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66Y1 -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66Y1
KR200441966Y1 KR2020070009457U KR20070009457U KR200441966Y1 KR 200441966 Y1 KR200441966 Y1 KR 200441966Y1 KR 2020070009457 U KR2020070009457 U KR 2020070009457U KR 20070009457 U KR20070009457 U KR 20070009457U KR 200441966 Y1 KR200441966 Y1 KR 200441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ain body
wireless headset
bluetooth wireless
rot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앤블루 filed Critical (주)와이즈앤블루
Priority to KR2020070009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배면 상단에 링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 내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끝단에 상기 본체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턱이 형성되며, 저면에 타원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커버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어폰의 좌우 인출 상태 및 인입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이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회동하기 때문에 이어폰을 귀에 착용후 본체를 손으로 쥐고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어폰이 본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각각 사용시에도 본체의 측면에 위치한 버튼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양방향, 이어폰, 회전

Description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BLUETOOTH WIRELESS HEADSET FOR ROTATION TYPE}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20 : 커버
130 : 회전축 140 : 이어폰
150 : 탄성힌지
본 고안은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이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회동하기 때문에 이어폰을 귀에 착용후 본체를 손으로 쥐고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 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서 휴대폰이나 MP3 등과 같은 모체가 되는 전자기기에 부속하여 별도의 음향기기를 더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기기를 직접 손에 쥐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러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음향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1)은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폰(5)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정부(4)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부(3)와, 무선 헤드셋(1)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온/오프 버튼(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일 측면에는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상기 각 회로들은 상기 본체(2) 내 부에 놓이는 소정의 기판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5)의 내부에는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5)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1)이 귀에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귓바퀴와 유사한 모양 및 형식의 어떠한 틀이 필요치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아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그 모체가 되는 핸드폰 또는 MP3 등의 전자기기와 별도로 보관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은 본체의 전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을 귀에 착용후 버튼에 힘을 가하면 본체가 압력에 의해 유동되어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은 이어폰이 본체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각각 사용시 본체의 측면에 위치한 버튼의 위치가 바뀜으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이 어려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전면에 버튼 이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이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회동하기 때문에 이어폰을 귀에 착용후 본체를 손으로 쥐고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어폰이 본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각각 사용시에도 본체의 측면에 위치한 버튼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배면 상단에 링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 내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끝단에 상기 본체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턱이 형성되며, 저면에 타원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커버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어폰의 좌우 인출 상태 및 인입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은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격벽;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탄성힌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탄성힌지는 상기 이어폰을 수직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각각 90°의 범위 내에서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이어폰이 좌우 인출 상태에서 각각 80°의 각도를 유지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100)은, 본체(110)와, 커버(120)와, 회전축(130)과, 이어폰(140) 및 탄성힌지(15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배면 상단에 링 형태의 체결홀(111)이 형성되고, 체결홀(111) 내에 결합홀(11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정면에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113)과,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온/오프 버튼(114)이 각각 구비되고, 저면에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홀(115)을 구비하며, 일측면에 내부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1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여기에서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MP3 플레이어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모체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된 신호를 음파를 나타내는 소정의 전기신호로 재생하는 재생회로가 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무선 헤드셋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물론이다. 각 회로들은 본체(110) 내부에 놓이는 기판(117)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120)는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끝단에 본체(110)의 체결홀(111)에 결합되는 체결턱(121)이 형성되며, 저면에 타원형의 가이드홀(12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홀(123)은 하기에서 설명할 이어폰(140)이 좌우 인출 상태에서 각각 80°의 각도를 유지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130)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12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 록 형성되도록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31)과, 메인 프레임(13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격벽(133)과,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131)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135)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어폰(140)은 회전축(130)의 보조 프레임(135) 끝단에 결합되어 본체(110)에서 좌우측으로 회전된다. 여기에서, 이어폰(140)은 공지의 구성으로 내부에는 전기신호를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음향신호로 재생하는 스피커 장치(미도시)가 내장된다. 그리고, 이어폰(140)의 단부에는 연성재질의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부재가 삽입되면 부드럽게 변형됨으로써 삽입부재가 일단 귀에 삽입되면, 삽입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힌지(150)는 이어폰(140)을 회전시키고, 이어폰(140)의 좌우 인출 상태 및 인입 상태에서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회전축(130)과 연결되어 이어폰(140)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탄성힌지(150)는 일단이 본체(110)의 결합홀(112)에 일단이 고정되고, 격벽(1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또한, 탄성힌지(150)는 이어폰(140)을 수직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각각 90°의 범위 내에서 회전시킨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무선 헤드셋(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이어폰(140)을 회전시켜서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어폰(140)의 인출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본체(110)를 쥐고 있는 손으로 커버(120)에 의해 배면에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는 이어폰(140)의 일 부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어폰(140)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폰(140)은 탄성힌지(150)에 의해서 경쾌하게 회전되어 바깥쪽으로 인출된다.
한편, 탄성힌지(150)는 90°씩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으나, 가이드홀(123)로 인하여 80°회전한 후 가이드홀(123)에 의해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일단 이어폰(140)이 인출이 된 다음에는 사용자가 인출할 때와 동일한 힘으로 이어폰(140)을 안쪽으로 인입하기 전 까지는 이어폰(140)은 탄성힌지(150)에서 작용되는 힘에 의해서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귀에 이어폰(140)을 삽입할 때에도 이어폰(140)은 흔들림 없이 인출위치를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어폰(140)의 삽입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어폰(140)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보조 프레임(135)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어폰(140)을 귀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귓바퀴 등의 귀의 외측구조에 본체(11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무선 헤드셋(100)의 삽입위치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보조 프레 임(135)의 길이는 설명된 바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140)이 완전히 인출된 다음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114)을 동작하여 무선 헤드셋(100)의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고, 사용이 끝난 다음에는 전원 온/오프 버튼(114)을 다시 눌러서 무선 헤드셋(100)의 사용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 중에 음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때에는 음량 조절 버튼(113)에 의해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무선 헤드셋(100)의 사용이 종료되어서, 이어폰(140)을 안쪽으로 인입하고자 할 때에는 이어폰(140)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이어폰(140)의 인출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을 하면 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에 따르면, 본체의 전면에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이어폰이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회동하기 때문에 이어폰을 귀에 착용후 본체를 손으로 쥐고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어폰이 본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각각 사용시에도 본체의 측면에 위치한 버튼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긴 막대형상으로 제공되고, 배면 상단에 링 형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 내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끝단에 상기 본체의 체결홀에 결합되는 체결턱이 형성되며, 저면에 타원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커버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되는 이어폰; 및
    상기 이어폰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어폰의 좌우 인출 상태 및 인입 상태에서 상기 이어폰의 위치를 정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의 회동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격벽;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결합홀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는,
    상기 이어폰을 수직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각각 90°의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이어폰이 좌우 인출 상태에서 각각 80°의 각도를 유지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20070009457U 2007-06-08 2007-06-08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0441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57U KR200441966Y1 (ko) 2007-06-08 2007-06-08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457U KR200441966Y1 (ko) 2007-06-08 2007-06-08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66Y1 true KR200441966Y1 (ko) 2008-09-25

