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12B1 -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12B1
KR100609412B1 KR1020050029914A KR20050029914A KR100609412B1 KR 100609412 B1 KR100609412 B1 KR 100609412B1 KR 1020050029914 A KR1020050029914 A KR 1020050029914A KR 20050029914 A KR20050029914 A KR 20050029914A KR 100609412 B1 KR100609412 B1 KR 10060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power supply
coup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안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 데이비드 filed Critical 안 데이비드
Priority to KR1020050029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12B1/ko
Priority to PCT/KR2006/001310 priority patent/WO20061099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가시발광체(111)를 하우징(112)의 내부에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일측으로 투명커버(113)를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단부에는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면서 삽입 끼움 결합되는 삽입연결구(114)를 형성한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의 삽입연결구(114)를 막대형태의 연결바(121) 일측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122)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연결바(121)의 타측 선단에 결합구(123)를 형성한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결합구(123)와 결합되도록 결합구(133)를 형성하고, 인체의 귀에 고정되도록 귀걸이부(132)를 구비한 막대 형태로 후두부로 이어지는 거치바(131)를 형성한 거치부(130)와, 상기 거치부(130)의 거치바(131)를 후두부 측으로 형성하여 연결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스위치(144)로 조정되는 메인전원(141)을 형성한 전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시발광체, 각도변위톱니, 멜라토닌,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 렌즈모니터

Description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Circadian Rhythm Control Device make use of Luminescent Di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를 다단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에 길이조절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에 길이조절장치에 다른 실시예 따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형광발광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부가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다른 부가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절장치 110 : 발광부
111 : 가시발광체 112 : 하우징
113 : 투명커버 114 : 삽입연결구
115 : 형광발광체 120 : 연결부
121 : 연결바 122 : 연결홈
123 : 결합구 124 : 각도변위톱니
125 : 체결구 126 : 전원인가잭
127 : 회전부 128 : 길이조절장치
128a : 길이조절관 128b : 길이조절홈
128c : 조절나사부 130 : 거치부
131 : 거치바 132 : 귀걸이부
133 : 결합구 134 : 각도변위톱니
135 : 체결홈 136 : 전원인가홈
140 : 전원부 141 : 메인전원
142 : 콘트롤부 143 : 타이머
144 : 전원스위치 145 : 무선조정구
146 : 보조전원 150 : 부가장치
151 :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 152 : 이어폰
153 : 조작부 154 : 렌즈모니터
155 : 연결바 156 : 결합구
157 : 각도변위톱니 158 : 체결구
159 : 전원인가잭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조사되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가시발광체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선을 안구에 정확하게 도달시키기 위해서 후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귀에 거치되도록 거치부로 연결하고 거치부와 각도변위톱니에서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바에서 눈에 위치에 맞도록 조절하는 연결부를 결합하여 가시광선이 발광되는 가시발광체를 각도를 변위하면서 착탈식으로 끼움결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중량의 전원부를 후두부에 형성한 상태로 양측의 귀부분에 전원부와 연결된 거치부를 형성하여 하중을 분산 흡수함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연결부의 일측으로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변위톱니를 형성하며, 연결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막대형상의 연결바를 형성하고, 착탈식으로 가시발광체를 구비한 발광부를 회전하면서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발광체의 각도를 조정하여 정확하게 안구에 발광체가 조사되어 생체리듬의 조절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발광체를 일반 형광발광체로 교체하여 안구 외측으로 회전하여 독서 및 야외 활동 시에 전등으로 사용하거나, 각종 부가장치를 전원부에 부착하여 범용성을 확대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체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는 반도체 의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발광체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은 전기 루미네선스(전기장발광)라고 하며, 발광파장은 발광되는 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파장으로 형성되며, 비소화갈륨의 경우에는 약 900nm인 근적외광이 되고, 갈륨, 비소 및 인에서는 인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가시발광 다이오드가 된다.
이와 같은, 발광파장은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인화갈륨인 경우, 아연 및 산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적색(파장 700nm)이고, 질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녹색(파장 550nm)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좋다.
이러한, 발광체는 고속응답이라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여러 분야 널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불순물에 의해 파장이 조절되는 발광체에서 발광되는 가시광선(visible rays)은 전자기파 중에서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장의 범위는 사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380∼770㎚이다. 가시광선 내에서는 파장에 따른 성질의 변화가 각각의 색깔로 나타나며 빨강색으로부터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진다.
단색광인 경우 700∼610㎚는 빨강, 610∼590㎚는 주황, 590∼570㎚는 노랑, 570∼500㎚는 초록, 500∼450㎚는 파랑, 450∼400㎚는 보라로 보인다.
빨강보다 파장이 긴 빛을 적외선, 보라보다 파장이 짧은 빛을 자외선이라고 한다.
대기를 통해서 지상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의 광량은 가시광선 영역이 가장 많다. 사람의 눈의 감도가 이 부분에서 가장 높은 것은 그 때문이라고 한다.
일곱 가지 색으로 나타나는 광을 모두 합치면 흰색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태양이 희게 보이는 것이다.
