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535A -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 Google Patents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535A
KR20050025535A KR1020030069943A KR20030069943A KR20050025535A KR 20050025535 A KR20050025535 A KR 20050025535A KR 1020030069943 A KR1020030069943 A KR 1020030069943A KR 20030069943 A KR20030069943 A KR 20030069943A KR 20050025535 A KR20050025535 A KR 2005002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main body
communication unit
module
prob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673B1 (ko
Inventor
이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to KR1020030069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6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8Apparatus for applying thermo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및 상기 치료용 프로브를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치료용 프로브 모듈 및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사용하는 휴대용 치료기기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의료 기기{MEDICAL PROBE MODULE, PORTABLE UNIT FOR MEDICAL TREATING USING THE MEDICAL PROBE MODULE}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및 상기 치료용 프로브를 사용하는 치료기기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치료용 프로브 모듈 및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사용하는 휴대용 치료기기와 관련된 것이다.
이동 통신단말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에 추가적인 옵션 회로를 내장시키는 아이디어가 제시되어 왔다. 1997. 10. 14. 자 간행된 일본 특개평 제9-270836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에 내장된 라디오 회로로 구현된 부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김태진 등에 의해 출원되어 2001. 3. 15.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9664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에 MP3 코덱과 플래시 메모리 모듈을 내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제어하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배터리 팩에 부가 기능을 내장할 경우 단말기 본체의 하드웨어적인 변경 없이 쉽게 많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바 있다. 그리고 치료나 진단기능 중에는 피부 미용이나 생체 임피던스를 통한 체지방 측정과 같이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치료와 데이터수집이 중요하다는데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어 저주파 치료, 초음파 미용 치료, 생체 임피던스 측정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장치를 2002.9.3.자로 특허출원 제2002-53004호, 2002-52996호, 2002-52995호, 2002-52994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 장치들은 배터리 팩 내에 필요한 프로브들과 관련 구동회로를 내장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와 통신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배터리 팩 내의 회로를 제어하여 전술한 부가 기능을 지원한다.
본 출원인은 이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부담감을 최소화 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한 신경/근육 치료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합시키기 위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구현 방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연구해 왔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배터리 팩에 추가회로를 포함시켜 기존의 단말기 하드웨어를 최소한으로 변경하면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연구해 왔다.
한편, 현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예:환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게 직접 의료 치료나 의료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적으로 신체의 현 상태를 관찰하고자 하는 요구가 커져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경/근육 치료법은 골반신경을 포함한 손상된 신경의 재생과 불감증, 성기능 장애, 요실금, 통증완화, 변비, 변실금 치료외에도 재활 치료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근육 치료법에는, 먼저 전기자극법이 있는데, 신경의 손상등으로 더 이상 자위적으로 운동기능을 제어하지 못하는 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운동을 유발하고 운동을 복원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전기자극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특정한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기능적 전기자극법(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이 있다. 또한 단순히 근육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반복하는 치료적 전기자극법이 있다.
또한, 인체의 해당 신경/근육에 전극을 접촉시키고, 이 전극에서 유기되는 전압 신호를 감지하며, 근전도(EMG, Electromyograph)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화면 표시하여,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고 환자의 훈련 의지를 강하게도 하는 생체 궤환법(Bio Feedback)이 있다.
상술한 신경/근육 치료에 있어서, 인체의 해당 신경/근육에 접촉되어 전기신호를 방사하거나 유기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이 필요한데, 여성의 질이나 엉덩이에 구비되는 괄약근등과 같은 체강(Body Cavity)에 전극을 삽입하는 차료 방식과, 표피에 전극을 부착하는 치료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한편, 이러한 신경/근육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구성의 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034호에는 종래의 신경/근육 치료에 사용되는 장비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해당 부위에 접촉되는 치료용 프로브부(101)(상기 도 1의 예에서는 질삽입형태와 항문삽입형태인 체강삽입용 전극)와, 자극신호 발생 회로부,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부, 자극패턴 신호와 근전도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신호 처리부, 전기자극 동작과 근전도 측정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이상 도시하지 않음), 사용자 조작부 및 화면표시부(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비하는 제어장비(105)와, 치료용 프로브부(101)와 제어장비(105)간을 연결하는 케이블(103)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비(105)와 치료용 프로브부(101)가 유선의 케이블(103)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이다. 이로인해, 시술자등(의사, 간호사)과 함께 실내(예:병실)에서 신경/근육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가 없어 매우 불편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0305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1926호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제어 장치를 두지 않고 있으며 단일의 휴대장치내에 전극부, 회로부, 조작부, 제어부등이 모두 구비되어 있어서, 환자의 활동성을 보장하여 주는 휴대형태의 전기 자극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먼저, 단일의 하우징내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모두 내장되어야 하므로, 그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체강 삽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장치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휴대장치 하우징 전체가 인체의 질이나 항문에 삽입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사용자 조작부가 단일의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형태이므로,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체강내에서 휴대장치를 꺼내어 조작해야 하므로,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똑같은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생체 궤환 치료에는 더욱더 활용될 수가 없다. 생체 궤환 치료에 의하면 신호처리된 근전도 측정 결과가 화면에 표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근전도 측정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구성들이 휴대장치내에 모두 구비되어야 한다면 휴대장치의 사이즈는 더욱더 커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 10-0328483호에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가 기기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하여, 휴대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요실금 치료 장치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보의 구성에서는 상기 도 2a의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를 상기 도 2b와 같이 기기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합체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a)와 상기 기기 본체와 분리되는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를 두고 각 근전도 신호 처리부는 선택적으로 케이블을 통해서 전극과 연결 시키는 것이다. 또한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는 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 예를 들어, 벨트로 허리에 고정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환자가 요실금 치료를 받고 있는 동안에도 충분히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먼저, 전극과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전극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체강내에서 나오게 되어 미관상이나 느낌상 좋지 않으며,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를 허리에 차는 등과 같이 별도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환자가 전극 치료를 하기 전과 같은 똑같은 생활을 영위할 수는 없어 여전히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공보에서는 기기 본체까지도 휴대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보의 전기치료 장치의 기기 본체는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034호와 같은 타입으로서, 전기자극 및 근전도 측정을 위한 조작, 제어, 화면 표시를 위해서는 휴대용이 아닌 병원등에서 사용하는 큰 사이즈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비록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근전도 측정 결과를 기기 본체가 있는 곳으로 가야만 확인할 수가 있으며, 또한 조작할 수 있었다. 또한 기기 본체와 분리형 근전도 신호 처리부(210b)의 통신 가능 범위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환자는 기기 본체와 멀리 떨어진 곳까지는 활동할 수가 없게 된다.
