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660B1 -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660B1
KR101659660B1 KR1020140150595A KR20140150595A KR101659660B1 KR 101659660 B1 KR101659660 B1 KR 101659660B1 KR 1020140150595 A KR1020140150595 A KR 1020140150595A KR 20140150595 A KR20140150595 A KR 20140150595A KR 101659660 B1 KR101659660 B1 KR 10165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stimulus
patient
unit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137A (ko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riority to KR102014015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6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는, 환자에게 자극을 인가하는 환자 자극부, 상기 자극의 생성 및 전달을 제어하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 환자에게 인가하는 상기 자극의 시점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자극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Stimulator For Relieving Pain During Injection}
본 발명은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에게 주사를 삽입할 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주사 시점과 동시에 환자에게 다른 자극을 인가하는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주사기를 삽입하거나 피부에 점을 제거하는 시술을 수행하는 경우 환자는 피부로부터 큰 통증을 느끼게 된다. 피부를 통한 직접적인 통증도 있으나, 피부를 뚫고 이물질이 들어온다는 공포감 또한 환자를 괴롭힐 수 있다. 점을 제거하거나 침을 놓는 경우, 통증 주사, 치과 마취 등 특히 일회로 통증이 끝나지 않고 반복적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의료 행위의 경우 환자는 더욱 힘들 수 있다.
의료 현장에서 환자가 주사를 맞는 경우, 주사 바늘이 피부에 삽입될 때 환자는 가장 심한 통증을 느끼며,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통상 주사 바늘을 삽입할 때 다른 부위의 피부를 때려주는 행위를 하곤 한다. 그 외에도 주사를 맞을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바르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법의 경우 주사를 놓기 전에 일정 시간을 두고 미리 준비를 해야 하며, 주사를 놓을 부위/위치가 바뀌면 다시 처음부터 준비를 해야만 한다. 또한, 치과적인 치료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극 장치는, 환자에게 자극을 인가하는 환자 자극부, 상기 자극의 생성 및 전달을 제어하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 환자에게 인가하는 상기 자극의 시점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자극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극 표시부는,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자극부를 통해 자극이 인가되는 시점을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극 장치에서 상기 인가되는 자극은 복수의 하위 자극들의 조합 또는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자극들은 제 1 강도 및 제 1 지속시간의 제 1 자극, 제 2 강도 및 제 2 지속시간의 제 2 자극 및 제 3 강도 및 제 3 지속시간의 제 3 자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강도는 상기 제 1 강도보다 강하며 상기 제 3 강도는 상기 제 2 강도보다 강하고, 상기 제 3 지속시간은 상기 제 1 지속시간 및 상기 제 2 지속시간 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극 장치의 상기 자극 발생 및 조절부는, 상기 인가되는 자극의 횟수 또는 강도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자극 제어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 자극부는 헤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폰은 스피커 및 피부에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극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환자는 의료 행위에 수반되는 통증을 덜 느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극 장치는 자극 표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극 장치가 자극을 인가하는 시점을 인식하고, 해당 시점에 의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 적으로 의료 행위가 수반하는 통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극 장치는 다양한 강도, 지속 시간의 자극을 인가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하위 자극들의 조합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어, 1회성 의료 행위뿐 아니라 복수 회의 통증을 수반하는 의료 행위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를 한번만 놓는 경우에는 한 세트의 자극을, 복수 회에 걸쳐 주사를 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세트의 자극을 인가하여 지속적인 통증 분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극 장치는 자극 제어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 사용자가 자극의 강도, 시점, 지속시간, 패턴 등을 설정 및 조정할 수 있어 의료 행위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자극의 설정 및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불필요한 분산을 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참조 부호/번호는 도면들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매칭이 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이하에서, 환자는 본 발명의 자극 장치를 통해 자극을 인가받는 사람을 지칭하며,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자극을 인가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통증 지각은 신경 종말부(피부와 같은, 감각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곳)에서 일어나지만 통증을 느끼는 것은 그 신경 종말부 자체가 아니며, 통증은 척수를 통해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어 대뇌에 도달해서야 ‘아프다’라고 인지된다. 중추 신경계(관문)은 제한된 양의 정보만을 처리할 수 있어 한 자극이 동시에 통증과 같이 들어오면 상대적으로 통증을 덜 느끼거나 약하게 느낄 수 있으며, 이를 관문 통제 이론이라고 한다. 따라서 추가 자극을 사용하여 통증 지각을 제어하여 실제 환자가 특정 의료 행위로부터 느끼는 통증을 저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추가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의료 행위(주사 등)가 수반하는 통증을 저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의료 행위의 실시예로서 주사를 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의료 행위는 반드시 주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장치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 환자 자극부(120) 및 자극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는 자극 제어 수신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자극부(120)는 물리 자극 인가부(121),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도 있다. 