Priority to RU2008123159/28A priority patent/RU2008123159A/ru
Priority to EP06024456A priority patent/EP1791335A3/en
Priority to US11/604,820 priority patent/US20070133836A1/en
Priority to CNA2006101625462A priority patent/CN1976542A/zh
Priority to JP2006319888A priority patent/JP2007151127A/ja
Publication of KR2007005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의 어느 일단부축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와 인출상태의 사이에서 그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이 안정적으로 동작되고,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무의식 적인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지시된 위치에서 주어진 위치 및 구조로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헤드셋의 크기가 작아지고, 제조비가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무선 헤드셋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는 긴 막대형상 본체를 쥔 상태에서, 이어폰 만을 손가락으로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 헤드셋

Description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에서 이어폰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인입/인출동작 중인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인출된 상태의 단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
도 14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
도 15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
도 1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평면도.
도 17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헤드셋 2 : 본체 5 : 클립
6 : 이어폰 7 : 스페이서 8 : 이어폰 가이드홈
9 : 스페이서 가이드홈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93227호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모체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모체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음파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서는 휴대폰과 MP3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무선 헤드셋을 더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에 휴대폰과 MP3와 같은 기기를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휴대폰 및 MP3와 같은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무선 헤드셋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블루투스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서, 상기 무선 헤드셋은 블루투스 헤드셋이라는 명칭으로 관용적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상기 무선 헤드셋은 상기 무선 헤드셋의 장착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 헤드셋과 일체로 또는 분리가능형태로, 귓바퀴와 유사한 구조의 틀이 제공된 상태에서, 그 틀이 귓바퀴에 지지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상기 틀을 돌리거나 변형시키는 복잡한 동작을 통하여 이 를 착용하여야 하고 상기 틀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전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무선 헤드셋을 상기 귓바퀴에 걸 필요없이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시키는 과정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도록 하는 제품도 소개되고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을 착용하는 동작은, 무선 헤드셋의 이어폰이 직접 사용자의 이주와 상대이주의 사이 간격부와, 외이도의 내부 공간에 걸리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은 상기 무선 헤드셋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20-0393227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가 있다. 상기되는 기술은 무선 헤드셋이 사용자의 귀에 직접 거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선 헤드셋이 사용 중일 때에는 이어폰이 무선 헤드셋 본체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하고, 무선 헤드셋을 보관할 때에는 이어폰이 본체의 중심부에 함몰되는 소정의 공간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 의하면 무선 헤드셋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장착 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어폰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무선 헤드셋 본체의 중심부에 큰 개공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선 헤드셋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다른 부품들은 상기 개공을 벗어나는 다른 위치에 놓여야 하고, 그렇다면 모든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 헤드셋의 크기는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어폰과 직접 연결되는 이어셋이 길게 제공된 상태에서 힌지로 회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이어셋의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이어셋의 돌출된 부분에 다른 물품이 걸리게 되면 무선 헤드셋이 귀에서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이어폰에는 일방으로 밀리는 힘이 항상 가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이어폰이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무선 헤드셋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무선 헤드셋이 안정적으로 동작되고, 크기가 작아지고, 제조비가 줄어들고,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정해된 위치에서 주어진 형상 및 구조대로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고,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해지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의 어느 일단부축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와 인출상태의 사이에서 그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적어도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이어폰; 적어도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어 상기 이어폰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되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은 상기 본체에 대한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클립이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부가 제공되는 다각형의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 가이드의 평면부와 면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등각회전되는 가이드 판; 상기 가이드 판의 중심과 등거리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 상기 멈춤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를 상기 멈춤부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포함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평면부와 면접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탄성편이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및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변형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어폰의 인출시에 상기 변형부는 완만하게 구부러져서 상기 이어폰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스페이서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및 상기 이어폰이 180도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어도 인출상태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힌지가 포함된다.