다른 한편, 본 출원인은 이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전립선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부담감을 최소화 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을 추구하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전립선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연구해 왔다.
구체적으로, 본원 출원인은, 전립선 프로브 모듈을 본체(예: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하고 서로 간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과, 필요에 따라서는 배터리팩에 추가회로를 내장시켜 기존의 하드웨어를 최소한으로 변경하는 방안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전립선 치료 패턴 정보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해 왔다.
주지하다시피, 전립선이라 함은, 고환과 함께 생식을 가능하게 하는 성 부속 기관 중의 하나로, 정액의 액체 성분중 약 35% 정도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립선액은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며, 사정된 정액을 굳지 않게 하여 정자의 운동성을 증진시켜 정자의 수정 능력을 높여 주는 것이다.
또한 전립선액은 알카리성이므로 나팔관의 강산성을 중화시켜 정자가 안전하게 나팔관을 지나 난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준다. 전립선은 남자의 방광 바로 밑에 있는 밤톨만한 부드러운 조직으로 전립선의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사이로 요도가 지나가므로 전립선에 이상이 생기면 배뇨에도 이상이 있고 또한 성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전립선 질환으로는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염, 전립선 암 등이 있다. 이때, 전립선 비대증은 지방 성분이 전립선 조직에 축척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중년 이후의 남자들에게 소변보는 것을 어렵게 하고 여러 가지 비뇨기과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왔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제까지의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온열 치료법, 주사 치료법, 물리 치료 요법 등 3가지를 들 수 있다.
전립선 온열 치료법은, 일정범위의 열(약 36~45도)을 전립선 부위내로 조사하여 열을 발생시켜 치료하는 방법이다. 즉, 정상세포는 45도 전후하여 세포가 사멸하는데 반하여 종양세포는 열에 민감하여 이보다 더 낮은 온도인 42.5도 정도에서 사멸한다. 그러므로, 온도를 42.5도와 45도 사이로 유지하면 정상세포는 살릴 수 있고 종양세포는 죽일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치료에 주로 이용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세균성 전립선염에도 증상을 호전 시키기 위해 병행 하기도 한다.
원칙적으로 비세균성 전립선염의 치료에 사용하지만 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에도 증상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섭씨 43도의 온도에서 60분간의 치료를 1세션으로 모두 5~6 세션 치료하면 66%의 환자가 증상의 호전을 보이고 77%의 환자가 전립선액 백혈구 숫자의 감소를 나타낼 만큼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
한편, 이러한 전립선 온열 치료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치료용 온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열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1197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30795호에서는 환자의 항문에 삽입되는 원봉형 본체에, 규소강코아와 코일로 구성되어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 전자석조립체를 내장시키는 기술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4854호에는 압전소자와 금속 매체인 프로브와의 마찰에 의한 열 발생을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립선 치료 장치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콘트롤부(401)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405)가 유선 케이블(403)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이다. 이로인해, 시술자등(의사, 간호사)과 함께 실내(예:병실)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환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구체적인 문제점을 다른 관점에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전립선 치료 기기에 의하면, 종래에는 전립선 치료가 병원에서만 이루어 져야 하며, 가정에서 전립선 치료를 한다고 하여도 실내에서만 사용될 수가 있다. 따라서, 환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같이 똑같은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가 없다.
또한, 유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미관상이나 느낌상 좋지 않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담당 의사에게 치료를 직접 치료를 받지 않는 이상,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전립선 치료를 받을 수가 없다.
다른 한편, 휴대용 제어장비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용 제어장비간에 케이블 연결이 필요없는 체강 삽입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한 자가, 실내/외에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똑같이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은 제품 경쟁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체강 삽입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두는 것은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또한, 본원 출원인은 생리용 탐폰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액 흡수체가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팽창되는 성질을 체강 삽입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체액 흡수부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적용되는 경우에,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내에 삽입되면, 체액 흡수부는 인체의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생리용 탐폰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체액 흡수체는 면이나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스계 섬유등으로 제조 가능하며, 체액이 흡수된 후에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1회용이다.
