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20B1 -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420B1
KR101666420B1 KR1020150118963A KR20150118963A KR101666420B1 KR 101666420 B1 KR101666420 B1 KR 101666420B1 KR 1020150118963 A KR1020150118963 A KR 1020150118963A KR 20150118963 A KR20150118963 A KR 20150118963A KR 101666420 B1 KR101666420 B1 KR 10166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treatment device
urinary incontinence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to KR102015011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61N1/0524Vagi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G06F19/32
    • A61N2001/0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미세 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에 의하여 제어되는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는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자극 발생 유닛(24); 상기 자극 발생 유닛(24)의 작동에 따른 생체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15); 상기 탐지 유닛(15)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 발생 유닛(24)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유닛(34); 및 상기 제어 유닛(34)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12)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34)은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스마트 폰(12)은 웹 서버(13)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An Apparatu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and Dysmenorrhea Controlled by a Smar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미세 전류의 발생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에 의하여 제어되는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배출되는 배뇨 작용의 이상이 발생한 것을 말하며 종양 또는 다른 소모성 질환과 같이 생명 자체에 위협을 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활의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고, 정신적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질병을 말한다. 또한 생리통은 가임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인과적 증상으로 골반 내 특별한 징후 없이 월경 시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1차성 월경통과 골반 내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2차성 월경통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생리통 또는 월경통은 가임기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특별한 증상이 없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1차성 월경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2차성 월경통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요실금은 발생 원인에 따라 약물 요법, 방광 훈련, 골반 저근 운동 또는 수술 요법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고 생리통에 대하여 진통제, 호르몬 치료, 침,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 치료 또는 병리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를 위하여 외과적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외과적 도구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생리통은 진통제에 의하여 증상이 완화되도록 하거나 비약물성 치료 방법으로 침 또는 전기신경 자극 방법이 적용된다.
특허공개번호 10-2004-0108435는 한 쌍의 전극이 외주면에 형성된 긴 원통형 몸체를 가지는 질 삽입용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어셈블리는 상기 전극을 통해 인체에 가해지는 전기 자극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자극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자극 신호 발생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를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리모콘은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극 어셈블리로 전달하여 상기 전극 어셈블리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극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제공개번호 WO 2002/26160는 비처방 요실금 장치의 일반적인 단점을 고려하여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요실금 장치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의료전문가에 의하지 않고서 소비자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요실금 장치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선행기술은 일반적인 사다리꼴을 가지는 탄성 부재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비흡수성 코어 구조체를 포함하고, 코어 구조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자체적으로 절첩되며 코어 구조체는 그 사이에 2 이상의 절첩부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M형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2 이상의 절첩부는 제1 단부에 인접해 있는 제1 절첩부와 제2 단부에 인접해 있는 제2 절첩부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코어 구조체와 접촉하고 제1 절첩부와 제2 절첩부 사이에 위치하는 요실금 치료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요실금 치료 기기는 인체에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요실금 치료 장치에서 원격으로 치료되며 별도의 처방이 없이 치료가 가능한 요실금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통증의 유발이 없으면서 스마트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치료 과정에 관리될 수 있는 치료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04-0108435((주)엠큐브테크놀로지, 2004년12월24일 공개) 요실금 치료를 위한 리모콘형 전기 자극기 선행기술2: WO 2002/026160(KIMBERLY-CLARK WORLDWIDE, INC., 2002년04월04일 공개) 요실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에 작동이 조절되고, 작동 과정이 탐지되는 것에 의하여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는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자극 발생 유닛; 상기 자극 발생 유닛의 작동에 따른 생체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 상기 탐지 유닛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 발생 유닛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 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스마트 폰은 웹 서버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탐지 유닛은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데이터가 