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036B1 -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036B1
KR101004036B1 KR1020090001080A KR20090001080A KR101004036B1 KR 101004036 B1 KR101004036 B1 KR 101004036B1 KR 1020090001080 A KR1020090001080 A KR 1020090001080A KR 20090001080 A KR20090001080 A KR 20090001080A KR 101004036 B1 KR101004036 B1 KR 10100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signal
respiratory
unit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717A (ko
Inventor
이낙범
정의붕
박기영
Original Assignee
썬메디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메디텍 (주) filed Critical 썬메디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0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0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9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impedance pneu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r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호흡 밸런스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다수개의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측정하여 저장 및 표시하며, 측정결과를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측정장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방식으로 복조하고,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수신장치; 및 수신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 호흡수 및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며,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표시하는 분석장치; 를 포함한다.
스트레스, 심전도, 호흡

Description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MOBILE WIRELESS STRESS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호흡 밸런스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Stress)란 내적으로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서, 마음의 안정이나 다른 사람과 함께 지내는데 있어서 불편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인 긴장 또는 그러한 긴장을 유발하는 것이다.
신체의 각 부분이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를 두뇌에 알리면, 두뇌에 있는 시상하부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며, 시상하부에서 방출되는 피질자극방출요인은 뇌하수체에 보내져서 부신피질(Adrenal cortex) 자극 호르몬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내보내게 된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은 부신의 피질을 자극하게 되어 코티솔(Cortisol)을 분비함으로써 혈액 내의 당을 높이고, 신체의 대사 활동을 촉진하 며, 부신의 수질이 자극을 받게 되면 아드레날린(Adrenaline)과 노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당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심장 박동을 빨리 하고, 혈압을 올린다.
일시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반응은 자연스런 현상이지만,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반응이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스트레스 상태를 점검해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개인이 소지한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스트레스 상태를 측정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는 스트레스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 왔으며, 이러한 경우 환자 스스로가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빠르게 인지할 수 없으며, 건강악화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호흡 밸런스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특징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다수개의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측정하여 저장 및 표시하며, 측정결과를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측정장치;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방식으로 복조하고,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 호흡수 및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며, 상기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표시하는 분석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장치는,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및 심박률이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 분석장치의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별도의 관리자 서버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호흡 밸런스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S)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측정장치(100), 수신장치(200) 및 분석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정장치(100)는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다수개의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측정하여 저장 및 표시하며, 측정결과를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 서부(110), 신호 처리부(120),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 무선 송신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흉부에 전극형태의 센서가 다수개 부착되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한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기 위한 차동증폭회로, 필터회로, 전원잡음제거회로 및 정류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는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일정시간 단위로 분리함으로써, 심박수, 호흡수, 심박률, 심박 변이도 및 호흡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분리모듈(131), 심박수 계산모듈(132), 호흡수 계산모듈(133), 심박률 계산모듈(134) 및 저장모듈(135)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분리모듈(131)은 상기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시간 단위로 분리한 후, 미분을 취한다.
심박수 계산모듈(132)은 신호 분리모듈(131)로부터 출력되는 심전도 신호 파형의 최대 높이 값 즉, QRS 첨두치를 검출함으로써, 심박수를 계산하고 심박 변이 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호흡수 계산모듈(133)은 신호 분리모듈(131)로부터 출력되는 호흡 신호에서 영교차점을 검출함으로써, 호흡수를 계산하고 호흡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심박 변이도 및 호흡 변이도는, 말초에서 심장으로 전달되는 자율신경계의 주기적인 변화를 심박 및 호흡을 이용해 시간단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심박률 계산모듈(134)은 상기 계산된 심박수 및 호흡수를 바탕으로 심박률을 계산한다. 즉, 심박률은 호흡수 당 심박수로 계산된다.
저장모듈(135)은 심박수 계산모듈(132)을 통해 계산된 심박 변이도, 호흡수 계산모듈(133)을 통해 계산된 호흡 변이도, 및 심박률 계산모듈(134)을 통해 계산된 심박률을 저장한다.
또한, 무선 송신부(14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한다. 이때, 변조 방식은, 가우시안 주파수 편이 변조(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GFSK) 방식으로서, 무선 송신부(140)는 변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2.4GHz의 반송파에 실어 칩안테나를 통해 방출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24시간 동안의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저장한다.
즉,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는 저장부(150)로 바로 저장됨과 동시에, 무선 송신부(140)를 통해 수신장치(200)로 전송된다.
또한, 전원부(160)는 충전보호 회로를 가지며, 리튬이온 배터리가 적용되어 측정장치(100)의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를 통해 계산된 심박수, 호흡수, 심박률, 심박 변이도, 호흡 변이도를 포함하는 정보에 관한 각종 측정 결과를 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한다. 이외에도, 배터리 잔량 및 측정시간, 선택된 센서 신호, 무선전송효율 등을 포함하는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센서부(110), 신호 처리부(120),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 무선 송신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한다.
수신장치(200)는 측정장치(100)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방식으로 복조하고,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분석장치(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수신부(210) 및 인터페이스부(220)를 포함한다.
즉, 무선 수신부(210)는 측정장치(100)의 무선 송신부(140)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 즉, GFSK 방식으로 복조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USB 포트 또는 24pin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분석장치(300)로 전송한다.
분석장치(300)는 수신장치(200)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실시간으 로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 호흡수 및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며,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한 후, 그 결과를 저장 및 표시하며,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및 심박률이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수 계산부(310), 호흡수 계산부(320), 심박률 계산부(330),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340) 및 경보 발생부(350)를 포함한다.
이때, 분석장치(300)는 PC, PDA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로서, 실시간으로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신호를 이용하여 심박 변이도 및 심박률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심박률의 밸런스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른 바, '스트레스 분석용 프로그램' 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박수 계산부(310)는 수신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심전도 신호 파형의 최대 높이 값 즉, QRS 첨두치를 검출함으로써, 심박수를 계산하고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심박수 계산부(310)는, 상기 QRS 첨두치와 다음 QRS 첨두치와의 시간간격을 시계열상에 재배열하고, 시계열상의 분석과 주파수상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호흡수 계산부(320)는 수신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한 호흡 신호에서 영교차점을 검출함으로써, 호흡수를 계산한다.
심박률 계산부(330)는 상기 계산된 심박수 및 호흡수를 바탕으로 심박률을 계산한다. 즉, 심박률은 호흡수 당 심박수로 계산된다.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340)는 상기 계산된 심박 변이도를 바탕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추출함으로써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한다.
경보 발생부(350)는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340)를 통해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및 심박률이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 분석장치(300)의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관리자 서버(10)로 경보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장치는 USB 포트 또는 24pin 커넥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분석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수신장치의 구성 및 기능이 분석장치에 포함되어, 분석장치가 측정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것으로 설정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콘트롤러부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 서버와 연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100: 측정장치 110: 센서부
120: 신호 처리부 130: 마이크로콘트롤러부
140: 무선 송신부 150: 저장부
160: 저장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200: 수신장치
210: 무선 수신부 220: 인터페이스부
300: 분석장치 310: 심박수 계산부
320: 호흡수 계산부 330: 심박률 계산부
340: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 350: 경보 발생부