따라서, 체액 흡수체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은 체액 흡수체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착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게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부담감을 최소화 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한 휴대용 치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최소로 변경하면서 경제적으로 휴대용 치료 기기를 구현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본체(예:이동통신 단말기)와 분리하고 서로 간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치료를 위한 구성을 내장시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하드웨어를 최소한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존의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 정보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용 제어장비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용 제어장비간에 케이블 연결이 필요없는 체강 삽입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한 자가, 실내/외에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와 똑같이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체액 흡수체가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을 체강 삽입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체액 흡수체가 체액이 흡수된 후에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어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고려하여, 체액 흡수부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온열치료와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전극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의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근전도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압력 측정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 측정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치료용 온열을 발생시키는 데에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전립선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등과 같은 무선 통신부가 구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체의 역할을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의료 기기가 통합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컨넥터에 연결되는 외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통신 컨넥터, 예컨대 직렬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본체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와 압력 측정 결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와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해 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전극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전극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기자극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기자극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팩이,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송신하는 팩 제어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근전도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근전도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근전도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압력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체강내의 압력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압력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치료용 온열 발생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온열 발생을 통한 전립선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압력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팩이,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전립선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와 압력 측정 결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와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및/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전립선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가능해 진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530)와, 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5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530)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로 직접 해당 동작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팩(52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530)로부터 동작 명령을 받아,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로 해당 동작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은, 첫째, 전기자극 치료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둘째, 근전도 측정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셋째, 체강의 압력 측정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네째, 전립선 치료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은 상기 네 개의 기능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합쳐진 형태로 구현되어 치료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은 전기자극과 근전도 측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이 합쳐진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도 10, 도 12 참조).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은 전기자극과 전립선 온열 치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이 합쳐진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이하에서는 이러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510)의 외형적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은,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601a);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603a);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605a)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은 인체의 체강(항문이나 여성의 질) 삽입용으로서, 본체등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의 내부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은, 통상의 치료용 프로브와 마찬가지로, 원봉형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체강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 외주면에 이탈 방지 돌출부(605a)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은, 통상의 치료용 프로브와 마찬가지로, 전기자극이나 근전도 측정을 위해 본체 외주면에 도전 성질의 전극(601a)이 마련된다. 전기자극 치료용이나 근전도 측정용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은, 통상의 치료용 프로브와 마찬가지로, 본체가 비도전 성질의 본체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a)의 외주면에는 부착부(603a)가 형성되는데, 부착부(603a)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된다. 체액 흡수부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부(603a)는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홈으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부착부(603a)는 홈이 아니라 체액 흡수부가 부착되는 위치만을 표시하는 예컨대, 본체 외주면의 해당 부위를 특정 색깔로 처리하여 체액 흡수부가 부착되는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603a)의 표면은 체액 흡수부의 대면되는 부위에 부착이 잘 되도록 접착 성질로 물질이 도포될 수가 있다. 또한, 부착부(603a)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옷이나 가방등에서 단추 대용으로 사용되는 매직 테이프(일명 "찍찍이 단추")의 루프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체액 흡수부의 대면되는 부위는 후크로 형성되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싱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b)은,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603b);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605b);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b)은 인체의 체강(항문이나 여성의 질) 삽입용으로서, 본체등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b)의 내부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b)은, 통상의 치료용 프로브와 마찬가지로, 원봉형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체강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 외주면에 이탈 방지 돌출부(605b)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610b)의 외주면에는 부착부(603b)가 형성되는데, 부착부(603b)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된다. 체액 흡수부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부(603b)는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홈으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부착부(603b)는 홈이 아니라 체액 흡수부가 부착되는 위치만을 표시하는 예컨대, 본체 외주면의 해당 부위를 특정 색깔로 처리하여 체액 흡수부가 부착되는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603b)의 표면은 체액 흡수부의 대면되는 부위에 부착이 잘 되도록 접착 성질로 물질이 도포될 수가 있다. 또한, 부착부(603b)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옷이나 가방등에서 단추 대용으로 사용되는 매직 테이프(일명 "찍찍이 단추")의 루프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런 경우, 체액 흡수부의 대면되는 부위는 후크로 형성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를 도시한 일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부(700a, 700b)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액 흡수부(700a, 700b)는 생리용 탐폰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체액 흡수체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체액 흡수부는 면이나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스계 섬유로부터 제조 가능한 흡수성 섬유소재(701a)와, 다공성 기재를 가지는 직포, 부직포로부터 제조 가능한 액체 투과성 커버(703a)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참조부호 705a는 부착면으로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부착부 표면에 대응되는 부위이다. 부착면(705a)의 표면은 접착 성질의 물질로 도포될 수 있으며, 매직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러한 체액 흡수부(700a)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부착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내에 삽입되면, 체액 흡수부(700a)는 인체의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주지하다시피, 체액 흡수부(700a)는 면이나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스계 섬유등으로 제조 가능하며, 체액이 흡수된 후에는 재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1회용이다.
따라서, 체액 흡수부(700a)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액 흡수부(700a)에 부착면(705a)을 두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체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편의성, 사용성을 증진 시킬 수가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를 도시한 다른 예이다.
상기 도 7a와 마찬가지로, 체액 흡수부(700b)에는 부착면(705b)이 마련된다. 상기 도 7b에서는 체액 흡수부(700b)의 외관을 고려하여 흡수성 섬유소재(도시하지 않음)가 보이지 않도록 양단을 처리한 것이다.
도 8a는 상기 도 6a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체액 흡수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상기 도 6b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체액 흡수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a에서는 부착부(903)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부착부(903)가 원봉형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 본체의 외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905는 이탈방지 돌출부를 의미하고, 참조부호 901은 전극을 의미한다.