갱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에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치료 기기를 상기 스마트폰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치료 기기의 작동이 탐지되는 단계; 상기 치료기기의 작동에 따른 탐지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탐지 정보가 개인의 상태 정보와 비교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작동 데이터의 정상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데이터가 저장되고 작동 결과에 따라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 및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스마트 폰에 의하여 작동이 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리모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치료 과정이 스마트폰 또는 웹 서버에서 관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무선 충전 기능에 의하여 충전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미세전류의 자극에 의하여 생체 활동의 활성화를 통하여 요실금을 비롯한 생리통의 완화 또는 치료가 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의 작동 과정의 연결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가 스마트폰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치료 기기는 인체 내에 흐르는 경우 생리적 활동에 유익한 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1000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내부의 각 기관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흐르는 40~60 ㎂도 일종의 미세전류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전류는 펄스 형태로 발생될 수 있고, 미세전류는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에 의하여 제어 가능한 형태로 인체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체 내부의 생리적 활동에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는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소재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의 소재 또는 형상은 의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의 소재 또는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자극 발생 유닛; 상기 자극 발생 유닛의 작동에 따른 생체 변화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 상기 탐지 유닛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극 발생 유닛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스마트 폰은 웹 서버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의 작동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의 작동 과정의 연결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세전류의 발생이 가능한 치료 기기(11)는 스마트폰(12)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NFC)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치료 기기(11)는 스마트폰(12)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치료 기기(11)의 작동 과정에서 탐지된 정보가 탐지 유닛(15)을 통하여 스마트폰(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치료 기기(11)는 리모컨(14)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기기(11)와 리모컨(14)은 블루투스 연결이 될 수 있고, 리모컨(14)에 의하여 치료 기기(11)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U)는 스마트폰(12)으로 치료 기기(11)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또는 리모컨(14)에 의하여 치료 기기(11)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리모컨(14)에 의하여 치료 기기(11)가 작동된다면, 스마트폰(12)이 치료 기기(11)와 연결되는 경우 리모컨(14)에 의하여 작동되고 있다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폰(12)은 리모컨(14)에 의하여 치료 기기(11)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 위험 강제 종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시간 동안 작동되었거나, 온도 센서, 누설 전류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탐지 유닛(15)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치료 기기(11)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추가로 스마트폰(12)에 의하여 리모컨(14)의 작동 조절이 중단되고, 스마트폰(12)에 치료 기기(1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컨(14)과 스마트폰(12)에 의한 동시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마트폰(12)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U)는 리모컨(14) 또는 스마트폰(1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치료 기기(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치료 기기(11)는 내부에 전력 공급원으로 내장 배터리를 가질 수 있고, 충전 유닛(16)과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유닛(16)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방식 또는 유선 충전 방식이 될 수 있다. 만약 치료 기기(11)가 충전 상태에 있다면, 리모컨(14)에 의한 작동은 중단된다. 치료 기기(11)가 충전 상태에 있는 경우 충전 정보가 스마트폰(12)으로 전송될 수 있고, 충전 수준이 스마트폰(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폰(12)은 치료 기기(11)로부터 충전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리모컨(14)에 대한 작동 잠금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과정에서 리모컨(14)에 의하여 치료 기기(11)가 작동되면 위험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스마트폰(12)에 의한 작동 잠금 설정은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스마트폰(12)은 웹 서버(13)와 연결될 수 있고, 웹 서버(13)로부터 치료 기기(11)의 작동을 위한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12) 또는 치료 기기(11)에 설치될 수 있다. 