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219B1 -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 Google Patents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219B1
KR102048219B1 KR1020170072317A KR20170072317A KR102048219B1 KR 102048219 B1 KR102048219 B1 KR 102048219B1 KR 1020170072317 A KR1020170072317 A KR 1020170072317A KR 20170072317 A KR20170072317 A KR 20170072317A KR 102048219 B1 KR102048219 B1 KR 10204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smart device
battery
temperature
frequency st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14A (ko
Inventor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주) 내츄럴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내츄럴웰테크 filed Critical (주) 내츄럴웰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21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170 priority patent/WO2018225976A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F, MF, HF, VHF 대역의 주파수 최소 전류량을 사용하여 자극 발생기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해당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결합 또는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저주파 자극기; 및 상기 저주파 자극기가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SMART DEVICE WITH FUNCTION PROVIDING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풍요한 물질 문명을 배경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져 가고 있다. 또한, 식생활 문화의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의 발생으로 더욱 건강에 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종류의 미용관련 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치료기도 그 중의 하나이다.
전기치료란 직류전류, 교류전류, 맥동전류 등과 같은 전기(electricity)를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과학의 한 분야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기치료의 종류로는 의용평류(medical galvanism)치료, 이온도입법(iontoporesis), 전기자극치료(electrical stimulation theraphy, EST),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치료,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ES), 간섭전류(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치료, 단파심부투열(shortwave diathermy, SWD)치료, 극초단파심부투열(microwave diathermy, MWD)치료, 초음파(ultrasound)치료 등이 있다.
이러한, 전기치료는 근골격계 손상 및 질환, 신경계 손상 및 질환, 순환계 질환, 피부질환, 내과질환, 만성염증질환 등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에너지를 이용한 치료방법의 최대 장점은 몸의 현상과 특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전기자극에 의해 인체에 전기적 변화를 일으켜 치료에 유익하게 사용하는 요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 전류의 강도,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의 차이가 현저하다. 특히, 몸에 인가하는 플레이트의 구조, 크기, 재질이나 인가시간, 처부 통전액이나 관련 항생제제와의 배합에 따라서도 각각 다른 반응이 나타난다.
용량성(capacitive) 및 저항성(resistive) 전기 전달 요법(electric transfer)은 여러가지 생체학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즉, 내부 온도를 높이면 동시에 생체 조직의 활력과 연관된 생물학적 현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혈관확장이 일어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하여 피의 순환을 증가시키며 또 영양과 산소의 공급을 개선시키고 세포 내 호흡과 독성 분 해산물(catabolin)의 배출을 자극하게 된다.
종래의 전기치료기는 신체의 허리, 복부, 다리, 어깨, 발바닥 등과 같은 특정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하기 위한 출력장치로서 플러스 전극패드 및 마이너스 전극패드를 부착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신체에 부착된 전극패드로 동일 주파수 특성을 갖는 규칙적인 저주파 신호를 공급하여 신체에 전기자극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저주파 전류는 피시술자의 환부에 직접 붙여진 패취형 전극패드를 통해서만 전달되게 되므로 전기 자극이 전달되는 범위가 협소하여 전기 자극을 통한 치료효과 및 마사지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다소 미흡함이 있었으며, 전극패드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자극은 피시술자에게 다소 세게 전달되므로 물리적인 자극이 피시술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치료기는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장신구에 수 천 가우스(gauss)의 영구자석을 매립시켜 자력에 의한 건강증진효과를 얻도록 한 상품과, 세라믹 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장신구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을 코팅시켜 원적외선에 의한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기력을 향상시켜 인체의 노폐물들을 제거하도록 한 상품들이 있으나 효능에 비하여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상기 영구자석의 경우, 수십 초 마다 전신으로 흐르는 혈류에 자력선이 조사되면 혈액 중에 음이온이 증가하여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게 되고, 결국 내분비물 촉진과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질병을 개선한다는 도식적 이론이 유도되어 상기한 치료효과를 뒷받침 한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특히 영구자석의 경우 자력이나 자극(磁極)이 맞지 않거나, 자기적 성질을 무분별하게 이용하는 경우 오히려 인체의 자기장이 교란되어 건강을 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66193호(등록공고일 2015년 10월 01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LF, MF, HF, VHF 대역의 주파수 최소 전류량을 사용하여 자극 발생기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해당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결합 또는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도 미세전류를 인체에 전달하거나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된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연결시켜 신체 구석구석으로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최소화된 전기 자극만으로도 마사지, 혈액 순환 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의 치료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저주파 자극기; 및 상기 저주파 자극기가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공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저전압 