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598B1 -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598B1
KR101364598B1 KR1020130068425A KR20130068425A KR101364598B1 KR 101364598 B1 KR101364598 B1 KR 101364598B1 KR 1020130068425 A KR1020130068425 A KR 1020130068425A KR 20130068425 A KR20130068425 A KR 20130068425A KR 101364598 B1 KR101364598 B1 KR 101364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mode
intensity
frequency generation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진
서보균
Original Assignee
(주)인성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정보 filed Critical (주)인성정보
Priority to KR102013006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598B1/ko
Priority to PCT/KR2013/006496 priority patent/WO2014200142A1/ko
Priority to CN201310496460.3A priority patent/CN10422578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 신경 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을 이용한 생리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경피신경전기자극(TENS)을 위한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를 적용부의 인접위치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연결되는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0);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발생시키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를 이용한 생리통 완화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Potab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reducing dysmenorrhea 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생리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피 신경 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을 이용한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리통(월경통 : dysmenorrhea)은 가임기 여성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발생빈도가 높은 부인과적 증상이다. 생리통은 골반 내 특별한 이상 징후 없이 월경 시에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일차성 생리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이차성 생리통으로 나누어진다.
일차성 생리통은 대개 배란이 규칙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는 초경 후 1~2년 이내에 처음 발생하고, 대부분 10~20대의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40대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 이차성 생리통은 대개 초경 후 수년 이내에 발생하기 시작하고, 배란과 무관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일차성 생리통은 자궁내막 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생성 증가로 인한 증상이다.
프로스타글란딘은 배란 전 자궁내막(proliferative endometruim)보다 배란 후 자궁내막(secretary endometrium)에서 더 높은 농도로 발견되는 물질이다. 배란 직전 황체호르몬(progesterone)의 농도가 감소하면 사이클로옥시지네이즈(cyclooxygenase, COX)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면서 자궁 세포 내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되어 세포 밖으로 유리된다. 이 물질은 월경 시 자궁근육의 강한 수축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며, 이는 출산 시 발생하는 산통과 유사하다. 따라서 일차성 생리통은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효소인 COX를 억제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하며, 이것이 바로 생리통에 사용하는 진통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 원리이다.
이차성 생리통은 골반강 내 이상 징후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주기적인 생리통이다. 대개 초경 후 수년 이내에 생기지만, 발생 연령은 진단과는 무관하다. 이차성 생리통을 일으킬 수 있는 골반강 내 이상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내막증(endometriosis)이고, 다음으로는 자궁선근증(adenomyosis), 자궁 내 장치 등의 순이다.
일차성 생리통은 치골 부위 위쪽에서 월경이 나타나기 수시간 전 혹은 직전에 시작되어 2~3일간 지속될 수 있다. 일차성 생리통의 원인은 자궁 근육의 과도한 수축이므로 출산 시 산통과 유사하다. 꼬리뼈(요추천추) 부위의 통증이 동반되거나 앞쪽 허벅지까지 통증이 뻗어갈 수 있으며, 동시에 구토, 메스꺼움,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실신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일차성 생리통에서 나타나는 통증은 복강 내 염증 등에 의한 통증과는 달리 쥐어짜는 것 같은(colicky) 양상이며, 흔히 골반부위의 마사지, 신체 활동 등에 의해 호전될 수 있다. 월경 수시간 전 혹은 직전에 통증이 시작되어 2~3일간 지속되는 일차성 생리통과 달리, 이차성 생리통은 월경 시작 1~2주 전부터 시작되어 월경 출혈이 끝난 후에도 수일간 지속될 수 있다.
이차성 무월경의 원인이 다양한 만큼 통증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역시 다양하지만, 대개는 골반강 내의 이상 징후에 의해 자궁경부가 막히거나, 자궁 내에 혹이 생기거나, 이물질로 인한 반응으로 자궁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이 증가한 것이 원인이 된다.
이차성 생리통을 가진 여성은 골반강 내 이상이 있으므로 일차성 생리통과 달리 일반적인 진통제(NSAIDs)나 먹는 복합 피임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일차성 생리통은 진통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 진통제로는 자궁수축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를 사용한다. 진통제는 생리통 시작 직전 혹은 시작된 후 복용하기 시작하여 6~8시간마다 규칙적으로 복용하여 지속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차단한다.
그러나, 진통제는 월경 기간의 초기 며칠간의 지속적인 복용이 필요하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4~6번의 월경 주기 동안의 복용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초기 표준 용량 투여 시 진통에 효과가 없다면 용량을 늘리거나 제제를 변경하게 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위장관 내에 궤양이 있거나 아스피린에 의한 기관지 과민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투여를 금하며, 흔히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소화불량, 설사, 피로감 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일차성 생리통은 호르몬 치료가 가능하며, 피임 효과까지 원하는 환자에게는 먹는 복합 피임약도 일차성 생리통의 치료제가 될 수 있다. 복합 피임제는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내막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자궁내막을 프로스타글란딘 농도가 가장 낮은 초기 증식기 내막(배란 전 자궁내막)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차성 생리통은 근본적으로 골반강 내의 병적인 변화와 연관된 통증이므로 진통제가 주가 되는 일차성 생리통과는 달리 문제가 되는 골반강 내의 병리적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치료법이 되나, 상기의 일차성 생리통의 비약물성 치료에는 침이나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술(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침은 세로토닌(serotonin)이나 엔도르핀(endorphins)과 같은 매개물질을 유도하여 통증 신호를 차단시킬 수 있다.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술은 자궁수축 자체를 줄일 수는 없지만 통증에 대한 체내의 인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연구에서는 30%의 여성에서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술 후 통증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느꼈고, 60%에서는 중간수준의 감소, 10%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등록번호 10-0915320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는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및 온열자극에 의한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자극전극 패드에 의해 복부 및 배부(背部)에 경피신경전기자극을 주고, 상기 자극 전극 패드에 내장된 면상발열체에 의해 복부에 온열자극을 주어 생리통을 완화하는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극전극패드는 패치타입으로 생리통 통증부위 어디든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치골부위의 통증을 가지는 생리통을 완화시키는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에 있어서, 경피자극전극을 구비하여 복부 또는 배부(背部)에 경피자극을 주는 경피자극전극패드부,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복부에 온열자극을 주는 면상발열체부를 구비하는 생리통 완화부; 전원부를 구비하여 상기 생리통 완화부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경피자극전극패드부를 제어하는 경피자극전극 제어신호 및 상기 면상발열체부를 제어하는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생성하는 연산처리부를 구비하는 생리통 완화기 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리통 완화부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면상발열체부에 상기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싱부; 상기 온도센싱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디스플레이부의 부재로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통증시 조작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부재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맞춤형 모드를 제공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차성 생리통은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진통제로는 자궁수축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진통제는 월경 기간의 초기 며칠간의 지속적인 복용이 필요하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효과가 없다고 결론 내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4~6번의 월경 주기 동안 복용기간이 필요하다. 