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003B1 -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003B1
KR102322003B1 KR1020190083680A KR20190083680A KR102322003B1 KR 102322003 B1 KR102322003 B1 KR 102322003B1 KR 1020190083680 A KR1020190083680 A KR 1020190083680A KR 20190083680 A KR20190083680 A KR 20190083680A KR 102322003 B1 KR102322003 B1 KR 10232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stress
microcurrent
heart rate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357A (ko
Inventor
김도현
오윤중
채제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8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0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는,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는 심전도 계측기와,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스트레스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의 생성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 표피에 인가하는 전류 자극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LAXING STRESS BASED ON ELECTROCARDIOGRAM}
본 발명은 인체가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가슴 전면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두피에 전류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웨어러블 계측기를 통해 인체의 가슴 부위로부터 계측되는 심전도 신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갖는 생체신호 중의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계측되는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 변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심박 변이도는 인체가 받는 스트레스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인체의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인체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거나 혹은 해소해 줄 수 있는 기기를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개발할 수 있다면,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새로운 단일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4647호(공개일: 2009. 04. 08.)
본 발명은,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두피에 전류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는 심전도 계측기와,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스트레스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의 생성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 표피에 인가하는 전류 자극기를 포함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인체의 일부는, 상기 인체의 가슴 전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계측된 심전도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는,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류 생성부는, 착탈형의 신호 처리 모듈로 제작되어 상기 두상에 착용 가능한 헬멧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 표피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인체의 일부는, 상기 인체의 가슴 전면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일부로부터 계측한 심전도에 기반하여 두피에 전류 자극을 인가함으로써, 인체가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기기를 단일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예컨대, 전투원 등)의 건강 유익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이라는 극한의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전투원은 이성적 판단이 흐려지거나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이 발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를 전투 헬멧에 적용함으로써, 개인 전투원의 인지능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성공적인 임무완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신호 분석 및 미세전류 자극 기능을 결합함으로서, 상호 보완적 맞춤형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저장장치(예컨대, USB 등)를 통해 개인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미세전류 자극 기록을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본인의 스트레스 기록 및 전류 자극에 따른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예컨대 만성 또는 급성 스트레스를 지니고 있는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컨대 안마의자 등 이미 널리 보급된 플랫폼에 추가기능의 구현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지속적이고 간편하게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심전도를 기반으로 하여 전류 자극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시간 영역에서의 심박 변이도의 특징명 및 상세 설명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4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심박 변이도의 특징명 및 상세 설명을 보여주는 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레스 완화 장치는 심전도 계측기(110), 신호 처리 모듈(120) 및 전류 자극기(1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모듈(120)은 스트레스 산출부(122), 신호 처리부(124) 및 전류 생성부(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 처리 모듈은, 사람(예컨대, 전투원 등)의 두상에 착용 가능한 헬멧(예컨대, 전투 헬멧 등)의 내측에 착탈 자유롭게 탑재될 수 있다.
먼저, 심전도 계측기(110)는 인체의 일부, 예컨대 가슴 전면부에 부착(예컨대, 웨어러블 형태의 부착 등)될 수 있는 것으로, 인체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주기로 심전도를 계측하고, 이 계측된 심전도 신호들을 무선 통신부(도시 생략)를 무선 송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심전도 신호의 무선 송출은, 예컨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신호 처리 모듈(120) 내의 스트레스 산출부(122)는 심전도 계측기(11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심전도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심전도 신호들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분석하며,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여 신호 처리부(124)에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처리 모듈(120)은 무선 송출된 심전도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심전도는, 예컨대 1,000 Hz 이상의 샘플링비로 획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박수의 박동간의 변동을 나타내는 심박 변이도는 교감 신경(sympathetic nerve)과 부교감 신경(parasympathetic nerve)의 상호 작용을 통해 나타내는데, 이러한 심박 변이도의 측정은 체표에서 전극을 통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비침습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위험 부담이 없어,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자율신경계에 의한 심장 조절은 일반적으로 휴식을 취할 때 시너스 노드(sinus node)의 부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되며,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부교감 신경의 활동이 줄어 들고 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부교감 신경은 심박수가 느려지게 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심장을 정지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반응 속도는 아주 짧고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심박동 내에 즉각적인 자극의 결과를 보여준다.
반면에, 교감 신경은 기존 심박수보다 빨라지도록 조절하게 되며, 자극이 시작되고 대략 5초 정도의 시간지연이 있은 후 심박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며, 20 - 30초 정도 후에서야 목표 심박 수에 도달하게 된다.