자극 표시부(130)는 음성 출력부(131) 및 영상 출력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는 전기 자극이나 음성 자극, 물리적 자극 및 열 자극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자극을 생성하여 환자 자극부(120)를 통해 환자에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자극은 다양한 방식, 강도, 패턴으로 생성/인가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강도/지속 시간의 하위 자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극의 종류, 강도, 주기, 모드/패턴, 시점, 지속시간, 반복 등은 자극 제어 수신부(111)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는 자극 제어 수신부(111)를 통해 자극의 종류, 강도, 패턴/주기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자극의 강도는 자극을 인가받는 환자가 참을 수 있을 정도이면서 감각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의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자극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자극은 복수의 하위 자극들의 조합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자극은 약하고 짧은 예비 자극과 강하고 긴 본 자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약한 강도의 예비 자극을 인가하고, 중간 강도의 예비 자극을 약한 강도의 예비 자극과 같은 지속 시간 동안 인가하고, 강한 강도의 본 자극을 예비 자극들보다 긴 지속 시간으로 인가(예를 들면, ‘띠(약하게)-띠(중간)-띠(강하고 조금 길게)’)하며, 사용자는 본 자극 지속 시간 동안 주사 바늘을 피부에 삽입하여 환자의 통증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위 자극들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자극은, 설정에 따라 한 세트만 인가될 수도 있고 복수 회 반복하여 인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트의 반복이나 패턴은 자극 모드로 특정되어, 복수의 자극 모드가 설정/제공되며 이러한 자극 모드는 자극 제어 수신부(111)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환자 자극부(120)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에서 생성 및 제어하는 자극을 직접 환자에게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물리 자극 인가부(121),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물리 자극 인가부(121)는 탄성이 있는 소재(ex: 고무 밴드 등) 또는 동력 모터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때리거나 꼬집는 등의 물리적 자극을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물리 자극 인가부(121)는 간호사가 환자를 살짝 때리는 것과 같이, 환자의 신체 일부를 때리거나 꼬집는 방식으로 물리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음성 자극 인가부(122)는 헤드폰이 될 수 있으며, 음성 자극 인가부(122)를 통해 전기 자극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기 자극 인가부(123)가 음성 자극 인가부(122)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로서, 전기 자극 인가부(123)는 전기 접지 패드로서, 벨크로 밴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피부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자극과 전기 자극은 하나씩 별도로 또는 함께 인가될 수 있어, 감각의 분산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 외에 열 자극 인가부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자극 인가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자극 인가부들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복수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리 자극 인가부 및 열 자극 인가부가 결합된 자극 수단과 전기 자극 인가부 및 음성 자극 인가부가 결합된 자극 수단으로 2개의 자극 전달 수단, 또는 물리 자극 인가부 및 음성 자극 인가부와 전기 자극 인가부가 결합된 2개의 자극 전달 수단 등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자극 표시부(130)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에서 생성 및 제어하는 자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음성 출력부(131) 및 영상 출력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음성 출력부(131)는 스피커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로서, 영상 출력부(132)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될 수 있다. 자극 표시부(130)는 자극의 강도, 패턴, 주기, 시점, 지속 시간, 조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극 표시부(130)는 주 자극 또는 강한 자극이 인가되는 시점을 사용자에게 음성/영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 시점에 환자에게 주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환자에게 주사 등 통증을 주는 시점으로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자극을 주 자극 또는 본 자극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자극 장치는 헤드폰(221), 전기 접지 패드(222), 스피커(131), 디스플레이 유닛(132), 전기 자극 제어부(210), 음성 자극 제어부(211), 자극 모드 제어부(21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폰(221) 및 전기 접지 패드(222)는 각각 도 1의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에, 스피커(131) 및 디스플레이 유닛(132)은 음성 출력부(131) 및 영상 출력부(132)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헤드폰(221)은 스피커 및 전기 자극 패드를 모두 구비함으로써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의 조합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자극 인가부(122) 및 전기 자극 인가부(123)의 조합인 헤드폰(221) 및 추가의 전기 자극 인가부(123)인 전기 자극 패드(221)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체 부분은 도 1의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에 해당하며, 전기 자극 제어부(210), 음성 자극 제어부(211) 및 자극 모드 제어부(212)는 자극 제어 수신부(111)에 포함되거나, 함께 해당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접지 패드(123)는 전기 자극을, 헤드폰(122)은 음성 자극과 전기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환자에게 인가할 수 있다.
