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90Y1 - 고주파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90Y1
KR200419090Y1 KR2020060008651U KR20060008651U KR200419090Y1 KR 200419090 Y1 KR200419090 Y1 KR 200419090Y1 KR 2020060008651 U KR2020060008651 U KR 2020060008651U KR 20060008651 U KR20060008651 U KR 20060008651U KR 200419090 Y1 KR200419090 Y1 KR 200419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electrode pad
electrode
treatment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구
Original Assignee
(주)프리존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존의료기 filed Critical (주)프리존의료기
Priority to KR2020060008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전선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고주파전류를 인체에 흐르게 하여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발생되게 하는 전극봉 및 전극패드로 이루어지는 고주파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도전판이 유연한 재질의 커버에 의해 일측면이 외부노출되게 고정되어 벨트식 착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고주파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치료장치, 도전판, 벨크로, 전극패드,

Description

고주파치료장치{HIGH FREQUENCY MEDICAL CURE UNIT}
도 1은 종래 고주파 치료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패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극패드 11: 커버
12: 도전판 13,140: 전선
14: 벨크로 100: 고주파치료장치
110: 본체 120: 전극봉
P: 접착제
본 고안은 고주파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와 전극패드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갖는 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주파치료장치의 구성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3972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주파치료장치는 고주파전류, 즉 전기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발생되게 하고 이 마찰열을 통해 인체 내 혈액순환과 림프액 순환을 강화/촉진시키거나 지방대사와 근육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및 통증완화 등 인체 기능강화나 치료/관리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고주파치료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내장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전선(140)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고주파전류를 인체에 흐르게 하기 위한 활성전극으로서의 전극봉(120) 및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주파치료장치(100)는 활성전극으로서의 전극봉(120)을 환부에 접촉시키고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는 인체의 넓은 피부 부위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고주파 전류가 흐르게 하여 인체조직 내에 마찰열이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는 면적이 넓은 금속성의 판을 사용하여 인체의 피부와 넓게 접촉하도록 유도하였으며, 넓은 판형의 형상에 따라 등이나 배와 같이 신체의 넓은 부위에 접촉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판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에 따라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가 단일 면으로 한정됨에 따라 인체에 접촉되는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가 접촉과 분리를 반복하여 접촉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인체 접촉면과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 사이에 고전압에 따른 스파크가 발생하여 심각한 화상이나 인체 피부조직의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엇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중성전극으로서의 도전판이 인체에 골고루 밀착하여 다면접촉이 가능하여 접촉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고압 스파크를 방지하고, 벨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굴곡된 인체의 원하는 부위를 둘러싸듯이 착용이 가능하여 장치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고주파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전선(140) 연결되며 기능을 강화하거나 치료하고자 하는 인체부위에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전류를 인가하여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발생되게 하는 활성전극으로서의 전극봉(120) 및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고주파치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중선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도전판이 유연한 재질의 커버에 의해 일측면이 외부노출되게 고정되어 벨트식 착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고주파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고주파 치료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전극패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주파치료장치(100)는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내장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전선(140)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고주파전류를 인체에 흐르게 하기 위한 활성전극으로서의 전극봉(120) 및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3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극패드(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 는 다수의 도전판(12)이 유연한 재질의 커버(11)에 의해 일측면이 외부노출되게 고정되어 벨트식 착용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판(12)은 전류가 인가되도록 전선(13)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13)은 고주파치료기 본체(110)의 전선(140)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선(13,140)의 끝단에 커넥터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극패드(10)는 도전판(12)이 벨트형의 커버(11)에 부착 결합되도록 커버의 표면에 홈(11a)을 구비하여 상기 홈(11a)과 도전판(12)의 사이에 접착제(P)를 도포하여 부착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버(11)는 실리콘, 고무, 가죽,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중에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및 고무는 무독성과 절연성을 가진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절연이 가능하며 생산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상기 가죽은 인조가죽과 천연가죽으로 구분되며 인조가죽은 비닐을 이용하여 천연가죽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천연가죽은 동물의 가죽을 직접 가공하는 것으로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여 부드러운 감촉을 가질 수 있으나 고가의 가격으로 대량생산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또한 섬유는 동 식물을 원료로하여 실을 뽑아 만드는 천연섬유, 포리에스텔, 아크릴, 등등의 화학물질에서 추출한 원료로 실을 뽑아서 그 실로 천을 만든 인조 섬유로 구분된다.
이러한 천연섬유는 보온성과 흡수성이 뛰어나고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트러블이 작은 특징이 있으며, 인조섬유는 내구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커버(11)의 재질을 실리콘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출 성형되는 실리콘의 표면에 다수의 도전판(12)의 일부가 매몰되어 굳어지면서 접착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1)의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암벨크로(14a)와 숫벨크로(14b)로 구성된 벨크로(14)가 상기 커버(11)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11)가 인체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11)의 착용시 벨크로(14) 방식을 도시하여 체결하였지만 연결고리 형상이나 버클 형상으로 구성되어진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인체의 굴곡된 부위에 착용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한 본 고안의 전극패드(10)는 인체의 피부와 도전판(12)이 다면 접촉 가능하여, 접촉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체 접촉면과 도전판(12) 사이의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벨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굴곡된 인체의 원하는 부위에 착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도전판(12)의 접촉이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치료장치에 의하면, 사용시 인체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되 다면 접촉하게되는 도전판이 구비된 전극패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사용시 인체 접촉부위와 도전판의 접촉부위에서 접촉불량으로 발생하는 스파크로 인한 화상과 피부조직의 파괴를 방지 하며, 벨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장치의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유용함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피부의 생체조직 내에 마찰열을 유도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내장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전선(140)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고주파전류를 인체에 흐르게 하기 위한 활성전극으로서의 전극봉(120) 및 중성전극으로서의 전극패드(10)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치료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도전판(12)이 유연한 재질의 커버(11)에 의해 일측면이 외부노출되게 고정되어 벨트식 착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의 양단부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벨크로(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치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는 실리콘, 고무, 가죽,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치료장치.
KR2020060008651U 2006-03-31 2006-03-31 고주파치료장치 KR200419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51U KR200419090Y1 (ko) 2006-03-31 2006-03-31 고주파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51U KR200419090Y1 (ko) 2006-03-31 2006-03-31 고주파치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19A Division KR100764759B1 (ko) 2006-04-05 2006-04-05 고주파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90Y1 true KR200419090Y1 (ko) 2006-06-15