웹 서버(13)는 치료 기기(11)와 관련된 전용 서버가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U)는 웹 서버(13)의 사용자로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13)에 사용자(U), 치료 기기(11) 및 스마트폰(12)이 등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웹 서버(13)에 사용자(U)에 대한 개인별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개인별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U)에 대한 치료 이력이 저장될 수 있고, 현재 상태에서 적절한 작동 데이터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데이터는 스마트폰(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12)에 설치되면, 스마트폰(12)에 자체적으로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고,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12)은 필요에 따라 웹 서버(13)에 접속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12)에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치료 기기(11)가 스마트폰(12)에 등록될 수 있고, 스마트폰(12)에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U)에 대한 치료 이력이 저장될 수 있고, 치료 기기(11)의 작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작동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작동 설정 데이터는 치료 이력에 따라 갱신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치료 이력이 지속적으로 웹 서버(13)로 전송되고, 웹 서버(13)는 전송된 치료 이력을 개인별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U)에게 적절한 작동 설정 데이터를 결정하여 스마트폰(1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U)는 스마트폰(12)을 통하여 또는 웹 서버(13)에 접속하여 요실금, 생리통 또는 다른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자신의 치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U)는 또한 스마트폰(12)을 통하여 또는 웹 서버(13)에 접속하여 치료와 관련된 전문 상담을 요청하거나, 자신의 상태를 전송하여 치료와 관련된 전문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기기(11)가 스마트폰(12)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또는 웹 서버(13)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U)에 대한 치료 기기(11)의 안전한 사용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치료가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요실금 치료 기기(11)는 자극 발생 유닛(24)이 수용되는 삽입 하우징(21); 및 삽입 하우징(21)의 표면에 배치되어 미세 전류를 인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전극 유닛(22a, 22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하우징(21)의 내부에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자극 발생 유닛(24); 자극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탐지 유닛(15);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26)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삽입 하우징(21)의 둘레 면에 적절한 위치에 감지 전극(23a, 23b)이 배치될 수 있다. 삽입 하우징(21)은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형상 및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극 유닛(22a, 22b)은 삽입 하우징(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에 접촉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극 유닛(22a, 22b)은 삽입 하우징(21)의 외부 둘레 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삽입 하우징(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 유닛(22a, 22b)은 서로 마주보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가능한 인체 접촉 부분이 많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유닛(22a, 22b)은 자극 발생 유닛(24)과 연결될 수 있다.
자극 발생 유닛(24)은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켜 전극 유닛(22a, 22b)에 의하여 미세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발생되는 미세 전류의 크기가 제어될 수 있고, 펄스 발생 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유닛(22a, 22b)에서 전압이 역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크기의 펄스가 정해진 주기로 일정 시간 동안 발생된 이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전압이 역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역전에 의하여 전극 유닛(22a, 22b)에서 전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후 다시 일정한 크기의 펄스가 정해진 주기로 발생될 수 있다.
감지 전극(23a, 23b)은 각각 인체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극 유닛(22a, 22b)과 마찬가지로 삽입 하우징(21)의 둘레 면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 전극(23a, 23b)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먼저 감지 전극(23a, 23b)은 전극 유닛(22a, 22b)을 흐르는 미세전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미세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감지 전극(23a, 23b)을 흐르는 전류는 미세전류의 흐름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감지 전극(23a, 23b)을 통한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사용자는 요실금 치료 기기(11)가 작동 상태에 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감지 전극(23a, 23b)을 통한 전류의 흐름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감지 전극(23a, 23b)은 삽입 하우징(2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치료 기기(11)가 작동되기 전 또는 작동 과정에서 인체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탐지 유닛(15)이 삽입 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탐지 유닛(15)에 의하여 온도, 습도, 누설 전류 또는 압력이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탐지 유닛(15)에 의하여 탐지된 탐지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작동 설정 데이터의 형성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이상 여부 또는 치료 효과의 검증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신체의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삽입 하우징(21)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치료 기기(11)는 배터리(2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배터리(26)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하우징(21)의 아래쪽에 배터리(26)의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탭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6)의 배치, 구조 또는 충전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치료 기기(11)는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작동되는 한편 스위치(SW)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치료 기기(11)의 내부에 제어 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작동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SW)가 작동되는 경우 작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료 기기(11)가 작동될 수 있고, 스마트폰과 연결이 탐지될 수 있다. 