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989B1 -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989B1
KR101318989B1 KR1020130016782A KR20130016782A KR101318989B1 KR 101318989 B1 KR101318989 B1 KR 101318989B1 KR 1020130016782 A KR1020130016782 A KR 1020130016782A KR 20130016782 A KR20130016782 A KR 20130016782A KR 101318989 B1 KR101318989 B1 KR 10131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current
micro
sound
micro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장태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로, 인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전극을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Neck-Wearable Microcurrent/Low-Frequency Cure Apparatus}
본 발명은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한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 자극 등을 이용한 전류 치료 장치란, 환부에 부착된 패드를 통하여 약한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마비된 근육을 수축 운동시켜 마사지하거나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켜 통증을 완화시킨다. 이를 통해 피로회복은 물론 자율신경 자극을 통한 자연 치유의 효과를 제공한다.
현대인의 과도한 운동이나 노동 등으로 근육의 기능 저하 및 통증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신속히 완화시키기 위해 이러한 전류 치료기를 휴대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치료기로 벨트 형태로 구성되어 미세 전류와 같은 자극을 사용자의 환부에 제공하는 기술이 한국 공개 특허 2004-23866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치료를 받는 시간이 지루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음악을 청취하거나, 영상을 보고자 하는 욕구가 커진다. 그런데, 이전의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치료 장치는 전기 치료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치료 중에 음향 또는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는 mp3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등의 별도의 기기들을 사용하여야 했다. 이는 다수의 기기들을 사용함에 따른 착용감 및 동시 제어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치료와 동시에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이하 '치료 장치'로 기재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료 장치로, 인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전극부를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 밴드 형태의 치료 장치를 통하여 휴대성이 강력하여, 시/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치료의 목적으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치료 장치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적 치료를 제공하여, 전기 치료와 함께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켜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목베개 또는 쿠션 형태로 치료 장치를 목둘레에 착용하도록 하여, 비행기 또는 버스에서 장시간 여행중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 본체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료 장치는 본체(100), 고정부(200) 및 전극부(300)를 포함하여, 인체에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공급한다. 부가적으로, 이어폰(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 암페어(㎂)의 범위에 속한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 수준 이하 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신호는 목 주위의 어깨나 등에 많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치료 장치에 적용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본체(100)는 하나 이상의 전극부(300)와 연결되어, 전극부(300)에 미세 전류를 발생시킨다. 부가적으로, 본체(100)는 하나 이상의 이어폰(350)과 연결되어 음향을 발생시킨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극부(300)는 고정부(200)의 내면에 분포된 형태로 배치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고정부(200)는 장치를 사용자의 목 둘레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고정부(200)는 목 둘레에 감아서 착용할 수 있는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밴드의 일단에는 벨크로, 일명 찍찍이가 형성되어, 인체의 각 부위에 감겨질 때 밴드의 다른 일단 외부 천에 붙여져 탈착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본체(100)는 고정부(200)에 클립 형태로 탈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본체(100)는 고정부(200)의 내부에 그 구성 요소가 분포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200)는 벨크로, 일명 찍찍이 형태로 본체(100)와 탈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고정부(200)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목 앞쪽이 트인 C 자형 또는 U 자형의 머리띠와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목 앞쪽은 트인 C 자형 혹은 U 자형의 목베개 또는 목쿠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버스 또는 비행기를 이용한 이동 중에 수면을 위한 목베개 또는 목쿠션(10)의 일측 내부(11)에 치료 장치의 본체(20), 이어폰 및 전극 등이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목쿠션(10)은 라텍스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본체(20)는 유선형으로 양단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삽입하여 장착되기 유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가 목밴드 형태일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하기에 기술되는 구성 및 치료 동작들은 고정부가 머리띠 또는 목쿠션 형태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치료 장치의 목 밴드 형태의 고정부(200)를 목둘레에 장착한 후, 전극부(300)를 머리, 어깨 또는 등에 부착하여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치료를 제공받으면서, 이어폰(350)을 통해 음향을 제공받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성이 강력하여 시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치료의 목적으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치료 장치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적 치료와 전기 치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치료의 극대화와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부(300)는 치료 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해당하는 자극을 발생시킨다. 전극부(300)는 중앙에 관통구(311)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환부에 접착되는 탈부착 패드(310)와, 탈부착 패드(310)의 관통구(311)에 끼워진 형태로 고정되는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접점(320)으로 구성된다.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접점(320)은 금, 은, 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체와 무해하면서도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라면 기타 다른 재질도 제공될 수가 있다.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접점(320)의 측면에는 전선을 감을 수 있는 줄감개로 사용하기 위한 홈(321)이 형성되어, 치료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선이 줄감개에 감아진 상태로 본체에 끼워져 수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점(320)으로 끈끈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패드가 사용될 경우, 본체(100)에는 이러한 패드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우징 상부(101)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부(300) 또는 이어폰(350)이 수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홈(101a)이 형성된다. 치료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전극부(300) 및 이어폰(350)은 홈(101a)에 끼워져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각 홈(101a)의 측면 일정 위치에 상기 전극부(300) 또는 이어폰(350)을 연결하는 전선이 관통되는 홈(101b)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상부(101) 및 하부(102) 사이에는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및 음향을 출력하는 각종 구성 요소들(103)이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 본체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전류 발생부(110), 전극 연결부(115), 음향 처리부(120), 이어폰 연결부(125), 제어부(13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통신부(150), 메모리(160), 조작부(170) 및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 발생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전원부(14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미세 전류 자극 또는 저주파 신호를 위한 다양한 전압 크기로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때, 단일 전압을 자극을 위해 수십볼트에서 수백볼트로 승압할 수 있다. 전극 연결부(115)는 전극부(350)를 연결하는 전선과 연결되는 소켓으로, 전선과 고정될 수도 있고,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의 세기, 주기 등에 의해 결정되는 패턴 조절 제어 신호를 전류 발생부(110)에 출력한다.
음향 처리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치료를 위한 음향을 출력한다. 이어폰 연결부(125)는 전극부를 연결하는 전선과 연결되는 소켓으로 전선과 고정될 수도 있고,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음향 처리부(120)를 통해 메모리(160) 또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조작부(170)를 통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음향의 크기 및 종류가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치료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및 음향이 조절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전원부(140)는 치료 장치에 전압을 공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류 발생부(110)로 전압을 공급한다.
통신부(15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를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PC로부터 음향을 전송받을 수도 있고,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및 음향 조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치료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치료에서 설정되는 다양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된 음향 데이터를 저장한다.
조작부(17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부(170)를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의 패턴 및 음향이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고, 키조작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LCD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조작부로도 동작할 수도 있다. 표시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치료 상태를 표시하며, 또한 다양한 자극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치료 장치의 제어부(130)는 610 단계에서 전원 온됨에 따라, 620 단계에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패턴 및 음향을 설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표시부(180)를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설정" 항목과, "음향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항목을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조작부(170)를 통해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조작부(170)를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설정"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패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도록 한다.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는 파형 및 주기에 의해 그 패턴이 결정되는 것으로, 각 패턴들은 그 종류에 따라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통해 예컨대, '두드림', '누름' 및 '주무르기'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이러한 패턴들 중의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가 지속되는 시간 또는 세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70)를 통해 "음향 설정"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출력 가능한 음향 종류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도록 한다. 또한, 음향 출력 시간, 반복 여부 및 크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 구비된 조작부(17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의해 리모트 콘트롤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620 단계가 생략될 경우, 이전에 메모리(160)에 저장된 설정 정보 또는 초기 기본 설정 정보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630 단계에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 출력 요청됨에 따라, 640 단계에서 전류 발생부(110)에 미리 설정된 패턴의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전류 발생부(110)에 의해 발생된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는 전극부(300)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650 단계에서 음향 출력이 요청됨에 따라, 660 단계에서 음향 처리부(120)에서 미리 설정된 음향을 이어폰(35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670 단계에서 설정 변경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설정 변경이 요청될 경우에 620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설정 변경이 요청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680 단계에서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630 단계로 진행하거나, 종료한다.

