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16B1 -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16B1
KR101174316B1 KR1020120030679A KR20120030679A KR101174316B1 KR 101174316 B1 KR101174316 B1 KR 101174316B1 KR 1020120030679 A KR1020120030679 A KR 1020120030679A KR 20120030679 A KR20120030679 A KR 20120030679A KR 101174316 B1 KR101174316 B1 KR 10117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abdominal
stimulation
abdomen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원
심상국
Original Assignee
(주)에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드엠 filed Critical (주)에드엠
Priority to KR102012003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2Electromedical belts, e.g. neck chains, arm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2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스페로이드 타입의 출력모드를 적용함으로써, 피부조직의 표면뿐만 아니라 심부까지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다기능 및 다채널 방식의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인체의 복부에 착용되며, 상기 인체의 복부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삽입된 발열체를 구비하는 복부 착용벨트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에 스페로이드(spheroid) 배열 형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도자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도자로 전류신호를 전달하는 도자 단자를 구비하는 복부 패드; 및 상기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열 제어부와, 상기 도자 단자에 전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도자에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도자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BELT TYPE ABDOMINAL MERIDIAN STIMULUS APPARATUS WITH NON-LINEAR STIMULUS}
본 발명은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로이드 타입의 출력을 적용함으로써, 피부조직의 표면뿐만 아니라 심부까지 전기자극을 줄 수 있는 다기능 및 다채널 방식의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문화의 변화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미용 관련 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복부 경락 자극 장치도 그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2 채널 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간혹 3 채널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 이러한 2 채널 및 3 채널 구조의 경우, 채널 수가 적어 사용자가 복부 도자를 경혈 부위에 정확하게 맞추어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복부 도자가 종(세로) 방향 또는 횡(가로)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는 관계로 단순한 수평 또는 수직으로만 전기자극이 이루어져 경락자극 효과가 경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깊숙이 전달되지 못하고 피부에 대해서만 자극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실리콘 열선이 사용되는 데 기인하여, 열 분포가 불안정하며, 국부적인 온도 제어가 어려워 사용상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2581호(2011.09.19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복부강화벨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을 뿐, 스페로이드 타입의 출력을 적용함과 더불어 채널의 다극화를 도모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로이드 타입의 출력을 적용함과 더불어 채널을 다극화하는 것을 통해, 피부조직의 표면뿐만 아니라 심부까지 전기자극을 줄 수 있는 다기능 및 다채널 방식의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인체의 복부에 착용되며, 상기 인체의 복부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삽입된 발열체를 구비하는 복부 착용벨트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에 스페로이드(spheroid) 배열 형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도자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도자로 전류신호를 전달하는 도자 단자를 구비하는 복부 패드; 및 상기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열 제어부와, 상기 도자 단자에 전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도자에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도자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전도성 도자의 설계 위치를 인지공학적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4 ~ 6 채널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 구조와 무관하게 경혈 부위에 정확하게 전도성 도자를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스페로이드 배열 형태로 장착된 복수의 전도성 도자에 회전식 전기자극을 흐르게 하여 몸의 심부까지 전류를 흘려 내부 근육(inner muscle)의 하나인 장요근을 단련함으로써, 기초 대사를 효율적으로 높여 지방의 연소 효과를 상승시키고 피하지방만이 아니라 분해되기 어려운 내장 지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섬유사와 금속사인 발열체가 면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계적 유연성 및 피부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열 분포를 국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온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부 패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부 패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100)는 복부 패드(120), 본체(140) 및 연결부재(16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복부 패드(120)는 복부 착용벨트(122), 전도성 도자(124) 및 도자 단자(126)를 포함한다.
복부 착용벨트(122)는 인체의 복부에 착용된다. 복부 착용벨트(122)는 인체의 복부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부 착용벨트(122)는 인체의 복부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발열체(미도시)를 구비한다.