태양광선 아래에서 하얀 색깔의 종이가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일곱가지 색을 모두 반사하기 때문이고 파란 색의 종이가 파란 것은 가시광선 중에서 파란색만을 반사하여 그 색깔만 눈에 감지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가시광선을 나타내는 발광체는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개발 되었는데 이는 파장이 짧을수록 빛을 만들어 내는 화합물 반도체의 개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에는 빛의 파장이 비교적 짧은 가시발광체에서 발광되는 청색빛을 만들어 내기 위해 질화갈륨(GaN)을 이용한 450nm 이하의 짧은 파장을 가진 고휘도 가시발광체가 개발되어 적색/녹색/청색(Red/Green/Blue : TV나 모니터에 사용)의 세가지 빛을 통하여 완벽한 컬러를 발광체만으로 생성 가능하게 됨에 따라, 컬러 전광판, 짧고 안정적인 파장을 요구하는 광 메모리 장치나 가전제품 등 여러 발광체 응용 사업분야에서 가시발광체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대역에 사용되는 가시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청색빛은 미국의 한 의과대학의 연구진에 의해 인체의 생물학적 시계에서 사람의 시각이 필요한 긴 파장의 녹색빛보다는 짧은 파장의 청색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우울증 및 수면장애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광선요법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결과치에 따라 필라델피아 제퍼슨 의과대학의 신경학 교수인 브레이나드(George Brainard) 박사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번 발견은 모든 인공 광선, 즉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가정이나 직장,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일상적인 조명을 포함한 인공 광선에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전체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데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에 필요한 기초 작업은 이미 시작된 상태라고 말했다. 브레이나드에 따르면, 임상의사가 치료를 위해 광선 사용을 고려한다면 청색 및 녹색 파장의 빛이 훨씬 효과적이다.
또한 생체리듬의 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붙박이 조명을 설치하려고 할 때도 이러한 파장의 빛이 더 중요할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대낮의 햇빛에도 이러한 종류의 빛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브레이나드 연구팀은 이전의 연구에서도 가시광선 중 청색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이 생체리듬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인 멜라토닌의 생성 및 조절하는데 효과적임을 발견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에서 브레이나드 연구팀은 16명의 건강한 대상자들을 동일 한 양의 청색빛 또는 녹색빛에 노출시킨 후 대상자들의 생체리듬의 조절에 대한 빛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팀은 인체의 생물학적 시계를 재조절하는 데 동일한 양의 녹색빛에 비해 청색빛이 두 배나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국립 우주생물의학 연구소의 수면 및 시간생물학팀도 이끌고 있는 브레이나드는 이번 연구결과가 4천만여 명의 미국인들이 겪고 있는 수면장애를 치료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시발광체에서 발생된 청색 및 녹색 빛이 효과적으로 생성 조절하는 멜라토닌(melatonin)은 송과선(松果腺)에서 생성,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송과선이란 척추동물의 간뇌(間腦) 등면에 돌출해 있는 내분비선이다.
두부(頭部)의 피부를 통과하여 들어오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밤과 낮의 길이나 계절에 따른 일조시간의 변화 등과 같은 광주기를 어떤 형태로든 감지하여 생식활동의 일주성(日周性)이나 연주성 등 생체 리듬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형성한다. 이 호르몬이 멜라토닌이다.
특히 생식에 있어 멜라토닌의 농도가 높을 때는 생식세포의 발달을 억제하고 낮을 때는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멜라토닌은 오늘날 그 존재가 확인된 유일한 송과선 호르몬이다. 사람에 있어서 생식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것은 송과선종양이 사춘기에 발생하는 점으로 보아 알 수 있다. 양서류에서는 색소세포 속에 있는 흑색소과립을 응집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몸빛깔이 희끄무레해진다. 설치류에서는 프롤락틴(prolactin)의 분비 촉 진작용, 뇌하수체 기능의 억제작용 등을 한다
여기서, 멜라토닌은 전구체인 세로토닌으로부터 두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불을 끄면 더 잠이 잘 오는 것처럼, 들어오는 빛이 줄어들면 이미 만들어져 저장되어 있는 멜라토닌이 혈중으로 분비된다. 아침이 되면 혈중 멜라토닌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멜라토닌은 몸에 여러가지 이로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수면 유발 이외에도, 뇌의 성숙이나 면역기능 항진등 여러 기능의 조절에 관여하고, "신체의 노화시계를 다시 맞춘다"라고 한다. 멜라토닌의 양은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물에 섞어 멜라토닌을 먹인 실험동물에서 20%나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보고도 있는 것으로, 멜라토닌의 공급은 면역계를 강화시키고, 세포의 붕괴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며, 종양이나 갑작스런 성장 등을 늦추며 심장병에 대한 보호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멜라토닌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특별한 물질로써, 가장 위대한 항노화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인성 멜라토닌은 송과선 호르몬으로써 세로토닌(serotonin)에 의해 트리프로판(tryptophan)에서 획득되는 것으로, 취침전에 섭취하여 천연의 수면보조제로서의 멜라토닌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멜라토닌은 뇌 속에 있는 송과선에서 만들어지는 천연 호르몬으로써, 인체의 자연적인 리듬을 통제하여 시계를 맞추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밤마다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덕분에 우리는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있는 것이다. 이 호르몬은 1958년에 발견되었다.
이것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될수록 호르몬계 뿐만 아니라 연역 체계와 신경 체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강력한 산화 방지 역할을 비롯하여 노화를 억제하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까지 한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로 밝혀졌다.
또한 장기간의 비행기 여행으로 인한 시차 부적응 현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고, 교대 근무를 하는 노동자들의 생체 시계를 맞추는데 큰 도움이 되며,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에게도 기적에 가까운 효력을 발휘한다. 멜라토닌은 전립선 확대와 암을 치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생식 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멜라토닌 보충제는 1993년부터 건강식품 판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멜라토닌에 대한 안정성이 검증된 바 없었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었고, 이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순도와 안정성 그리고 임상 실험이 있었는지 또한 고려하여 복용해야 한다.