만약 스마트폰이 탐지된다면 관련 정보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스마트폰이 탐지되지 않는다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작동되고, 작동에 따른 결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적용된 작동 데이터에 대한 정보, 작동 시간, 작동 과정에서 인체 정보 및 결과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치료 기기(11)가 스마트폰과 연결되면 결과 데이터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인체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인체의 생리 활동에 도움을 주는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요실금 치료 기기(11)의 작동 오류로 인하여 인체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크기의 전류가 일시적으로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과도한 크기의 전류가 일시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전극 유닛(22a, 22b)은 전도 층(221a, 221b)과 신축 층(222a, 2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도 층(221a, 221b)과 신축 층(222a, 222b)에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는 하나의 분배 단자(225a, 225b)를 통하여 자극 발생 유닛(2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전극(23a, 23b)은 독립적으로 자극 발생 유닛(24)에 연결되거나 전극 유닛(22a, 22b)과 유사한 구조로 자극 발생 유닛(24)에 연결될 수 있다. 자극 발생 유닛(24)은 발생 전류 또는 전압 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 층(221a, 221b)은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고, 신축 층(222a, 222b)은 신축성을 가진 절연 소재로 전도 층(221a, 221b)과 접착되어 전도 층(221a, 221b)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흡수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도 층(221a, 221b)은 신축 층(222a, 222b)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축 층(222a, 222b)에 다수 개의 압력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전도 층(221a, 221b)의 서로 다른 부분에 의한 압력이 측정되어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는 전도 층(221a, 221b)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신축 층(222a, 222b)을 관통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와 전도 층(221a, 221b)은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신축 층(222a, 222b)에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전도 층(221a, 221b)이 신축 층(222a, 222b)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전도 층(221a, 221b)에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는 하나의 분배 단자(225a, 225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 단자(225a, 225b)는 자극 발생 유닛(24)에 연결될 수 있다. 1 전도 층(221a)에 다수 개의 1 연결 단자(223a)가 형성되고, 1 전도 층(221a)과 연결된 다수 개의 1 연결 단자(223a)는 1 분배 단자(225a)를 통하여 자극 발생 유닛(2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2 전도 층(221b)에 연결된 다수 개의 2 연결 단자(223b)는 2 분배 단자(225b)를 통하여 자극 발생 유닛(24)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분배 단자(225a, 225b)와 다수 개의 연결 단자(223a, 223b)에 의하여 전도 층(221a, 221b)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도 층(221a, 221b)의 특정 부위에 전하가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신축 층(222a, 222b)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도 층(221a, 221b)에 의하여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되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감지 전극(23a, 23b)은 독립적으로 자극 발생 유닛(24)과 연결될 수 있고, 감지 전극(23a, 23b)에 의한 펄스 발생 주기 또는 펄스 크기는 미리 결정되거나 스마트폰 또는 리모컨 유닛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감지 전극(23a, 23b)은 전극 유닛(22a, 22b)과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하나의 연결 단자(223)가 직접 자극 발생 유닛(24)과 연결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극 유닛(22a, 22b) 또는 감지 전극(23a, 23b)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11)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료 기기(11)에 전극 유닛(22)을 비롯한 다양한 탐지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유닛은 작동 온도의 탐지를 위한 온도 센서(311), 전극 유닛(22)에 의하여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312) 및 습도의 측정을 위한 습도 유닛(31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탐지 유닛은 누설 전류 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11), 압력 센서(312) 및 습도 센서(313)에서 탐지된 탐지 정보는 주기적으로 정보 분류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분류 유닛(32)은 작동 데이터베이스(33a)에 저장된 값을 기초로 탐지 정보의 이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데이터베이스(33a)에 요실금 치료 기기가 작동되어야 하는 안전 범위가 저장된다. 정보 분류 유닛(32)은 각각의 탐지 정보를 작동 데이터베이스(33a)에 저장된 안전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분류 유닛(32)은 탐지된 정보를 제어 유닛(3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분류 유닛(32) 및 작동 데이터베이스(33a)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또한 설정 데이터베이스(33b)가 스마트폰에 생성될 수 있다. 탐지 정보가 정보 분류 유닛(32)을 경유하여 제어 유닛(34)으로 전송되면 제어 유닛(34)은 이를 관리 데이터베이스(35)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35)에 치료 이력 및 개인에 대한 위험 요소와 같은 것이 저장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35)는 제어 유닛(34)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상태에서 치료 기기의 작동에 적합한 작동 상태를 설정하여 제어 유닛(34)으로 피드백을 한다. 그리고 설정 데이터베이스(33b)에 의하여 설정 데이터가 생성되어 작동 데이터베이스(33a)로 전송되면 작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데이터에 의하여 치료 기기가 작동될 수 있다. 작동 데이터베이스(33a)에 작동 데이터를 비롯하여 현재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고, 설정 데이터베이스(33b)에 다수 개의 설정 데이터 및 각각의 설정 데이터에 따른 작동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작동 데이터베이스(33a)와 설정 데이터베이스(33b)는 하나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저장 매체(36)로 치료 이력과 새로운 설정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36)에 저장된 치료 이력 및 설정 데이터가 웹 서버(13)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웹 서버(13)는 개인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에 대한 관리를 위한 서버가 될 수 있고, 웹 서버(13)에 개인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인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웹 서버(13)는 개인에게 적합한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방법 또는 치료 기기의 작동 방법을 관리 데이터베이스(35)로 전송할 수 있다.