도 9b는 상기 도 9a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910)에 체액 흡수부(900)가 부착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일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은,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1012)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012)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012)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1006);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전극(1001)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 프로브 제어부(1006) 및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는 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 구비되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블루투스 통신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의 CDMA 통신을 통해 근거리(대략 10m 이내) 장치들간의 점대점 및 다중점 연결을 지원한다. 전송 속도는 1 Mbps까지 가능하며 데이터의 전송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링크와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에서 지원하는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 중의 하나, 예를 들면 랜엑세스 프로파일이나 또는 CT 프로파일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무선 링크를 구현할 수 있다. 블루투쓰 모듈은 본 발명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충분히 상용화되고 발전하여 현재는 매우 소형의 휴대용 기기에 적합할 정도로 소형 모듈로 제공되고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통신 링크로 채택할 경우 전자파 장해에 의한 의료기기간의 데이터에러의 확률을 최소로 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 가전기기들에 널리 보급될 것으로 보이는 블루투스 모듈을 채택함으로써 타 기기들간의 접속이 더욱 용이해진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715)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팩 제어부(717)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은 외부의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1012)(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30)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모듈(101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프로브 제어부(1006)는 상기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012)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로 전달한다. 물리적으로는 프로브 제어부(1006)는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과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는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전극(1001)으로 인가한다.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는 D/A 변환기, 이득 제어기, 잡음 필터, 증폭기 및 변압기등의 소자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자극신호 발생회로(1002)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극(1001)은 체강의 해당 부위(예컨대 괄약근등)에 접촉되어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체에 전원을 유지할 수 있는 배터리, 예를 들면 충전 가능한 2차전지나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수동 전원 스위치나 아니면 프로브 제어부(1006)와 통합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블루투스 모듈(1008)을 통한 외부 액세스를 감시하여 사용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자체 전력 모드를 전환시켜 소모 전력이 최소로 되도록 장치 각 부품들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서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은,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1012)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1012)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012)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1006);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전극(1001)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1006)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1004);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 프로브 제어부(1006) 및 근전도신호 검출회로(100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 구비되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은 외부의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1012)(상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30)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모듈(101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전도 신호 검출회로(1004)는 전극(1001)에 의해 감지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프로브 제어부(1006)에 전달한다. 근전도 신호 검출회로(1004)는 전극(1001)을 통해 인가되는 근전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대해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필터와, 잡음이 제거된 근전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등의 소자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가 있다. 이러한 근전도 신호 검출회로(1004)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브 제어부(1006)는 상기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012)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회로(1004)의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근전도 신호 검출회로(1004)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근전도 신호 검출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008)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012)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근전도 신호 검출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다른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것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은,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1112)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1112)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측정 동작을 제어하며, 측정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112)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1106);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1106)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1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 프로브 제어부(1106) 및 압력센서(1102)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에 구비되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108)은 외부의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1112)(상기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130)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모듈(111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압력센서(1102)는 상기 압력 검출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압을 검출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브 제어부(1106)로 전달한다. 여기서 검출되는 압력에 의해 질이나 항문의 근육 수축 정도를 알 수가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1102)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브 제어부(1106)는 상기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012)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센서(1102)의 압력 측정 동작을 제어하며, 압력센서(1102)로부터 전달되는 압력 측정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112)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에는 압력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서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은,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1112)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1112)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1106);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1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 프로브 제어부(1106) 및 온열 발생부(110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에 구비되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듈측 무선 통신부(1108)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108)은 외부의 대응되는 블루투스 모듈(1112)(상기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130)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모듈(111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온열 발생부(1104)는 상기 프로브 제어부(1106)의 동작 지시에 따라서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 시킨다. 전립선 치료 기기의 기술분야에서 치료용 온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회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온열 발생부(1104)는 전압발생회로와 온열 발생 소자로 구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온열 발생 소자는 전기저항열선 또는 전자석 조립체 또는 압전소자가 될 수 있다.
프로브 제어부(1106)는 상기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로부터 상기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012)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온열 발생부(1104)의 전립선 치료용 온열 발생 동작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에는 전립선 온열 발생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자극신호 발생 기능과 근전도 신호 측정 기능이 함께 구비될 수가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생체 궤환 치료와 전기 자극 치료를 동시에 할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자극신호 발생 기능과 압력 측정 기능이 함께 구비될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에는 자극신호 발생 기능과 전립선 온열 치료 기능이 함께 구비될 수가 있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전립선 치료를 위해 온열 치료와 전기자극 치료를 병합하여 사용하면, 종래와 같이 단독으로 온열치료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치료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으며, 일시적으로 전립선 치료가 되더라도 재발이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특히 통증을 완화 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치료 기기가,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30)는 사용자 조작부(1024); 표시부(1026);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 및 상기 표시부(10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10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10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30)에 구비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무선 통신부(1012)를 블로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012)는 대응되는 외부의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체 제어부(1014)는 표시부(10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조작부(10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0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0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본체 제어부(10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1030)가,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10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극 패턴 처리부(1016)는 전기 자극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펄스파인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가 있으며, 사인파인 경우에도 전파, 반파등과 같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자극 패턴 처리부(1016)는 전류 펄스나 전압 펄스를 저장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자극 패턴 처리부(1016)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업계에서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30)는, 사용자 조작부(1024); 표시부(1026);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 상기 표시부(10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10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 상기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1026)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1014);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10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부터의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처리부(10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012)는 대응되는 외부의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008)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체 