더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어느 쪽 귀퉁이부에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스페이서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이 동작 안정성이 증대되고, 크기가 작아지고, 제조비가 줄어들고, 휴대가 간편해지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 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1)은 길다란 막대형으로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폰(6)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본체(2)를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본체(2)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이어폰(6)을 조작하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무선 헤드셋(1)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정부(4)와, 무선 헤드셋(1)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거치하도록 하는 클립(5)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3)와, 무선 헤드셋(1)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데 사용되는 온/오프 버튼(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어느 일측에는 배터리(1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각 회로들은 상기 본체(2)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기판(12)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의 내부에는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헤드셋(1)이 귀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귓 바퀴와 유사한 모양 및 형식의 어떠한 틀이 필요치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1)은 이어폰(6)의 이동상태가 편리하게 제공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하는데, 이하에서는 그와 관련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이어폰(6)과 상기 본체(2)와의 연결부분에는 이어폰(6)과 본체(2)와의 사이에 소정 길이의 간격을 제공하는 스페이서(7)가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이어폰(6)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이어폰 가이드홈(8)과 상기 스페이서(7)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스페이서 가이드홈(9)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스페이서(7)은 무선 헤드셋(1)의 사용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6)이 바깥쪽으로 인출될 때 이어폰(6)이 사용자의 귓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본체(2)가 사용자의 귀에 걸려서 간섭을 일으켜서 장착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페이서(7)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1)이 사용자의 귀에 걸릴 때, 사용자의 귀와 본체(2)와의 사이에 일정정도의 거리가 띄어져서 유 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은 상기 무선 헤드셋(1)이 보관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6)이 본체(1)에 대하여 인접되는 상태로 수납될 때, 이어폰(6)의 안착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긴 막대형상의 상기 본체(2)의 단부에서 내부로 넓은 폭으로 함몰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 가이드홈(9)은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6)이 상기 본체(2)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이어폰(6)의 인출된 상태에서 스페이서(7)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이어폰(6)의 머리부분은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부분이 크게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이어폰(6)은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의 안쪽으로 대부분이 수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6)은 바깥쪽으로 인출할 때, 이어폰(6)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6)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의 바깥쪽으로 일정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2)의 단부에 상기 이어폰(6)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눈으로 보지 않고도 긴 막대의 단부에서 이어폰(6)을 촉각으로 인지하고 이를 바깥쪽으로 인출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이어폰(6)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무선 헤드셋(1)을 사용상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6)은 본체(2)에 대하여 힌지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는데, 상기 이어폰(6)은 힌지 회동이 가능하면서도 이어폰(6)이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8)에 가이드되어 수용된 상태의 위치와, 이어폰(6)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 의 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어폰(6)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스페이서(7)의 하단부에는 회전축(21)이 상기 스페이서(7)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캠(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22)에는 스터드(23)가 접하고 있고, 상기 스터드(23)의 단부에는 탄성부재(24)가 더 연결되어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스터드(23)는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서 상방으로 올려지는 힘을 항상 제공받게 되고, 상기 스터드(23)의 상단은 상기 캠(22)에 항상 접한 상태에서 상기 캠(22)이 일정한 회전각도로 놓이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이어폰(6)이 회전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21)을 경유하여 상기 캠(22)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캠(22)은 비원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스터드(23)에 의해서 밀어 올려져서 일정한 위치로 이어폰(6)이 항상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캠(22)과 상기 스터드(23)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6)이 안정된 상태로 놓이는 위치는, 상기 이어폰(6)이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에 수용된 상태로서 무선 헤드셋(1)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어폰(6)이 바깥쪽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로서 무선 헤드셋(1)이 사용중인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그 가운데의 위치에서는 캠(22)이 불안정한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항상 어느 일방으로 회전되는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어폰의 위치 가이드 구조에 의해서, 상기 무선 헤드셋(1)이 동작되 지 아니하는 경우, 다시 말하면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8)의 내부에 이어폰(6)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면 상기 캠(22)과 상기 스터드(23)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6)이 바깥쪽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호주머니나 가방에 무선 헤드셋(1)이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이어폰(6)이 인출되지 않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6)의 위생상태가 개선되고 사용사의 편의성이 개선되고, 무선 헤드셋(1)의 동작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 및/또는 스페이서 가이드 홈(9)은 