이런, 멜라토닌은 천연 호르몬 약제라고는 하나 그 안전성과 효과를 확실하게 규명할 수 없고 호르몬 약제의 과다 투여에 따른 부작용 또한 아직 검증된 바가 없으며, 그 중독성에 대해서도 입증된 바가 없는 불명확한 약제로써, 직접적인 약에 투여로 인한 공급보다 멜라토닌을 생성하는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여 자연적으로 인체 내부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체를 이용한 광선요법(Light Therapy)은 멜라토닌의 생산을 조절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감정사태의 치료의 일종으로 감정장애의 치료를 위하여 현재 주로 "통 증제거"를 하는데 주안점을 둔 정신요법, 즉 전통적인 분석법, 카운셀링 그리고 약물치료와 같은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표면적으로 나타난 감정적 문제에만 해결책을 찾지 않는 광선요법은 자기존중, 위대한 창의성, 건강한 대인관계, 그리고 육체적 건강의 새로운 차원을 유도하면서, 보편적인 건강표현과 만성통증을 해소 시키는 데 사용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광선요법에 주로 치료되는 대표적인 우울증인 계절적 감정질환(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의 의학적 연구결과는 빛의 수치에서 계절의 변화는 정신건강에 심오한 효과를 줄 수 있음을 밝혀냈다. 그리스(400B.C.히포크라테스)와 고대중국 의학서(2500B.C.)는 계절변화는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약 5만 명의 미국인들을 괴롭히는 계절적 감정 질환자들을 통해서 볼 때 가장 확실한 사실이다. 계절적 감정질환은 우울증, 자살, 약물과 알코올남용, 피로, 변태적인 수면형태, 체중증가 그리고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격리 등의 표상이었다. 계절적 감정질환은 낮 시간이 짧은 늦가을에 많은 환자들을 압도하기 시작하여, 겨울과 초봄까지 그들을 괴롭혔다. 약 35만 명의 미국인들은 더 작은 형태일지라도 계절적 감정질환을 겪고 있다. 밤이 긴 겨울 동안 더 많은 수면을 취한다고 할지라도 사람들은 훨씬 더 피곤하고 비생산적이 된다. 가벼운 피곤과 우울증은 많은 사람들이 체중증가를 가져오는 과식과 음주를 하도록 만든다.
하지만, 그것은 계절적 감정질환 환자들을 더욱 악화시킨다. 그들은 여름에 왕성해지지만, 겨울이 도래하면 자신의 우울증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어 떤 경우에는 자살생각으로 초췌해지고, 가족과 회사동료는 위태롭게 되며, 낮 시간이 길어지는 봄이 오면, 우울증은 상승한다. 다른 형태의 우울증과 같이 계절적 감정질환은 유전학적 소질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 남성보다 자주 여성에게 더욱 많이 영향을 미친다. 여름중순 일련의 흐린 날들은 약간의 환자들에서 증상을 발동시키며, 또한 그 질환은 따뜻한 기후에서도 진단된다. 가설적으로, 의학 연구자들은 형광 빛으로 환자들을 노출하여 낮 시간을 인공적으로 확장하기 시작했다.
2,500럭스(lux)의 빛 강도는 약 500럭스 또는 그 이하의 일반가정의 불빛보다 훨씬 더 밝다. 그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으며, 비진정제(anti-depressant)에 부작용이 있는 몇몇 우울증 환자들은 일주일 이내에 기적적인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자 들은 "태양빛을 자극시켜주는 인공불빛이 신체의 빛 의존기능(light-dependent functions) 을 원조해줌을 자주 입증한 것으로, 다른 인공불빛과 비교하여, 그것은 신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건강, 기분(mood), 행동, 학습을 향상시켜준다.
이러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우리는 빛의 목적에 대하여 우리의 안목을 넓힐 필요가 있다. 빛은 단지 생활환경을 밝혀주는 데 사용된 기술적 발전이란 생각이 아니라, 이제 가장 강력한 잠재력을 가진 질병예방도구 중의 하나로써 고려되어야 한다."라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한때, 태양은 거의 모든 것을 치료하는 보편적인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빛과 빛으로 구성된 색상은 거의 모든 과학과 의학적인 측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단지 강력하고 인체에 손상을 주는 약물과 기술들이 치료의 가치를 가졌다고 한 때 믿었던 의사들은 부작용이 없는 빛의 힘을 지금 인정하기 시작하고 있다. 치료를 하는 데 침해적인 의학적 접근은 빛의 시대가 도래할 때 케케묵은 치료법이 될 것이다. 외과용 메스는 레이저로, 화학요법은 광선요법으로, 약물처방은 색상처방으로, 침술은 광선 바늘로, 눈 안경은 건강한 눈으로 대체될 것이다. 암은 과거의 질병이 될 것이며, 건강과 장수는 미래의 표준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는 빛은 광선에의해 면역력을 조절하는 학문인 광선신경면역학(PHOTONEUROIMMUNOLOGY)에서 거듭되는 연구로 많은 학문적으로 진전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계절적 감정질환에 사용되는 광선요법은 비계절적 우울증, 시차로 인한 피로/생체리듬 회복(Jet Lag), 심야 교대근무자(Graveyard Shift Workers), 나이와 관련된 수면장애(Sleep Disturbances With Age)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단지 어둠을 밝히는 빛으로 산업분야에서 각광받는 발광체를 이용하여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에 이르는 의약 분야에 까지 인체에 유용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생체리듬을 조절하기 위해서 멜라토닌의 생성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멜라토닌의 생성량을 인체에서 균형있게 조절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인체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유용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발 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인체의 형태에 맞도록 후두부 측에 전원부를 양측으로 귀에 고정되도록 거치부와 연결 형성하 고, 안구의 위치에 조사되도록 각도를 조절하면서 얼굴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시발광체가 위치하도록 가시발광체가 결합된 연결부를 거치부에 결합시켜 전원부의 공급되는 전원으로 가시발광체를 안구에 조사하여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인체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중요인자인 멜라토닌의 생성을 조절하여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 등의 광선치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인체에 착용하여 집중적으로 안구에 조사하여 시행함에 따라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구에 조사되는 가시발광체는 멜라토닌의 생성 조절에 많은 효과를 가지는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을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일정 시간에 제한적인 치료의 목적으로 적색 빛을 조사하여 멜라토닌 생성 조절 및 치료 목적으로 안구에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시발광체를 안구에 조사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전원부를 후두부에 형성하고, 전원부를 거치하도록 연결된 거치부를 인체의 귀부분에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전면에 안구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가시발광체가 형성되도록 연결부로 귀에 고정된 거치부에 결합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양측 귀에 거치되면서 후두부에 전원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안구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가시발광체의 빛을 조사하여 광선치료를 하면서도 착용의 불편이 없이 착용감이 우수하며 머리의 유동 시에도 안구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어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안구에 조사됨에 따라 멜라토닌의 적정한 생성 조절로 인해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두부에 형성된 전원부를 고정하도록 양측 귀에 형성된 거치부에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하고, 연결부에 거치부 결합 측에도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여 안구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연결구의 안구 측에 결합되는 발광부는 회전되면서 착탈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투명커버로 보호되면서 가시발광체를 형성하여 선단에 구비된 삽입연결구로 끼움 결합되어 안구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구와의 거리와 각도를 