Claims (9)

  1.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S)에 있어서,
    인체의 흉부에 부착된 다수개의 전극형태의 센서를 통해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측정하여 저장 및 표시하며, 측정결과를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외부로 무선 송신하는 측정장치(100);
    상기 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방식으로 복조하고,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분석장치(300)로 전송하는 수신장치(200); 및
    상기 수신장치(200)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 호흡수 및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며, 상기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저장 및 표시하는 분석장치(300); 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장치(300)는,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및 심박률이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 분석장치(300)의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별도의 관리자 서버(10)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100)는,
    인체의 흉부에 전극형태의 센서가 다수개 부착되어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전극형태의 센서간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110);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신호 처리부(120);
    상기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일정시간 단위로 분리함으로써, 심박수, 호흡수, 심박률, 심박 변이도 및 호흡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계산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특정 방식으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140);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충전보호 회로를 가지며, 리튬이온 배터리가 적용되어 측정장치(100)의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를 통해 계산된 심박수, 호흡수, 심박률, 심박 변이도, 호흡 변이도를 포함하는 정보에 관한 각종 측정 결과를 그래프를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및
    상기 센서부(110), 신호 처리부(120),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 무선 송신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130)는,
    상기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처리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시간 단위로 분리한 후, 미분을 취하는 신호 분리모듈(131);
    상기 신호 분리모듈(131)로부터 출력되는 심전도 신호 파형의 최대 높이 값인 QRS 첨두치를 검출함으로써, 심박수를 계산하고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심박수 계산모듈(132);
    상기 신호 분리모듈(131)로부터 출력되는 호흡 신호에서 영교차점을 검출함으로써, 호흡수를 계산하고 호흡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호흡수 계산모듈(133);
    상기 계산된 심박수 및 호흡수를 바탕으로 심박률을 계산하는 심박률 계산모듈(134); 및
    상기 심박수 계산모듈(132)을 통해 계산된 심박 변이도, 상기 호흡수 계산모듈(133)을 통해 계산된 호흡 변이도, 및 상기 심박률 계산모듈(134)을 통해 계산된 심박률을 저장하는 저장모듈(13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140)의 변조 방식은, 가우시안 주파수 편이 변조(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GFSK) 방식으로서, 상기 무선 송신부(140)는 변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2.4GHz의 반송파에 실어 칩안테나를 통해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배터리 잔량 및 측정시간, 선택된 센서 신호, 무선전송효율을 포함하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200)는,
    상기 측정장치(100)로부터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수신하여 GFSK 방식으로 복조하는 무선 수신부(210); 및
    상기 무선 수신부(210)를 통해 복조된 심전도 신호 및 호흡 신호를 USB 포트 또는 24pin 커넥터를 이용하여 분석장치(300)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300)는,
    PC, PDA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로서, 실시간으로 수신한 심전도 신호 및 호흡신호를 이용하여 심박 변이도 및 심박률을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심박률의 밸런스를 평가할 수 있는 '스트레스 분석용 프로그램' 을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장치(300)는,
    상기 수신장치(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한 심전도 신호 파형의 최대 높이 값인 QRS 첨두치를 검출함으로써, 심박수를 계산하고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심박수 계산부(310);
    상기 수신장치(200)를 통해 수신한 호흡 신호에서 영교차점을 검출함으로써, 호흡수를 계산하는 호흡수 계산부(320);
    상기 계산된 심박수 및 호흡수를 바탕으로 심박률을 계산하는 심박률 계산 부(330);
    상기 계산된 심박 변이도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심박률 계산을 통해 심박/호흡 밸런스를 평가하는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340); 및
    상기 스트레스 지수 산출 및 평가부(340)를 통해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및 심박률이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이상일 경우, 상기 측정장치(100) 및 분석장치(300)의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별도의 관리자 서버(10)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수 계산부(310)는, 상기 QRS 첨두치와 다음 QRS 첨두치와의 시간간격을 시계열상에 재배열하고, 시계열상의 분석과 주파수상의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심박 변이도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1020090001080A 2009-01-07 2009-01-07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KR10100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080A KR101004036B1 (ko) 2009-01-07 2009-01-07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080A KR101004036B1 (ko) 2009-01-07 2009-01-07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17A KR20100081717A (ko) 2010-07-15
KR101004036B1 true KR101004036B1 (ko) 2010-12-31