상기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에 의해서 인입상태를 향하여 뒤로 젖혀지는 이어폰(6) 및 스페이서(7)가 후방으로 더 넘어가지 않고,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에 의해서 가이된 상태에서 정위치에 정확하게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되는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내지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사용대기 중인 상태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무선 헤드셋(1)은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태로서, 언제든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헤드셋(1)의 본체(2)의 어느 일측에는 클립(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5)은 별도의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막대형상 본체(2)의 어느 일단부에서 타 단부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클립(5)은 그 자체로서 어느 정도로 변형이 자유롭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셔츠 의 호주머니등의 모서리에 상기 클립(5)을 이용하여 무선 헤드셋(1)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에 전화가 오는 등, 무선 헤드셋(1)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무선 헤드셋(1)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제시되는 상기 클립(5)은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아서, 상기 본체(2)에 일체로 제공되는 등, 다양한 양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립(5)은 본 발명이 무선 헤드셋(1)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그 사용성이 더욱 개선되는 것으로서, 무선 헤드셋(1)이 볼펜등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호주머니등에 걸려서 거치됨으로써, 그 사용성이 한층 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사용대기 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이어폰(6)은 본체에 수용된 상태로서,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헤드셋(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일 방향으로 놓여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물품에 의해서 방해가 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이어폰(6)이 외계의 다른 물품에 걸리더라도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에 의해서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6)이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안정적인 구조로 인하여 무선 헤드셋(1)의 동작상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무선 헤드셋(1)이 사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폰등에 호출이 와서 무선 헤드셋(1)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클립(5)의 거치 상태를 제거하여 무선 헤드셋(1)을 인출하고, 상기 이어폰(6)을 회전시켜서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상기 이어폰(6)의 인출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본체(2)를 쥐고 있는 손으로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어폰(6)의 일 부분을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어폰(6)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어폰(6)은 캠(22) 및 스터드(23)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경쾌하게 회전되어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6)이 보다 경쾌하게 바깥쪽으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은 한층 더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일단 이어폰(6)이 인출이 된 다음에는 사용자가 인출할 때와 동일한 힘으로 이어폰(6)을 안쪽으로 인입하기 전 까지는 이어폰(6)은 상기 캠(22)과 상기 스터드(23)의 사이에서 작용되는 힘에 의해서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귀에 이어폰(6)을 삽입할 때에도 상기 이어폰(6)은 흔들림 없이 인출위치를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어폰(6)의 삽입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어폰(6)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7)가 일정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어폰(6)을 귀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귓바퀴등의 귀의 외측구조에 상기 본체(2)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무선 헤드셋(1)의 삽입위치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의 길이는 설명된 바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7)는 스페이서 가이드홈(9)에 의해서 안내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이어폰(8)이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페이서(7)와 스페이서 가이드홈(9)가 서로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6)에 외부의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상기 캠(22)과 회전축(21)과 스터드(23)에 가하여지는 충격량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페이서 가이드홈(9)에 의해서 상기 스페이서(7)의 인출 및 인입동작이 안내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출된 다음에는 상기 온/오프 버튼(10)을 동작하여 무선 헤드셋(1)의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고, 사용이 끝난 다음에는 온/오프 버튼(10)을 다시 눌러서 무선 헤드셋(1)의 사용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 중에 음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때에는 상기 음량 조절부(4)에 의해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나아가서, 이어폰(6)이 완전히 인출된 다음에 별도로 온/오프 버튼(10)을 조작할 필요없이 상기 이어폰(6)을 인출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무선 헤드셋(1)을 동작 상태로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6)의 인출위치를 감지함에 의해서 자동으로 무선 헤드셋(1)이 동작상태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22)에 의한 상기 스터드(23)의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상기 스페이서 가이드홈(9)의 내부에 형성되어 스페이서(7)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등과 같은 다양한 양상의 센서가 설치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센서는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1)에서 상기 이어폰(6)이 회동되는 동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이어폰(6)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무선 헤드셋(1)의 사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무선 헤드셋(1)의 사용이 종료되어서, 상기 이어폰(6)을 안쪽으로 인입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이어폰(6)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상기 이어폰(6)의 인출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을 하면 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어폰(6)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은 도 3 내지 도 5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되는 설명에서 간단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6)은 보관상태에서는 상기 