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3629A1 -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 Google Patents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3629A1
WO2013133629A1 PCT/KR2013/001811 KR2013001811W WO2013133629A1 WO 2013133629 A1 WO2013133629 A1 WO 2013133629A1 KR 2013001811 W KR2013001811 W KR 2013001811W WO 2013133629 A1 WO2013133629 A1 WO 20131336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crisis
module
respiratory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8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건혁
남상춘
Original Assignee
Kwon Kun Hyuck
Nam Sang Ch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won Kun Hyuck, Nam Sang Choon filed Critical Kwon Kun Hyuck
Publication of WO20131336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36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clock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 crisis material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 clock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a crisis material using the user's respiratory rate and weather time.
  • acupuncture is a technique for stimulating the nervous system by puncturing certain parts of the body to achieve a specific therapeutic effect. Stimulation sites vary with symptoms and there are several theories about this. There are resin needles for stimulating hands, ear tips for stimulating ears, foot acupuncture for stimulating feet, and body needles for stimulating the entire body. In some cases, the needle is turned or a weak current flows. This conventional acupuncture will stimulate the parts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symptoms.
  • conventional acupuncture determines the parts of the human body to stimulate the symptoms only.
  • the human body is a crisis flows in the order of the sun, yangyang, Yangming, yin and yang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me effect does not appear to the same person with the same blood collec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angle clock that can grasp different crisis material for each person and a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for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per minute of the user, the respiratory rate per minute of the user measured in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and the user's crisis time in the user's wake-up time.
  •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for identifying the material
  •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risis material of the user identified in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provides an white clock.
  •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may include: a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set a time at which the user measures a respiratory rate; and a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configured to input a respiratory rate breathed by the user during a measurement time set by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Include.
  •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a user angl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angle of the user based on the measurement time set in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and the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and the user's weather It includes a wake-up time input module for inputting a time, and a crisis material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crisis material of the user by the user 1 angle and the weather time.
  • the user 1 each to be.
  • the crisis is repeated one cycle in the order of the sun, yangyang, yangming, the minute
  • the sun of the first period is started from the wake-up time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first period The cultivation of is started from the time when the sun ends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quantum of the first cycle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cultivation ends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note of the first period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two persons end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each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with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module, and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risis material of the user with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user's respiratory rate and the user's wake-up time It provides a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with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module sett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of the user to a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and inputt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d dur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of the user Input to the module.
  • Determining the crisis location of the user by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user's respiration rate and the user's weather time, the step of inputting the user's weather time to the weather time input module, and breathing of the user Calculating a user 1 angle with a user 1 angle calculation module using the number measurement time and the respiratory rate measured dur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as input values, and using the wake-up time and the user 1 angle as input values. Calculating the crisis material with the crisis material calculation module.
  • the user 1 each to be.
  • the crisis is repeated one cycle in the order of the sun, yangyang, yangming, the minute
  • the sun of the first period is started from the wake-up time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first period The cultivation of is started from the time when the sun ends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quantum of the first cycle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cultivation ends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the user 1 angle
  • the note of the first period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two persons end and is maintained for the time of each us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hite-angle clock that can grasp the crisis material by the person's breathing rate and the weather time of the day and a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hit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flow of the group to the human body.
  • FIG. 3 is a plan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 chart of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hite c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hite-angle clock measures the breathing rate measuring module 100 for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per minute of the user, and grasps the user's crisis ( ⁇ ⁇ , Yanggi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body).
  • the crisis material identifying module 200 and the display module 300 displaying the identified crisis material.
  •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100 is for measuring a respiratory rate of a user, and includes a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110 and a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120.
  •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110 is for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breathes for a certain time, the tim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time for the user to measure the respiratory rate, and starts to start the time measurement when the user starts breathing It includes a button.
  •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110 may set and measure a minute unit time such as 1 minute, 2 minutes, 3 minutes, or 5 minutes for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can measure all the time in seconds or more.
  • the time setting module has a preset time in minutes and the user may select it or the user may directly input the time.
  • it is desirable to set a long time That is, for example, measuring about 3 minutes or 4 minutes rather than 1 minute or 2 minutes is effective for measuring the average respiratory rate more accurately.
  • the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120 is for directly inputting the respiratory rate breathed by the user during the time set by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110, and selects a respiratory rate preset in natural units or by the user himself. You can enter natural numbers directly.
  •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and a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respiratory rate measuring device as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module.
  • the respiratory rate measuring device directly measures the user's breathing through the user's mouth,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averag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by the built-in time measuring device.