Family

ID=4264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080A KR101004036B1 (ko) 2009-01-07 2009-01-07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28B1 (ko) 2010-11-17 2013-09-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자의 신체활동량 및 종합스트레스지수 예측 시스템
KR20130134452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US11771353B2 (en) 2019-07-22 2023-10-0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tress level monitoring of users using a respiratory signal and alert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46B1 (ko) * 2011-12-28 2013-10-08 썬메디텍 (주) 모바일 응급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12059B1 (ko) * 2012-03-07 2012-12-14 권건혁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KR102043376B1 (ko) 2018-08-16 2019-1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심층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실시간 스트레스 분석 방법
KR102322003B1 (ko) * 2019-07-11 2021-11-04 국방과학연구소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342B1 (ko) 2000-09-02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및 감정 상태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463018B1 (ko) 2002-05-17 2004-12-23 생체계측신기술연구센터 전자파센서 내장형 휴대용 에이치알브이 건강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342B1 (ko) 2000-09-02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및 감정 상태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463018B1 (ko) 2002-05-17 2004-12-23 생체계측신기술연구센터 전자파센서 내장형 휴대용 에이치알브이 건강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528B1 (ko) 2010-11-17 2013-09-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작업자의 신체활동량 및 종합스트레스지수 예측 시스템
KR20130134452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US11771353B2 (en) 2019-07-22 2023-10-0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tress level monitoring of users using a respiratory signal and aler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717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036B1 (ko)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US11937946B2 (en) Wearable cardiac monitor
US87684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efficient transmission of EMG data
US20120029307A1 (en) Vital-signs monitor with spaced electrodes
US20160051156A1 (en) Film-type biomed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rdiopulmonary fitness estimating apparatus, and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190125259A1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watch capable of measuring heart bea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having position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US20220338780A1 (en) Self-contained eeg recording system
CN108366731A (zh) 用于确定对象的皮肤电活动的可穿戴设备和方法
US96360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lassifying atrial fibrillations
Trobec et al. Multi-functionality of wireless body sensors
CN104771149A (zh) 6分钟步行试验多维实时监测系统
Kuzmin et al. Device and software for mobile heart monitoring
Trobec et al. Commercial ECG systems
US20180008158A1 (en) Ec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90326387A1 (en) Electrocardiogram and Respiration Monitoring in Animals
CN107334467A (zh) 血压检测手表
US20090118597A1 (en) Neural Signal Processing
KR101316746B1 (ko) 모바일 응급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313489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Cardiac Wellness by Analyzing High Definition EKG Signals
CN203873753U (zh) S型一体式无线心电记录仪
CN105326482B (zh) 记录生理信号的方法和装置
US20170340233A1 (en) Electrocardiogram patch
Tomasic et al. Smart Wireless Sensor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CN204193306U (zh) 一种新型的周围神经病变检测仪
CN203074715U (zh) 具有大于等于5英寸彩色触摸屏、可脱机测试的测谎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