본체(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6)의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본체(2)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꺾이는 동작,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2)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어폰(6)과 상기 본체(2)의 거리는 더욱 멀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귀와 상기 본체(2)와의 간섭은 더욱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세하게 설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이어폰(6)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6)가 상기 기판(12)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기판(FPCB)등과 같은 소정의 연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3)는 사용자의 입과 가장 가까운 무선 헤드셋(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6)은 펜 형상으로서 어느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무선 헤드셋(1)의 어느 단부에서 무선 헤드셋(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인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헤드셋(1)의 안쪽 공간에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2)내부 부품의 설치상의 편의성과 공간 효율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고, 이로써 무선 헤드셋(1)의 크기가 더욱 작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이어폰의 위치 가이드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로서, 무선 헤드셋을 절단하는 각도는 상기 도 2 및 도 3과 동일하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는 폴더타입 휴대폰의 폴더의 회전을 위한 힌지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서, 스페이서(7)와 본체(2)와의 연결부에 탄성힌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힌지(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30)는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힌지몸체(31)와, 상기 힌지몸체(31)의 내벽에 안착되는 탄성부재(34)가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재(34)의 안쪽 부분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회전가이드(33)와, 상기 회전가이드(33) 및 상기 스페이서(7)와 등각도로 회전되는 회전축(32)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어폰(6)이 회전되어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32) 및 회전가이드(33)가 회전되고, 상기 회 전가이드(33)의 회전동작은 상기 탄성부재(34)에 의해서 회전각도가 제어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가이드(33)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포함되는 다각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4)는 회전가이드(33)의 평면과 대응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회전축(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33)와 대응되는 평면은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4)와 서로 바라보는 위치와,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4)와 서로 바라보는 위치에는 적어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상기 이어폰(6)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에 대한 인출상태 및 인입상태의 위치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이어폰의 위치 가이드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로서, 무선 헤드셋을 절단하는 각도는 상기 도 2 및 도 3를 따른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에는 스 페이서(7)와 본체(2)와의 연결부에 탄성힌지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탄성힌지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는 상기 스페이서(7) 하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과 등각도로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52)와, 상기 회전 가이드(52)와 접하는 탄성편(53)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회전축(51)과 상기 회전 가이드(52)는 서로 동일하게 회전되는 물품으로서, 상기 회전 가이드(5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포함되는 다각형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53)은 상기 본체(2)를 이루는 어떠한 물품과 일체로 제공되는 물품으로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제공된 상태에서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가 수지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편(53)도 수지재로 제공됨으로써, 제작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편(53)이 본체(2)와는 별도의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2)에 끼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2)를 이루는 어떠한 물품과 일체로서의 물품으로서 본체(2)가 제작될 때 한꺼번에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제조비의 절감이나 제작의 편의를 위해서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이어폰(6)이 회전되어 상기 이어폰 가이드홈(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51) 및 회전가이드(52)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52)의 회전각도는 상기 탄성편(53)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가이드(52)의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포함되 는 다각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편(53)는 회전가이드(52)의 평면과 대응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52)와 대응되는 평면은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53)과 서로 바라보는 위치와,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3)와 서로 바라보는 위치에는 적어도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이어폰(6)의 인입위치와 인출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회전가이드(52)의 평면이 두개 이상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6)의 정지위치가 보다 다양한 경우의 수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어폰(6)이 다양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이어폰의 위치 가이드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로서, 무선 헤드셋을 절단하는 각도는 상기 도 2 및 도 3를 따른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7)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1)과 동일한 중심축으로 회전되는 가이드 판(42)과, 상기 가이드 판(42)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 멈춤부(45)와, 상기 멈춤부(45)에 적어도 일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판(42)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삽입구(44)와, 상기 삽입구(44)를 밀어서 상기 삽입구(44)가 상기 멈춤부(45)에 정렬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3)가 포함된다. 