  • Crisis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200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risis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s wake-up time and the average respiratory rate, the location is determined from the time to wake up, the spe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breathing rate. Accordingly, the crisis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200 includes a user 1 calculation module 210, a weather time input module 220, and a crisis location calculation module 230.
  • the user 1 angle calculation module 210 is used to calculate a different angle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 the user 1 angle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 the measurement time i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110
  • the respiratory rate is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during the set measurement time.
  • 135 is a coefficient for normal breathing, since 135 breaths are performed during each angle. This is the movement of the meridians by the force of breathing, one breath (inhale, exhale) at a speed of 6 villages (about 13.5cm) (about 9.4 breaths per minute).
  • the total distance circulating the human body 28 veins is 1620 villages, circulating the whole body once for 270 breaths, corresponds to two angles. That is, in general, the respiratory rate during the day is 13500 times, during which the crisis cycles the human body 50 times. Thus, during each angle, the crisis cycles through the body 0.5 times, which occurs for 135 breaths.
  • Each user 1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user's respiratory rate by 135 and then dividing the user's respiratory rate during the measurement time. Each is a unit of time, equivalent to 1/100 of a 24 hour period. Therefore, each corner corresponds to 14 minutes, 24 seconds, and about 15 minutes. As such, the angle is generally about 15 minutes, but the angle of user 1 may be faster or slower than the angle of 1, depending on the average breathing rate of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s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is 180 seconds and the respiratory rate is 36 times, the user 1 angle is 11 minutes and 15 seconds, which is 675 seconds.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group to the human body.
  • the crisis material calculation module 230 is for calculating the crisis material based on the user angles calculated by the user angle calculation module 210 and the weather time of the corresponding user.
  • the crisis is shown in FIG. , Soyang, Yangming, Yin is divided into, Sun, Soyang, Yangming, Yin is one week ( ⁇ ).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week, that is, one cycle is repeated continuously.
  • the sun interval which is the first crisis of one week,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2 below.
  • the sun section of one week starts from the user's wake-up time and flows for the time of each user.
  • the cultivation section starts from the sun section end time and is maintained for each user 1 time.
  • the Yangming section begins. This is shown in Equation 4 below.
  • the Yangming section starts from the end of the Soyang section and is maintained for each user 1 time.
  • the fraction section starts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 the minute time is also started at the end of the Yangming section and is maintained for each user's time, and once the week ( ⁇ ) proceeds in the order of Sun, Soyang, Yangmyeong, and Yang, the sun, Soyang, Yangmyeong The two weeks in the order of the fractions begin. In addition, when two weeks are finished, it progresses continuously in the cycle of three weeks, four weeks, and five weeks in the same order again.
  • the wake-up time input module 220 is for inputting a time when the user wakes up today, and may be input in an hour unit, an hour / minute unit, or an hour / minute / second unit.
  • the waking time is preferably input by the user the last waking time. For example, if the user wakes up at 6 o'clock and then goes to bed again and wakes up at 7 o'clock, the user preferably enters 7 o'clock as the wake up time. This is because the crisis flows from the time the user wakes up. For example, if the user's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is 180 seconds and the respiratory rate is 36 times, the user 1 angle is 1175 minutes, which is 675 seconds. If the user's waking time is 7:20 am, the circulation cycle is 57 minutes 36 seconds. .
  • FIG 3 is a plan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module 300 is for showing the user's crisis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3, the crisis material display module 310 and the crisis material display module 310 having a circular clock shape based on the plan view are provided. And a crisis location indicating module 320 indicating the crisis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by indicating the displayed crisis.
  • the crisis material display module 310 is circular on the basis of the plan view, and the crisis, that is, the sun, the yang, the yangming, and the quaternary are sequentially repeated along the edge. It also marks day and night across the circle, and the crisis begins at the boundary between day and night on the left. However, the indications of day and night are only general indications here, and the crisis material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indication of day and night.
  • the crisis material indicating module 320 includes an hour hand and a minute hand, and instructs the user's current crisis material with the hour and minute hands according to the crisis material identified by the crisis material identifying module 2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module 300 may simply display the crisis of the current user among the sun, yangyang, yangming, and motley.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hite clock that can grasp the crisis material over time based on the user's wake-up time and average respiratory rate.
  • FIG. 4 is a flow chart of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identifying a crisis material includes a step S1 of measuring a user's respiratory rate and a step S2 of identifying a user's crisis material.
  • Step (S1) of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includes setting a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S1-1), and inputting the measured respiratory rate (S1-2).
  • Step (S1-1) of sett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sets the user's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to the measurement time setting module. This allows the user to set a time in minutes such as 1 minute, 2 minutes, 3 minutes, or 5 minutes for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or the user can set the time directly.