저전류 신호를 자극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의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기기의 저주파 자극 패턴 신호에 대응되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저주파 자극기를 구비하며, 상기 저주파 자극의 일단부에는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ELF, SLF, ULF, VLF, LF 대역 주파수의 복수 개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하되,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의 시간 또는 강약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ELF, SLF, ULF, VLF, LF 대역의 주파수 최소 전류량을 사용하여 자극 발생기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해당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결합 또는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도 미세전류를 인체에 전달하거나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된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연결시켜 신체 구석구석으로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휴대성이 우수하여 누구나 어디에서나 손쉽게 이 파형을 이용한 미세전류를 인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치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최소화된 전기 자극만으로도 마사지, 혈액 순환 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의 치료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될 수 있는 전원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원부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될 수 있는 전원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전원부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100)는 ELF, SLF, ULF, VLF, LF 대역의 주파수 최소 전류량을 사용하여 저주파 자극이 가능한 기기로서, 저주파 자극기(195)와 스마트 기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인체로 전달한다. 이러한 저주파 자극기(195)는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주파수의 출력파형이 톱니파로 발생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18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켜 주파수의 출력파형이 톱니파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는 PCB 형태의 제어부(140) 및 전압변환 회로부(170)와, 인체로 미세 전류를 전달하는 자극부(19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 및 전압변환 회로부(170)와 자극부(190)는 금속류의 플레이트나 하우징 형태로 스마트기기(100)에 삽입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는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제공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저전압 저전류 신호를 자극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는 하나의 접점을 사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교류 타입의 구형파를 일정 간격으로 출력하거나, 둘 이상의 접점을 사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각 접점에 교류 타입의 구형파를 일정 간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저주파 자극기(195)가 구비되고, 저주파 자극기(195)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저주파 자극기(195)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각종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ELF(Extremely low frequency), SLF(Super low frequency), ULF(Ultra low frequency), VLF(Very low frequency), LF(Low frequency) 대역 주파수의 복수 개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한다.
삭제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저주파 자극 패턴의 시간 또는 강약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저주파 자극 기능이 입력되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저주파 자극 기능 기능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스마트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저주파 자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부(130)를 통해 저주파 자극 시간이라든지 저주파 자극 강도(레벨)를 선택하게 되면 이를 메모리부(160)에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표시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예를 들어, 저주파 자극 기능)과 저주파 자극 강도 및 저주파 자극 시간 등을 화면에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재의 스마트기기(100)의 동작 상태라든지 남아 있는 저주파 자극 시간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저주파 자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가 종료되면, 제어부(140)는 전압변환회로부(17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저주파를 발생토록 한다.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전압변환회로부(170)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하게 파형을 발생하여 저주파 자극기(195)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는 저주파 회로를 이용하여 저주파를 발생하고 이를 증폭시켜 스마트기기(100)에 부착 또는 결합된 자극부(190)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에서 후술하겠지만, 스마트기기 자체에서도 이러한 미세전류의 파형들이 신체에 전달 되기도 하고, 스마트기기에 연결된 접속수단(예를 들면, 잭)을 활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신체 구석구석 이 파형의 미세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수신부(110)과 송신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제어부(140) 및 저주파 자극기(195) 등의 각각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전원부(180)를 도 2에서와 같이 제어부(140)와 연결되는 구성들을 통하여 충전가능한 충전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나 리튬 폴리머 전지와 같은 배터리에서, 충전 시간이 단축되도록 충전 씨-레이트가 증가하면, 음극 활물질 표면에서 리튬 이온이 석출(리튬 플레이팅)되고 또한 전해액 분해로 인해 배터리의 수명이 빠르게 단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전 시간을 단축(급속 충전)하면서도 배터리 열화 현상 및 수명 단축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80)는 열전 소자(183), 전류 조절부(184), 충전 모드 선택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부(18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별로 구현된 전자소자나 또는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될 수 있다.