상기 멈춤부(450는 상기 가이드 판(42)에 가공되는 홈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삽입구(44)가 특정의 상기 멈춤부(45)와 정렬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구(44)는 멈춤부(45)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판(42)은 일정한 정도 이하의 외력에 대해서는 회전되지 못하고 구속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6)이 외력에 의해서 인출거나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41) 및 가이드 판(42)이 같이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 판(42)이 회전되면 상기 삽입구(44)와 정렬되는 멈춤부(45)는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멈춤부(45)가 다수개 제공되어 있을 때, 상기 삽입구(44)와 정렬되는 멈춤부(45)는 상기 가이드 판(42)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서로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6)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44)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멈춤부(45)가 제공되기만 하면, 상기 이어폰(6)의 인입상태와 인출상태는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나 아가서, 만약 복수개의 멈춤부(45)가 제공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대로 상기 이어폰(6)의 정지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멈춤부(45)가 네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네가지 종류의 정지위치로 이어폰(6)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이어폰의 위치 가이드 구조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로서, 무선 헤드셋을 절단하는 각도는 상기 도 2 및 도 3를 따른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도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탄성힌지로 제공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특정 지점에 힌지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스페이서(7)를 이루는 적어도 일 부분의 재질이 자체적으로 탄성재질로 제공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이어폰(6)이 인출될 때 상기 스페이서(7)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그러므로, 특정의 지점에서 힌지에 의한 회전동작이 수행되지는 않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7)는 상기 본체(2)를 이루는 부품에 결합되는 물품의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스페이서(7)에는 연질재료로 제공되는 변형부(flexible portion)(61)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어폰(6)이 바깥쪽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변형부(61)가 부드럽게 회전되어 꺾이게 된다.
상기 변형부(61)와 상기 본체(2)와의 연결부분은 상기 본체(2)가 먼저 사출제작된 다음에, 상기 변형부(61)가 상기 본체(2)에 대하여 이중사출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제작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2)가 제작된 다음에 변형부(61)가 끼워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제작상의 편의를 위하여 이중사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 가이드홈(9)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7)가 인출된 다음에 인출 위치가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폭이 축소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걸림턱(6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2)을 통과하는 부분은 변형부(61) 또는 스페이서(7)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힘만 가하게 되면 용이하게 스페이서(7) 및 이어폰(6)을 바깥쪽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변형부(61)는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62)의 사이에 수축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상기 이어폰(6)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변형부(61)는 인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단 사용자가 이어폰(6)을 인출하게 되면 인출된 이어폰(6)의 위치는 그 상태대로 유지되는 사용상의 장점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없으나, 상기 스페이서(7)는 상기 변형부(6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전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변형부(61)의 재질과 달리 어느 정도의 강도가 있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7)가 어느 정도 견고한 물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이어폰(6)을 귀에 삽입하는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이어폰(6)이 회전하는 방향과, 상기 이어폰(6)의 회전상태가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특징적으로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상기 이어폰(6)이 상기 무선 헤드셋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것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이어폰(6)은 상기 무선 헤드셋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 양상을 얻기 위하여 상기 본체(2)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는 홈에 상하방향-무선 헤드셋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축(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와 동일한 구조가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7)의 단부에는 탄성힌지(71)가 제공되고, 상기 탄성힌지(7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73)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73)과 등각으로 회전되는 다각형의 회전 가이드(75)와, 상기 회전가이드(75)의 회전시에 소정의 각에서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탄성부재(74)와, 상기 탄성부재(74)를 내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힌지몸체(72)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이어폰(6)은 좌우방향으로 180도를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어폰(6)의 정지위치로 하여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평면도로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6)의 회전범위를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이어폰(6)이 좌우방향의 한계각도까지 회전된 상태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보관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이 회전범위 중에서 중심위치에 놓인 상태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태일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이어폰(6)이 회전범위 중에서 중심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와의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상기 본체(2)가 닿을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이어폰(6)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이어폰(6)의 정지위치에서는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하여 지지 아니하면 이어폰(6)이 움직이지 않는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이어폰 (6)이 회전한계위치에 놓였을 때에는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와의 거리가 짧은, 다시 말하면 외부의 물품이 이어폰(6)에 용이하게 닿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헤드셋의 수납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어폰(6)은 상기 긴 막대형상의 본체(2)의 어느 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각도범위를 한계로 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180도의 안쪽인 170도 등과 같은 다른 각도의 범위내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될 것이다.