  • step S1-2 the measured respiratory rate is input to the respiratory rate input module.
  • Determining the crisis material of the user is to determine the crisis material of the user with the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odule based on the user's respiration rate and the user's wake-up time. This includes inputting the user's wake-up time (S2-1), calculating the user 1 angle (S2-2), and calculating the user's crisis location (S2-3).
  • Step (S2-1) of entering the user's wake-up time inputs the user's wake-up time to the wake-up time input module.
  • the user input the last time of waking up on the day of measuring the crisis situation.
  • the user 1 angle is calculated using the user 1 angle calculation module using the user's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and the respiratory rate measured during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time as input values. This may be calculated as in Equation 1 described above.
  • the user's crisis material is calculated using the crisis material calculation module using the weather time and the user 1 angle as input values. It can calculate the time range of the sun, yangyang, yangming, and the quasi-numerator like the above equation (2) to (5).
  •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S2-1) of inputting the user's wake-up time in the step (S2) of grasping the crisis location of the user function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tep S2-1 of inputting the user's waking time may be included in the step S1 of measuring the respiratory rate of the user. In other words, the user may enter both the respiratory rate, wake-up time, and measurement time before calculating the crisis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risis material identification method that can determine the crisis material over time based on the user's wake time and the average respiratory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호흡수와 기상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의 호흡수와 그 날의 기상시간으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본 발명은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호흡수와 기상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술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찔러서 자극함으로써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기법이다. 자극 부위는 증상에 따라 다르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손을 자극하는 수지침, 귀를 자극하는 이침, 발을 자극하는 족침, 신체 전체를 자극 대상으로 하는 체침 등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침을 돌리거나 약한 전류가 흐르게 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침술은 증상에 따라 대응하는 인체의 부위에 자극을 가하게 된다.
즉, 기존의 침술은 증상만으로 자극을 가하는 인체의 부위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인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대로 위기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동일한 사람에게 동일한 취혈과 보사법으로 동일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인간의 생체리듬을 도출하는 기술만이 존재할 뿐, 위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마다 상이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를 제공한다.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호흡수를 입력하는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입력 모듈에 입력된 호흡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1각을 연산하는 사용자1각 연산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1각과 상기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PCTKR2013001811-appb-I000001
이다. 또한, 상기 위기는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를 갖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은 상기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은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은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은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호흡수 입력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상시간 입력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시간과 상기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PCTKR2013001811-appb-I000002
이다. 또한, 상기 위기는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를 갖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은 상기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은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은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은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본 발명은 개인의 호흡수와 그 날의 기상시간으로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개념도.
도 2는 인체에 대한 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100)과, 사용자의 위기(衛氣, 몸의 겉면에 흐르는 양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200), 및 파악된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포함한다.
호흡수 측정 모듈(100)은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 시간 설정 모듈(110)과, 호흡수 입력 모듈(120)을 포함한다.
측정 시간 설정 모듈(110)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호흡하는 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 모듈과, 사용자가 호흡을 시작할 때 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시작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측정 시간 설정 모듈(110)은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해서 1분, 2분, 3분, 또는 5분 등의 분 단위 시간을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은 초 단위 이상의 모든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설정 모듈은 분 단위의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시간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물론, 평균 호흡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서, 1분, 2분 보다는 3분, 4분 정도로 측정하는 것이 평균 호흡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
호흡수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가 측정 시간 설정 모듈(110)을 통해 설정한 시간동안 자신이 호흡한 호흡수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연수 단위로 미리 설정된 호흡수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자신이 직접 자연수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호흡수 측정 모듈이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호흡수 측정 모듈로 호흡수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흡수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호흡을 사용자의 입을 통해 직접 측정하며, 내장된 시간 측정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평균 호흡수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위기 소재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는 기상하는 시간부터 시작되어 개인의 호흡수에 따라 그 빠르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위기 소재 파악 모듈(200)은 사용자1각 연산 모듈(210)과, 기상시간 입력 모듈(220), 및 위기 소재 연산 모듈(230)을 포함한다.
