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59B1 -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 Google Patents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059B1
KR101212059B1 KR1020120023366A KR20120023366A KR101212059B1 KR 101212059 B1 KR101212059 B1 KR 101212059B1 KR 1020120023366 A KR1020120023366 A KR 1020120023366A KR 20120023366 A KR20120023366 A KR 20120023366A KR 101212059 B1 KR101212059 B1 KR 10121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crisis
module
respiratory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춘
권건혁
Original Assignee
권건혁
남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건혁, 남상춘 filed Critical 권건혁
Priority to KR102012002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5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811 priority patent/WO20131336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호흡수와 기상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의 호흡수와 그 날의 기상시간으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100 DIVISIONS CLOCK AND DETECTING METHOD FOR POSITION OF WI-GI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호흡수와 기상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찔러서 자극함으로써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기법이다. 자극 부위는 증상에 따라 다르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손을 자극하는 수지침, 귀를 자극하는 이침, 발을 자극하는 족침, 신체 전체를 자극 대상으로 하는 체침 등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침을 돌리거나 약한 전류가 흐르게 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침술은 증상에 따라 대응하는 인체의 부위에 자극을 가하게 된다.
즉, 기존의 침술은 증상만으로 자극을 가하는 인체의 부위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인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대로 위기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사람에게 동일한 취혈과 보사법으로 동일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인간의 생체리듬을 도출하는 기술만이 존재할 뿐, 위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993-0017549호(1993.09.20) 2. 한국공개특허 제1996-0002712호(1996.01.22)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마다 상이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를 제공한다.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호흡수를 입력하는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입력 모듈에 입력된 호흡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1각을 연산하는 사용자1각 연산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1각과 상기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1
이다. 또한, 상기 위기는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를 갖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은 상기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은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은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은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호흡수 입력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상시간 입력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시간과 상기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2
이다. 또한, 상기 위기는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를 갖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은 상기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은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은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은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본 발명은 개인의 호흡수와 그 날의 기상시간으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개념도.
도 2는 인체에 대한 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사용자의 위기(衛氣, 몸의 겉면에 흐르는 양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파악된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호흡수 측정 모듈은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측정 시간 설정 모듈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호흡하는 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 모듈과, 사용자가 호흡을 시작할 때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시작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측정 시간 설정 모듈은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해서 1분, 2분, 3분, 또는 5분 등의 분 단위 시간을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은 초 단위 이상의 모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설정 모듈은 분 단위의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시간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물론, 평균 호흡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서, 1분, 2분 보다는 3분, 4분 정도로 측정하는 것이 평균 호흡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
호흡수 입력 모듈은 사용자가 측정 시간 설정 모듈을 통해 설정한 시간동안 자신이 호흡한 호흡수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연수 단위로 미리 설정된 호흡수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자신이 직접 자연수를 입력할 수 있다.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는 기상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개인의 호흡수에 따라 그 빠르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사용자1각 연산 모듈과, 기상시간 입력 모듈, 및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1각 연산 모듈은 사용자 개인의 호흡수에 따라 사용자 개인마다 상이한 1각을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1각은 아래의 수학식1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3
여기서, 측정시간은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측정된 것이며, 호흡수는 설정된 측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호흡수이다. 또한, 135는 정상적인 호흡일 경우, 1각 동안 135회의 호흡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계수이다. 이는 경맥의 운행은 호흡의 힘으로 이루어지는데, 한번 호흡(들숨, 날숨)에 6촌(약 13.5cm)의 속도로 운행하게 된다(분당 9.4회 호흡). 또한, 인체 28맥을 순환하는 총 거리는 1620촌으로서, 270번 호흡하는 동안 전신을 1번 순환하게 되며 2각에 해당된다. 즉,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의 호흡수는 13500번이 되며, 이 동안 위기는 인체를 50회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1각 동안 위기는 인체를 0.5회 순환하게 되며 이는 135회의 호흡 동안 이루어진다.
사용자1각은 수학식1과 같이,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한 시간을 135로 곱한 후, 측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호흡수를 나누어 결정한다. 각(刻)은 예전의 시간의 단위로서, 하루 24시간의 1/100에 해당한다. 따라서, 1각(刻)은 현재시간으로 14분 24초, 약 15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1각은 약 15분이나, 사용자1각은 사용자의 평균 호흡수에 따라 일반적인 1각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시간이 180초이며 호흡수가 36회일 경우, 사용자1각은 675초인 11분 15초가 된다.
도 2는 인체에 대한 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은 사용자1각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사용자1각과, 해당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를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소양, 양명, 음분으로 구분되며,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이 1주(週)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주, 즉, 하나의 주기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여기서, 1주(週)의 첫 번째 위기인 태양 구간은 아래의 수학식2와 같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4
수학식2에서와 같이, 1주(週)의 태양 구간은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흐르게 된다.
또한, 태양 구간이 끝나게 되면 소양 구간이 시작되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3과 같이 연산된다.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5
여기서, 소양 구간은 태양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소양 구간이 종료되면 양명 구간이 시작된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4와 같다.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6
수학식4와 같이, 양명 구간은 소양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양명 구간이 종료되면 아래의 수학식5와 같이 음분 구간이 시작된다.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7
수학식5와 같이, 음분 시간 역시 양명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태양과 소양, 양명, 음분 순서로 진행되는 1주(週)가 종료되면 다시 태양, 소양, 양명, 음분 순서로 진행되는 2주(週)가 시작된다. 또한, 2주(週)가 종료되면 다시 동일한 순서대로 3주(週), 4주(週), 5주(週)의 주기대로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기상시간 입력 모듈은 사용자가 금일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 단위, 또는 시/분 단위, 또는 시/분/초 단위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시간은 사용자가 최종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초 6시에 기상하였다가 다시 취침하여 7시에 기상하였다면, 사용자는 기상시간으로 7시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기가 사용자가 기상하는 시간부터 흐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시간이 180초이며 호흡수가 36회일 경우 사용자1각은 675초인 11분 15초가 되며, 사용자의 기상시간이 오전 7시 20분일 경우 순환주기는 57분 36초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의 시계 형상인 위기 소재 표시 모듈과, 위기 소재 표시 모듈에 표시된 위기를 지시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나타내는 위기 소재 지시 모듈을 포함한다.
위기 소재 표시 모듈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이며, 가장자리를 따라 위기, 즉,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원형을 가로질러 낮과 밤을 표시하고 있으며, 좌측의 낮과 밤의 경계부터 위기가 시작된다. 하지만, 여기서 낮과 밤의 표시는 일반적인 표시일 뿐이며, 낮과 밤의 표시에 따라 위기 소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위기 소재 지시 모듈은 시침과 분침을 포함하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위기 소재에 따라 시침과 분침으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기 소재를 지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단순히 태양, 소양, 양명, 음분 중 현재 사용자의 위기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와,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는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는 호흡수 측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1)와,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호흡수 측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1)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해서 1분, 2분, 3분, 또는 5분 등의 분 단위 시간을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하는 단계(S1-2)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호흡수 입력 모듈로 입력한다.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는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한다. 이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와,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S2-2), 및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로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한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기 소재를 측정하는 날 마지막으로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S2-2)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한다. 이는 전술된 수학식1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단계(S2-3)는 기상시간과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한다. 이는 전술된 수학식2 내지 수학식5와 같이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시간 범위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를 그 기능상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에 포함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는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호흡수와 기상시간 및 측정시간을 위기 소재 연산 전에 모두 입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호흡수 측정 모듈 110: 측정 시간 설정 모듈
120: 호흡수 입력 모듈 200: 위기 소재 파악 모듈
210: 사용자1각 연산 모듈 220: 기상시간 입력 모듈
230: 위기 소재 연산 모듈 300: 디스플레이 모듈
310: 위기 소재 표시 모듈 320: 위기 소재 지시 모듈

