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578B1 -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578B1
KR102265578B1 KR1020200030734A KR20200030734A KR102265578B1 KR 102265578 B1 KR102265578 B1 KR 102265578B1 KR 1020200030734 A KR1020200030734 A KR 1020200030734A KR 20200030734 A KR20200030734 A KR 20200030734A KR 102265578 B1 KR102265578 B1 KR 10226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earbud
main body
light irradiation
earbud devic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703A (ko
Inventor
혁 원
김형진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ublication of KR2021003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 조사 영역을 가변하여 원하는 영역의 피부나 신경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며 음향 통로를 구비하는 이어팁과, 본체부의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이거나 인접한 측면인 본체부의 제 2 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을 향하여 연장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로 구성된 광조사부를 포함하되, 본체부에 대해서 광소자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가변된다.

Description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WIRELESS EARBUD DEVICE WITH INFRARED EMISSION FUNCTION}
본 발명은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 조사 영역을 가변하여 원하는 영역의 피부나 신경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음향 변환 장치는 이어폰, 이어버드, 헤드셋 등의 음향 장치를 포하며,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와 무선 통신으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음향 재생, 전화 통화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무선 음향 변환 장치는 착용자에게 위의 음향 재생이나 전화 통화 이외의 다른 건강 유지나 치료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적외선 조사 영역을 가변하여 원하는 영역의 피부나 신경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며 음향 통로를 구비하는 이어팁과, 본체부의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이거나 인접한 측면인 본체부의 제 2 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을 향하여 연장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로 구성된 광조사부를 포함하되, 본체부에 대해서 광소자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가변되고, 무선 이어버드 장치는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광조사부를 광조사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광조사 설정 정보는 3ms~15ms의 광의 펄스폭 길이와 10Hz~50Hz의 주파수 및 1회 조사 시 1분 이내의 광 조사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연장부의 일단은 본체부와 회전 가능한 힌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의 일단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며 회전 가능한 힌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는 형태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적외선 조사 영역을 가변하여 원하는 영역의 피부나 신경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서, 착용 시에 특히 안면 신경 및/또는 삼차 신경이 형성된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기에, 광조사에 의해 삼차 신경병증에 대한 치료, 안면신경장애 혹은 삼차 신경병증 등으로 인한 통증 완화의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착용 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는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회로 기판 등의 제어 장치가 장착된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며 음향 통로(3a)를 구비하는 이어팁(3)과, 본체부(1)의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 또는 인접한 측면인 본체부(1)의 제 2 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와, 본체부(1)의 제 1 측면을 향하여 연장부(5)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19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는 수용 공간 내에 도 2에서와 같은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착용 시에 바깥 귀에 착용되며, 이어팁(3)은 귓 속에 삽입된다.
연장부(5)는 본체부(1)의 제 1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연장부(5a)와, 광소자(19a)가 장착되는 제 2 연장부(5b)와, 제 1 연장부(5a)와 제 2 연장부(5b)를 연결하면서 형태나 길이가 가변 가능한 유연(flexible) 구조나 재질의 가변부(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연장부(5a)와 본체부(1) 사이에는 힌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본체부(1)가 귀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 1 연장부(5a)(즉, 연장부(5))만이 회전 가능하다. 또한, 가변부(5c)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즉 외력에 의해 그 형태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제 2 연장부(5b)에 장착된 광소자(19a)를 보다 먼 거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연장부(5)의 회전성과 가변성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한 광소자(19a)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가변됨으로써, 광소자(19a)에 의해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 영역이 넓어지며, 사용자가 조사를 원하는 영역까지 광소자(19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의 착용 시의 모식도이다.
사람마다 귓바퀴의 형태가 상이하나, 본체부(1)가 귀의 커널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장부(5)(또는 제 1 연장부(5a))를 회전시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가 사용자의 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연장부(5)는 본체부(1)의 착용 시에 안면 신경 및/또는 삼차 신경이 형성된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기에, 적외선 조사 영역에 귀 주변의 미주 신경뿐만 아니라, 안면 신경 및/또는 삼차 신경을 포함시키게 된다. 적외선 조사 영역 내에서의 광조사에 의해 삼차 신경병증에 대한 치료, 안면신경장애 혹은 삼차 신경병증으로 인한 통증 완화의 효과가 가능하다.