제어부(1014)는 표시부(10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조작부(10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0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0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본체 제어부(10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근전도 신호처리부(101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예:그래프,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근전도 신호처리부(1018)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상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130)는, 사용자 조작부(1124); 표시부(1126);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1112); 상기 표시부(11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11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11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압력 측정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1114);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11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 측정 처리부(1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112)는 대응되는 외부의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108)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체 제어부(1114)는 표시부(11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조작부(11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1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1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본체 제어부(11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압력 측정 처리부(1116)는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11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압력 측정 처리부(1116)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업계에서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상기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130)는, 사용자 조작부(1124); 표시부(1126);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1112); 상기 표시부(11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11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11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1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112)는 대응되는 외부의 모듈측 블루투스 모듈(1108)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체 제어부(1114)는 표시부(1126)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 조작부(112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1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110)로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본체측 블루투스 모듈(11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본체 제어부(11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적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1130)가,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1114)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1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이란 전립선 환부의 각 케이스별로 최적의 온열의 온도, 온열의 지속시간등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전립선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휴대용 치료기기의 본체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가 있다. 개선된 CDMA 직접회로, 예를 들면 퀄컴사의 MSN 계열 칩들은 자체에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외부 버스 또는 시리얼 통신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체 제어부(1014, 1114)에 의해 수행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치료(전기자극 치료, 근전도 측정, 압력 측정, 전립선 온열치료등)와 관련한 메뉴 선택 리스트를 표시부(1026, 112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 조작부(1024, 1124)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을 블루투스 모듈(1012, 11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010, 1110)로 무선 송신한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구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 치료기기의 본체 역할을 할 수가 있으므로, 휴대가 편리하고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치료 기기가 통합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치료가 가능해 진다. 또한,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체측 무선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컨넥터에 연결되는 외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012, 1112)은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내장될 수가 있으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IF 컨넥터에 외장형 블루투스 어댑터가 장착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통신 컨넥터, 예컨대 직렬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본체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1014)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상기 도 10에 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1026)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1114)가, 상기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122)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상기 도 11에 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112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1126)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를 이동통신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처리부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처리부는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고,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며, 송신신호를 변조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처리부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예:무선 인터넷 서버)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무선 인터넷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도록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를 제어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치료 데이터 센터는 특정 병원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병원들과 제휴한 의료 콘센트 업체에서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등을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호스트로 송신한다.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는 개인별로 할당된 호스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호스트가 브라우저등을 통해 업로드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석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를 질의 하고, 사용자가 이 서비스를 선택하면 내부의 근전도 측정 전문가 엔진(도시하지 않음.)을 실행시켜 업로드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피 측정자의 히스토리 데이터가 함께 분석될 수가 있다.
데이터 분석은 전문가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 데이터를 분석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분석 전문가가 분석 결과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호스트에 의해 피측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30, 1130)의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를 통해 수신되어 표시부(1026, 1126)에 표시되도록 본체 제어부(1014, 1114)가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026, 1126)는 분석 결과를 텍스트 혹은 그래픽 모드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결과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결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1014)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어부(1114)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122)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무선 인터넷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도록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를 제어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치료 데이터 센터는 특정 병원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병원들과 제휴한 의료 콘센트 업체에서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등을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014, 1114)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전기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치료 패턴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부(1022, 1122)를 통해 수신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며, 다양한 전기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치료 패턴 데이터를 보유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호스트는 상기 업로드된 근전도 측정 또는 압력 측정 분석 결과에 적합한 치료 패턴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030, 1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해 진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3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압축해제를 위한 보코더등이 더 포함된다(도시하지 않음).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치료 기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 12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이러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배터리 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22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21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2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해당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1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USB 포트이며 물리적으로는 배터리 팩(1220)의 본체(1230)와의 결합면에 접점들로 구현된다. 이 접점은 전원 공급 단자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개선된 최근의 휴대폰에 채택된 메인 칩, 예를 들어 퀄컴사의 MSM5000 칩은 그 자체에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배터리 팩(1220)을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배터리 팩(1220)의 결합면과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인터페이스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통신 인터페이스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212)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무선 통신부(1212)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212)은 대응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208)(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에 구비됨)과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12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팩 제어부(12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팩 제어부(1214)는 통신 인터페이스(1224)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며, 블루투스 모듈(12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해당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배터리 셀(1222)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1220)내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를 이동통신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고,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며, 송신신호를 변조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예:무선 인터넷 서버)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사용자 조작부(12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인식부, 필기체 인식부등이 될 수가 있다. 표시부(1236)는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전원 제어부(1238)는 배터리 팩(1220)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처리하여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안정화 시켜 본체(1230)내의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2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과 채널 통신을 위한 코덱들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232)는 전술한 배터리 팩(12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간에는 동일한 프로토콜로 구현되고 물리적으로는 대응되는 형상의 접점으로 구현되어 상호 결합된다(도시하지 않음).
