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465B1 -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465B1
KR101277465B1 KR1020130003244A KR20130003244A KR101277465B1 KR 101277465 B1 KR101277465 B1 KR 101277465B1 KR 1020130003244 A KR1020130003244 A KR 1020130003244A KR 20130003244 A KR20130003244 A KR 20130003244A KR 101277465 B1 KR101277465 B1 KR 10127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high voltage
circuit
electr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고전압 저전류의 저주파 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에 대응하는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각 전극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자극기로 구성되고, 이러한 저주파 자극기는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에 결합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폰의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를 설정된 고전압 및 저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 회로가 내설되는 회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상기 전압변환 회로의 출력단에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전압 및 저전류 신호를 신체로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저주파 자극용 전압 변환회로는 스마트폰으로 접속되는 어댑터에 구현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저주파 안마 기능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LOW FREQUENCY STIMULATOR CONNECTED WITH SMART DEVICE}
본 발명은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극 장치는 골반신경을 포함한 손상된 신경의 재생과 관련된 불감증, 성기능 장애, 요실금, 통증완화, 변비 치료 외에 재활 치료 등의 방법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전기 자극 장치중 하나가 저주파 치료기(안마기)이다. 저주파 치료기는 보통 물리치료기의 하나로 사용되며, 움직이기 힘든 팔에 전기자극을 주어 근육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근육의 퇴행을 막거나 혈액 순환을 도와서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사용한다.
원래 근육은 신경세포를 통한 전기 자극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는데, 저주파 치료기는 이러한 전기 자극을 직접 근육 표면에 주어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다만, 일정한 량의 전기가 들어가면 근육은 수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일정한 주파수로 자극을 주었다가 풀었다가 하기 때문에 "저주파"치료기란 이름이 붙었다. 전기 자극으로 자극되는 근육은 신경으로 자극되는 근육과 성질과 조건이 달라서 자극 정도가 지속되지 않고 수분 내에(5~20분) 피로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자극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젖산이 쌓이게 되어 뻐근하게 된다.
전기 자극의 파형이나 자극하는 위치를 바꿔서 단순히 자극을 하는 정도가 아니라 컵을 집어들거나 간단한 걸음을 걸을 수 있도록 자극하는 기계도 대두되고 있다. 자극의 정도나 지속 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 표피의 피하 지방 두께나 근육의 크기 정도 등등 사람마다 그 특성이 다르다. 그리고 자극되는 위치에 따른 반응도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저주파 치료기(안마기)에서 패드(사람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하는 패치)도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론상으로는 통전이 되는 물질이면 다 되는 것이지만, 사람에게 하는 물질이다 보니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보통은 전기가 통하는 고무 전극을 사용하지만, 전기가 잘 통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 전에 물을 바르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전기적 전달이 잘 되게 하는 젤리를 바르거나 아예 패드에 발라져서 나오는 것도 근래에는 시판되고 있다.
근래에는 전술된 저주파 자극기의 기능을 휴대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다. 즉, 첨부된 특허문헌의 도 1에서와 같이, 제어부(140)는 안마 기능이 입력되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안마 기능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휴대폰의 동작 상태를 안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부(130)를 통해 안마 시간이라든지 안마 강도(레벨)를 선택하게 되면 이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표시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예를 들어, 안마기능)과 안마 강도 및 안마 시간 등을 화면에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재의 휴대폰의 동작 상태라든지 남아 있는 안마 시간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안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가 종료되면, 제어부(140)는 구동부(1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저주파를 발생토록 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구동부(170)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파형을 발생하여 저주파 발생부(18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180)는 통상의 저주파 회로를 이용하여 저주파를 발생하고 이를 증폭시켜 와이어(102)를 통해 안마 패치(19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안마 패치(190)는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안마하게 된다. 사용자는 안마 또는 저주파 치료를 위한 특정 신체 부위에 안마 패치(190)만을 부탁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저주파 안마를 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휴대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언제 어디서든지 안마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저주파 안마기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구동하고 있으나, 저주파 안마기를 위한 저주파 신호는 고전압을 이용해야 하는데 하드웨어적으로 휴대폰에는 고전압 발생회로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어 실효성에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즉, 저주파 안마기는 고전압 저전류를 이용하여 신체에 전기적 충격을 가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반드시 고전압 회로 및 저전류 회로가 필요하며 이는 휴대폰에서 제공되지 못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2649, 등록일자 2005년 04월 15일, 고안의 명칭 "휴대폰의 저주파 안마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저주파 자극용 전압 변환회로는 스마트폰으로 접속되는 어댑터에 구현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저주파 안마 기능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기를 구동함에 따라, 회로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에 대응하는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각 전극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자극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주파 자극기는,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에 결합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폰의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를 설정된 고전압 및 저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 회로가 내설되는 회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상기 전압변환 회로의 출력단에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전압 및 저전류 신호를 신체로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접속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상기 전극에 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전압 