초기 표준 용량 투여 시 진통에 효과가 없다면 용량을 늘리거나 제제를 변경하게 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위장관 내에 궤양이 있거나 아스피린에 의한 기관지 과민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투여를 금하며, 흔히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소화불량, 설사, 피로감 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호르몬제 역시 유방암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1.14배로 증가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 등이 발표된 바 있어 부작용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내성이 적고 중독성 및 부작용이 적은 생리통 완화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를 적용부의 인접위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적용부에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연결되는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0);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발생시키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진통제와 피임약 등의 호르몬 조절제와 같은 부작용의 우려 없이 경피 신경 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법에 의해 생리통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키면서도 내성이 적고, 중독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통제와 병행사용이 가능안 저주파 발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리통 완화 장치는 기 프로그램된 다양한 생리통 완화 모드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통증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다수의 모드 및 생리통 완화장치의 상태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고 신뢰도 높은 저주파 발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통 완화장치 본체(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극용 패드(200)의 부착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극용 패드(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생리통 완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생리통 완화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저주파 발생모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저주파 발생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의 구성도.
본 발명은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피 신경 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 방법에 따른 전극을 통하여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생리통 완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를 이용한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를 이용한 생리통 완화장치 작동방법에 있어서,
경피신경전기자극(TENS)을 위한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를 적용부의 인접위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사용자의 신체에 상기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와 연결되는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0);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상기 발생모듈(110)에서 발생시키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를 이용한 생리통 완화방법을 제공한다.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를 적용부의 인접위치에 설치하는 단계(s100)는 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된 클립(170)을 이용하여 허리띠 또는 속옷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는 도 3의 (a)(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복부의 자궁 좌우측 부분에 전극용 패드(200)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도 3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엉덩이 부위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전극용 패드(20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정사각형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위치는 생리통의 신경전달신호가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경로이며, 상기의 위치에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함으로써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되는 저주파를 상기 경로에 적용하여 생리통의 신경전달신호를 간섭하게 된다.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와 전극용 패드(200)는 연결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어 저주파 생리통 완화 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의 저주파 생리통 완화 장치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 상기 저주파 생리통 완화 장치으로서 상기의 구성에 부가적으로 충전용 아답터 등의 충전장치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생리통에 대한 통계적, 임상적 관리를 위하여 생리통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PC 등과 연동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스마트폰 또는 PC 등과의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연결 및 유선연결이 가능하나 본 출원에선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상기 생리통 완화 장치가 사용자에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다양한 모드(mode) 들을 제공한다.
즉,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에서,
상기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는 다음과 같은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i)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ii)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주파를 출력하며,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a)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b)을 갖는 모드.
iii)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균일출력구간과, 2-10초간의 휴식구간을 갖는 모드.
iv)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저주파를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증강시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c)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감소시켜 저주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d)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i)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e)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f) 출력구간을 갖는 모드.
vii)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 출력구간을 갖는 모드에서,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g)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을 포함하는 모드.
viii)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불규칙(random)한 시간간격으로 불규칙(random)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상기와 같은 모드들은 입력부(120)의 모드선택버튼(121)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의 모드들 외에 다른 모드들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에서, 상기 저주파는 통증신호의 효과적인 간섭을 위하여 5-120 kHz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된 모드에 따른 저주파 발생에 의한 통증경감 저주파 신호 외에, 사용자가 갑작스러운 큰 통증을 느낄 때 임의로 강도가 센 저주파를 초과발생시킬 수 있는 긴급 저주파 발생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프로그래밍된 상기 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는, 프로그래밍된 모드에 별개로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신호에 따른 긴급 저주파 발생단계(s5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저주파발생 모듈(110)은 긴급 저주파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피신경전기자극(TENS)를 위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모듈(110)과, 기 프로그래밍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출력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120)와, 상기 선택된 모드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구성요소들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0)와,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5-120 kHz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기 입력부(120)는 모드선택버튼(121)과 출력강도조절버튼(122, 123) 및 입력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버튼(1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신호에 따른 긴급 저주파 발생단계(s510)는 모드선택버튼(121) 또는 출력을 증가시키는 출력강도조절버튼(122)에 의해 수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입력 버튼을 적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전원상태와, 선택된 모드와, 외부연결상태와, 잠금상태와 작동시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줌에 따라 선택된 모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한 통증경감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0)는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2차전지인 리튬(Li)이온전지를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160)는 전원부(150)와 연결되어 충전시 충전단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USB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본체
110. 저주파 발생모듈
120. 입력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41. 메모리
150. 전원부
160. 외부연결단자
170. 클립
200. 전극용 패드
300. 연결케이블