본체 제어부(122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가 있다. 개선된 CDMA 직접회로, 예를 들면 퀄컴사의 MSN 계열 칩들은 자체에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외부 버스 또는 시리얼 통신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체 제어부(1228)에 의해 수행되는 신경/근육 치료와 관련한 동작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본체 제어부(1228)는 전기자극 치료와 관련한 메뉴 선택 리스트를 표시부(123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 조작부(1234)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전기자극 동작 명령을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232)를 통해 배터리 팩(122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팩 제어부(121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기자극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기자극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팩(1220)이,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12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극 패턴 처리부(1216)는 전기 자극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펄스파인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가 있으며, 사인파인 경우에도 전파, 반파등과 같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자극 패턴 처리부(1016)는 전류 펄스나 전압 펄스를 저장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자극 패턴 처리부(1016)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업계에서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22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와 인터페이스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21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로부터의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2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해당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로 송신하는 팩 제어부(1214); 상기 무선 통신부(12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부터 수신되는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1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USB 포트이며 물리적으로는 배터리 팩(1220)의 본체(1230)와의 결합면에 접점들로 구현된다. 이 접점은 전원 공급 단자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개선된 최근의 휴대폰에 채택된 메인 칩, 예를 들어 퀄컴사의 MSM5000 칩은 그 자체에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배터리 팩(1220)을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배터리 팩(1220)의 결합면과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인터페이스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통신 인터페이스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212)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무선 통신부(1212)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212)은 대응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208)(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에 구비됨)과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12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팩 제어부(12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팩 제어부(1214)는 통신 인터페이스(1224)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며, 블루투스 모듈(12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해당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근전도 신호처리부(121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화된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예:그래프, 상태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근전도 신호처리부(1218)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 셀(1222)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1220)내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를 이동통신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고,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며, 송신신호를 변조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예:무선 인터넷 서버)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사용자 조작부(12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인식부, 필기체 인식부등이 될 수가 있다. 표시부(1236)는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전원 제어부(1238)는 배터리 팩(1220)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처리하여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안정화 시켜 본체(1230)내의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2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과 채널 통신을 위한 코덱들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232)는 전술한 배터리 팩(12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2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간에는 동일한 프로토콜로 구현되고 물리적으로는 대응되는 형상의 접점으로 구현되어 상호 결합된다(도시하지 않음).
본체 제어부(122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가 있다. 개선된 CDMA 직접회로, 예를 들면 퀄컴사의 MSN 계열 칩들은 자체에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외부 버스 또는 시리얼 통신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체 제어부(1228)에 의해 수행되는 신경/근육 치료와 관련한 동작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본체 제어부(1228)는 근전도 신호 측정과 관련한 메뉴 선택 리스트를 표시부(123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 조작부(1234)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명령을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232)를 통해 배터리 팩(122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팩 제어부(121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1210)로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근전도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기자극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32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31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로부터의 압력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3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1314); 및 상기 무선 통신부(13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 측정 처리부(13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USB 포트이며 물리적으로는 배터리 팩(1320)의 본체(1330)와의 결합면에 접점들로 구현된다. 이 접점은 전원 공급 단자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개선된 최근의 휴대폰에 채택된 메인 칩, 예를 들어 퀄컴사의 MSM5000 칩은 그 자체에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배터리 팩(1220)을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배터리 팩(1320)의 결합면과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인터페이스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통신 인터페이스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312)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무선 통신부(1312)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312)은 대응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308)(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에 구비됨)과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13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팩 제어부(13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팩 제어부(1314)는 통신 인터페이스(1324)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며, 블루투스 모듈(13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해당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압력 측정 처리부(1316)는 상기 무선 통신부(131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팩 제어부(1314)로부터 전달받음)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압력 측정 처리부(1316)를 구현하는 것은 신경/근육 치료 업계에서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이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 셀(1322)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1320)내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상기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를 이동통신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고,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며, 송신신호를 변조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예:무선 인터넷 서버)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사용자 조작부(13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인식부, 필기체 인식부등이 될 수가 있다. 표시부(1336)는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전원 제어부(1338)는 배터리 팩(1320)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처리하여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안정화 시켜 본체(1330)내의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230, 13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과 채널 통신을 위한 코덱들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332)는 전술한 배터리 팩(13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간에는 동일한 프로토콜로 구현되고 물리적으로는 대응되는 형상의 접점으로 구현되어 상호 결합된다(도시하지 않음).
본체 제어부(132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가 있다. 개선된 CDMA 직접회로, 예를 들면 퀄컴사의 MSN 계열 칩들은 자체에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외부 버스 또는 시리얼 통신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체 제어부(1328)에 의해 수행되는 신경/근육 치료와 관련한 동작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본체 제어부(1328)는 근전도 신호 측정과 관련한 메뉴 선택 리스트를 표시부(133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 조작부(1334)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압력 측정 동작 명령을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332)를 통해 배터리 팩(132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팩 제어부(131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압력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기자극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320)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312);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로부터 입력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312)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해당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13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USB 포트이며 물리적으로는 배터리 팩(1320)의 본체(1330)와의 결합면에 접점들로 구현된다. 이 접점은 전원 공급 단자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개선된 최근의 휴대폰에 채택된 메인 칩, 예를 들어 퀄컴사의 MSM5000 칩은 그 자체에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사용자가 배터리 팩(1220)을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배터리 팩(1320)의 결합면과 대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결합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인터페이스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편리하게 통신 인터페이스간의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진다.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312)는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무선 통신부(1312)를 블루투스 모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루투스 모듈(1312)은 대응되는 외부의 블루투스 모듈(1308)(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에 구비됨)과 데이터 통신하는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1312)은 신호처리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므로 물리적으로는 팩 제어부(1314)는 동일한 신호처리 프로세서 내의 또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팩 제어부(1314)는 통신 인터페이스(1324)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전달받으며, 블루투스 모듈(1312)을 통해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해당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배터리 셀(1322)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팩(1320)내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상기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3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를 이동통신 처리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기지국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하고, 무선 처리된 수신신호를 복조하며, 송신신호를 변조한다. 이때, 이동통신 처리부(1226)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처리부(1326)는 이동통신망과 연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예:무선 인터넷 서버)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사용자 조작부(13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조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인식부, 필기체 인식부등이 될 수가 있다. 표시부(1336)는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전원 제어부(1338)는 배터리 팩(1320)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처리하여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안정화 시켜 본체(1330)내의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3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과 채널 통신을 위한 코덱들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332)는 전술한 배터리 팩(13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3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간에는 동일한 프로토콜로 구현되고 물리적으로는 대응되는 형상의 접점으로 구현되어 상호 결합된다(도시하지 않음).