열전 소자(183)는 배터리(182)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주변 환경 온도에 따라 배터리(182)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열전 소자(183)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일면이 발열면이 되고 타면이 흡열면이 될 수 있음으로써, 전류의 흐름 방향 제어에 의해 간단하게 온열 소자로 동작하거나 또는 흡열 소자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류 조절부(184)는 직류-직류 컨버터(181)와 배터리(182)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82)에 공급되는 씨-레이트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류 조절부(184)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충전 모드 선택부(185)는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예를 들면, 30분 급속 충전 모드) 또는 완속 충전 모드(예를 들면, 3시간 완속 충전 모드)를 선택받는 역할을 한다. 충전 모드 선택부(185)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특별히 충전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완속 충전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더불어, 이러한 충전 모드 선택부(185)는 키 또는 버튼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은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충전 시간당 및/또는 충전 용량당 배터리(182)의 온도 및/또는 씨-레이트의 프로파일을 로딩하여, 그 프로파일대로 배터리(182)의 온도 및/또는 씨-레이트를 제어하며 배터리(182)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열전 소자(183) 및 전류 조절부(184)를 직접 제어한다.
메모리부(160)는 상술한 제어부(140)의 동작 알고리즘(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충전 시간당 및/또는 충전 용량당 배터리(182)의 온도 및/또는 씨-레이트의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이러한 배터리(182)의 온도 및/또는 씨-레이트의 프로파일은 배터리(182)의 제조 시 다수의 실험이나 시뮬레이션에 따라 미리 최적화된 값으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하여,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를 선택받았을 경우 충전 시간 경과에 따라 가장 높은 값으로부터 가장 낮은 값까지 배터리(182)의 온도 및 씨-레이트를 점차 감소시키도록 열전 소자(183) 및 전류 조절부(184)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충전 시간은 단축하면서도 배터리(182) 열화 현상 또는 수명 단축 현상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140)는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씨-레이트를 계단 형태로 점차 감소시킬 수 있는데, 특히 레벨이 달라지는 지점 및/또는 레벨이 같은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휴지 시간을 더 제공하여, 충전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즉, 연속적으로 충전 전류를 공급하는 것보다는, 불연속적으로 충전 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충전 전류량을 줄일 때, 배터리(182)의 내부 저항이 감소하고 안정화됨으로써, 충전 속도는 빨라지고 열화 현상은 작게 나타난다.
일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140)는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씨-레이트를 대략 5C로부터 1C까지 계단 형태로 점차 감소시키고, 이때 열전 소자(183)를 제어하여 온도를 50℃로부터 10℃까지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수치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러한 수치 범위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다른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완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열전 소자(183)를 이용하여 배터리(182)의 온도를 대략 20℃~30℃로 유지시키고, 또한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씨-레이트를 대략 0.1C~0.5C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온도 범위 및 씨-레이트에서 비록 충전 시간이 길어지지만 전지 열화율이나 수명 단축 현상이 가장 작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더불어,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배터리(182)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배터리(182)의 용량 추정을 위한 전압 센서 및/또는 전류 센서를 구비함은 당연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의 무선 충전 방법은 급속 충전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 급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파일 로딩 단계(S2), 완속 충전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3), 완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프로파일 로딩 단계(S4), 만충전인지 확인하는 단계(S5), 충전 정지 단계(S6)를 포함한다.
급속 충전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1)에서 제어부(140)는, 충전 모드 선택부(18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단계(S2)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를 수행한다.
