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27B1 -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27B1
KR102318827B1 KR1020190050225A KR20190050225A KR102318827B1 KR 102318827 B1 KR102318827 B1 KR 102318827B1 KR 1020190050225 A KR1020190050225 A KR 1020190050225A KR 20190050225 A KR20190050225 A KR 20190050225A KR 102318827 B1 KR102318827 B1 KR 10231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ing
training
per minute
respir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504A (ko
Inventor
원영훈
김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어테크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어테크,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63B23/185Rhythm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4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혈압 치료 방법은 훈련전 호흡 주기를 센싱하여 목표 호흡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호흡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호흡을 유도하여 호흡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훈련후 호흡 주기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보다 짧은 경우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에 따라 목표 호흡 주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호흡 훈련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Hypertension through Respiratory Training}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호흡 훈련을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고혈압 환자는 약 660만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성인의 약 30%에 육박하는 수치이다. 평균 수명 연장 등과 맞물려 고혈압 환자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학계에서는 2007년 기준 세계 고혈압 인구 수는 10억 명으로 오는 2025년에는 15억 600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2013년도 기준 국내 고혈압치료제 시장 규모는 1조 8000억 원에 달하며, 성장률은 매년 9%를 상회한다.
고혈압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약물 투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장기 투약시의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투약과 병행될 수 있는 비약물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혈압의 비약물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면, 우선 한의학 분야에서는 침을 이용한 치료법과 기공 치료법의 두가지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혈압의 침치료 임상연구 경향을 분석해보면,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가 14건, 비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가 1건, 전후비교 연구가 9건이며, 연구결과를 보았을 때 침 치료가 고혈압에 효과적이라는 결정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학계의 견해이다. [정소영 외. 임상연구의 고혈압 침치료법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12;33(1):12-23.]
기공치료를 이용한 고혈압 치료에 관한 연구는 5건으로 매우 적은 편이며, 현재까지 고혈압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창현 외. 한국 저널에 게재된 기공관련 대조군 임상연구 현황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319-324.]
고혈압의 비약물 치료방법에 대한 또 다른 연구방향은 호흡유도와 관련되어 있다. 환자의 날숨을 연장시켜서 느리고 편안하게 호흡수를 서서히 줄이도록 함으로써, 교감신경의 활성이 낮아지고 작은 혈관을 둘러싸는 근육이 이완되어서, 반복 훈련시 혈관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저하된 혈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러나 호흡이란 24시간 연속하여, 습관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 강사진이나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다고 하여도 단기간에 날숨을 연장시키는 호흡법에 적응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속적인 전문가 도움을 받는다면 호흡법의 반복훈련을 성공적으로 행할 수 있을지 모르나, 이는 매우 비경제적인 방법이 되고만다.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는 무자격자들의 난립과 잘못된 호흡유도로 많은 수의 환자들이 자신에게 적절하지 않은 호흡단련을 하여 부작용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호흡 신호에서 필요 파라미터를 검출하여 호흡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개인별 호흡법을 정량화하고, 필요 호흡 패턴에 따라 호흡 유도를 할 수 있는 휴대형 호흡 유도 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5-0084291 "바이오리듬 활동의 유익한 수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5-0072085 "바이오리듬 활동의 수정을 위한 일반화된 메트로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5924 "호흡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3644 "호흡 유도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흡 유도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3869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치료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호흡신호에서 진폭, 주파수, 주기, 흡기시간, 호기 시간을 파라미터로 검출하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호흡패턴을 획득한 다음, 호기시간과 흡기시간의 비율을 변경하여 호흡을 유도하는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적인 신호를 통하여 보다 직관적인 방식으로 호흡패턴의 변경을 유도하고, 목표치 대비 성취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센서와 콘트롤러를 연결하되, 벨트 형태로 제공되는 센서를 복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형의 콘트롤러를 통해 호흡유도를 함으로써 평상시에 항상 휴대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장치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에 있어서, 훈련전 호흡 주기를 