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63B1 -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 Google Patents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63B1
KR102369963B1 KR1020190065143A KR20190065143A KR102369963B1 KR 102369963 B1 KR102369963 B1 KR 102369963B1 KR 1020190065143 A KR1020190065143 A KR 1020190065143A KR 20190065143 A KR20190065143 A KR 20190065143A KR 102369963 B1 KR102369963 B1 KR 10236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ad
center
pres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875A (ko
Inventor
이창수
제임스 허트너
Original Assignee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19006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2Desensitising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 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 의료 기구로서, 주사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패드는 주사 부위 인근에 가압 자극을 제공하는 패드에 있어서,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윙; 상기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윙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사이에는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하면에는 복수의 가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PAD FOR RELIEVING INJECTION PAIN BY PRESSURE STIMULATION OF THE PRESSING PROJECTION}
본 발명은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치료, 진단 및 예방 등을 위해, 약액을 주사기에 넣어 환자의 조직이나 혈관 속에 직접 주입하는 주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주사(Injection)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으로 작용시킬 목적으로 행하는 투약법으로서, 약물이 림프관에 흡수되어 혈액에 직접 도달함으로써, 내복 투약법과 비교하여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주사 과정에서 주사기의 바늘이 환자의 주사 부위를 관통하는데, 이 경우, 주사 통증이 발생하며 주사 통증에 대한 공포감으로 주사를 기피하는 환자(특히, 영유아) 때문에, 의료진이나 보호자가 애를 먹기 마련이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주사 자체를 거부하는 과정에서 발버둥을 치거나 몸을 흔들기 때문에, 주사 바늘이 부러지거나 주사 부위를 정확하게 조준하기 힘들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사 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 의료 기구로서, 주사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패드는 주사 부위 인근에 가압 자극을 제공하는 패드에 있어서,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윙; 상기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윙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사이에는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가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기 패드의 일측에서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공간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간의 길이는 상기 중심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드의 상면에는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리테이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은 상기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와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은 상기 중심부에서 폭이 넓어지다가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사 부위 인근에 가압 자극을 제공하여, 주사 부위 인근 조직에 자극 포화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주사 통증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트려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거나 차단하는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윙과 제2윙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제1윙과 제2윙을 누른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제1윙과 제2윙 사이의 공간을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시켜 주사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패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왼손의 엄지와 검지를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닝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왼손의 엄지와 검지가 패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드(슬립 방지 기능)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드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의 (1)은 본 발명의 패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의 (2)는 본 발명의 변형례의 패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드(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패드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패드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의 (1)은 본 발명의 패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의 (2)는 본 발명의 변형례의 패드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100)는 주사 과정에서 사용되는 보조 의료 기구로서, 주사 부위 인근에 접촉되어 가압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특히, 영유아)는 본 발명의 패드(100)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부위를 포함한 인근 부위에서 자극이 포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제 주사 통증에 대한 집중도가 분산되어, 주사 통증을 제대로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본 발명의 패드(100)를 환자의 주사 부위 인근에 접촉시키고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누른 상태에서(도 2의 (1) 참조), 오른손으로 주사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주사를 놓을 수 있다(도 2의 (2) 참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왼손의 엄지와 검지뿐만 아니라, 다른 손가락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패드(100)를 누를 수도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100)는 중심부(110)와, 제1윙(120)과, 제2윙(1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0)를 기준으로, 제1윙(120)은 중심부(110)에서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윙(130)은 중심부(110)에서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윙(120)과 제2윙(130)은 중심부(110)를 따라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드(100)의 상면에는 중심부(110)와 제1윙(120)과 제2윙(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리테이닝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패드(100)를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슬립). 한편, 제1윙(120)과 제2윙(130)에 형성된 리테이닝부(101)는 중심부(101)에 형성된 리테이닝부(10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주로 제1윙(120)과 제2윙(130)을 누르기 때문에, 타겟 부분의 리테이닝부(101)를 더 놓게 형성한 것이다.
제1윙(120)과 제2윙(130)의 사이에는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하기 위한 공간(10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간(102)은 본 발명의 패드(100)의 일측에서 중심부(110)를 향하여 연장되며, 공간(10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공간(102)의 길이는 중심부(11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공간(102)은 본 발명의 패드(100)에서 가능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간(102)을 통하여 주요 혈관 등을 파악함으로써, 이로부터 정확한 주사 부위를 가이드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주사 부위를 정확하게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사 부위 인근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패드(100)는 투명 재질이나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패드(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부(110)와 제1윙(120)과 제2윙(130)의 가장자리는 곡률이 형성되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패드(100)의 가장자리와 주사 부위의 접촉에 따른 불쾌한 자극을 최소화하였다.