본체 제어부(132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가 있다. 개선된 CDMA 직접회로, 예를 들면 퀄컴사의 MSN 계열 칩들은 자체에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외부 버스 또는 시리얼 통신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체 제어부(1328)에 의해 수행되는 신경/근육 치료와 관련한 동작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본체 제어부(1328)는 전립선 온열 치료와 관련한 메뉴 선택 리스트를 표시부(133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 조작부(1334)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명령을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부(1332)를 통해 배터리 팩(1320)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팩 제어부(1314)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1310)로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전립선 온열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립선 온열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팩(1320)이,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13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이란 전립선 환부의 각 케이스별로 최적의 온열의 온도, 온열의 지속시간등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전립선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230)에 구비되는 제어부(1228)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2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1236)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30)에 구비되는 제어부(1328)가, 상기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30)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6)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1336)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는 이동통신 처리부가 될 수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무선 인터넷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도록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를 제어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치료 데이터 센터는 특정 병원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병원들과 제휴한 의료 콘센트 업체에서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등을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호스트로 송신한다.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는 개인별로 할당된 호스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호스트가 브라우저등을 통해 업로드된 데이터에 대하여 분석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를 질의 하고, 사용자가 이 서비스를 선택하면 내부의 근전도 측정 전문가 엔진(도시하지 않음)을 실행시켜 업로드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피 측정자의 히스토리 데이터가 함께 분석될 수가 있다.
데이터 분석은 전문가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 데이터를 분석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분석 전문가가 분석 결과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호스트에 의해 피측정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 1330)의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를 통해 수신되어 표시부(1236, 1336)에 표시되도록 본체 제어부(1228, 1328)가 제어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236, 1336)는 분석 결과를 텍스트 혹은 그래픽 모드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결과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결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1228)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1328)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1328)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무선 인터넷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도록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를 제어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다. 치료 데이터 센터는 특정 병원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병원들과 제휴한 의료 콘센트 업체에서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등을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본체 제어부(1228, 1328)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전기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치료 패턴 정보를 무선 데이터 통신부(1226, 1326)를 통해 수신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치료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것이며, 다양한 전기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치료 패턴 데이터를 보유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호스트는 상기 업로드된 근전도 측정 또는 압력 측정 분석 결과에 적합한 치료 패턴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230, 13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해 진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230, 133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압축해제를 위한 보코더등이 더 포함된다(도시하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게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온열치료와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어서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되고 무선 통신에 의해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므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근전도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치료용 온열을 발생시키는 데에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 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 본체에 마련되고 치료용 프로브 모듈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 종래와 같이 케이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무선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전립선 치료용 프로브를 착용하는데 있어 부담감을 줄여 줄 수가 있으며, 자유로운 일상 활동이 보장되며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용이해 진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전립선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등과 같은 무선 통신부가 구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본체의 역할을 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의료 기기가 통합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은 최근 눈부시게 발전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유사한 개발 환경이 제공되고 GVM(General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제어 절차는,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외장형 블루투스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고 있는 통신 컨넥터, 예컨대 직렬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본체로 활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가능해 진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자극신호 출력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전극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전극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기자극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전기자극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극 패턴으로 전기 자극을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근전도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근전도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근전도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압력 측정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체강내의 압력 측정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압력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전립선 치료용 온열 발생과 관계되는 최소한의 아날로그 회로 및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만이 마련되므로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어 치료용 프로브 모듈 착용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하우징 전체가 체강내부에 삽입되므로 착용에 대한 부담감이 최소화 되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는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체액 흡수부가 부착될 수 있어, 착용된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강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체액 흡수부는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체액 흡수부의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온열 발생을 통한 전립선 치료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므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휴대의 용이성, 활동의 용이성, 조작의 편리성,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해지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배터리팩에 마련되므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부와 표시부를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분석 결과를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가 있게 되며, 압력 측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VM(General Virtual Machine)등과 같은 가상 머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전립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온열치료 패턴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휴대용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치료 패턴으로 전립선 치료를 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원격 호스트에 많은 회원들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집중시켜 관리하고 회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므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근전도 측정 데이터 및/또는 압력 측정 데이터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던지 또는 전문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등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신경/근육 치료의 진행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안등을 언제 어디서든지 체크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전기 자극 치료 데이터 센터 및/또는 전립선 치료 데이터 센터로부터 해당 전립선 치료 패턴 정보를 편리하게 수신할 수가 있으므로, 각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문적인 치료가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신경/근육 치료 장치를 도시한 일 예.
도 2a는 종래의 신경/근육 치료 장치를 도시한 다른 예.
도 2b는 종래의 신경/근육 치료 장치를 도시한 또 다른 예.
도 3은 종래의 신경/근육 치료 장치를 도시한 또 다른 예.
도 4는 종래의 전립선 치료 기기를 도시한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일 예.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를 도시한 일 예.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를 도시한 다른 예.
도 8a는 상기 도 6a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체액 흡수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상기 도 6b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체액 흡수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프로브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상기 도 9a의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체액 흡수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다른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또 다른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치료 기기의 구성 블럭을 도시한 또 다른 예.

Claims (22)

  1.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2.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3.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4. 치료용 프로브 모듈에 있어서,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프로브 모듈.