Claims (18)

  1.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와,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생리통 완화장치의 본체(100)를 적용부의 인접위치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적용부에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과 연결되는 전극용 패드(2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0);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발생시키는 단계(S50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프로그래밍되어 기저장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입력부(120)를 통해 선택하는 단계(s300)의 저주파 발생모드는

    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i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주파를 출력하며,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을 갖는 모드;
    ii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균일출력구간과, 2-10초간의 휴식구간을 갖는 모드;
    iv)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저주파를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증강시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감소시켜 저주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 출력구간을 갖는 모드;
    vi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 출력구간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을 가지는 모드;
    vii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불규칙(random)한 시간간격으로 불규칙(random)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제어부(140) 프로그래밍된 상기 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는, 프로그래밍된 모드에 별개로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신호에 따른 긴급 저주파 발생단계(s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제어부(140)의 메모리(141)에 기 프로그래밍된 상기 모드 중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에 상응하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500)에서, 상기 저주파는 5-120 kHz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의 작동방법.
  11. 삭제
  12.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에 있어서,
    경피신경전기자극(TENS)을 위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모듈(110);
    기 프로그래밍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출력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120);
    상기 선택된 저주파 발생모드(mode)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과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과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0);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160)를 포함하며,
    상기 기 프로그래밍된 다수의 저주파 발생모드는

    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i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저주파를 출력하며,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을 갖는 모드;
    ii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동일한 강도의 저주파를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균일출력구간과, 2-10초간의 휴식구간을 갖는 모드;
    iv)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저주파를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증강시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진행시간에 비례하여 강도를 감소시켜 저주파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10초간 출력하는 저주파 비례출력구간이 단속적으로 이어지며, 각 비례출력구간이 종료되면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최대값으로 초기화되는 모드;
    v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 출력구간을 갖는 모드;
    vii) 저주파 발생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시간간격 점감(漸減) 출력구간과, 출력되는 저주파간의 시간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간간격 점증(漸增) 출력구간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출력되는 저주파의 강도가 증가하는 증강구간과, 강도가 감소하는 감쇄구간을 가지는 모드;
    viii) 저주파 발생모듈(110)이 불규칙(random)한 시간간격으로 불규칙(random)한 강도의 저주파를 출력하는 모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은 프로그래밍된 상기 모드에 별개로 사용자의 임의의 입력신호에 따른 긴급 저주파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모듈(110)은 5-120 kHz의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싱기 입력부(120)는 모드선택버튼(121)과 출력강도조절버튼(122, 123) 및 잠금버튼(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전원상태와, 선택된 모드와, 외부연결상태와, 잠금상태와 작동시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50)는 2차전지인 리튬(Li)이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된 저주파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외부연결단자(160)는 전원부(150)와 연결되어 충전시 충전단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USB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18.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와, 상기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로부터의 저주파를 사용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전극용 패드(200)와, 상기 전극용 패드(200)와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케이블(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생리통 완화 시스템.