급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프로파일 로딩 단계(S2)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충전 시간당 및/또는 충전 용량당 급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140)는 열전 소자(183)를 제어하여 충전 초기에 주변 온도에 관계없이 배터리(182)의 온도가 대략 30℃ 내지 50℃로 유지되도록 하고, 충전 시간이 경과 또는 충전 용량이 높아짐에 따라 열전 소자(183)를 제어하여 배터리(182)의 온도가 대략 20℃ 내지 30℃로 유지되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더욱이, 제어부(140)는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충전 초기에 배터리(182)의 씨-레이트가 대략 3C 내지 5C인 동시에 충전 휴지 시간을 갖는 펄스 형태로 전류가 배터리(182)에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 시간이 경과 또는 충전 용량이 높아짐에 따라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배터리(182)의 씨-레이트가 1C 내지 2C인 동시에 충전 휴지 시간을 갖는 펄스 형태로 전류가 배터리(182)에 공급되도록 하는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한편, 완속 충전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S3)에서 제어부(140)는, 충전 모드 선택부(18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완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완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면 단계(S4)를 수행한다.
완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프로파일 로딩 단계(S4)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충전 시간당 및/또는 충전 용량당 완속 충전용 온도 및 씨-레이트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부(140)는 열전 소자(183)를 제어하여 배터리(182)의 온도를 주변 온도에 관계없이 대략 20℃~30℃로 유지시키고, 또한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씨-레이트를 대략 0.1C~0.5C로 유지시키는 충전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만충전인지 확인하는 단계(S5)에서 제어부(140)는, 현재의 배터리(182) 충전량이 만충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배터리(182)의 만충전 여부 판단은 배터리 전압을 SOC(State of Charge)로 환산하거나 또는 배터리(182)에 주입된 총 전하량을 계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82)의 만충전 여부 판단 방법은 당업자에게 이미 주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182)가 만충전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S6)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으로 복귀한다.
충전 정지 단계(S6)에서 제어부(140)는, 전류 조절부(184)를 제어하여 배터리(182)에 더 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82)의 충전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82)의 용량이 낮은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배터리(182)의 온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펄스 충전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석출 현상이 없고 전해액 분해가 없는 상태에서 신속한 배터리(182)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배터리(182)의 온도가 대략 0℃ 이하인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펄스 충전 전류로 배터리(182)를 충전하게 되면 상술한 리튬 이온 석출 및 전해액 분해 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182)의 열화가 심하고 따라서 수명이 단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주변 온도에 관계없이 배터리의 초기 충전 시 배터리의 온도를 높이고 고율 충전하고, 배터리의 말기 충전 시 배터리의 온도를 낮추고 저율 충전하게 되면,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배터리의 열화나 수명 단축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200)의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접속부(237)를 구비하고, 접속부(237)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기기(200)의 저주파 자극 패턴 신호에 대응되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저주파 자극기(도 1의 185)를 구비하며, 저주파 자극기의 일단부에는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2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200)는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LF, MF, HF, VHF 대역 주파수의 복수 개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의 시간 또는 강약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기기(200, 이하 스마트 폰이라 함)와,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와 연결되어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에 대응하는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각 전극(231)으로 제공하는 저주파 자극기(23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200)은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위한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수 종류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한다. 예컨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등의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200)의 표시창(203)에는 각 패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패턴이 선택되거나 시간, 강약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저주파 자극기(230)는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에 결합하는 접속부(237)와, 접속부(237)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폰(200)의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를 설정된 고전압 및 저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변환 회로가 내설되는 회로 하우징(235)로 구성되는 커넥터(239), 전압변환 회로의 출력단에 신호선(233)을 통해 접속되며, 고전압 및 저전류 신호를 신체로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231)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스마트폰(200)의 접속단자(201)와 저주파 자극기(230)의 접속부(237)가 마이크로 USB 구조를 가지며, 4핀 또는 5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이어폰이나 헤드셋 등과 같은 연결단자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USB는 4핀 구조의 A 타입 또는 B 타입으로 적용되거나, 5핀 구조의 MINI-A 타입, MINI-B 타입, Micro-A 타입, Micro-B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구조의 마이크로 USB가 사용되더라도, 그라운드(G) 단자를 포함하여, 전원(+V) 단자, 아이디(ID) 단자, 데이터(D+, D-) 단자로 구성되며, 스마트폰(200)으로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아이디 단자 및 데이터 단자를 이용하여 접속부(237)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를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9)는 접속부(237)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제어부(도 1의 140)로부터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전극(231)에 대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압변환 회로부(도 1의 170)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전압 저전류 신호를 전극(231)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 USB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저주파 자극 패턴의 종류를 선별하는 아이디(ID) 정보 및 해당 저주파 자극 패턴에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D+, D-)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아이디(ID) 및 데이터(D+, D-)에 응답하여 전극(231)을 스위칭하고, 저주파 자극 패턴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변환 회로부는 전극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거나 중첩하여 선택되며, 상기 펄스 신호를 고전압 저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된 임의의 전극으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진동, 마사지, 두드림, 가압 등의 패턴이 가능할 것이며, 스마트폰(200)의 표시창(203)으로 패턴 및 속도 선택을 위한 화면이 제공된다.