저전류 신호를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압변환 회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고전압 회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극 선택을 위해 전극별로 구비되는 메인 스위치회로;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의 선택 신호 및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각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제1전극구동 회로 및 제2전극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회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공급되는 정격 전압을 설정된 고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컬렉터측으로 인덕턴스(L)가 접속되고, 베이스측으로 RC 회로를 구비한 트랜지스터(TR11)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는 각 스위칭 단자별로 저항(R2, R3)이 접속되는 트랜지스터(TR9, TR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3, TR2)를 포함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1, TR4)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A)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전극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2)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7, TR6)를 포함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5, TR8)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B)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는,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저주파 자극용 전압 변환회로는 스마트폰으로 접속되는 어댑터에 구현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저주파 안마 기능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기를 구동함에 따라, 회로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저주파 안마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압변환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는 스마트폰으로 저주파 자극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접속부에 고전압 회로가 내설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극 패턴 제어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는 전극을 통해 저주파 신호를 전달받으며, 전극이 신체에 부착될 때 저주파 자극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저주파 자극기는 스마트폰을 통해 자극 패턴이 공급되며, 자극 패턴에 따른 신호는 저주파 자극기에 의해 고전압 저전류로 변환되어 각 전극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예시하고 있는 저주파 자극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탑재된 스마트폰(200)과, 상기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에 대응하는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각 전극(231)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자극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앱을 통해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앱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수 종류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한다. 예컨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등의 패턴을 제공하며, 이러한 패턴은 통상의 저주파 자극장치에서 제공되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200)의 표시창(203)에는 각 패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패턴이 선택되거나 시간, 강약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230)는 상기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에 결합하는 접속부(237)와, 상기 접속부(237)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폰(200)의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를 설정된 고전압 및 저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 회로가 내설되는 회로 하우징(235)로 구성되는 커넥터(239), 상기 전압변환 회로의 출력단에 신호선(233)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전압 및 저전류 신호를 신체로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23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와 저주파 자극기(230)의 접속부(237)는 마이크로 USB 구조를 가지며, 4핀 또는 5핀으로 구성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8핀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핀의 구조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USB는 4핀 구조의 A 타입 또는 B 타입으로 적용되거나, 5핀 구조의 MINI-A 타입, MINI-B 타입, Micro-A 타입, Micro-B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구조의 마이크로 USB가 사용되더라도, 그라운드(G) 단자를 포함하여, 전원(+V) 단자, 아이디(ID) 단자, 데이터(D+, D-)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아이디 단자 및 데이터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부(237)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37)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39)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상기 전극(231)에 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1)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전압 저전류 신호를 상기 전극(231)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30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1)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마이크로 USB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저주파 자극 패턴의 종류를 선별하는 아이디(ID) 정보 및 해당 저주파 자극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D+, D-)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아이디(ID) 및 데이터(D+, D-)에 응답하여 전극(231)을 스위칭하고, 저주파 자극 패턴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변환 회로부(303)는 전극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231)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거나 중첩하여 선택되며, 상기 펄스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임의의 전극(231)으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안마, 마사지, 두드림, 가압 등의 패턴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스마트폰(200)의 표시창(203)으로 패턴 및 속도 선택을 위한 화면이 제공된다.
결국, 사용자는 저주파 자극기(230)를 스마트폰(200)과 접속시켜 고전압 저전류의 저주파 자극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스마트폰(200) 자체에서 구현되지 못하는 고전압 저전류 회로를 저주파 자극기(230)의 커넥터(239)에 탑재함에 따라 저주파 자극기의 실효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변환 회로부(303)를 일 예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1)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고전압 회로(401)와, 상기 제어부(301)에서 출력되는 전극 선택을 위해 전극(231)별로 구비되는 메인 스위치회로(403)와,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403)의 선택 신호 및 상기 고전압 회로(401)의 출력 신호에 의해 각 전극(231)을 구동하기 위한 제1전극구동 회로(407) 및 제2전극구동 회로(4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1)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고전압 회로(401)의 출력 전압이 가변되며, 이는 전극(231)에 의해 제공되는 신체 자극의 강도가 조절된다.