즉, 갑작스러운 심박 변화는 부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되며, 장기적인 심박 변화는 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두 신경(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지속적으로 상호 교차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측면에서 볼 때 HRV는 0.0033 - 0.04Hz(Very Low Frequency, VLF), 0.04 - 0.15Hz(Low Frequency, LF), 0.15 - 0.4Hz(High Frequency, HF) 대역으로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며, VLF는 교감 신경, LF는 부교감/교감 신경, HF는 부교감 신경의 영향이 지배적이라 볼 수 있다.
HRV는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분석하는 방식과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분석하는 방식이 있다.
시간 영역에서 분석하는 방식은 주로 심전도의 R-peak 점을 기준 간격을 뜻하는 N-N 간격(Normal to normal interval)을 주로 이용하는데, N-N 간격의 각 특징들의 명칭과 설명은 도 3에 도시된 표에 기술된 바와 같다. 즉, 도 3은 시간 영역에서의 심박 변이도의 특징명 및 상세 설명을 보여주는 표이다.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은 3가지 구간, 즉 VLF, LF, HF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 특징들의 명칭과 설명은 도 4에 도시된 표에 기술된 바와 같다. 즉, 도 4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심박 변이도의 특징명 및 상세 설명을 보여주는 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심박 변이도 분석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기 및 장기적 스트레스 레벨을 정량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24)는 스트레스 산출부(122)를 통해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의 생성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미세전류는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 전류 생성부(126)는 신호 처리부(124)의 제어에 따라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유선을 통해 전류 자극기(130)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전류 자극기(130)는 전류 생성부(126)로부터 생성되어 전달되는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 표피에 인가(두피 자극)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상의 표피(표면)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는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ACS(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tRNS(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등의 방식과 더불어 심전도 신호 기반의 심박 변이도(HRV)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단순 전류자극 혹은 스트레스 측정 기술을 결합 및 상호 보완하여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두피 표피에 전류를 흘려주는 tDCS, tACS, tRNS 등의 기술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뇌의 특정한 영역에 미세한 전류 자극을 가하는 방식으로서,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치료 목적 외 다양한 방식에 적용되어 발전하고 있다.
tDCS는 일반적으로 20 - 35cm2 의 크기의 전극을 사용하며, 0.5 - 2mA 직류전류를 20분 이상 지속적으로 흘려주는 방식이고, tACS는 일반적으로 16cm2 크기의 전극을 사용하며 양방향성(Bidirectional) 및 두 개의 상(biphasic) 갖는 전류를 정현파(Sinusoidal wave) 형태로 두상에 인가하는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약 0.25 - 1mA의 크기의 1 - 45Hz 대역 교류를 대략 2 - 5분간 전달하는 수준이다. 그리고, tRNS는 16cm2 크기의 전극을 사용하며 랜덤한 크기(대략 ±500uA) 및 주파수(0.1 - 640Hz)를 갖는 전류를 흘려주는 방식이다.
특히, 전기 자극(예컨대, tDCS, tACS 등) 중에도 지속적인 HRV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통하여 부작용(unintended alteration)을 예방함과 더불어 안전한 전기 자극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자극 중에 LF(Low Frequency) 및 HF(High Frequency) 지표를 지속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자율신경 실조증(autonomic dysfunction)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전류를 두상에 인가하는 방식이 존재하지만 이는 뇌 피질에 있는 뉴런들을 자극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 뉴런이 활성화되며, 기대되는 주요 효과로는 학습 및 인지능력 향상, 우울증 증세 완화, 충동 및 공격적 성향 감소, 운동조절 능력 향상, 단기 및 장기적 스트레스 완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획득되는 심전도, 심박 변이도, 미세전류 자극 기록, 전류 자극에 따른 변화 등의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하거나 혹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에 옮겨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을 병원 등에서 운영하는 의료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심전도를 기반으로 하여 전류 자극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전도 계측기(110)에서는, 예컨대 가슴 전면부에 부착(예컨대, 웨어러블 형태의 부착 등)될 수 있는 것으로, 인체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주기로 심전도를 계측하고(단계 202), 이 계측된 심전도 신호들을 무선 통신부(도시 생략)를 무선 송출한다(단계 204). 여기에서, 심전도 신호의 무선 송출은, 예컨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스트레스 산출부(122)에서는 심전도 계측기(11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심전도 신호들을 수신하고(단계 206), 수신된 심전도 신호들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한다(단계 208).
또한, 스트레스 산출부(122)에서는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데(단계 210), 여기에서, 심전도는, 예컨대 1,000 Hz 이상의 샘플링비로 획득될 수 있다.