Family

ID=4176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51U KR200419090Y1 (ko) 2006-03-31 2006-03-31 고주파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31B1 (ko) * 2007-09-28 2009-08-27 하성기 고주파 치료기
KR101114246B1 (ko) 2009-03-05 2012-03-05 김상두 셀프패드가 구비된 고주파 심부발열 치료장치
WO2016010257A1 (ko) * 2014-07-15 2016-01-21 (주)하늘마음바이오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31B1 (ko) * 2007-09-28 2009-08-27 하성기 고주파 치료기
KR101114246B1 (ko) 2009-03-05 2012-03-05 김상두 셀프패드가 구비된 고주파 심부발열 치료장치
WO2016010257A1 (ko) * 2014-07-15 2016-01-21 (주)하늘마음바이오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489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treatment
US9072891B1 (en) Wearable medical device
US9037270B2 (en)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KR101628804B1 (ko) 근육 운동용 저주파 자극기
EP3231477B1 (en) Wearable band for low-frequency therapy
KR100764759B1 (ko) 고주파치료장치
KR101048506B1 (ko)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5998A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KR200419090Y1 (ko) 고주파치료장치
KR20010071351A (ko) 유기체의 에너지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1872819B1 (ko) 생체전극발열체를 이용한 직접 발열 방식의 온열 저주파치료기
KR101154014B1 (ko) 고주파치료장치용 전극봉패드
KR20160073108A (ko) 면역기능 강화용 저주파 자극기
KR101803714B1 (ko) 상처 치료 또는 통증 완화용 전기 자극 디바이스
KR20190128833A (ko)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CN209713992U (zh) 宠物用的理疗装置
KR10127290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KR100939665B1 (ko) 치료용 패드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KR200279850Y1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370758Y1 (ko) 저주파 비염 치료기
KR101568108B1 (ko) 멀티 전신 파동 자극 시스템
KR20200072823A (ko) 저주파 자극기
WO2019143307A2 (en) Wearable textile product used in tens treatment method
JP6742648B1 (ja) 微弱電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