센싱하여 목표 호흡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호흡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호흡을 유도하여 호흡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훈련후 호흡 주기를 센싱하여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보다 짧은 경우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에 따라 목표 호흡 주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호흡 훈련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와 동일한 경우 상기 호흡 훈련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보다 긴 경우 호흡 훈련의 다음 단계를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벨트와 콘트롤러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여 고혈압을 치료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밸트는 사용자의 훈련전 호흡 주기를 센싱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센싱된 훈련전 호흡 주기에 따라 목표 호흡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목표 호흡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는 호흡 유도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센서 밸트는 사용자의 훈련후 호흡 주기를 센싱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가 상기 훈련전 호흡 주기보다 짧은 경우 상기 훈련후 호흡 주기에 따라 목표 호흡 주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호흡 유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는 전문가 도움없이도 스스로 흡기와 호기시간의 비율을 조절하되, 분당 호흡수가 10회 정도로 낮아질 수 있도록 호흡훈련을 할 수 있다. 날숨을 연장시켜서 호흡수를 서서히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에 의해 교감신경의 활성이 낮아지고 작은 혈관을 둘러싸는 근육이 이완되어 혈관내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저하된 혈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비약물적 방식에 의한 보조적인 고혈압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혈압 치료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혈압 치료 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의 화면 예시도로서, 도 4는 호흡 유도 파형을 도시하고, 도 5는 목표치 달성률이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장치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는 공지의 고혈압 치료기기 또는 고혈압 치료용 보조기기와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으로 개발된 것이다.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몇 가지의 실시예가 공지의 센서와의 조합으로 또는 독자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는 센서가 구비된 벨트를 복부 또는 흉부에 착용하고 별도의 콘트롤러를 통해 시각적, 청각적인 방법에 의하여 호흡유도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는 센서가 구비된 벨트를 복부 또는 흉부에 착용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시각적, 청각적인 방법에 의하여 호흡유도를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설명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본 발명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는 센서 벨트(10)와 콘트롤러(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센서 벨트(10)는 제1 센서(11), 제2 센서(12), 제1 무선통신수단(13), 벨트(14) 및 체결수단(15)을 갖는다.
센서 벨트(10)는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콘트롤러(20)는 센서 벨트(10)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분석하고, 호기시간과 흡기시간의 비율을 변경하되, 분당 호흡수가 낮아지도록 목표치를 설정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호흡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센서 벨트(14)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직물제의 띠 형태의 부재이며, 그 끝단에 체결수단(15)이 구비된다. 체결수단(15)은 벨트(14)의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호간 체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벨트(10)를 복부 또는 흉부에 둘러서 착용한다. 벨트(14)를 복부 또는 흉부에 두른 다음 체결수단(15)을 체결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센서 벨트(10)는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서(11)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서(12)를 구비한다.
제1 센서(11)는 바람직하게는 양측방향으로 각각 벨트(14)가 연결되며, 양측 벨트(14)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측정함으로써 호흡신호를 측정한다. 호흡시 흉부 또는 복부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팽창시 제1 센서(11) 양측으로 연결된 벨트(14)가 당겨지면서 인장력이 인가된다. 인장력이 일정 값 이상 증가하면 흡기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하되, 반대로 증가된 인장력이 소멸하면 호기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1 센서(11)에 의한 측정값은 예컨대, 흡기와 호기를 나타내는 디지털 값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값일 수도 있다. 제1 센서(11)에 의한 측정값은 제1 무선통신수단(13)을 통해 콘트롤러(20)로 전송된다.
콘트롤러는 제1 센서(11)의 감지값을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우선, 인장력이 증가하는 구간을 흡기시간, 인장력이 소멸된 구간을 호기시간으로 볼 수 있다. 인장력의 변화량이 적은 구간을 안정된 상태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호흡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 흡기와 다음 흡기까지의 시간 간격, 호기와 다음 호기까지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주파수, 즉 호흡회수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수단(22)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제2 센서(12)는 상기 벨트(14)의 내측면에 구비되되, 착용시 사용자의 복부 또는 흉부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맥박수를 카운트한다. 제1 센서(11) 및 제2 센서(12)에 의한 측정값은 제1 무선통신수단(13)을 통해 콘트롤러(20)로 전송된다.