정확하게 인체의 형상에 따라 조절하여 누구나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하고 정확한 청색 및 녹색 빛의 지속적인 조사로 광선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시발광체가 삽입 결합되어 귀에 거치되는 거치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의 하단에 안구 위치에 따라 회전되도록 연결바의 일측으로 회전부를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발광체의 각도를 조절하고, 안구와 이격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 연결바에 길이조절부를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하며,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는 몸체부분을 굽힘이 자유로운 재질로 연결바를 형성하여 굽힘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발광체의 위치를 안구에 맞게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형성하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두부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귀부분에 거치되는 거치부의 선단으로 연결부가 결합되는 결합구 측에 전원인가홈을 형성하고, 연결부의 거치부 연결 측으로 전원인가잭을 형성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발광부도 삽입연결구로 끼움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 하여 분해보관함에 따라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구의 일측으로 발광체가 위치하여 발광되도록 귀걸이구가 형성된 거치부에 귀의 후부측으로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전원부를 형성하고 회전되어 양안의 위치에 일측 또는 타측에 가시발광체가 형성되도록 연결부를 거치부에 연결 형성하여 양안 중에 하나의 안구에 빛을 조사하여 멜라토닌의 생성 및 조절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양안의 기능의 현저한 차이로 인하여 각기 빛의 세기 및 빛의 형태와 색깔을 조정하거나, 하나의 눈 밖에 시력이 미치지 않는 사용자에게 싱글타입으로 단순하고 간단한 형태의 멜라토닌 생성 및 조절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치료의 효과를 공여하여 광선치료의 수혜자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시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를 형광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로 교체한 상태로 안구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로 연결부에 결합시켜 어두운 곳을 밝혀서 독서와 야외활동 시에 후레쉬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치료 기능 이외에 기능을 수행하여 범용성을 확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두부에 형성된 전원부에 전원스위치와 무선조정구로 무선과 물리적인 조작으로 조작되는 콘트롤부를 형성하여 메인전원에 전원을 공급받아 타이머로 조사되는 빛의 시간을 조정하여 치료에 알맞은 시간에 따라 광선치료를 실시하고, 하부에 보조전원을 연결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가장치의 일환으로 거치대의 귀걸이부에 이어폰을 형성하고, 거치대에 귀가 결합되는 귀걸이부 후측으로 귀의 뒷면으로 조작부를 형성하며, 전원부 내부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를 형성하여 조작부의 조작으로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가 작동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여러 부가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 치료 시에 음악 치료를 병행함에 따라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시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와 연결구를 제거하고 렌즈모니터가 연결바에 형성되어 전원인가잭을 거치부에 전원인가홈에 연결시키고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로 결합한 상태로 체결구로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면서 안구의 위에 렌즈모니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장치로 여러 부가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가시발광체를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측으로 투명커버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단부에는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면서 삽입 끼움 결합되는 삽입연결구를 형성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삽입연결구를 막대형태의 연결바 일측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연결바의 타측 선단에 결합구를 형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결합구와 결합되도록 결합구를 형성하고, 인체의 귀에 고정되도록 귀걸이부를 구비한 막대 형태로 후 두부로 이어지는 거치바를 형성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거치바를 후두부 측으로 형성하여 연결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스위치로 조정되는 메인전원을 형성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의 가시발광체는 멜라토닌 생성 및 조절효과가 탁월한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 빛을 사용하고, 안구의 치료를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조사되는 적색 빛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광선치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바는 결합구와 연결된 일측 선단으로 회전부를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연결바를 회전시켜 연결바에 삽입결합된 발광부의 이격거리와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연결바는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바를 접철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단차의 조절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연결바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복수의 길이조절홈이 형성된 길이조절관으로 서로 연결 결합시켜 길이조절홈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바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선단부 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절나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길이조절관으로 연결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결합구는 연결바의 타측 선단으로 톱니형태의 각도변위톱니를 구비하여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되, 결합구의 결합 측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인가잭을 형성하고, 결합구를 체결하는 체결구를 형성하여 각도를 변위시키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결합구는 일측 선단에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는 각도변위톱니를 형성하고, 결합구의 중앙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연결부의 체결구로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결합구의 일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홈을 형성하여 연결부의 전원인가잭에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전원을 인가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메인전원의 일측으로 콘트롤부를 형성하여 상부에 원격 조작되도록 형성된 무선조정구와 후부에 형성된 전원스위치의 조작으로 타이머로 시간을 조절하면서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전원의 하부에 보조전원을 연결하여 전력공급량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형광발광체를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하여 투명커버로 조사되면서 연결부에 안구 외측으로 회전하여 삽입연결구를 끼움 결합시켜 외부에 형광빛을 밝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귀걸이부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를 