한편, 제1윙(120)과 제2윙(130)은 중심부(110)에서 폭이 넓어지다가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윙(120)과 제2윙(130)의 형태에 따라, 제1윙(120)과 제2윙(130)은 중심부(110)와의 경계선에서 쉽게 만곡되거나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사 부위의 표면과 대응되도록 구부러져 주면 전부가 주사 부위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의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부(110)와 제1윙(120)와 제2윙(13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가압 돌기(10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드(100)가 주사 부위에 밀착하는 경우, 복수의 가압 돌기(103)는 주사 부위 인근을 가압하여 자극 포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드(100)는 변형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드(100)의 변형례에서는 중심부(110)에 복수의 가압 돌기(103) 대신 거즈 홀더(104)가 배치될 수 있다. 거즈 홀더(104)에는 일회용 거즈 등이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사를 놓은 다음, 제1윙(120)과 제2윙(130)을 바깥쪽으로 젖히고 중심부(110)의 거즈 홀더(104)에 장착된 거즈만을 주사 부위에 접촉시킨 다음, 주사 부위를 문질러 약액의 주입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100)의 변형례에서는 복수의 가압 돌기(103)가 공간(102)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패드(100)의 변형례에서는 가압 돌기(103)가 보다 주사 부위와 밀접한 부분을 가압하여 주사 부위의 자극 포화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패드(100)의 변형례에서는 복수의 가압 돌기(103)의 돌출 단부에서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가압 돌기(103)는 별도로 마련된 전기 자극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가압 자극에 전기 자극이 더해져, 주사 부위의 자극 포화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패드(100)는 인체뿐만 아니라 동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주사 부위 인근에 가압 자극을 제공하는 패드에 있어서,
    중심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윙;
    상기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윙; 및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의 사이에 배치되고,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되는 공간;
    상기 제1윙 및 제2윙의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압돌기;
    상기 중심부, 제1윙 및 제2윙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 제1윙 및 제2윙의 상면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리테이닝부;
    상기 중심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거즈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돌기는 상기 거즈홀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윙 및 제2윙에 형성된 리테이닝부는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리테이닝부보다 높게 형성된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패드의 일측에서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공간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간의 길이는 상기 중심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공간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윙과 상기 제2윙은 상기 중심부를 따라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간과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거즈홀더의 높이는 상기 가압돌기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된 패드.
KR1020190065143A 2019-06-03 2019-06-03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KR10236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43A KR102369963B1 (ko) 2019-06-03 2019-06-03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43A KR102369963B1 (ko) 2019-06-03 2019-06-03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875A KR20200138875A (ko) 2020-12-11
KR102369963B1 true KR102369963B1 (ko) 2022-03-04

Family

ID=7378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43A KR102369963B1 (ko) 2019-06-03 2019-06-03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856A (ko) * 2020-02-07 2021-08-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증경감용 주사패치
KR200494931Y1 (ko) 2021-05-07 2022-02-08 심정환 무통주사를 위한 통증저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602A1 (en) * 2000-07-31 2002-01-31 Huttner James J. Method for controlling the pain from injections or minor surgical procedures and apparatus for use therewith
JP2009528876A (ja) 2006-03-06 2009-08-13 グランピアン ヘルス ボード 針誘導装置
KR101167705B1 (ko) 2012-01-11 2012-07-20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의료용 카테터 기구
CN107929883A (zh) 2017-12-06 2018-04-20 无锡圣诺亚科技有限公司 无痛注射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60B1 (ko) * 2014-10-31 2016-09-23 오세호 주사 시 통증 감소를 위한 자극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3602A1 (en) * 2000-07-31 2002-01-31 Huttner James J. Method for controlling the pain from injections or minor surgical procedures and apparatus for use therewith
JP2009528876A (ja) 2006-03-06 2009-08-13 グランピアン ヘルス ボード 針誘導装置
KR101167705B1 (ko) 2012-01-11 2012-07-20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의료용 카테터 기구
CN107929883A (zh) 2017-12-06 2018-04-20 无锡圣诺亚科技有限公司 无痛注射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875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963B1 (ko) 가압 돌기의 가압 자극에 의해 주사 통증을 경감시키는 패드
KR20120072295A (ko) 매선침술용(埋線針術用) 바늘.
CN207679499U (zh) 针刀
KR20160085829A (ko) 통증-감소 부재를 갖는 의약 주입 장치
AU2017265028A1 (en) Venous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s
KR20230096934A (ko) 통증경감용 주사패치
KR101596419B1 (ko) 약물분배체가 구비된 피부시술용 멀티 니들장치
GB2148717A (en) Portable electro-acupuncture belt
KR101231679B1 (ko) 생체 전류 활성용 밴드
CN213099407U (zh) 揿针
CN210843074U (zh) 血糖针头定位防痛手指套
CN209884917U (zh) 一种输液港注射辅助器
CN210904445U (zh) 一种打针不痛的皮肤压力刺激器
CN210785787U (zh) 一种儿科护理输液用固定夹板
CN205494394U (zh) 一种指环式小针刀
CN207654422U (zh) 一种用于松筋治疗的动筋针
SU9390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лектрофорез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веществ
CN104922791A (zh) 无创针灸贴片及其制备方法
CN215740471U (zh) 一种新型联排揿针
CN214260002U (zh) 一种新型针灸器
CN212913866U (zh) 一种具有止痛效果的无菌揿针
CN213099211U (zh) 毫鍉针
CN209734662U (zh) 一种使用方便的注射器
CN208974608U (zh) 一种医用腕踝针
CN216417290U (zh) 一种耳尖采血专用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