다시, 신호 처리부(124)에서는 스트레스 산출부(122)를 통해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의 발생을 제어하는데(단계 212), 여기에서 미세전류는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전류 생성부(126)에서는 신호 처리부(12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미세전류를 생성하여 전류 자극기(130)로 전달하며(단계 214), 전류 자극기(130)에서는 전달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 표피에 인가(두피 자극)한다(단계 21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심전도 계측기
120 : 신호 처리 모듈
122 : 스트레스 산출부
124 : 신호 처리부
126 : 전류 생성부
130 : 전류 자극기

Claims (11)

  1. 심전도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는 심전도 계측기와,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스트레스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의 생성을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전류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를 직접 물리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표피에 인가하는 전류 자극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류 생성부는,
    착탈형의 신호 처리 모듈로 제작되어 상기 두상에 착용 가능한 헬멧의 내측에 탑재되며,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는,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되,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두피에 인가하는 중에도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상기 심박 변이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피드백을 통해 전기 자극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일부는,
    상기 인체의 가슴 전면부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된 심전도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에 수신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산출부는,
    상기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7. 삭제
  8. 심전도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스트레스 완화 방법에 있어서,
    인체의 일부로부터 심전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의거하여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두피 자극을 위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인체 두상의 두피를 직접 물리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표피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피에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두상에 착용 가능한 헬멧의 내측에 탑재되는 착탈형 신호 처리 모듈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를 두피에 인가하는 중에도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상기 심박 변이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피드백을 통해 전기 자극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의 일부는,
    상기 인체의 가슴 전면부인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심전도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심박 변이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레벨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미세전류의 크기, 주파수 및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방법.
KR1020190083680A 2019-07-11 2019-07-11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322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80A KR102322003B1 (ko) 2019-07-11 2019-07-11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80A KR102322003B1 (ko) 2019-07-11 2019-07-11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57A KR20210007357A (ko) 2021-01-20
KR102322003B1 true KR102322003B1 (ko) 2021-11-04

Family

ID=7430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80A KR102322003B1 (ko) 2019-07-11 2019-07-11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70A (ko) 2022-06-29 2024-01-05 신영민 향을 이용한 실시간 스트레스 완화 목걸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366A (ja) * 2005-06-23 2007-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トレス状態推定緩和方法、ストレス状態推定緩和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79A (ko) * 2000-11-14 2002-05-22 석문성 뇌파 발생 장치
KR100945678B1 (ko) 2007-10-04 2010-03-0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헬멧을 이용한 다중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1004036B1 (ko) * 2009-01-07 2010-12-31 썬메디텍 (주)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102048219B1 (ko) * 2017-06-09 2019-11-25 (주) 내츄럴웰테크 파동제공기능을 구비한 스마트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366A (ja) * 2005-06-23 2007-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トレス状態推定緩和方法、ストレス状態推定緩和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70A (ko) 2022-06-29 2024-01-05 신영민 향을 이용한 실시간 스트레스 완화 목걸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57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10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n management with sleep detection
US1138910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non-invasive vagus nerve stimulation
US20210290155A1 (en) Neuromod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sleep disorders
KR102612964B1 (ko) 심박 변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9152917B (zh) 监管装置和相关联方法
Santarnecchi et al. Time course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and autonomic function interplay during and following monopolar tDCS
EP3134166B1 (en) Crani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depression during sleep
US1068827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and non-invasive stimulation of the nervous system
Voustianiouk et al. Electrical activation of the human vestibulo-sympathetic reflex
CN112512423A (zh) 用于具有eeg和生物计量传感器的可穿戴设备的方法和装置
CN112244792A (zh) 多维应激管理系统及方法
CN115227215A (zh) 基于共振呼吸的非侵入迷走神经刺激方法和相关装置
KR102322003B1 (ko)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9082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mote therapy and patient monitoring
Shafiq et al. The impact of cervical manipulation on heart rate variability
Staley et al. Modulatory effects of respiratory-gated auricular vagal nerve stimulation on cardiovagal activity in hypertension
KR20240049516A (ko) 간격 폐쇄 루프 적응형 경두개 광생체 조절 방법
Stowell et al. Dose-optimization of respiratory-gated auricular vagal afferent nerve stimulation (RAVANS) for blood pressure modul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WO2015024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therapy combined with feedback from sensors
KR20130001526A (ko) 경혈자극 실시간 감시/치료 장치
GB2526249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non-invasive dynamically adapativ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JP2020520699A (ja) 脳の健康監視のための眼球インピーダンスベースのシステム
TWI555551B (zh) 閉迴路刺激裝置及其刺激方法
WO201813645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nerve activity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KR102555610B1 (ko) 뇌파 유발 기반 질환 증상 완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