구비한 전원부를 사용자의 귀 후측에 안치되도록 형성하고, 안구의 일측으로 가시발광체가 위치하도록 거치부의 결합구에 연결부의 결합구를 상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하여 결합하고, 연 결부의 연결바 일측으로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회전부로 회전하면서 연결홈에 가시발광체를 결합시켜 하나의 안구에도 가시발광체의 빛이 조사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를 장착하고, 거치부의 귀걸이부에 이어폰을 장착한 상태로 귀의 후면측으로 거치바에 조작부를 설치하여 조작부의 조작으로 이어폰을 통하여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가 작동하는 부가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거치부의 결합구에 전원인가잭과 각도변위톱니가 구비된 결합구를 체결구로 결합시키고, 결합구의 일측으로 굽힘이 자유로운 연결바를 형성하되, 연결바의 타측으로 렌즈모니터를 형성하여 전원인가잭으로 인가된 신호로 렌즈모니터를 구동하도록 부가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를 다단으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에 길이조절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연결바에 길이조절장치에 다른 실시예 따라 설치한 상태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형광발광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부가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에 다른 부가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100)는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한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의 상하로 안구와의 각도와 간격을 조절하도록 연결된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양측 귀 부분에 거치되도록 형성한 거치부(130)와, 상기 거치부(13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부(140)와, 상기 거치부(130)와 전원부(140)의 일측으로 각종 부가되는 장비를 장착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발광부(11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가시발광체(111)를 하우징(112)의 내부에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일측으로 투명커버(113)를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단부에는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면서 삽입 끼움 결합되는 삽입연결구(11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10)의 가시발광체(111)는 멜라토닌 생성 및 조절효과가 탁월한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 빛을 사용하고, 안구의 치료를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조사되는 적색 빛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광선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110)는 형광발광체(115)를 하우징(112)의 내부에 형성하여 투명커버(113)로 조사되면서 연결부(120)에 안구 외측으로 회전하여 삽입연결구(114)를 끼움 결합시켜 외부에 형광빛을 밝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발광부(110)의 삽입연결구(114)를 막대형태의 연결바(121) 일측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122)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연결바(121)의 타측 선단에 결합구(123)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결합구(123)와 연결된 일측 선단으로 회전부(127)를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연결바(121)를 회전시켜 연결바(121)에 삽입결합된 발광부(110)의 이격거리와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를 접철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단차의 조절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복수의 길이조절홈(128b)이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서로 연결 결합시켜 길이조절홈(128b)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선단부 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절나사부(128c)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연결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120)의 결합구(123)는 연결바(121)의 타측 선단으로 톱니형태의 각도변위톱니(124)를 구비하여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되, 결합구(123)의 결합 측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인가잭(126)을 형성하고, 결합구(123)를 체결하는 체결구(125)를 형성하여 각도를 변위시키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130)는 연결부(120)의 결합구(123)와 결합되도록 결합구(133)를 형성하고, 인체의 귀에 고정되도록 귀걸이부(132)를 구비한 막대 형태로 후두부로 이어지는 거치바(131)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30)의 결합구(133)는 일측 선단에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는 각도변위톱니(134)를 형성하고, 결합구(133)의 중앙에 체결홈(135)을 형성하여 연결부(120)의 체결구(125)로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결합구(133)의 일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홈(136)을 형성하여 연결부(120)의 전원인가잭(126)에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전원을 인가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140)는 거치부(130)의 거치바(131)를 후두부 측으로 형성하여 연결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스위치(144)로 조정되는 메인전원(141)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40)는 메인전원(141)의 일측으로 콘트롤부(142)를 형성하여 상부에 원격 조작되도록 형성된 무선조정구(145)와 후부에 형성된 전원스위치(144)의 조작으로 타이머(143)로 시간을 조절하면서 발광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전원(141)의 하부에 보조전원(146)을 연결하여 전력공급량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거치부(130)의 귀걸이부(132)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144)를 구비한 전원부(140)를 사용자의 귀 후측에 안치되도록 형성하고, 안구의 일측으로 가시발광체(111)가 위치하도록 거치부(130)의 결합구(133)에 연결부(120)의 결합구(123)를 상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하여 결합하고, 연결부(120)의 연결바(121) 일측으로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회전부(127)로 회전하면서 연결홈(122)에 가시발광체(111)를 결합시켜 하나의 안구에도 가시발광체(111)의 빛이 조사되도록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부가장치(150)는 전원부(140)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장착하고, 거치부(130)의 귀걸이부(132)에 이어폰(152)을 장착한 상태로 귀의 후면측으로 거치바(131)에 조작부(153)를 설치하여 조작부(153)의 조작으로 이어폰(152)을 통하여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가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부가장치(150)는 거치부(130)의 결합구(133)에 전원인가잭(159)과 각도변위톱니(157)가 구비된 결합구(156)를 체결구(158)로 결합시키고, 결합구 (156)의 일측으로 굽힘이 자유로운 연결바(155)를 형성하되, 연결바(155)의 타측으로 렌즈모니터(154)를 형성하여 전원인가잭(159)으로 인가된 신호로 렌즈모니터(154)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의 귀부분에 귀걸이구(132)가 형성된 거치부(130)의 후부 중앙으로 전원스위치(144)로 작동하는 메인전원(141)이 구비된 전원부(140)를 거치바(131)에 연결하여 귀걸이구(132)에 귀가 거치되면서 전원부(140)가 후두부에 위치하도록 착용한다.