스피커(131) 및 디스플레이 유닛(132)은 음성 또는 시각적 이미지(밝기, 특정 이미지의 패턴, 모양 등)을 통해 환자에게 인가하는 자극의 강도, 패턴, 시간, 시점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주 자극/강한 자극의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정확한 시간에 주사를 삽입하는 등, 통증을 수반하는 의료 행위를 정확한 시점에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실시예로서, 주사를 한번만 놓는 경우에는 한 세트의 자극을, 복수 회에 걸쳐 주사를 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세트의 자극을 인가하여 지속적인 통증 분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기 자극 제어부(210)를 통해 전기 자극의 강도를, 음성 자극 제어부(211)를 통해 음성 자극의 강도를 제어하며, 자극 모드 제어부(212)를 통해 다양한 자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도 2는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전기 자극의 강도, 음성 자극의 강도 및 자극의 모드에 추가로, 자극의 종류, 지속 시간, 시점, 조합, 패턴, 강도, 반복여부, 반복 횟수 등 자극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는 자극 제어 수신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자극 발생 및 조절부(110)에서 선택/제어될 수 있다. 자극의 모드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합/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자극 발생 및 조절부
111: 자극 제어 수신부
120: 환자 자극부
121: 물리 자극 인가부
122: 음성 자극 인가부
123: 전기 자극 인가부
130: 자극 표시부
131: 음성 출력부
132: 영상 출력부
210: 전기 자극 제어부
211: 음성 자극 제어부
212: 자극 모드 제어부
221: 헤드폰
222: 전기 접지 패드

Claims (7)

  1. 의료 행위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로서,
    환자에게 자극을 인가하는 환자 자극부,
    상기 자극의 생성 및 전달을 제어하는 자극 발생 및 조절부,
    환자에게 인가하는 상기 자극의 횟수, 강도 및 시점을 나타내는 자극 표시부를 포함하는 자극 장치로서,
    상기 인가되는 자극은 복수의 하위 자극들의 조합 또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자극들은 예비 자극 및 통증을 수반하는 의료 행위와 동시에 인가되어 상기 의료 행위에 따른 통증을 저감하는 추가 자극을 포함하며,
    상기 자극 표시부는,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환자 자극부를 통해 상기 통증을 수반하는 의료 행위가 수행되어야 하는 상기 추가 자극의 인가 시점을 제공하며,
    상기 인가되는 자극은 제 1 강도 및 제 1 지속시간의 제 1 예비 자극, 제 2 강도 및 제 2 지속시간의 제 2 예비 자극 및 제 3 강도 및 제 3 지속시간의 추가 자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강도는 상기 제 1 강도 및 상기 제 2 강도보다 강하고, 상기 제 3 지속시간은 상기 제 1 지속시간 및 상기 제 2 지속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발생 및 조절부는, 상기 인가되는 자극의 횟수, 강도 및 시점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자극 제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자극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자극부는, 물리적 자극, 전기적 자극, 청각적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자극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자극부는 헤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폰은 스피커 및 피부에 자극을 전달하는 자극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극 장치.
KR1020140150595A 2014-10-31 2014-10-31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KR10165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95A KR101659660B1 (ko) 2014-10-31 2014-10-31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95A KR101659660B1 (ko) 2014-10-31 2014-10-31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37A KR20160051137A (ko) 2016-05-11
KR101659660B1 true KR101659660B1 (ko) 2016-09-23

Family

ID=5602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95A KR101659660B1 (ko) 2014-10-31 2014-10-31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940B1 (ko) 2023-04-07 2024-05-29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스태킹 모드가 장착된 마이크로니들 피부 침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963B1 (ko) * 2019-06-03 2022-03-04 이창수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126A (ja) * 2008-07-15 2011-11-10 ディバージョナリー・セラピー・テクノロジー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治療のために患者を準備させる方法
KR101299231B1 (ko) * 2012-02-16 2013-08-22 (주)메가메디칼 체형관리 및 비만치료 위한 복합기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4-02-20 (주)인성정보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210A (ko) * 2009-07-01 2011-01-07 양원동 기능성 침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126A (ja) * 2008-07-15 2011-11-10 ディバージョナリー・セラピー・テクノロジー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治療のために患者を準備させる方法
KR101299231B1 (ko) * 2012-02-16 2013-08-22 (주)메가메디칼 체형관리 및 비만치료 위한 복합기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4-02-20 (주)인성정보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940B1 (ko) 2023-04-07 2024-05-29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스태킹 모드가 장착된 마이크로니들 피부 침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37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814B1 (de) Vorrichtung zur transkutanen stimulation eines nervs des menschlichen körpers
US20170165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treatment of head pain
US2008021511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al stimulation
US8818515B2 (en) Voltage limited neurostimulation
US20200345970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US10279164B2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US20160136424A1 (en) Transcranial pulsed current stimulation
CN103961794B (zh) 一种耳迷走神经刺激仪耳部电极
JP2016512985A (ja) 使い捨て部品及び充電式部品を用いた皮膚フィールド刺激
WO2012156052A2 (de) Stimulationsvorrichtung
US10874846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electrode needle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vice
KR20100056849A (ko)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US867083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electrical impulses
EP3524318A1 (en) Electrotherapy device capable of gradually increasing stimulation intensity
KR101659660B1 (ko)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JP6600481B2 (ja) 身体の運動機能障害を回復させる電流刺激装置及び電流刺激方法
US8160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KR102187779B1 (ko) 인공 무통증 감각정보를 충격파와 함께 통각신경경로로 뇌에 전달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신경조절장치
CN203842177U (zh) 一种耳迷走神经刺激仪耳部电极
DE102011009528B4 (de) Vorrichtung zur transkutanen Stimulation eines Nervs des menschlichen Körpers
US9616217B1 (en) Method of applying electrotherapy to facial muscles
US99687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habilitation of scar tissue
US20240131334A1 (en) Ocular devices and controller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EP3498166B1 (en) Device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tinnitus and a system for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ion of the ear
WO2023134322A1 (zh) 用于传递可变脉冲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