KR1020130068425A 2013-06-14 2013-06-14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36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5A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CT/KR2013/006496 WO2014200142A1 (ko) 2013-06-14 2013-07-19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리통 완화방법
CN201310496460.3A CN104225786A (zh) 2013-06-14 2013-10-22 便携用低频痛经缓解系统及利用其的痛经缓解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425A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598B1 true KR101364598B1 (ko) 2014-02-20

Family

ID=5027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425A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3-06-14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64598B1 (ko)
CN (1) CN104225786A (ko)
WO (1) WO20142001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27A1 (en) * 2014-06-25 2015-12-30 M.I.Tech Co., Lt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KR20160026127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자극기, 자극기의 제어 방법, 및 전기자극 장치
KR20160051137A (ko) * 2014-10-31 2016-05-11 오세호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3295A1 (en) * 2017-08-18 2019-02-21 Innocon Medical Aps System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WO2021028459A1 (en) * 2019-08-13 2021-02-18 Diavei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nstrual pain in women suffering from dysmenorrhea using electric stimulation
FR3133993A1 (fr) 2022-04-05 2023-10-06 Marion BLIN Ceinture chauffante pour l’apaisement des douleurs menstruelles
WO2023053148A1 (en) * 2022-07-26 2023-04-06 Camex Wellness Limited Wearable device to provide simultaneous relief from menstrual pain and cramp discomfort using dual frequenc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7A (ko) * 2000-06-16 2001-12-28 현재호 생리통 완화기
KR20100009567U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엘바이오 휴대용 저주파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10C (zh) * 1998-11-07 2004-05-12 广东威尔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痛经治疗仪
KR20040085440A (ko) * 2003-03-31 2004-10-08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경피 신경 자극 치료 장치
KR200346735Y1 (ko) * 2003-12-31 2004-04-01 박상은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저주파 자극기
WO2006107951A2 (en) * 2005-04-04 2006-10-12 Ernest Paul Patter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KR20080090182A (ko) * 2007-04-04 2008-10-08 황선창 저주파 온열 치료기기
KR100915320B1 (ko) * 2008-09-29 2009-09-03 (주)메디룬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7A (ko) * 2000-06-16 2001-12-28 현재호 생리통 완화기
KR20100009567U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엘바이오 휴대용 저주파 치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27A1 (en) * 2014-06-25 2015-12-30 M.I.Tech Co., Lt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KR20160000726A (ko)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엠아이텍 Tens 장치
KR20160026127A (ko)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엠아이텍 자극기, 자극기의 제어 방법, 및 전기자극 장치
KR20160051137A (ko) * 2014-10-31 2016-05-11 오세호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KR101659660B1 (ko) 2014-10-31 2016-09-23 오세호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5786A (zh) 2014-12-24
WO2014200142A1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598B1 (ko)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0915320B1 (ko)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US20190255326A1 (en) External stimulation therapy for dorsal genital nerve stimulation
CN102481450B (zh) 子宫电刺激系统及方法
US10016599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obstetric and gynecological disorders
US11819684B2 (en) Electrical inhibition (EI) uterine pacemaker for controlling uterine contractions
KR20090069220A (ko) 휴대가 편리한 온파 뜸 효능 발생기 및 발생 방법
KR101394174B1 (ko) 바이오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셀프 케어 전기자극장치
KR200466616Y1 (ko)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 및 구토 제어장치
KR100899818B1 (ko) 혈자리 자극에 의한 생리통 완화기
KR101551550B1 (ko) 스마트 전열식 뜸 시술 장치
RU1555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ми колебаниями оптического диапазона
US11752340B2 (en) Intravagi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reating female pelvic pain
RU2745537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для термоодонтометрии с жидкост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US20210121682A1 (en) Sock that wirelessly delivers electrical signals directly to the foot and ankle muscles for the treatment of pain
US20240050748A1 (en) Intravagi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reating Female Pelvic Pain
CN215900732U (zh) 一种基于低频电波的穴位刺激治疗服
CN217567158U (zh) 一种可自定义发光面积的双波长led骨质疏松治疗仪
CN211244568U (zh) 腹部任脉灸装置
KR101174316B1 (ko)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CN107213549A (zh) 一种可以监测心跳的电位治疗仪
CN101947354A (zh) 一种人体充电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