결국, 사용자는 저주파 자극기(230)를 스마트폰(200)과 접속시켜 고전압 저전류의 저주파 자극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저주파 자극기(230)는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저주파 자극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는 저주파 치료를 위한 특정 신체 부위에 자극 수단만을 부탁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저주파 안마를 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언제 어디서든지 안마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스마트 기기(200)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워치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스마트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저주파 자극기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전도성 장갑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니파 파형을 이용하는 파동제공 장신구의 사용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손에 저주파 자극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톱니파 발생, 즉 주파수의 출력파형을 톱니파 형태로 발생시켜 전기 자극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톱니파의 출력파형은 저주파 자극기로 인가되어 미세전류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저주파 자극기에 인가된 미세전류는 전도성 장갑으로 전달되어 전도성 장갑에도 미세전류가 인가된다. 저주파 자극기 및 전도성 장갑에 인가된 미세전류는 사용자의 신체, 즉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장갑은 전기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서 저주파 자극기로부터 인가된 미세전류가 인가된다.
여기서, 전기전도성 섬유는 구리나 탄소 등의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를 가는 세선으로 구성하여 얻은 도전사를 섬유사와 섞어서 합사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구리와 아크릴을 이온 결합하여 제조된 섬유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 혈류량 개선을 위한 브래지어, 가슴, 어깨의 혈류량 개선을 위한 런닝 셔츠, 피부미용 실리콘 팩, 생식기의 혈류량 개선을 위한 팬티, 머리의 혈류량 개선을 위한 모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ELF, SLF, ULF, VLF, LF 대역의 주파수 최소 전류량(예를 들어, 각 주파수 대에서 1mA의 전류량)을 사용하여 자극 발생기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해당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결합 또는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도 미세전류를 인체에 전달하거나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된 자극 발생기를 스마트 기기에 연결시켜 신체 구석구석으로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 휴대성이 우수하여 누구나 어디에서나 손쉽게 이 파형을 이용한 미세전류를 인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치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체에 미세전류를 전달하여 최소화된 전기 자극만으로도 마사지, 혈액 순환 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의 치료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 230)의 둘레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오염방지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메타규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타규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주파 자극기(195, 23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0.1 몰 및 메타규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231)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 50중량%,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은 주 화학요소로는 nerol, geraniol, linalol 등을 들 수 있으며 항균, 항박테리아, 방부, 항알러지, 항염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오일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patchoulene, eugenol, carvone 등을 들 수 있으며 살균, 방부, 항울,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전극(231) 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케이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압 변환회로부(170)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전압 변환회로부(17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스마트기기 110: 수신부
120: 송신부 130: 조작부
140: 제어부 150: 표시부
160: 메모리부 170: 전압변환 회로부
180: 전원부 195, 230: 저주파 자극기
190: 자극부 201: 접속단자
231: 전극 233: 신호선
235: 회로 하우징 237: 접속부
239: 커넥터

Claims (4)

  1.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저주파 자극기; 및 상기 저주파 자극기가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공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저전압 저전류 신호를 자극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어부 및 저주파 자극기 각각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의 표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변 환경 온도에 따라 배터리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열전 소자;
    직류-직류 컨버터와 배터리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에 공급되는 씨-레이트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및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 또는 완속 충전 모드를 선택받는 충전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은 충전 모드에 대응하는 충전 시간당 및 충전 용량당 배터리의 온도 및 씨-레이트의 프로파일을 로딩하여, 그 프로파일대로 배터리의 온도 및 씨-레이트를 제어하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둘레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상기 전압 변환회로부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는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2. 삭제