사용자1각 연산 모듈(210)은 사용자 개인의 호흡수에 따라 사용자 개인마다 상이한 1각을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1각은 아래의 수학식1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3001811-appb-M000001
여기서, 측정시간은 측정 시간 설정 모듈(110)로 측정된 것이며, 호흡수는 설정된 측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호흡수이다. 또한, 135는 정상적인 호흡일 경우, 1각 동안 135회의 호흡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계수이다. 이는 경맥의 운행은 호흡의 힘으로 이루어지는데, 한번 호흡(들숨, 날숨)에 6촌(약 13.5cm)의 속도로 운행하게 된다(분당 9.4회 호흡). 또한, 인체 28맥을 순환하는 총 거리는 1620촌으로서, 270번 호흡하는 동안 전신을 1번 순환하게 되며 2각에 해당된다. 즉, 일반적으로 하루 동안의 호흡수는 13500번이 되며, 이 동안 위기는 인체를 50회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1각 동안 위기는 인체를 0.5회 순환하게 되며 이는 135회의 호흡 동안 이루어진다.
사용자1각은 수학식1과 같이,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한 시간을 135로 곱한 후, 측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호흡수를 나누어 결정한다. 각(刻)은 예전의 시간의 단위로서, 하루 24시간의 1/100에 해당한다. 따라서, 1각(刻)은 현재시간으로 14분 24초, 약 15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1각은 약 15분이나, 사용자1각은 사용자의 평균 호흡수에 따라 일반적인 1각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시간이 180초이며 호흡수가 36회일 경우, 사용자1각은 675초인 11분 15초가 된다.
도 2는 인체에 대한 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위기 소재 연산 모듈(230)은 사용자1각 연산 모듈(210)에서 연산된 사용자1각과, 해당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를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소양, 양명, 음분으로 구분되며,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이 1주(週)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주, 즉, 하나의 주기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여기서, 1주(週)의 첫 번째 위기인 태양 구간은 아래의 수학식2와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3001811-appb-M000002
수학식2에서와 같이, 1주(週)의 태양 구간은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흐르게 된다.
또한, 태양 구간이 끝나게 되면 소양 구간이 시작되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3과 같이 연산된다.
수학식 3
Figure PCTKR2013001811-appb-M000003
여기서, 소양 구간은 태양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된다. 소양 구간이 종료되면 양명 구간이 시작된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13001811-appb-M000004
수학식4와 같이, 양명 구간은 소양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양명 구간이 종료되면 아래의 수학식5와 같이 음분 구간이 시작된다.
수학식 5
Figure PCTKR2013001811-appb-M000005
수학식5와 같이, 음분 시간 역시 양명 구간 종료시간부터 시작되어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태양과 소양, 양명, 음분 순서로 진행되는 1주(週)가 종료되면 다시 태양, 소양, 양명, 음분 순서로 진행되는 2주(週)가 시작된다. 또한, 2주(週)가 종료되면 다시 동일한 순서대로 3주(週), 4주(週), 5주(週)의 주기대로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기상시간 입력 모듈(220)은 사용자가 금일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 단위, 또는 시/분 단위, 또는 시/분/초 단위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시간은 사용자가 최종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초 6시에 기상하였다가 다시 취침하여 7시에 기상하였다면, 사용자는 기상시간으로 7시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기가 사용자가 기상하는 시간부터 흐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시간이 180초이며 호흡수가 36회일 경우 사용자1각은 675초인 11분 15초가 되며, 사용자의 기상시간이 오전 7시 20분일 경우 순환주기는 57분 36초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의 시계 형상인 위기 소재 표시 모듈(310)과, 위기 소재 표시 모듈(310)에 표시된 위기를 지시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나타내는 위기 소재 지시 모듈(320)을 포함한다.
위기 소재 표시 모듈(310)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이며, 가장자리를 따라 위기, 즉,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이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원형을 가로질러 낮과 밤을 표시하고 있으며, 좌측의 낮과 밤의 경계부터 위기가 시작된다. 하지만, 여기서 낮과 밤의 표시는 일반적인 표시일 뿐이며, 낮과 밤의 표시에 따라 위기 소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위기 소재 지시 모듈(320)은 시침과 분침을 포함하며, 위기 소재 파악 모듈(200)에서 파악된 위기 소재에 따라 시침과 분침으로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기 소재를 지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단순히 태양, 소양, 양명, 음분 중 현재 사용자의 위기를 표시해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백각시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백각시계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와,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는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는 호흡수 측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1)와,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호흡수 측정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1)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한다. 이는 사용자가 호흡수 측정을 위해서 1분, 2분, 3분, 또는 5분 등의 분 단위 시간을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하는 단계(S1-2)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호흡수 입력 모듈로 입력한다.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는 사용자의 호흡수와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한다. 이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와,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S2-2), 및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로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한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기 소재를 측정하는 날 마지막으로 기상한 시간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S2-2)는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한다. 이는 전술된 수학식1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단계(S2-3)는 기상시간과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한다. 이는 전술된 수학식2 내지 수학식5와 같이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시간 범위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를 그 기능상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단계(S2)에 포함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하는 단계(S2-1)는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S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호흡수와 기상시간 및 측정시간을 위기 소재 연산 전에 모두 입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평균 호흡수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위기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는 호흡수 측정 모듈과,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분당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파악하는 위기 소재 파악 모듈, 및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에서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가 호흡수를 측정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측정 시간 설정 모듈과,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가 호흡한 호흡수를 입력받는 호흡수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기 소재 파악 모듈은,
    상기 측정 시간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입력 모듈에 입력된 호흡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1각을 연산하는 사용자1각 연산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입력받는 기상시간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1각과 상기 기상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연산하는 위기 소재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PCTKR2013001811-appb-I0000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기는 경락에서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로 이동하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기상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각시계.