이렇게, 거치부(130)와 전원부(140)를 착용한 상태로 귀의 전면측으로 각도변위톱니(134)가 구비된 결합구(133)와 막대형태의 연결바(121) 일측으로 각도변위톱니(124)가 구비된 결합구(123)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안구에 맞도록 상하로 조절하여 거치부(130)의 각도변위톱니(134)에 연결부(120)의 각도변위톱니(124)를 결합한 상태로 연결부(120)의 체결구(125)를 거치부(130)의 체결홈(135)에 체결하여 연결부(120)를 고정한다.
이때, 연결부(120)의 결합구(123)에 형성된 전원인가잭(126)을 거치부(130)의 홈형태로 형성된 전원인가홈(136)에 결합하여 연결부(120)에 전원부(1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바(121)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와 결합되는 부분에 회전부(127)를 형성하여 연결바(121)가 회전하면서 안구의 위치에 따라 간격과 각도를 조절하 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바(121)의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간격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를 접철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단차의 조절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의 길이조절홈(128b)이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서로 연결 결합시켜 길이조절홈(128b)에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선단부 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절나사부(128c)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연결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20)를 거치부(13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시발광체(111)를 내부에 형성하여 하우징(112)에 설치하여 투명커버(113)로 보호하면서 조사하는 발광부(110)를 연결부(1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홈(122)에 발광부(1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삽입 결합하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삽입연결구(14)을 결합시켜 연결바(121)로 안구의 위치에 일정거리 정확하게 이격하도록 조정하면서 발광부(110)의 각도를 조정하여 안구에 정확하게 가시발광체(111)에서 발산되는 빛 이 도달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때, 가시발광체(111)에서 발산되는 빛은 멜라토닌 생성과 조절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가시광선 중에 비교적 파장이 짧은 청색, 녹색 또는 청녹색 빛을 사용하여 멜라토닌을 생성 및 조절하는 광선치료를 실시하고, 치료목적에 따라 일정한 제한 시간동안 적색빛을 조사하여 광선치료를 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120)와 거치부(130)의 결합구(123, 133)에 각도변위톱니(124, 134)를 각각 설치하여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회전부(127)로 회전하거나,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의 연결바(121)로 안구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고, 발광부(110)의 삽입연결구(114)에서 결합한 상태로 전원부(140)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조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인체비례와 얼굴의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각도를 조절하면서 가시광선을 안구에 정확하게 조사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부(140)는 내부에 메인전원(141)의 전력을 외측에 형성된 전원스위치(144)와 상부에 원격에서 조작하는 무선조정구(145)의 조작에 의해 타이머(143)가 내장된 콘트롤부(142)의 신호로 전원을 인가하여 가시발광체(111)의 빛을 발광시키도록 형성하고, 콘트롤부(142)의 내부에 형성된 타이머(143)는 파장이 짧은 청색빛 과 녹색빛의 안구에 조사되는 최적의 시간을 형성하도록 시간을 측정하며,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적색빛은 장시간 노출 시에 시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일정시간 이상 빛이 발산되지 않도록 안전성을 증대하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140)의 메인전원(141)의 하측으로 보조전원(146)을 연결하여 공급되는 전력량을 증대시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멜라토닌의 생성 조절장치(100)를 이용하여 독서 및 야외활동 등에 사용되는 휴대용 형광등으로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가시발광체(111)를 형광발광체(115)로 교체시킨 발광부(110)를 삽입연결구(114)로 연결부(120)의 연결홈(122)에 삽입결합한 상태로 안구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형광발광체(115)을 전원부(140)의 전원스위치(144)에서 전원을 공급시키면 형광빛이 발산하여 휴대용 형광등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부가장치(150)인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착용할 때에는 전원부(140)의 일측으로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설치하고, 거치부(130)의 귀걸이부(132) 일측인 귀의 위치에 소리를 내보내는 이어폰(152)을 형성하며 귀후부측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조작하는 조작부(153)를 형성하여 조작부(153)의 조작으로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작동시켜 이어폰(152)으로 청취함으로써, 가시발광체(111)로 멜라토닌 생성을 조절하면서 음향효과를 배가하여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아울러, 다른 부가장치(150)인 렌즈모니터(154)를 장착할 때에는 발광부(110)와 연결부(120)를 제거한 상태로 렌즈모니터(154)의 일측으로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된 연결바(155)를 형성하되, 연결바(155)의 타측으로 각도변위톱니(157)와 전원인가잭(159)이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하여 거치부의 결합구(156)에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위치한 후에 체결구(158)를 체결홈(135)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여러 기능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인체의 형태에 맞도록 후두부 측에 전원부를 양측으로 귀에 고정되도록 거치부와 연결 형성하고, 안구의 위치에 조사되도록 각도를 조절하면서 얼굴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가시발광체가 위치하도록 가시발광체가 결합된 연결부를 거치부에 결합시켜 전원부의 공급되는 전원으로 가시발광체를 안구에 조사하여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인체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중요인자인 멜라토닌의 생성을 조절하여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 등의 광선치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인체에 착용하여 집중적으로 안구에 조사하여 시행함에 따라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안구에 조사되는 가시발광체는 멜라토닌의 생성 조절에 많은 효과를 가지는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을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일정 시간에 제한적인 치료의 목적으로 적색 빛을 조사하여 멜라토닌 생성 조절 및 치료 목적으로 안구에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하여 극대화된 치료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가시발광체를 안구에 조사하여 멜라토닌의 생성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전원부를 후두부에 형성하고, 전원부를 거치하도록 연결된 거치부를 인체의 귀부분에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전면에 안구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가시발광체가 형성되도록 연결부로 귀에 고정된 거치부에 결합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양측 귀에 거치되면서 후두부에 전원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안구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가시발광체의 빛을 조사하여 광 선치료를 하면서도 착용의 불편이 없이 착용감이 우수하며 머리의 유동 시에도 안구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어 정확하게 지속적으로 안구에 조사됨에 따라 멜라토닌의 적정한 생성 조절로 