<제 7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다른 부분은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이어폰(6)이 회전하는 각도범위와 상기 이어폰(6)과 상기 본체(2)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위치가 특징적으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6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번호에 있어서도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2)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서(7)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2)의 단면에서 볼 때 일 귀퉁이부로서, 다시 말하면, 비 원형, 예 를 들면 사각형 단면으로 제작될 때 사각형 단면의 코너부이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6)의 인입상태에서 상기 이어폰(6)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관시에 상기 이어폰(6)이 수용되는 이어폰 가이드홈(8)이 본체(2)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17의 이어폰(6)의 실선은 이어폰(6)의 보관상태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이어폰(6)은 전체적으로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는 양상을 띄고 있고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본체(2)이 외부로 드러나서 사용자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어폰(6)의 은선은 이어폰(6)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스페이서(7)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6)은 상기 본체(2)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귀와 상기 본체(2)와의 간섭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와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양상의 탄성힌지가 채용되어 있어서, 이어폰(6)의 정지상태를 가이드하는 것은 용이하게 예상될 것이다.
한편,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스페이서(7)와 상기 본체(2)와의 연결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은선의 상태가 보관상태에서의 이어폰의 위치가 되고, 상기 실선의 상태가 사용상태에서의 이어폰의 위치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8)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2)의 측면에서 안쪽방향으로 깊게 삽입되는 양상을 띄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상기 이어폰(6)은 상기 긴 막대형상의 본체(2)의 어느 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이 안정적으로 동작되고,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무의식 적인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지시된 위치에서 주어진 위치 및 구조로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 헤드셋의 크기가 작아지고, 제조비가 줄어드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무선 헤드셋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가 간편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는 긴 막대형상 본체를 쥔 상태에서, 이어폰 만을 손가락으로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무선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7)

  1.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의 어느 일단부 측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와 인출상태의 사이에서 그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는, 상기 본체와 상기 이어폰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탄성힌지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사이에는 상기 이어폰의 인입상태에 비하여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와의 거리가 길게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일 부분이 삽입되는 무선 헤드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무선 헤드셋.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부위에는 부드럽게 탄성변형되는 변형부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7.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적어도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8.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이어폰;
    적어도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어 상기 이어폰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에는 상기 이어폰이 회전되는 중심축을 이루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등각회전되는 캠;
    상기 캠과 접하는 스터드; 및
    상기 스터드를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10.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되어 외측으로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은 상기 본체에 대한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를 거치하기 위한 클립이 포함되는 무선 헤 드셋.
  11.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부가 제공되는 다각형의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 가이드의 평면부와 면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12.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등각회전되는 가이드 판;
    상기 가이드 판의 중심과 등거리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
    상기 멈춤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를 상기 멈춤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인입상태와 인출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멈춤부가 형성되는 무선 헤드셋.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인입상태와 인출상태의 사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멈춤부가 형성되는 무선 헤드셋.
  15.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 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포함되는 회전가이드; 및
    상기 회전가이드의 평면부와 면접되는 상태로 상기 회전가이드를 회전시키는 탄성편이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본체를 이루는 물품과 일체로 제공되는 무선 헤드셋.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수지재인 무선 헤드셋.
  18. 본체;
    상기 본체에서 함몰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및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변형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어폰의 인출시에 상기 변형부는 완만하게 구부러져서 상기 이어폰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무선 헤드셋.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인출시에 상기 스페이서 또는 상기 변형부를 걸어서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턱이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본체의 일정부분이 수축되어 제공되는 무선 헤드셋.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중사출에 의해서 형성되는 무선 헤드셋.
  22.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4.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어 인출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및
    상기 이어폰이 180도의 범위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어도 인출상태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힌지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5. 막대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어느 쪽 귀퉁이부에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어폰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에 제공되는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인출상태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되는 무선 헤드셋.
  27. 적어도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이어폰 가이드 홈;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의 내부에 일정 부분이 가이드되어 놓이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적어도 인출상태 및/또는 인입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정지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위치 가이드 구조가 포함되고,
    상기 이어폰 가이드 홈은 상기 이어폰을 지지하여 상기 이어폰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무선 헤드셋.