또한, 연장부(5)는 본체부(1)에 대해서 탈부착 가능한 힌지 구조(미도시)를 지닐 수 있으며, 부착 시에 광소자(19a)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기적 접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음향 시스템은 전자 통신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음향 재생 기능과 전화 통화 기능 및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이어버드 장치(10)가 음향 재생 기능과, 전화 통화 기능 및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통신 장치(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광조사 기능의 온/오프, 무선 통신 연결 및 연결 종료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29)에 인가하는 입력부(11)와,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전원 상태, 광조사 기능의 수행 여부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음향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29)에 인가하는 마이크(15)와, 데이터 프로세서(29)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음향 통로(3a)를 통하여 음 방출하는 스피커(17)와, 데이터 프로세서(29)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광조사를 수행하는 광조사부(19)와, 전자 통신 장치(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음향 재생 기능과, 전화 통화 기능 및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2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1), 표시부(13), 마이크(15), 스피커(17), 통신부(21), 전원부(23) 및 데이터 프로세서(29)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는 본체부(1) 내의 수용 공간에 장착된다.
다만, 입력부(11), 표시부(13), 마이크(15), 스피커(17), 통신부(21) 및 전원부(23)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광조사부(19)는 데이터 프로세서(29)에 의해 제어되며, 650 ~ 1,300nm 범위의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대역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소자(19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예를 들면, LED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29)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크(15), 스피커(17) 및 통신부(21)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 통신 연결되어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며, 스피커(17) 및 통신부(21)를 제어하여 전자 통신 장치(30)와 통신 연결되어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조사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광조사 기능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29)는 광조사부(19)를 제어하여 광조사의 동작 및 동작 중지를 수행하며, 광조사 시 광(예를 들면, 근적외선)의 펄스폭 길이, 광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광 조사 지속 시간을 제어한다. 특히,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프로세서(29)는 광의 펄스폭 길이와 주파수 및 광 조사 지속시간(광조사 설정 정보)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펄스폭 범위(3ms - 15ms), 주파수(10 - 50Hz), 광 조사 지속 시간(1회 최대 1분) 각각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29)는 광조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광조사부(19)를 제어하여 연장부(5)에 장착된 광소자(19a) 각각을 독립적으로 온 및 오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29)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자 통신 장치(3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전자 통신 장치(30)의 제어 없이 기저장된 광조사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광조사 설정 정보에 따라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기재되고 있으나, 하기에서 전자 통신 장치(30)의 제어에 의해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기재된다.
전자 통신 장치(3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해당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광조사 기능의 동작 및 동작 중지, 광조사 설정 정보의 입력 및 수정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39)에 인가하는 입력부(31)와, 광조사 기능의 동작 및 동작 중지, 광조사 설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3)와,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5)와, 상술된 바와 같이 전화 통화 기능, 음향 재생 기능 및 광조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 입력부(31), 표시부(33) 및 통신부(35)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입력부(31)로부터 광조사 기능의 동작 입력 또는 동작 중지 입력을 획득하여 통신부(35)를 통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29)는 통신부(21)를 통하여 광조사 기능의 동작 입력 또는 동작 중지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광조사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동작 중지시킨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39)는 통신부(35)를 통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와 통신 연결 상태에서,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로 광조사 설정 정보를 요청하고, 데이터 프로세서(29)는 통신부(21)를 통하여 그 요청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광조사 설정 정보를 판독하여 전자 통신 장치(30)로 전송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광조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33)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입력부(31)를 통하여 표시된 광조사 설정 정보에 대한 수정 입력 등을 획득하여 광조사 설정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프로세서(39)는 수정된 광조사 설정 정보를 통신부(35)를 통하여 무선 이어버드 장치(10)로 전송한다. 데이터 프로세서(29)는 통신부(21)를 통하여 수정된 광조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후에는 수정된 광조사 설정 정보에 따라 광조사 기능을 수행한다.
위의 광조사 기능은 음향 재생 기능 또는 전화 통화 기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무선 이어버드 장치

Claims (5)

  1. 본체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며 음향 통로를 구비하는 이어팁과;
    본체부의 제 1 측면의 반대 측면이거나 인접한 측면인 본체부의 제 2 측면에 일단이 장착되며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본체부의 제 1 측면을 향하여 연장부에 장착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소자로 구성된 광조사부를 포함하되,
    본체부에 대해서 광소자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가변되고,
    무선 이어버드 장치는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광조사부를 광조사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광조사 설정 정보는 3ms~15ms의 광의 펄스폭 길이와 10Hz~50Hz의 주파수 및 1회 조사 시 1분 이내의 광 조사 지속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부의 일단은 본체부와 회전 가능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부의 일단은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며 회전 가능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형태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5. 삭제
KR1020200030734A 2019-09-24 2020-03-12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KR102265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39 2019-09-24
KR20190117539 201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03A KR20210035703A (ko) 2021-04-01
KR102265578B1 true KR102265578B1 (ko) 2021-06-16