상기 고전압 회로(401)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격 전압을 설정된 고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컬렉터측으로 인덕턴스(L)가 접속되고, 베이스측으로 RC 회로를 구비한 트랜지스터(TR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403)는 각 스위칭 단자별로 저항(R2, R3)이 접속되는 트랜지스터(TR9, TR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극구동 회로(407)는 상기 고전압 회로(401)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3, TR2)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1, TR4)로 구성되어, 상기 고전압 회로(401)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A)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2전극구동 회로(405)는 상기 고전압 회로(401)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2)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7, TR6)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5, TR8)로 구성되어, 상기 고전압 회로(401)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B)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압변환 회로부(303)는 제어부(301)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가 상기 고전압 회로(401)에 의해 고전압 저전류 회로로 변환되고, 상기 제어부(301)가 스위칭 신호(SW1)를 인에이블할 경우 제1전극구동 회로(407)의 트랜지스터(TR3) 및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어 전극(A)로 설정된 전류의 방향을 갖도록 고전압 저전류를 공급한다.
동시에, 상기 스위칭 신호(SW1)는 제2전극구동 회로(405)를 동작시킴에 있어, 상기 트랜지스터(TR7) 및 트랜지스터(TR6)를 턴온시켜 상기 전극(B)으로 고전압 저전류를 일정 방향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극(231)의 전극(A) 및 전극(B)에 의해 신체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으로부터 저주파 자극패턴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1)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신체 자극의 강도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 자극패턴 제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1)는 스위치(SW2)를 운용하여, 전극(231)에 의한 자극패턴을 달리할 수 있는데, 이는 전극(231)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 또는 변형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301)가 스위칭 신호(SW2)를 인에이블할 경우 제1전극구동 회로(407)의 트랜지스터(TR1) 및 트랜지스터(TR4)가 턴온되어 전극(A)의 전류방향을 전환하고, 제2전극구동 회로(405)의 트랜지스터(TR5) 및 트랜지스터(TR8)를 턴온시켜 상기 전극(B)으로 고전압 저전류 방향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상기 전극(231)의 전극(A) 및 전극(B)에 의해 신체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저주파 자극패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200 : 스마트폰 201 : 접속단자
203 : 표시창 230 : 저주파 자극기
231 : 전극 233 : 신호선
235 : 회로 하우징 237 : 접속부
239 : 커넥터 301 : 제어부
303 : 전압변환 회로부 401 : 고전압 회로
403 : 메인 스위치회로 405 : 제2전극구동 회로
407 : 제1전극구동 회로

Claims (9)

  1. 스마트폰의 접속단자에 결합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폰의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를 설정된 고전압 및 저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 회로가 내설되는 회로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및 상기 전압변환 회로의 출력단에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고전압 및 저전류 신호를 신체로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저주파 자극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상기 전극에 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전압 저전류 신호를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압변환 회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인가받아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고전압 회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극 선택을 위해 전극별로 구비되는 메인 스위치회로;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의 선택 신호 및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각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제1전극구동 회로 및 제2전극구동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앱을 통해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수 종류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하는 것으로, 진동 패턴, 마사지 패턴, 떨림 패턴, 가압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창에는 각 패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패턴이 선택되거나 시간, 강약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및 저주파 자극기 간 접속 구조는 마이크로 USB이며;
    상기 마이크로 USB는 4핀 구조의 A 타입 또는 B, 5핀 구조의 MINI-A 타입, MINI-B 타입, Micro-A 타입, Micro-B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전압이 가변되어, 상기 전극에 의해 제공되는 신체 자극의 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회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공급되는 정격 전압을 설정된 고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컬렉터측으로 인덕턴스(L)가 접속되고, 베이스측으로 RC 회로를 구비한 트랜지스터(TR11)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회로는 각 스위칭 단자별로 저항(R2, R3)이 접속되는 트랜지스터(TR9, TR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1)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3, TR2)를 포함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1, TR4)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A)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전극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 회로의 출력 신호를 다이오드(D2)를 통해 인가받은 후, 상기 트랜지스터(TR9)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7, TR6)를 포함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스위칭되도록 트랜지스터(TR5, TR8)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전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신호를 전극(B)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KR1020130003244A 2013-01-11 2013-01-11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KR10127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44A KR101277465B1 (ko) 2013-01-11 2013-01-11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44A KR101277465B1 (ko) 2013-01-11 2013-01-11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465B1 true KR101277465B1 (ko) 2013-06-21