치료 기기(11)의 작동이 완료되면, 작동 이력이 제어 유닛(34)을 경유하여 관리 데이터베이스(35)로 저장되어 저장 매체(36)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적절한 시각에 작동 이력이 웹 서버(13)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11)가 스마트폰(12)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료 기기는 전체적으로 곡면의 둘레 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이 될 수 있고, 아래쪽 부분에 스토퍼의 기능을 가지는 손잡이(211)가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촉 압력 탐지 유닛(CP)이 설치될 수 있다. 접촉 탐지 유닛(CP)은 치료 기기(11) 내부의 압력을 탐지하면서 전극 유닛의 인체에 접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접촉 압력 탐지 유닛(CP)은 전극 유닛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접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극 유닛의 상하 이동은 예를 들어 공기 주입 방식 또는 자극 생성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스마트폰(12)에 제어 화면이 생성될 수 있고, 제어 화면은 터치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 화면(41)은 예를 들어 브라우저 형태로 생성되고, 숨김 또는 백-그라운드로 작동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 화면(41)은 작동 스위치(ON, OFF)(412), 자극 설정 슬라이더(42), 자극 크기 표시 버튼(414) 및 작동 상태 창(4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 화면(41)의 아래쪽에 작동 수준 표시 바(44)가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상태 창(43)에 작동 잔여 표시(431), 압력 변화 주기(432) 및 압력 표시 라벨(433)이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잔여 표시(431)에 설정된 시간에 대한 잔여 작동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압력 변화 주기(432)는 전극 유닛의 작동에 따라 접촉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10초 또는 20초의 주기로 전극 유닛이 상하로 이동되어 접촉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변화에 의하여 근육 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유닛에 의하여 작동되는 최대 압력 및 최소 압력이 압력 표시 라벨(433)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수준 표시 바(44)는 치료 기기(11)가 하루에 작동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 작동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작동 결과는 웹 서버(13)의 개인 관리 데이터(46)에 저장될 수 있다. 개인 관리 데이터(46)에 저장된 데이터는 개인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전문 자료와 비교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이상 상태가 발견되는 경우 스마트폰(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화면(41)은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스마트폰에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P51): 상기 치료 기기를 상기 스마트폰에 등록하는 단계(P52); 상기 스마트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P53);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P54);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치료 기기의 작동이 탐지되는 단계(P55); 상기 치료기기의 작동에 따른 탐지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P56); 상기 탐지 정보가 개인의 상태 정보와 비교되는 단계(P57);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작동 데이터의 정상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571); 및 상기 작동 데이터가 저장되고(P58), 작동 결과에 따라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 및 저장되는 단계(P5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치료 기기의 작동 상태 및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체 정보를 수신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 기기는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감지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미세 전류는 1000 ㎂보다 작은 크기의 인체 활동을 자극하기 위한 펄스 형태의 전류를 말하고, 감지 전류는 미세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거나 상대적으로 크도록 간헐적으로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추가로 치료 기기는 작동 과정에서 전극 유닛에 의한 인체 접촉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인체 접촉 압력은 예를 들어 여성의 질 내부에 대한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전극 유닛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치료 기기의 작동은 이와 같은 펄스 형태의 미세 전류의 발생, 자극 전류의 발생 또는 접촉 압력의 변화를 포함한다.