Claims (7)

  1. 인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어, 하나 이상의 전극부를 통해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부 또는 이어폰이 수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각 홈들의 측면 일정 위치에 상기 전극부 또는 이어폰을 연결하는 전선이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부는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탈부착 패드와,
    탈부착 패드의 관통구에 끼워진 형태로 고정되는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접점을 포함하되,
    상기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접점의 측면에는 전선을 감을 수 있는 줄감개로 사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밴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탄성 부재 또는 목베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부와 벨크로 형태로 탈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를 위한 다양한 전압 크기로 조절하여 상기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발생부와,
    치료를 위한 음향을 상기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와,
    미세 전류 또는 저주파 신호의 패턴을 조절하여 상기 전류 발생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음향 출력부가 소정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음향 출력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0130016782A 2013-02-18 2013-02-18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101318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82A KR101318989B1 (ko) 2013-02-18 2013-02-18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782A KR101318989B1 (ko) 2013-02-18 2013-02-18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989B1 true KR101318989B1 (ko) 2013-10-16

Family

ID=4963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782A KR101318989B1 (ko) 2013-02-18 2013-02-18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21B1 (ko) 2016-05-31 2018-07-05 전자부품연구원 경골신경 자극술을 위한 배뇨장애 치료기기
KR101911894B1 (ko) * 2017-03-20 2018-10-29 주식회사 비에스엘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CN111558139A (zh) * 2019-09-30 2020-08-21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颈部按摩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92B1 (ko) * 2010-06-14 2011-01-05 강성원 기능성 복대
KR20120036177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92B1 (ko) * 2010-06-14 2011-01-05 강성원 기능성 복대
KR20120036177A (ko) * 2010-10-07 2012-04-17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미세전류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21B1 (ko) 2016-05-31 2018-07-05 전자부품연구원 경골신경 자극술을 위한 배뇨장애 치료기기
KR101911894B1 (ko) * 2017-03-20 2018-10-29 주식회사 비에스엘 전기 자극 인가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CN111558139A (zh) * 2019-09-30 2020-08-21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颈部按摩器
CN111558139B (zh) * 2019-09-30 2021-09-24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颈部按摩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461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11135436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timulation waveform having a paresthesia-inducing low-frequency component and a spread-spectrum high-frequency component
CN102805898A (zh) 一种无线经络治疗仪
KR101277465B1 (ko)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CN108309285A (zh) 生理共振刺激方法与系统以及电刺激方法与装置
KR101318989B1 (ko)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2015006923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파수 물리 치료기 및 그 운용방법
JP2019083995A (ja) 電気治療器、制御方法、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WO2017125081A1 (zh) 眼镜式生理感测装置及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与眼镜组合
CN111182831B (zh) 用于冥想增强的系统和方法
KR101507446B1 (ko) 뇌파 조절 장치
US20230034934A1 (en) Two-way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KR101318987B1 (ko) 고글형 미세 전류 치료 장치
TWI631933B (zh) Physiological resonance stimulation method and wearable system using the same
KR101289441B1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KR102512499B1 (ko) 미주신경자극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
US112136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ENS function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KR101659660B1 (ko)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WO2022138673A1 (ja) 美顔器具、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EP3498166B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tinnitus and a system for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ion of the ear
AU2016277603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RU102892U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бесконтактной терапии
KR20210138214A (ko) 빛과소리를 이용한 치매예방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