콘트롤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 제어수단(22), 제2 무선통신수단(23), 입력장치(24) 및 밴드(25)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21)는 예컨대, LCD 패널등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부재이다. 밴드(25)는 콘트롤러(20)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부재이며, 신축성 있는 스트랩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 또는 어깨 등에 착용하여 휴대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크기와 부피가 다소 큰 경우에는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두고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제2 무선통신수단(23)은 센서벨트(10)의 제1 무선통신수단(13)과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통신하기 위한 어댑터이다. 제2 무선통신수단(23)과 제1 무선통신수단(13)은 알려진 공지의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통신하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어댑터일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 전류 소모량이 낮고, 단가상승요인이 크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라면 이외에도 다른 규격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입력장치(24)는 콘트롤러(2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해당한다. 예컨대, 버튼이나 스위치와 같은 부재일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21)와 일체화된 터치패널일 수도 있다.
제어수단(22)은 센서 벨트(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수단(22)은 제1 센서(11)가 감지한 사용자의 호흡신호로부터 진폭, 주파수, 주기, 흡기시간, 호기 시간 가운데 하나 이상을 획득한다. 이를 획득하는 과정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후, 제어수단(22)은 해당 사용자의 목표 호흡패턴을 결정한다. 목표 호흡패턴은 최종적으로는 호기시간과 흡기시간의 비율을 4:6 내지 3:7 사이의 값으로, 호흡 수를 분당 10회 이하로 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호흡패턴과의 갭이 큰 경우에는 단계별로 목표 호흡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분석한 결과 호흡수가 분당 20회에 달하는 경우라면, 단번에 목표 호흡패턴을 분당 10회의 호흡수로 맞추는 대신에, 단계별로 15회, 10회 이런 식으로 천천히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시간과 흡기시간의 비율 역시 마찬가지로, 단계별로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수단(22)은 목표 호흡패턴이 정해지면,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상기 목표 호흡패턴으로 유도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표시한다. 도 4는 호흡 유도를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는 콘트롤러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4에는 디스플레이부(21)에 목표 호흡패턴에 해당하는 그래프가 실선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사용자의 실제 호흡신호에 해당한다. 가로축은 시간 흐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흡기 또는 호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보면서 호흡을 따라한다. 이때, 실선과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의 시간차, 간격차는 사용자의 실제 호흡과 목표 호흡패턴의 차이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이러한 그래픽 데이터를 통해 직관적으로 자신의 호흡을 목표 호흡패턴에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는 "들이마시기", "내쉬기"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쉬기"에 불이 들어오면 숨을 내쉬고, "들이마시기"에 불이 들어오면 들이마심으로써 호흡을 목표 호흡패턴에 일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기와 호기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목표 호흡패턴상 흡기시간과 호기시간이 필연적으로 불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들이마시기"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남은 흡기시간을 퍼센테이지나 초단위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되, 반대로 "내쉬기"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남은 흡기시간을 퍼센테이지나 초단위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22)은 사용자의 실제 호흡과 목표 호흡패턴의 차이를 이용하여 호흡패턴 목표치 달성률을 계산한다. 호흡패턴 목표치 달성률은 주당 호흡훈련 목표시간, 일간 호흡훈련 목표시간에 대한 달성률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도 있다. 제어수단(22)은 이와 같이 계산된 호흡패턴 목표치 달성률을 디스플레이부(21)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호흡패턴 목표치 달성률이 표시되는 콘트롤러의 화면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호흡패턴 목표치 달성률이 올라가는 것을 보면서, 자신이 순조롭게 호흡조절을 잘하고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콘트롤러(20)가 전용 하드웨어로 별도로 제작되는 대신, 스마트폰(20')으로 대체된다. 디스플레이부(21)와 입력장치(24)는 스마트폰(20')의 터치스크린이 되며, 제2 무선통신수단(23)은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무선 통신 어댑터가 된다. 스마트폰(20')은 별도로 제작된 전용앱을 통해 제어수단(22)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폰(20')은 전용앱을 통해 센서벨트(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호흡신호를 분석하고, 목표 호흡패턴을 결정하여 시각적으로 이를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센서 벨트(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콘트롤러(20)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콘트롤러(20)는 센서 벨트(10)가 사용자 호흡에 대해 훈련전 스캔을 수행하도록 한다(702). 훈련전 스캔은 통상 3분 정도 진행된다. 훈련전 스캔이 완료되면 콘트롤러(20)는 분당 호흡 분석을 수행한다(704). 분당 호흡 분석을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분당 몇번이나 호흡하는지(또는 호흡 주기)와,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훈련전 스캔이 3분 동안 진행되는 경우 최초 1분 동안 17회, 다음 1분 동안 16회, 마지막 1분 동안 15회 호흡했다면 평균값인 16회 호흡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는 호흡 훈련을 위한 목표 분당 호흡수를 설정한다(706). 사용자가 무리하지 않고 호흡 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통상 훈련전 스캔을 통해 획득한 분당 평균 호흡수보다 1회가 적은 값을 목표 분당 호흡수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훈련전 스캔에서 분당 평균 호흡수가 16회인 것으로 측정되면 15회를 목표 분당 호흡수로 설정한다.