KR1020050113925A 2005-11-28 2005-11-28 무선 헤드셋 KR10076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25A KR100760278B1 (ko) 2005-11-28 2005-11-28 무선 헤드셋
PCT/KR2006/004907 WO2007061213A1 (en) 2005-11-28 2006-11-22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008123159/28A RU2008123159A (ru) 2005-11-28 2006-11-22 Беспроводной головной телефон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EP06024456A EP1791335A3 (en) 2005-11-28 2006-11-24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04,820 US20070133836A1 (en) 2005-11-28 2006-11-27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6101625462A CN1976542A (zh) 2005-11-28 2006-11-27 无线耳机及其控制方法
JP2006319888A JP2007151127A (ja) 2005-11-28 2006-11-28 無線ヘッドセット及び無線ヘッドセット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925A KR100760278B1 (ko) 2005-11-28 2005-11-28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677A true KR20070055677A (ko) 2007-05-31
KR100760278B1 KR100760278B1 (ko) 2007-09-19

Family

ID=381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925A KR100760278B1 (ko) 2005-11-28 2005-11-28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0278B1 (ko)
CN (1) CN19765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13B1 (ko) * 2007-06-08 2009-02-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의 절곡 장치
KR100886796B1 (ko) * 2007-06-08 2009-03-04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의 절곡 장치
KR20160149478A (ko) * 2015-06-18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189U (ja) * 2007-04-16 2010-10-07 玉▲華▼ 汪 ブルートゥースイヤーセット
US8233656B2 (en) * 2008-12-19 2012-07-31 Nokia Corporation Headset
US20140064500A1 (en) * 2012-08-30 2014-03-06 Monster Automatic Power Adjusting Headphones
CN103354627A (zh) * 2013-07-30 2013-10-16 深圳市秦通科技有限公司 具有可活动听筒的耳机
CN104469588B (zh) * 2014-11-28 2019-04-1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以及可穿戴设备
CN106131727B (zh) * 2016-07-25 2019-11-19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凸轮式耳机微调结构和耳机
KR20180041849A (ko)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이어베이션 블루투스 이어폰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CN110166875B (zh) * 2019-06-10 2024-01-30 焦江 一种可变形超薄无线耳机
CN113747302B (zh) * 2021-09-27 2022-10-18 歌尔科技有限公司 耳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934U (ko) * 1990-02-13 1991-11-01
KR0135608Y1 (ko) * 1994-11-07 1999-03-30 전성원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오디오스피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913B1 (ko) * 2007-06-08 2009-02-2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의 절곡 장치
KR100886796B1 (ko) * 2007-06-08 2009-03-04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의 절곡 장치
KR20160149478A (ko) * 2015-06-18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0231045B2 (en) 2015-06-18 2019-03-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cous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6542A (zh) 2007-06-06
KR100760278B1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78B1 (ko) 무선 헤드셋
KR100689031B1 (ko)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제어방법
EP1791335A2 (en)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21334B2 (en) Bluetooth earphone having semi-automatic receiving function
CN110574393B (zh) 可穿戴设备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70053543A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KR100844480B1 (ko) 이어폰을 구비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100725628B1 (ko) 무선 헤드셋
KR100809548B1 (ko) 무선 헤드셋
KR100760341B1 (ko) 음향기기
KR100725626B1 (ko) 음향기기
KR100914509B1 (ko) 무선 헤드셋
KR200440228Y1 (ko) 양방향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0441966Y1 (ko)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0427806Y1 (ko) 음향기기 케이스.
CN220023020U (zh) 一种自带收纳功能的有线耳机
KR100806940B1 (ko) 크래들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케이스
KR100727647B1 (ko) 무선 헤드셋
CN216086981U (zh) 一种耳机盒及组合设备
KR200430647Y1 (ko) 음향기기 케이스
KR100566259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인입/인출 장치
WO2024016648A1 (zh) 蓝牙耳机及智能电子设备
JP2022059459A (ja) 保持具
KR101300265B1 (ko) 무선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