치료 기기의 제어를 위하여 웹 서버로부터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되어 스마트폰에 설치될 수 있다(P51). 치료 기기와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 wi-fi 통신 또는 다른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스마트폰에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치료 기기가 스마트폰에 등록될 수 있다(P52). 치료 기기는 고유 번호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등록될 수 있고, 이후 고유 번호는 사용자와 연결되면서 치료 기기의 탐지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스마트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P53).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인체 정보 또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체 온도의 변화와 같은 것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치료 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치료 기기의 작동을 위한 작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P54). 그리고 생성된 작동 데이터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작동 데이터는 미세전류의 펄스 크기, 발생 주기, 전극 유닛의 압력, 자극 전류의 크기, 자극 전류의 발생 시각, 전극 유닛의 압력 변화 또는 치료 기기 전체의 작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되면, 스마트폰에 의하여 치료 기기가 작동되거나 치료 기기가 작동 개시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스마트폰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P55). 스마트폰에 의하여 치료 기기가 작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P551), 만약 작동 상태가 아니라면(NO), 작동 개시 신호가 탐지될 수 있다(P55). 이에 비하여 치료 기기가 작동 상태에 있다면(YES),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습도 센서와 같은 탐지 유닛에 의한 탐지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P56). 그리고 현재 작동 과정에 있는 작동 데이터와 탐지 정보에 따른 상태 정보가 비교될 수 있다(P57). 탐지 정보에 따른 인체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 또는 작동 데이터에 따른 인체 상태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작동 데이터에 따른 설정과 탐지 정보가 비교될 수 있다(P57). 그리고 현재 작동 데이터에 따른 탐지 정보의 결과가 정상 상태의 범위에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571). 만약 정상 상태가 아니라면(NO), 작동 데이터가 갱신되거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P572). 그리고 갱신된 작동 데이터에 따른 작동 결과가 다시 탐지될 수 있다(P56). 이에 비하여 정상 상태라면(YES), 정해진 시간 동안 치료 기기가 작동될 수 있고, 차후 작동을 위하여 작동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P58). 그리고 작동 결과에 따라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갱신이 되고 저장될 수 있다(P59).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치료 기기의 작동 과정이 제어되고, 이와 동시에 인체 정보가 수집되면서 적절한 작동 상태가 결정되는 것에 의하여 요실금 또는 생리통이 효과적으로 치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스마트 폰에 의하여 작동이 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리모컨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치료 과정이 스마트폰 또는 웹 서버에서 관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무선 충전 기능에 의하여 충전이 간단해지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기기는 미세전류의 자극에 의하여 생체 활동의 활성화를 통하여 요실금을 비롯한 생리통의 완화 또는 치료가 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치료 기기 12: 스마트폰
13: 웹 서버 14: 리모컨
15: 탐지 유닛 16: 충전 유닛
21: 삽입 하우징 22a, 22b: 전극 유닛
23a, 23b: 감지 전극 24: 자극 발생 유닛
26: 배터리 32: 정보 분류 유닛
33a: 작동 데이터베이스 33b: 설정 데이터베이스
34: 제어 유닛 35: 관리 데이터베이스
36: 저장 매체 41: 제어 화면
42: 자극 설정 슬라이더 43: 작동 상태 창
44: 작동 수준 표시 바 46: 개인 관리 데이터
211: 손잡이 221a: 1 전도 층
221b: 2 전도 층 222a, 222b: 신축 층
223a: 1 연결 단자 223b: 2 연결 단자
225a: 1 분배 단자 225b: 2 분배 단자
311: 온도 센서 312: 압력 센서
313: 습도 센서 412: 작동 스위치
414: 자극 크기 표시 버튼 431: 작동 잔여 표시
432: 압력 변화 주기 433: 압력 표시 레벨
CP: 접촉 압력 탐지 유닛 SW: 스위치
U: 사용자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치료 기기를 상기 스마트폰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작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치료 기기의 작동이 탐지되는 단계;
    상기 치료기기의 작동에 따른 탐지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탐지 정보가 개인의 상태 정보와 비교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작동 데이터의 정상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데이터가 저장되고 그리고 작동 결과에 따라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갱신 및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50118963A 2015-08-24 2015-08-24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KR10166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63A KR101666420B1 (ko) 2015-08-24 2015-08-24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963A KR101666420B1 (ko) 2015-08-24 2015-08-24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420B1 true KR101666420B1 (ko) 2016-10-14