  5.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7.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전극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의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8.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압력 측정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본체 제어부; 및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 측정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9. 서로 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본체;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가 :
    사용자 조작부; 표시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본체측 무선 통신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조작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본체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이동통신 단말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 무선 통신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컨넥터에 연결되는 외장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5.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적어도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자극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상기 전극으로 인가하는 자극신호 발생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전기자극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전기자극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이,
    하나 이상의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해당되는 전기 자극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자극 패턴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7.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그 외주면이 비도전 성질을 가지는 원봉형의 본체;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전 성질의 전극;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근전도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신체의 해당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전극을 통해 유기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 검출 회로;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근전도 신호 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근전도 신호 검출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근전도 신호 처리된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 송신하는 팩 제어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근전도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근전도 신호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근전도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8.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의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압력 신호 검출 동작을 제어하며, 검출된 압력 신호를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 송신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브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의 압력측정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상기 압력 측정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부터의 압력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여 압력 측정 처리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압력 측정 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19.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팩; 및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이 :
    원봉형의 본체;
    체액을 흡수하면 팽창되는 재질의 체액 흡수부가 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외주면에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본체 외주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출부;
    를 포함하는 체강 삽입용이며,
    상기 원봉형의 본체 내부에는,
    대응되는 외부의 무선 통신부와 통신이 가능한 모듈측 무선 통신부;
    상기 모듈측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외부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브 제어부; 및
    상기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치료용 온열을 발생하는 온열 발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 팩이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로 해당 전립선 온열치료 동작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팩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이,
    하나 이상의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당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정보를 제공하는 전립선 온열치료 패턴 처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21.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상기 근전도 신호처리 결과 정보 또는 압력 측정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22.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기 자극 패턴 정보 또는 전립선 온열 치료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 송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치료 장치.
KR1020030069943A 2003-10-08 2003-10-08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KR10055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43A KR100550673B1 (ko) 2003-10-08 2003-10-08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43A KR100550673B1 (ko) 2003-10-08 2003-10-08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535A true KR20050025535A (ko) 2005-03-14
KR100550673B1 KR100550673B1 (ko) 2006-02-08

Family

ID=3738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943A KR100550673B1 (ko) 2003-10-08 2003-10-08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437A (ko) * 2008-05-27 2011-03-23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다수의 의료 장치의 제어용 무선 의료실 제어 배열장치
KR101643191B1 (ko) * 2015-08-24 2016-07-27 주식회사 웨이전스 사용자 편리성의 향상을 위한 무선 충전 방식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66420B1 (ko) * 2015-08-24 2016-10-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CN107049742A (zh) * 2016-02-05 2017-08-18 微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智能前列腺理疗系统的前列腺理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81B1 (ko) * 2012-11-12 2013-11-06 이수호 스마트폰과 연계가 가능한 요실금과 성기능장애의 진단·치료용 일체형 진단치료장치
KR20140086179A (ko)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골격근 자극 시스템 및 무선 골격근 자극 방법
KR101630629B1 (ko) * 2015-01-05 2016-06-16 채호동 게임을 이용한 근육 클리닉 시스템 및 방법
IT201900003467A1 (it) * 2019-03-11 2020-09-11 Nelson & Company S R L S Dispositivo integrato per elettromiografia ed elettroterapi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437A (ko) * 2008-05-27 2011-03-23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다수의 의료 장치의 제어용 무선 의료실 제어 배열장치
US9740826B2 (en) 2008-05-27 2017-08-22 Stryker Corporation Wireless medical room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 of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US10621305B2 (en) 2008-05-27 2020-04-14 Stryker Corporation Wireless medical room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 of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US10950344B2 (en) 2008-05-27 2021-03-16 Stryker Corporation Wireless medical room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 of a plurality of medical devices
KR101643191B1 (ko) * 2015-08-24 2016-07-27 주식회사 웨이전스 사용자 편리성의 향상을 위한 무선 충전 방식의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66420B1 (ko) * 2015-08-24 2016-10-14 주식회사 웨이전스 스마트폰 기반 제어 요실금 또는 생리통 치료 기기 및 그에 의한 제어 방법
CN107049742A (zh) * 2016-02-05 2017-08-18 微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智能前列腺理疗系统的前列腺理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673B1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666B1 (ko) 휴대용 신경/근육 치료 기기
US20060074356A1 (en) Probe module for treating prostate diseases and portable prosta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CA2945677C (en) Device to treat incontinence
Hirata et al. A fully-implantable wireless system for human brain-machine interfaces using brain surface electrodes: W-HERBS
US10035016B2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N108042913B (zh) 一种可穿戴电动气压式盆底肌电激仪
US7147606B1 (en) Urinary diagnostic system having a retrievable sensing device
KR20190042394A (ko) 저주파 마사지기
CN207734466U (zh) 一种盆底肌治疗仪
CN108814570A (zh) 一种理疗仪及参数确定方法
KR100550673B1 (ko) 치료용 프로브 모듈, 상기 치료용 프로브 모듈을 이용한휴대용 의료기기
CN110721401A (zh) 一种神经调控系统及可穿戴神经调控装置
CN112156356A (zh) 用于刺激神经的装置和方法
WO2004069129A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for stimulating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KR102472838B1 (ko) 골반저근 자극장치
CN116036476A (zh) 一种引导式盆底肌训练仪以及盆底肌训练方法
KR20140116596A (ko) 근전도를 이용한 무선 치료 장치
CN106267577B (zh) 适合植入体内的微型光刺激系统
CN205107680U (zh) 一种具有诊断疾病治疗疾病功能的智能手机
KR200423283Y1 (ko) 신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의복
CN217593608U (zh) 一种智能无线微针理疗设备
CN218516010U (zh) 一种耳部激光理疗仪
CN116173404B (zh) 一种体外盆底肌电刺激仪及电刺激方法
KR200292034Y1 (ko) 비뇨기 질환 치료장치
CN212234410U (zh) 睡眠呼吸暂停诊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