Family

ID=4162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457U KR200441966Y1 (ko) 2007-06-08 2007-06-08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40B1 (ko) 2014-11-12 2015-10-05 황환영 회전 무선이어폰
KR20210035703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이엠텍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40B1 (ko) 2014-11-12 2015-10-05 황환영 회전 무선이어폰
KR20210035703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이엠텍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KR102265578B1 (ko) * 2019-09-24 2021-06-16 주식회사 이엠텍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3543A1 (en) Bluetooth wireless headset having earphone
US20120052924A1 (en) Headset with a Pivoting Microphone Arm and Speaker
US20130094660A1 (en) Hands-free mobile audio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headphone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therethrough
JP2015515787A (ja) 無線電話向けの一体型脱着可能イヤホン装置
KR100760278B1 (ko) 무선 헤드셋
KR100689031B1 (ko) 무선 헤드셋 및 무선 헤드셋의 제어방법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JP2009147680A (ja) 携帯電話機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TWI275287B (en) Bluetooth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bluetooth earpiece
KR200441966Y1 (ko)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101538796B1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KR100725628B1 (ko) 무선 헤드셋
KR200440228Y1 (ko) 양방향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CN201657237U (zh) 一种具有可扩展音腔的便携通讯终端
KR100809548B1 (ko) 무선 헤드셋
JP2001156900A (ja) マイク付きイヤフォン
KR100760341B1 (ko) 음향기기
KR100914509B1 (ko) 무선 헤드셋
CN220858360U (zh) 一种耳挂式蓝牙耳机
JP3126012U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ンマイク装置
CN212727375U (zh) 一种蓝牙耳机
CN216086977U (zh) 一种耳机盒及组合设备
KR200427806Y1 (ko) 음향기기 케이스.
CN215682587U (zh) 带解码功能的耳机充电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