  3. 스마트기기의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공되는 스마트기기의 저주파 자극 패턴 신호에 대응되는 톱니파의 파장을 갖는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저주파 자극기를 구비하며, 상기 저주파 자극의 일단부에는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저주파 자극기는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제공된 저주파 자극 패턴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고/저전압 저전류 신호를 자극 수단으로 공급하는 전압 변환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ELF, SLF, ULF, VLF, LF 대역 주파수의 복수 개의 저주파 자극 패턴을 공급하되, 상기 저주파 자극 패턴은 진동, 마사지, 떨림, 가압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는 저주파 자극 패턴의 시간 또는 강약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저주파 자극기의 둘레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과산화수소 및 메타규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며,
    상기 전압 변환회로부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고,
    상기 전극에는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되,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헬리크라이섬 오일(Helichrysum oil) 50중량%, 패치올리 오일(Patchoul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4. 삭제
KR1020170072317A 2017-06-09 2017-06-09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KR10204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17A KR102048219B1 (ko) 2017-06-09 2017-06-09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PCT/KR2018/006170 WO2018225976A1 (ko) 2017-06-09 2018-05-30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17A KR102048219B1 (ko) 2017-06-09 2017-06-09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14A KR20180134514A (ko) 2018-12-19
KR102048219B1 true KR102048219B1 (ko) 2019-11-25

Family

ID=6456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17A KR102048219B1 (ko) 2017-06-09 2017-06-09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219B1 (ko)
WO (1) WO2018225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003B1 (ko) * 2019-07-11 2021-11-04 국방과학연구소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WO2021100970A1 (ko) * 2019-11-20 2021-05-27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중첩형 미세전류 생체인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465B1 (ko) * 2013-01-11 2013-06-21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193B1 (ko) 2008-12-31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기구에 대한 향상된 제어특성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KR101331595B1 (ko) * 2011-09-23 2013-11-21 주식회사 더블유티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저주파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786B1 (ko) * 2012-05-25 2014-07-14 주식회사 웨이전스 미세전류 치료기의 제어 방법 및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제어 시스템
KR20150069238A (ko) * 2013-12-13 2015-06-23 다울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파수 물리 치료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638238B1 (ko) * 2014-08-21 2016-07-08 (주)휴먼드림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6420B1 (ko) * 2015-08-24 2016-10-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465B1 (ko) * 2013-01-11 2013-06-21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14A (ko) 2018-12-19
WO2018225976A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5032B2 (ja) 注入可能物体を有する無線神経刺激装置
KR100866378B1 (ko) 뇌파를 주요치료정보로 사용하는 저주파 자기물리치료장치
KR101188269B1 (ko) 인체 미세전류의 공급과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팩
CN204543277U (zh) 生物反馈治疗装置及系统
JP2014533525A5 (ja) 経皮的電気神経刺激を使用して痛み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電極配列
US20080195176A1 (en) Raynaud's Conditions
KR101417786B1 (ko) 미세전류 치료기의 제어 방법 및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제어 시스템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KR102048219B1 (ko)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CN105288849B (zh) 一种具有调制模式的植入式神经电刺激系统
KR101216653B1 (ko)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KR20160059416A (ko) 미세전류 컨트롤러 및 이것이 부착된 도전성 시트
CN106621032A (zh) 电刺激器及应用其的刺激方法及电刺激系统
KR102141761B1 (ko)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KR101308364B1 (ko)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101289441B1 (ko) 비대칭 면적 전극패드를 구비한 간섭전류형 저주파 자극기
KR102123082B1 (ko) 전기 자극 장치
TWM541866U (zh) 軟薄膜微電極裝置
CN107261326A (zh) 用于建立电刺激协议的过程以及使用所述协议的各电刺激便携式设备
KR20140146914A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연결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 패드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커넥터 기기
JP2021510328A (ja) 電極パッチ
KR20160073101A (ko)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
KR20190008005A (ko) 저주파 자극 운동기기
KR101786422B1 (ko) 저주파 자극기
KR102134157B1 (ko) 사용자 인지장치가 구비되는 미세전류 치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