인해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의 향상된 치료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후두부에 형성된 전원부를 고정하도록 양측 귀에 형성된 거치부에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하고, 연결부에 거치부 결합 측에도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여 안구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연결구의 안구 측에 결합되는 발광부는 회전되면서 착탈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투명커버로 보호되면서 가시발광체를 형성하여 선단에 구비된 삽입연결구로 끼움 결합되어 안구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구와의 거리와 각도를 정확하게 인체의 형상에 따라 조절하여 누구나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하고 정확한 청색 및 녹색 빛의 지속적인 조사로 극대화된 광선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가시발광체가 삽입 결합되어 귀에 거치되는 거치부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의 하단에 안구 위치에 따라 회전되도록 연결바의 일측으로 회전부를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발광체의 각도를 조절하고, 안구와 이격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서 연결바에 길이조절부를 형성하여 길이를 조절하며,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는 몸체부분을 굽힘이 자유로운 재질로 연결바를 형성하여 굽힘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발광체의 위치를 안구에 맞게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형성하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후두부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귀부분에 거치되는 거치부의 선단으로 연결부가 결합되는 결합구 측에 전원인가홈을 형성하고, 연결부의 거치부 연결 측으로 전원인가잭을 형성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발광부도 삽입연결구로 끼움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분해보관함에 따라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안구의 일측으로 발광체가 위치하여 발광되도록 귀걸이구가 형성된 거치부에 귀의 후부측으로 전원스위치가 구비된 전원부를 형성하고 회전되어 양안의 위치에 일측 또는 타측에 가시발광체가 형성되도록 연결부를 거치부에 연결 형성하여 양안 중에 하나의 안구에 빛을 조사하여 멜라토닌의 생성 및 조절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양안의 기능의 현저한 차이로 인하여 각기 빛의 세기 및 빛의 형태와 색깔을 조정하거나, 하나의 눈 밖에 시력이 미치지 않는 사용자에게 싱글타입으로 단순하고 간단한 형태의 멜라토닌 생성 및 조절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치료의 효과를 공여하여 광선치료의 수혜자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가시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를 형광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로 교체한 상태로 안구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로 연결부에 결합시켜 어두운 곳을 밝혀서 독서와 야외활동 시에 후레쉬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치료 기능 이외에 기능을 수행하여 범용성을 확대하는 효과를 제 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후두부에 형성된 전원부에 전원스위치와 무선조정구로 무선과 물리적인 조작으로 조작되는 콘트롤부를 형성하여 메인전원에 전원을 공급받아 타이머로 조사되는 빛의 시간을 조정하여 치료에 알맞은 시간에 따라 광선치료를 실시하고, 하부에 보조전원을 연결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부가장치의 일환으로 거치대의 귀걸이부에 이어폰을 형성하고, 거치대에 귀가 결합되는 귀걸이부 후측으로 귀의 뒷면으로 조작부를 형성하며, 전원부 내부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를 형성하여 조작부의 조작으로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가 작동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여러 부가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 치료 시에 음악 치료를 병행함에 따라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는 가시발광체가 구비된 발광부와 연결구를 제거하고 렌즈모니터가 연결바에 형성되어 전원인가잭을 거치부에 전원인가홈에 연결시키고 각도변위톱니가 형성된 결합구로 결합한 상태로 체결구로 체결하여 각도를 조절하면서 안구의 위에 렌즈모니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장치로 여러 부가장치를 선택적으로 결합 사용하여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4)

  1.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가시발광체(111)를 하우징(112)의 내부에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일측으로 투명커버(113)를 형성하고, 하우징(112)의 단부에는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면서 삽입 끼움 결합되는 삽입연결구(114)를 형성한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의 삽입연결구(114)를 막대형태의 연결바(121) 일측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122)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연결바(121)의 타측 선단에 결합구(123)를 형성한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결합구(123)와 결합되도록 결합구(133)를 형성하고, 인체의 귀에 고정되도록 귀걸이부(132)를 구비한 막대 형태로 후두부로 이어지는 거치바(131)를 형성한 거치부(130)와,
    상기 거치부(130)의 거치바(131)를 후두부 측으로 형성하여 연결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스위치(144)로 조정되는 메인전원(141)을 형성한 전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의 가시발광체(111)는 멜라토닌 생성 및 조절효과가 탁월한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 빛을 사용하고, 안구의 치료를 위해 일정한 시간동안 조사되는 적색 빛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광선치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결합구(123)와 연결된 일측 선단으로 회전부(127)를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연결바(121)를 회전시켜 연결바(121)에 삽입결합된 발광부(110)의 이격거리와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 굽힘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하여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를 접철되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단차의 조절 에 의해 길이를 조절하여 안구의 위치에 따라 길이를 조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복수의 길이조절홈(128b)이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서로 연결 결합시켜 길이조절홈(128b)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연결바(121)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선단부 측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절나사부(128c)를 형성하여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길이조절관(128a)으로 연결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는 길이조절장치(1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결합구(123)는 연결바(121)의 타측 선단으로 톱니형태의 각도변위톱니(124)를 구비하여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면서 결합하도록 형성하되, 결합구(123)의 결합 측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인가잭(126)을 형성하고, 결합구(123)를 체결하는 체결구(125)를 형성하여 각도를 변위시키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30)의 결합구(133)는 일측 선단에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는 각도변위톱니(134)를 형성하고, 결합구(133)의 중앙에 체결홈(135)을 형성하여 연결부(120)의 체결구(125)로 체결되도록 형성하며, 결합구(133)의 일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홈(136)을 형성하여 연결부(120)의 