Family

ID=5715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963A KR101666420B1 (ko) 2015-08-24 2015-08-24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76A1 (ko) * 2017-06-09 2018-12-13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19A (ko) 2002-05-13 2003-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40069041A (ko) * 2003-01-28 2004-08-04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신경/근육 치료 기기
KR20040108435A (ko) 2003-06-17 2004-12-24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요실금 치료를 위한 리모콘형 전기 자극기
KR20050025535A (ko) * 2003-10-08 2005-03-14 주식회사 헬스피아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KR20130131900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웨이전스 미세전류 치료기의 제어 방법 및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제어 시스템
KR101350234B1 (ko) * 2012-03-16 2014-01-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19A (ko) 2002-05-13 2003-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40069041A (ko) * 2003-01-28 2004-08-04 주식회사 헬스피아 휴대용 신경/근육 치료 기기
KR20040108435A (ko) 2003-06-17 2004-12-24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요실금 치료를 위한 리모콘형 전기 자극기
KR20050025535A (ko) * 2003-10-08 2005-03-14 주식회사 헬스피아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KR101350234B1 (ko) * 2012-03-16 2014-01-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장치
KR20130131900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웨이전스 미세전류 치료기의 제어 방법 및 미세전류 치료를 위한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76A1 (ko) * 2017-06-09 2018-12-13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94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valuating lead placement based on patient physiological responses
US10045764B2 (en) Minimally invasive implantable neurostimulation system
US11116986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test stimulation
JP6805153B2 (ja) 患者遠隔装置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神経刺激システムとの使用の方法
EP3285867B1 (en) Managing recharge powe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EP2806946B1 (en) Managing recharge power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O2013065331A1 (ja) 電気刺激装置及び電気刺激装置システム
JP2010512827A (ja) 電気治療装置
KR101350234B1 (ko)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미세전류 치료 장치
CN111787889B (zh) 热垫和/或冷垫
EP3403688A1 (en) System for performing long duration pulse width stimulation without uncomfortable rib stimulation
CN114173861A (zh) 用于干眼症治疗的放置在眼睑下的治疗设备以及相关系统、设备和方法
KR101863005B1 (ko) 의료용 다기능 쿠션
KR101643191B1 (ko) 사용자 편리성의 향상을 위한 무선 충전 방식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66420B1 (ko)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KR200466616Y1 (ko) 저주파 자극을 이용한 오심 및 구토 제어장치
KR101742999B1 (ko) 웹 기반 관리 구조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웹 기반 건강 강화 운동 관리를 위한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
KR20200082050A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KR20170134304A (ko) 애플리케이션 작동 구조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70023613A (ko) 애플리케이션 작동 구조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치료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72938B1 (ko) 요실금 및 생리통 치료를 위한 인지 방식의 미세전류 자극 장치
JP7445090B2 (ja) 女性の骨盤痛を治療するための膣内電気刺激装置
US20240050748A1 (en) Intravagi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Treating Female Pelvic Pain
US20240131334A1 (en) Ocular devices and controller interfaces for ocular therapy
WO2023133487A1 (en) Simplifed user interface for medical re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