Claims (10)

  1.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호흡수를 입력받는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입력 모듈에 입력된 호흡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1각을 연산하는 사용자1각 연산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받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1각과 상기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기는 경락에서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로 이동하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기상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6.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호흡수 입력 모듈로 상기 측정 시간 동안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상기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112012018555809-pat00009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기는 경락에서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로 이동하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기상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KR1020120023366A 2012-03-07 2012-03-07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KR10121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66A KR101212059B1 (ko) 2012-03-07 2012-03-07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PCT/KR2013/001811 WO2013133629A1 (ko) 2012-03-07 2013-03-06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66A KR101212059B1 (ko) 2012-03-07 2012-03-07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59B1 true KR101212059B1 (ko) 2012-12-14

Family

ID=4790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366A KR101212059B1 (ko) 2012-03-07 2012-03-07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2059B1 (ko)
WO (1) WO201313362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2B1 (ko) 2006-02-23 2007-10-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열 감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565B1 (ko) * 2008-06-09 2011-06-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04036B1 (ko) * 2009-01-07 2010-12-31 썬메디텍 (주)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2B1 (ko) 2006-02-23 2007-10-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열 감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629A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2406T3 (es) Metodo de confirmacion del ejecutor de un ejercicio.
US91142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ress
WO2020253558A1 (zh) 一种基于按摩椅的健康参数检测方法、装置和系统
JP6755356B2 (ja) 検出装置
US201502089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quantifying heart rate variability (hrv) coherence
JP2016016144A (ja) 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9806552A (zh) 一种基于呼吸和力触觉协同控制的注意力训练方法及系统
KR20160138682A (ko)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
KR101218629B1 (ko) 실시간 심박 측정을 통한 수면의 질 결정 장치 및 방법
Chaturvedi et al. Effect of meditation on chakra energy and hemodynamic parameters
CN109222994A (zh) 血氧监测显示方法和监护设备
Castro Ribeiro et al. Assessing effectiveness of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to mitigate mental health symptoms: a pilot study
KR101212059B1 (ko)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CN207236289U (zh) 一种多功能智能手环
WO2013172830A1 (en) Neurotransmission measurement adapter
KR100855473B1 (ko) 심장박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흡조절을 유도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8602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comparison between psychological and chronological ages
KR102242333B1 (ko) 스마트폰에 설치된 6분보행검사앱을 통한 건강관리시스템
CN107320823A (zh) 一种滴定式伺服吸氧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318827B1 (ko)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CN201098118Y (zh) 腕式脉搏测试仪
CN110101953A (zh) 一种心理减压方法及设备
CN207623362U (zh) 手表式多功能速度显示器
RU122865U1 (ru) Прибор для оценк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дыхательных мышц пациента
JP2008279127A (ja) 拍動ゆらぎ測定装置およびその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