  6.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흡수 측정 모듈로 사용자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을 측정 시간 설정 모듈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 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호흡수 입력 모듈로 상기 측정 시간 동안의 호흡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로 도출된 사용자1각과,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부터 사용자1각의 시간으로 경락을 통해 흐름이 진행되는 위기의 위치인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파악 모듈로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수 측정 시간과 상기 호흡수 측정 시간동안 측정된 호흡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사용자1각 연산 모듈로 사용자1각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상시간과 상기 사용자1각을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기 소재를 위기 소재 연산 모듈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각은
    Figure PCTKR2013001811-appb-I000004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기는 경락에서 태양, 소양, 양명, 음분의 순서로 이동하는 하나의 주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태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기상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소양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태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고,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양명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소양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며,
    첫 번째 주기의 상기 음분에서 상기 위기는 상기 양명이 종료되는 시간부터 흐르기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1각의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 소재 파악 방법.
PCT/KR2013/001811 2012-03-07 2013-03-06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WO20131336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66 2012-03-07
KR1020120023366A KR101212059B1 (ko) 2012-03-07 2012-03-07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629A1 true WO2013133629A1 (ko) 2013-09-12

Family

ID=4790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811 WO2013133629A1 (ko) 2012-03-07 2013-03-06 백각시계와 이를 이용한 위기 소재 파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2059B1 (ko)
WO (1) WO201313362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2B1 (ko) * 2006-02-23 2007-10-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열 감별 장치
KR20090127612A (ko) * 2008-06-09 2009-12-14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81717A (ko) * 2009-01-07 2010-07-15 썬메디텍 (주)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2B1 (ko) * 2006-02-23 2007-10-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열 감별 장치
KR20090127612A (ko) * 2008-06-09 2009-12-14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81717A (ko) * 2009-01-07 2010-07-15 썬메디텍 (주) 모바일 무선 스트레스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059B1 (ko)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8370B (zh) 一种多功能的智能针灸诊疗仪及应用方法
US91142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ress
Cappo et al. The utility of prolonged respiratory exhalation for reduc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rousal in non-threatening and threatening situations
CN102698371B (zh) 一种智能循证针灸诊疗系统及方法
ES2232406T3 (es) Metodo de confirmacion del ejecutor de un ejercicio.
CN201658782U (zh) 便携式的心肺功能锻炼引导装置
US20080171311A1 (en) Wearable cpr assist, training and testing device
BR112018014178B1 (pt) Método e sistema de disputa e determinação do vencedor de esporte de combate
WO2020253558A1 (zh) 一种基于按摩椅的健康参数检测方法、装置和系统
CN202715133U (zh) 一种多功能的针灸穴位治疗与传感一体化的探头
WO2020156030A1 (zh) 一种基于呼吸和力触觉协同控制的注意力训练方法及系统
CN111653170A (zh) 一种心肺复苏培训系统及其培训方法
CN105595977A (zh) 一种基于云数据平台的心理健康监控系统
US20190269361A1 (en) Detection device
CN102423262A (zh) 一种具有肺活量检测功能的移动终端及其肺活量检测方法
WO2013077588A1 (ko) 호흡을 이용한 유희장치
CN108671497A (zh) 气息训练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160138682A (ko) 복합 생체신호를 이용한 능동형 스피닝 트레이닝 시스템
CN202761677U (zh) 一种多功能的智能针灸诊疗仪
WO2015080360A1 (ko) 생체활력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WO2016006769A1 (ko) 동맥 채혈 지원 장치
CN209221445U (zh) 气息训练检测装置
CN207236289U (zh) 一种多功能智能手环
WO2013172830A1 (en) Neurotransmission measurement adapter
WO2013122369A2 (ko) 실시간으로 정확한 호흡상태 인지가 가능한 호흡훈련방법 및 호흡훈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72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572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