전도성 도자(124)는 복부 착용벨트(122)에 스페로이드(spheroid) 배열 형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전도성 도자(124)는 본체(140)로부터의 전류신호를 인가받아 인체의 복부 근육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1에서는 전도성 도자(124)가 4 채널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5 채널 구조 및 6 채널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4 채널 이상의 구조로 설계할 경우, 전도성 도자(124)의 설계 위치를 인지공학적으로 다변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인체 구조와 무관하게 경혈 부위에 정확하게 전도성 도자(124)를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전도성 도자(124)는 후술할 도자 단자(126)와 각각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1 전도성 도자(124a)와, 상기 제1 전도성 도자(124a)에 나선형 배열을 이루도록 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전도성 도자(12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자 단자(126)는 복부 착용벨트(12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도자(124)로 전류신호를 공급한다. 도자 단자(126)는 복부 착용벨트(122)의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채널 수에 따라 그 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자 단자(126)는 제1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1 단자(미도시)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2 단자(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의 본체(140)는 조작부(142), 메인 제어부(144), 도자 제어부(146) 및 온열 제어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42)는 키 패드(142a)와 모니터(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키 패드(142a)는 사용자가 복부 패드(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과 더불어, 치료모드를 선택시 그 선택에 따른 신호 및 치료모드에 따른 출력강도의 선택신호를 메인 제어부(144)로 출력한다. 모니터(142b)는 치료모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제어부(144)는 조작부(142)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도자 제어부(146) 및 온열 제어부(148)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144)는 제어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는 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자 제어부(146)는 도자 단자(126)에 전류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도자(124)에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양측의 도자 단자(126)에 정 극성(+) 또는 양 극성(-)의 전류를 인가할 경우, 도자 단자(126)에 인접한 제1 전도성 도자(124a)에 1차적으로 전류가 전달되어 1차 전기자극이 이루어진 후, 제2 전도성 도자(124b)에 2차적으로 전류가 전달되어 2차 전기자극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페로이드 형태로 배열되는 전도성 도자를 구비하는 복부 패드(120)는 전류 극성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식 전기자극을 시계열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온열 제어부(148)는 조작부(142)에 의한 치료모드 선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여 설정온도의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신호를 복부 착용벨트(122)의 발열체에 인가한다. 이러한 온열 제어부(148)는 온열 구동회로 및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온열 구동회로는 발열체를 발열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온도 센서는 발열체의 설정온도의 차를 최소화시켜 일정한 열을 공급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이때, 온도 센서는 정특성 서미스터와 바이메탈을 이용한 전류 차단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배선(160)은 복부 패드(120)와 본체(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배선(160)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복재(미도시)의 내부에 도자 단자(126)와 도자 제어부(14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배선(미도시)과, 발열체와 온열 제어부(14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배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맥의 순행에 따라 자극하는 것을 보법이라 하고, 경맥의 역행으로 자극하는 것을 사법이라 한다. 상기 보법은 교감 신경을 자극하는 것을 말하고, 사법은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법은 부분적으로 살이 비대하거나 단단하여 비만을 해소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100)를 이용하여 경락자극 시술을 수행할 경우, 열과 전기자극이 피부 깊숙이 교감 신경을 자극하여 음증(빈혈, 저혈압증 등)의 치료에 유효하게 쓰일 수 있다. 이때, 전기자극은 침투하는 피부 깊이에 따라서 보사가 다르다.
특히, 전기자극을 경맥이나 혈액순환에 순행하도록 하여, 인체에 전기자극을 가하게 되면 인체의 철을 함유한 적혈구에 영향을 주어 이온화 경향이 작아서 체액은 산성화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교감 신경을 자극하면서 전기자극을 경맥이나 혈액순환에 역행하여 인체에 전기자극을 가하게 되면, 이온화 경향이 커져서 주변 생체 조직을 상대적으로 환원시켜 전자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자가 공급되면 혈액은 알칼리화되고,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게 된다. 이 결과, 고혈압이나 급성 염증성 질환에 유효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표면에서 4mm까지는 부교감 신경이, 그 이상의 깊이에선 교감 신경이 우세하다. 따라서, 4mm 이하를 찌르는 전기자극법은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고, 그 이상의 깊이로 자극하면 교감 신경을 자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페로이드 배열 형태로 장착된 복수의 전도성 도자(124)를 구비하는 복부 패드(120)를 인체의 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인체의 등 부분을 그라운드로 이용하고, 상기 인체의 복부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하여 피부조직의 표면과 인체의 심부에 전기자극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100)는 스페로이드 배열 형태로 장착된 복수의 전도성 도자(124)에 회전식 전기자극을 흐르게 하여 몸의 심부까지 전류를 흘려 내부 근육(inner muscle)의 하나인 장요근을 단련함으로써, 기초 대사를 효율적으로 높여 지방의 연소 효과를 상승시키고 피하지방만이 아니라 분해되기 어려운 내장 지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100)는 복부 착용벨트(122)를 섬유사와 금속사인 발열체가 면사로 형성되므로, 기계적 유연성 및 피부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복부 착용벨트(122)는 일반 섬유 및 유리 섬유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사로 직조된 벨트 몸체(122a)와, 상기 벨트 몸체(122a)의 내부에 삽입된 금속사인 발열체(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섬유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스티렌 섬유, 아크릴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글래스 울, 세라믹 파이버, 글래스 파이버 및 알루미나 