전원인가잭(126)에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전원을 인가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40)는 메인전원(141)의 일측으로 콘트롤부(142)를 형성하여 상부에 원격 조작되도록 형성된 무선조정구(145)와 후부에 형성된 전원스위치(144)의 조작으로 타이머(143)로 시간을 조절하면서 발광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인전원(141)의 하부에 보조전원(146)을 연결하여 전력공급량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는 형광발광체(115)를 하우징(112)의 내부에 형성하여 투명커버(113)로 조사되면서 연결부(120)에 안구 외측으로 회전하여 삽입연결구(114)를 끼움 결합시켜 외부에 형광빛을 밝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30)의 귀걸이부(132)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144)를 구비한 전원부(140)를 사용자의 귀 후측에 안치되도록 형성하고, 안구의 일측으로 가시발광체(111)가 위치하도록 거치부(130)의 결합구(133)에 연결부(120)의 결합구(123)를 상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하여 결합하고, 연결부(120)의 연결바(121) 일측으로 안구의 위치에 맞도록 회전부(127)로 회전하면서 연결홈(122)에 가시발광체(111)를 결합시켜 하나의 안구에도 가시발광체(111)의 빛이 조사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40)에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를 장착하고, 거치부(130)의 귀걸이부(132)에 이어폰(152)을 장착한 상태로 귀의 후면측으로 거치바(131)에 조작부(153)를 설치하여 조작부(153)의 조작으로 이어폰(152)을 통하여 휴대용오디오플레이어(151)가 작동하는 부가장치(1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30)의 결합구(133)에 전원인가잭(159)과 각도변위톱니(157)가 구비된 결합구(156)를 체결구(158)로 결합시키고, 결합구(156)의 일측으로 굽힘이 자유로운 연결바(155)를 형성하되, 연결바(155)의 타측으로 렌즈모니터(154)를 형성하여 전원인가잭(159)으로 인가된 신호로 렌즈모니터(154)를 구동하도록 부가장치(1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KR1020050029914A 2005-04-11 2005-04-11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KR10060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14A KR100609412B1 (ko) 2005-04-11 2005-04-11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PCT/KR2006/001310 WO2006109969A1 (en) 2005-04-11 2006-04-10 Circadian and photoneuroimmunology rhythm control device make use of luminescent di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14A KR100609412B1 (ko) 2005-04-11 2005-04-11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412B1 true KR100609412B1 (ko) 2006-08-03

Family

ID=3708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14A KR100609412B1 (ko) 2005-04-11 2005-04-11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9412B1 (ko)
WO (1) WO20061099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31A (ko) 2018-07-16 2020-01-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주기 리듬 교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5446A (ko) 2019-08-02 2021-02-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브라이트 테라피 및 다크 테라피 겸용 조명 장치
KR20210035720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이엠텍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874B (zh) * 2009-04-24 2015-09-3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向对象的眼球递送电磁辐射的系统和方法
US8715328B2 (en) * 2009-12-02 2014-05-06 Ernesto Gerardo Monocular light source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photoneuronic response
FR2969317B1 (fr) * 2010-12-17 2012-12-28 Thales Sa Systeme de visualisation comprenant un eclairage de vigilance de nuit
WO2012106775A1 (en) * 2011-02-11 2012-08-16 Resmed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AT515197B1 (de) 2014-02-11 2015-07-15 Pocket Sky Og Tragbare Vorrichtung zur Lichtemission
CN113975654B (zh) * 2021-12-09 2024-02-06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的环状光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609A (en) * 1987-12-04 1989-08-22 Cole Roger J Bright light mask
CA1334399C (en) * 1989-04-27 1995-02-14 Murray M. Waldman Therapeutic lamp
JPH09213101A (ja) * 1995-11-27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携帯用光照射装置
US6350275B1 (en) * 1997-06-09 2002-02-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s for treating circadian rhythm disorders using LED's
US6235046B1 (en) * 1998-01-21 2001-05-22 David W. Gerdt Passive photonic eye delivery system
JP2881690B1 (ja) * 1998-02-23 1999-04-12 義郎 中松 生活リズム変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31A (ko) 2018-07-16 2020-01-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주기 리듬 교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15446A (ko) 2019-08-02 2021-02-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브라이트 테라피 및 다크 테라피 겸용 조명 장치
US11660464B2 (en) 2019-08-02 2023-05-30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Lighting device for bright therapy and dark therapy
KR20210035720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이엠텍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KR102291254B1 (ko) * 2019-09-24 2021-08-20 주식회사 이엠텍 광 조사 기능을 지닌 골전도 음향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9969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412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생체리듬 조절장치
US11577091B2 (en) Lighting system for protecting circadian neuroendocrine function
US6350275B1 (en) Devices for treating circadian rhythm disorders using LED's
US10384070B2 (en) Spectacles for light therapy
US20050070977A1 (en) Light and magnetic emitting mask
US9248309B2 (en) Light therapy system including spectacle frames and contact lenses
Yeh et al. Light-emitting diodes—their potential in biomedical applications
US20130178920A1 (en) Head mounted light therapy device
WO2004096343A9 (en) Light and magnetic emitting mask
US5292345A (en) Portable photoneuronic energizer
US10052496B2 (en) Photonic wearable apparatus light therapy delivery system and control system
US20160158485A1 (en) Head mounted light therapy device
US202101781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photo biochemical synthesis of vitamin d3-cholecalciferol
EP2905544A1 (en) Kitchen hood for phototherapy comprising a high illuminance ligh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