Family

ID=7544142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35A KR102265577B1 (ko) 2019-09-24 2020-03-12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
KR1020200030734A KR102265578B1 (ko) 2019-09-24 2020-03-12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KR1020200066358A KR102291254B1 (ko) 2019-09-24 2020-06-02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KR1020200066357A KR102291251B1 (ko) 2019-09-24 2020-06-02 광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음향 변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35A KR102265577B1 (ko) 2019-09-24 2020-03-12 이어버드 장치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58A KR102291254B1 (ko) 2019-09-24 2020-06-02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KR1020200066357A KR102291251B1 (ko) 2019-09-24 2020-06-02 광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265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79B1 (ko) * 2021-07-05 2023-02-17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이어버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45B1 (ko) * 2005-04-06 2006-09-20 이송자 광음악요법을 위한 이어폰
KR100691435B1 (ko) * 2005-10-31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위치 가변형 무선 헤드셋
KR200441966Y1 (ko) * 2007-06-08 2008-09-25 (주)와이즈앤블루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101611231B1 (ko) * 2015-02-06 2016-04-11 김용호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620B2 (ja) * 1993-09-21 2001-07-11 河口湖精密株式会社 時計用文字板の製造方法
KR100609412B1 (ko) * 2005-04-11 2006-08-03 안 데이비드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KR20090063357A (ko) * 2007-12-14 2009-06-18 김재학 탈착식 스피커 유닛을 구비한 이어폰/블루투스
JP3187620U (ja) * 2013-09-26 2013-12-05 すこやかメディカル株式会社 携帯光治療・健康器具
KR20170082571A (ko) * 2014-11-02 2017-07-14 엔고글 인크. 스마트 오디오 헤드폰 시스템
KR20160100065A (ko) * 2015-02-13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101590046B1 (ko) * 2015-12-16 2016-02-01 (주)디라직 바이노럴 비트를 이용한 뇌파 유도 오디오 장치 및 방법
KR101984562B1 (ko) * 2018-05-16 2019-05-31 (주)파트론 휴대용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445B1 (ko) * 2005-04-06 2006-09-20 이송자 광음악요법을 위한 이어폰
KR100691435B1 (ko) * 2005-10-31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위치 가변형 무선 헤드셋
KR200441966Y1 (ko) * 2007-06-08 2008-09-25 (주)와이즈앤블루 회전 타입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101611231B1 (ko) * 2015-02-06 2016-04-11 김용호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577B1 (ko) 2021-06-16
KR102291254B1 (ko) 2021-08-20
KR20210035704A (ko) 2021-04-01
KR102291251B1 (ko) 2021-08-20
KR20210035703A (ko) 2021-04-01
KR20210035719A (ko) 2021-04-01
KR20210035720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9170T3 (es) Mejora cognitiva mediante retroalimentación
JP7269010B2 (ja) 脳に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52084B1 (ko) 신경 자극기
US115542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and non-invasive stimulation of the nervous system
IL260249A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of electrical stimulation
US20200338348A1 (en) Multimodal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 Treatment, Feedback Collection and Remote Therapist Control
US97179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ost-implant acoustic-only operation of an electro-acoustic stimulation (“EAS”) sound processor
JP2017526406A (ja) 睡眠紡錘波に基づいて睡眠中の感覚刺激の強度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542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tapedius Reflex Threshold Based on Electro-acoustic Stimulation
KR102265578B1 (ko) 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무선 이어버드 장치
US20130237746A1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CN113491837B (zh) 声音转换装置和声音转换系统
KR102265580B1 (ko) 근적외선 조사 기능을 지닌 음향 변환 장치
KR102516445B1 (ko) 맥놀이를 이용하는 뇌 상태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318987B1 (ko) 고글형 미세 전류 치료 장치
KR101318989B1 (ko)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354084A (zh) 按摩脉冲的输出控制方法、装置、按摩设备及存储介质
JP6733514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CN115068770A (zh) 非侵入多感官信号的神经刺激系统
US11832065B2 (en) Haptic tinnitus therapeutic system
KR102260917B1 (ko) 난청과 이명의 개선 및 예방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KR102080591B1 (ko) 가상현실 기반 이명치료 시스템
US20240123254A1 (en) 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20200004072A (ko) 펫 케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