섬유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유리 섬유는 5 ~ 2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섬유의 평균 직경이 5㎛ 미만일 경우에는 인체 유해성으로 인해 사용상에 규제가 따르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유리 섬유의 평균 직경이 2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크기로 인해 제조 공정 상의 비용 상승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금속사인 발열체(122b)는 발열 면적의 확장을 위해 와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크롬(Cr), 니켈(Ni)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사인 발열체(122b)는 벨트 몸체(122a)의 내부에 삽입되며, 온열 제어부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설정온도로 발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복부 착용벨트는 섬유사와 금속사인 발열체가 면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계적 유연성 및 피부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부 착용벨트의 열 분포를 국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온열 제어부의 온도 센서에 의하여 발열체의 발열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복부 경락 자극 장치 120 : 복부 패드
122 : 복부 착용벨트 124 : 전도성 도자
126 : 도자 단자 140 : 본체
142 : 조작부 144 : 메인 제어부
146 : 도자 제어부 148 : 온열 제어부

Claims (10)

  1. 인체의 복부에 착용되며, 상기 인체의 복부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내부에 삽입된 발열체를 구비하는 복부 착용벨트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에 스페로이드(spheroid) 배열 형태로 장착되는 복수의 전도성 도자와, 상기 복부 착용벨트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도성 도자로 전류신호를 전달하는 도자 단자를 구비하는 복부 패드; 및
    상기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열 제어부와, 상기 도자 단자에 전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도자에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도자 제어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온열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도자는
    상기 도자 단자와 각각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1 전도성 도자와,
    상기 제1 전도성 도자에 나선형 배열을 이루도록 대칭 구조로 배열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전도성 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도자는
    4 ~ 6 채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 단자는
    제1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1 단자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의 전압을 인가받는 제2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착용벨트는
    일반 섬유 및 유리 섬유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사로 직조된 벨트 몸체와,
    상기 벨트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사인 상기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사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크롬(Cr) 및 니켈(Ni)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정특성 서미스터와 바이메탈을 이용한 전류 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상기 복부 패드를 인체의 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인체의 등 부분을 그라운드로 이용하고, 상기 인체의 복부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식 전기자극이 인가되도록 하여 피부조직의 표면과 인체의 심부에 전기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 경락 자극 장치는
    상기 복부 패드와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KR1020120030679A 2012-03-26 2012-03-26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KR10117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79A KR101174316B1 (ko) 2012-03-26 2012-03-26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79A KR101174316B1 (ko) 2012-03-26 2012-03-26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316B1 true KR101174316B1 (ko) 2012-08-16

Family

ID=4688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679A KR101174316B1 (ko) 2012-03-26 2012-03-26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659A (ko) * 2018-11-22 2020-06-01 에인에이 (주) 탈부착 용이성을 갖는 복부패드 및 mtl 기술을 적용한 케이블 내장형 개인용 조합 자극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659A (ko) * 2018-11-22 2020-06-01 에인에이 (주) 탈부착 용이성을 갖는 복부패드 및 mtl 기술을 적용한 케이블 내장형 개인용 조합 자극기
KR102133033B1 (ko) 2018-11-22 2020-07-13 에인에이(주) 탈부착 용이성을 갖는 복부패드 및 mtl 기술을 적용한 케이블 내장형 개인용 조합 자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763B2 (en) Synergistic muscle activation device
CN106029164B (zh) 经脊髓直流电调节系统
JP2017517292A (ja) 失禁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
US20080195176A1 (en) Raynaud's Conditions
WO2016010257A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KR102472838B1 (ko) 골반저근 자극장치
KR20160073105A (ko)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KR101872819B1 (ko) 생체전극발열체를 이용한 직접 발열 방식의 온열 저주파치료기
WO2017195938A1 (ko) 휴대형 중,저주파 근육 운동기기
KR101174316B1 (ko) 비선형 자극이 가능한 벨트형 복부 경락 자극 장치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KR100764759B1 (ko) 고주파치료장치
KR20100086240A (ko) 고주파 심부 온열치료기
KR101865829B1 (ko)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전도성 착용물
CN106964066A (zh) 穿戴式电子骨盆带
KR100962611B1 (ko) 열공급을 통해 시술효과를 극대화한 온열침 장치
KR20160073101A (ko)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
Balogun et al. Effects of high-voltage galvanic stimulation of ST36 and ST37 acupuncture points on peripheral blood flow and skin temperature
KR200419090Y1 (ko) 고주파치료장치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101995524B1 (ko) 외부 전극체에 따라 최적 치료 모드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치료기
TWM517619U (zh) 可刺激穴位之穿戴裝置
CN210750898U (zh) 穿戴式腹部肠胃辅助电疗康复器
KR102134157B1 (ko)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1356235B1 (ko)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