다음에는 설정된 목표 분당 호흡수에 따라 호흡 훈련이 수행된다(708). 콘트롤러(20)의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목표 분당 호흡수에 따른 호흡 파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한다. 호흡 파형은 목표 분당 호흡수와, 바람직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호흡 훈련은 예를 들어, 10분 정도 수행된다.
다음에는 센서 밸트(10)를 통해 훈련후 스캔을 수행한다(710). 훈련후 스캔은 훈련전 스캔보다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된다. 호흡 훈련을 수행한 후이므로 짧은 스캔 시간 동안에도 비교적 정확한 분당 호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분 정도 진행된다. 훈련후 스캔이 완료되면 콘트롤러(20)는 분당 호흡 분석을 수행한다(712). 분당 호흡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을 측정한다.
다음에는 훈련전 스캔을 통해 측정한 분당 호흡수(훈련전 분당 호흡수)와 훈련후 스캔을 통해 측정한 분당 호흡수(훈련후 분당 호흡수)를 비교한다(714). 훈련전 분당 호흡수에 비해 훈련후 분당 호흡수가 작으면 호흡훈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훈련을 계속할지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훈련을 계속하거나 종료한다(716). 훈련전 분당 호흡수와 훈련후 분당 호흡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아직 호흡 훈련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여, 호흡 훈련 단계(708)를 다시 진행한다. 이 때에는 처음 호흡 훈련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만 호흡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호흡 훈련 시간이 10분이었으면 두번째 훈련 시간은 8분, 세번째 훈련 시간은 6분 등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훈련전 분당 호흡수보다 훈련후 분당 호흡수가 더 큰 경우에는 훈련전 스캔에서 평균 분당 호흡수가 잘못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호흡 훈련을 위한 목표 분당 호흡수를 훈련후 분당 호흡수보다 1회 적은 값으로 새롭게 설정하고(706), 호흡 훈련을 수행한다(708).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센서 벨트
11 : 제1 센서
12 : 제2 센서
13 : 제1 무선통신수단
14 : 벨트
15 : 체결수단
20 : 콘트롤러
21 : 디스플레이부
22 : 제어수단
23 : 제2 무선통신수단
24 : 입력장치
25 : 밴드

Claims (4)

  1.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을 스캔하는 센서 벨트와, 상기 센서 벨트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디스플레이를 갖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호흡 훈련 장치를 통해 상기 센서 벨트를 착용한 사용자의 고혈압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러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센서 벨트가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훈련 전에 스캔하도록 하고, 상기 센서 벨트의 호흡 스캔 결과를 이용해 상기 콘트롤러는 호흡 훈련 전의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을 제1 시간 동안 분 단위로 분석하고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훈련전 분당 호흡수보다 1회 적은 분당 호흡수를 목표 분당 호흡수로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목표 분당 호흡수와, 상기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의 목표값에 따른 호흡 파형을 제2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여 호흡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센서 벨트가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스캔하도록 하고, 상기 센서 벨트의 호흡 스캔 결과를 이용해 상기 콘트롤러는 호흡 훈련 후의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을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3 시간 동안 분 단위로 분석하고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e)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호흡 훈련 후의 분당 호흡수를 상기 호흡 훈련 전의 분당 호흡수와 비교하는 단계와,
    (f)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호흡 훈련 후의 분당 호흡수가 상기 호흡 훈련 전의 분당 호흡수보다 작은 경우 호흡 훈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호흡 훈련을 계속할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단계와,
    (g)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호흡 훈련 후의 분당 호흡수가 상기 호흡 훈련 전의 분당 호흡수와 동일한 경우 호흡 훈련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목표 분당 호흡수와, 상기 하나의 호흡 주기에서 흡기 시간과 호기 시간의 비율의 목표값에 따른 호흡 파형을 상기 제2 시간보다 짧은 제4 시간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여 호흡을 훈련시키는 단계와,