Family

ID=4886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44A KR101277465B1 (ko) 2013-01-11 2013-01-11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4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64A (ko) * 2014-08-21 2016-03-03 (주)휴먼드림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117890A1 (ko) * 2015-01-19 2016-07-28 주식회사 헤르츠닥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6556B1 (ko) * 2015-10-15 2017-01-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마사지기 제어시스템
KR20180009883A (ko) 2016-07-20 2018-01-30 이지형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KR101918569B1 (ko) 2018-03-27 2018-11-15 주식회사 웰뷰텍 스마트폰 제어기반 사지압박순환장치 제어방법
WO2018225976A1 (ko) * 2017-06-09 2018-12-13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20190123173A (ko) 2018-04-23 2019-10-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영상 데이터와 연동한 자극기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88A (ko) * 2001-11-20 2003-05-27 박병림 휴대폰을 활용한 탈부착형 전기자극장치
KR200335305Y1 (ko) 2003-08-07 2003-12-06 양 희 이 휴대폰의 전원을 사용하는 저주파 치료기
KR200388405Y1 (ko) * 2005-04-06 2005-06-29 김현진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저주파 음향 귀 경혈자극기
KR100630058B1 (ko) 2004-06-0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저주파자극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388A (ko) * 2001-11-20 2003-05-27 박병림 휴대폰을 활용한 탈부착형 전기자극장치
KR200335305Y1 (ko) 2003-08-07 2003-12-06 양 희 이 휴대폰의 전원을 사용하는 저주파 치료기
KR100630058B1 (ko) 2004-06-0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저주파자극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88405Y1 (ko) * 2005-04-06 2005-06-29 김현진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저주파 음향 귀 경혈자극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64A (ko) * 2014-08-21 2016-03-03 (주)휴먼드림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8238B1 (ko) 2014-08-21 2016-07-08 (주)휴먼드림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117890A1 (ko) * 2015-01-19 2016-07-28 주식회사 헤르츠닥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6556B1 (ko) * 2015-10-15 2017-01-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마사지기 제어시스템
KR20180009883A (ko) 2016-07-20 2018-01-30 이지형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WO2018225976A1 (ko) * 2017-06-09 2018-12-13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20180134514A (ko) * 2017-06-09 2018-12-19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102048219B1 (ko) * 2017-06-09 2019-11-25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101918569B1 (ko) 2018-03-27 2018-11-15 주식회사 웰뷰텍 스마트폰 제어기반 사지압박순환장치 제어방법
KR20190123173A (ko) 2018-04-23 2019-10-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영상 데이터와 연동한 자극기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465B1 (ko)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US10080897B2 (en) IPG configured to deliver different pulse regimes to different leads for pudendal nerve stimulation
US109188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ural implant communication
US10675468B2 (e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or inducing patient sensations
CN109173042B (zh) 一种用于减肥的迷走神经刺激装置
KR10133159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저주파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CN108025174B (zh) 用于诱发患者感觉的电刺激治疗
KR101638238B1 (ko)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8989B1 (ko)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102512499B1 (ko) 미주신경자극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
KR200382649Y1 (ko) 휴대폰의 저주파 안마장치
CN106512212A (zh) 一种镇痛芯片
KR102054554B1 (ko)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TWM642833U (zh) 經皮神經刺激裝置
JP2022090022A (ja) 電流刺激装置
CN108543218A (zh) 一种低频微电流刺激器
TWM488321U (zh) 經皮神經電刺激裝置
WO2023178380A1 (en) Non-invasive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s
RU102892U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бесконтактной терапии
KR200279568Y1 (ko) 저주파 치료기기의 저주파 구동회로
WO2012161610A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бесконтактной терапии
KR20160016113A (ko) 이어폰을 통한 휴대폰용 저주파 물리치료기
KR20060069973A (ko) 전자 건강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