    (h)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호흡 훈련 후의 분당 호흡수가 상기 호흡 훈련 전의 분당 호흡수보다 큰 경우 상기 호흡 훈련 전의 분당 호흡수가 잘못 측정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호흡 훈련 후의 분당 호흡수보다 1회 적은 분당 호흡수를 목표 분당 호흡수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0225A 2019-04-30 2019-04-30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KR10231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25A KR102318827B1 (ko) 2019-04-30 2019-04-30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225A KR102318827B1 (ko) 2019-04-30 2019-04-30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04A KR20200126504A (ko) 2020-11-09
KR102318827B1 true KR102318827B1 (ko) 2021-10-28

Family

ID=7342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225A KR102318827B1 (ko) 2019-04-30 2019-04-30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97B1 (ko) * 2020-12-30 2023-02-21 이귀선 센서 모듈과 자극 모듈과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호흡을 훈련하는 장치
JPWO2022153818A1 (ko) * 2021-01-18 2022-07-21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8970B1 (en) 2002-08-09 2020-06-17 Intercure Ltd. Generalized metronome for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US8672852B2 (en) 2002-12-13 2014-03-18 Intercu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neficial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KR100653644B1 (ko) 2006-01-04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흡 유도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호흡 유도방법
JP2007190275A (ja) * 2006-01-20 2007-08-02 Omron Healthcare Co Ltd 呼吸訓練器
KR100785924B1 (ko) 2006-12-26 2007-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흡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1653869B1 (ko) * 2014-07-08 2016-09-02 이귀선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504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3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state in a subject
EP2854917B1 (en) Improving heart rate coherence using respiratory therapy devices
JP6755356B2 (ja) 検出装置
US20160193436A1 (en)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sensors and methods
KR101653869B1 (ko) 호흡유도를 통한 고혈압 치료 보조기기
WO2008139380A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breathing exercises
KR102318827B1 (ko) 호흡 훈련을 통한 고혈압 치료 방법 및 장치
US20140007877A1 (en) Childbirth labor coach with paced breathing
CN112957687A (zh) 一种腹式呼吸训练系统
JP5610159B2 (ja) 呼吸訓練装置および呼吸訓練システム
KR102502197B1 (ko) 센서 모듈과 자극 모듈과 제어 모듈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호흡을 훈련하는 장치
KR20210085722A (ko)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조절하는 치료 시스템의 호흡 훈련 방법
TWI558374B (zh) Physiological feedback system
JP5622202B2 (ja) 呼吸訓練装置および呼吸訓練システム
Kim A Study on the Assistant Device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by Breathing Exercise
TWI392525B (zh) 腹式呼吸訓練裝置、腹式呼吸訓練系統及其方法
TWI559172B (zh) Physiological feedback system
KR20210085714A (ko) 호흡을 통해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조절하여 안정단계를 유도하는 치료보조기기
TWI541681B (zh) Physiological feedback system
WO2022234720A1 (ja) 呼吸誘導方法、および呼吸誘導装置
TWM575558U (zh) Physiological feedback system
WO2023078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hysiological state of a user and providing at least one personalized breathing exercise to the user, and virtual moni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TWI558372B (zh) Physiological feedback system
KR20140102022A (ko) 호흡 패턴 훈련용 생체 피드백 조끼
TW201627814A (zh) 生理回饋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