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844B1 -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844B1
KR101871844B1 KR1020160005960A KR20160005960A KR101871844B1 KR 101871844 B1 KR101871844 B1 KR 101871844B1 KR 1020160005960 A KR1020160005960 A KR 1020160005960A KR 20160005960 A KR20160005960 A KR 20160005960A KR 101871844 B1 KR101871844 B1 KR 10187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de
earphone
resis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286A (ko
Inventor
정기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르츠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르츠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르츠닥
Publication of KR2016008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자극기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단말로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미세전류 자극기에는 이어폰 잭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잭 접속단자의 종류에 따라 접지가 다른 위치에 위치해도 안정적인 접지단과 전원단을 확보하고, 낮은 출력전류에도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구동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에서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온(on)함에 따른 시작버튼의 개시신호가 휴대단말의 연산처리부로 수신될때 까지 기다리는, 시작버튼 온(on) 기다림단계; 시작버튼이 온 되면, 전극 패치가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휴대단말은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테스트 신호를 이어폰 잭의 오른쪽 음향신호단, 또는 왼쪽 음향신호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는, 테스트 신호 발생단계; 미세전류 자극기의 피드백 출력단으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를 휴대단말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 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에서,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를 넘어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휴대단말은 전극패드가 미부착되어 있음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시작버튼 온 기다림단계로 되돌아 가는, 전극 미부착 알림단계; 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에서,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 내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자극파형으로 미세전류를 전극패드로 출력하여, 전극패드를 구동시키는, 전극패드 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Microcurrent stimulator using an earphone socket of mobile terminal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미세전류 자극기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단말로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미세전류 자극기에는 이어폰 잭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잭 접속단자의 종류에 따라 접지가 다른 위치에 위치해도 안정적인 접지단과 전원단을 확보하고, 낮은 출력전류에도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구동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전류를 피부에 흘려 줌에 의해, 얼굴 등을 맛사지하거나, 통증을 경감시키며, 특히, 피부내 콜라겐층을 자극하여,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 토닝을 한다다.
일반적으로, 미세전류를 이용한 인체효능으로는, ATP(adenosine triphjosphate) 생성 촉진, 지연성근통증(DOMS) 완화, 노폐물 배출 촉진, 골절 및 상처 회복 촉진, 항균 기능, 피부 토닝, 주름개선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화장수 또는 화장용 크림 등을 도포한 피부를, 미세전류 자극기로 자극함에 의해, 화장수 또는 화장용 크림의 유효한 성분이 피부내 보다 깊숙이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미를 상당히 중요시 여기며, 아주 바쁘게 사는 현대인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시간이 날 때마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미세전류 자극기가 요망되나, 기존의 미세전류 자극기는 그 자체가 부피가 있고, 휴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시간이 날 때마다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
따라서, 현대인이 거의 항상 지니고 있는 물품인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가 요망된다.
즉, 피부를 미세전류 자극기로 자극할때, 인가되는 전기적인 자극 신호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이를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에 내장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에 의한 유효성분의 피부침투를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직류 또는 초저주파 신호를 인가하지만, 리프팅효과를 기대하는 경우에는 짧은 주기의 펄스 파형을 인가해야 한다. 파의 형태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주파수, 사용시간, 전압, 전류 등을 변화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휴대단말장치에 내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어폰 출력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해 질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의 내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어폰 출력신호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제어하게 되면, 예를들어, 새로운 형태의 자극 신호가 개발된 경우에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보급하는 스토어(예를 들어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과정만 거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급자의 사후관리의 부담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는 미세전류 자극기의 사용시, 손쉽게 새로운 형태의 자극을 경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6914호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전극 패드의 리드선들과 연결된 커넥터 기기를 연결시키고,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서 공급되는 사운드 신호를 조절부를 통해 전극 패드에 공급하여 전기 자극을 행하게 하며, 상기 조절부는 전선을 통하여 전달된 라이트, 레프트 신호를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변 저항기로 구현된다.
그런데, 휴대폰용 이어폰 단자는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부분과 접지이외에, 마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용 이어폰 잭도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부분과 접지이외에, 마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마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은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전원전압(Vcc)가 걸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히, 휴대폰용 이어폰 잭은 도 1에서와 같이 유럽식 이어폰 잭(도 1의 (a))과 미국식 이어폰 잭(도 1의 (b))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이어폰 잭 접속단자도 유럽식과 미국식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져 있다. 즉, 이어폰 잭은 밑의 첨두면부터, 순서대로, 접속단 J1, J2, J3, J4를 가지는데, 그 중 제1접속단(J1)은 왼쪽 이어폰 음향신호가 전달되고, 제2접속단(J2)은 오른쪽 이어폰 음향신호가 전달되며,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는 마이크 신호(Mic)와 접지(공통)신호(Com)를 전달하되, 유럽식과 미국식이 서로 엇갈린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유럽식과 미국식은 접지를 나타내는 접속단자가 서로 다른 부분에 위치됨으로써, 이들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의 마이크 신호(Mic) 단과 이어폰 잭의 접지단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연견될 경우,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의 마이크 신호(Mic) 단의 전원전압(Vcc)이 그대로 이어폰 잭의 접지단에 걸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전극 패드를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커넥터 기기가 망거지거나, 아니면 위험한 상태에 직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전류 자극기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단말로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미세전류 자극기에는 이어폰 잭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잭 접속단자의 종류에 따라 접지가 다른 위치에 위치해도 안정적인 접지 전위를 확보하고, 낮은 출력전류에도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구동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미세전류는 일반적인 저주파자극기와는 달리 매우 낮은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감각을 통해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 중 전극 부착이 불량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기계가 전극의 부착 정도와 불량여부를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릿지 다이오드와 분압기(voltage divid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전원의 극성이 바뀌어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극성에 상관없이 마이크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하여 전극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검출함으로써 전극의 부착이 잘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세전류 자극기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단말로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미세전류 자극기에는 이어폰 잭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잭 접속단자의 종류에 따라 접지가 다른 위치에 위치해도 안정적인 접지단과 전원단을 확보하고, 낮은 출력전류에도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구동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어폰 단자에서 출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되, 휴대단말로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휴대하여 피부 관리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분압기(voltage divid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전원의 극성이 바뀌어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극성에 상관없이 마이크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하여 전극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검출함으로써 전극의 부착이 잘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접속단 내지 제4접속단을 가지며,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은 이어폰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이어폰 왼쪽 음향신호단이며,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은 마이크 신호단과 접지단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에 있어서,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에서 제3저항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하는 정전압 회로부; 구동전압단자에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연결되고, 입력단자에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자에 제1전극패치와 제2전극패치가 연결되어,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과 제2전극패치 중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하고,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과 제2전극패치 중 다른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은,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제2다이오드의 일측(애노드단)과,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와 제4다이오드의 일측(애노드단)이 한점에 접속된 점이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은,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제2다이오드의 일측(캐소드단)과,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와 제4다이오드의 일측(캐소드단)이 한점에 접속된 점이다.
제1전극패치 및 제2전극패치의 +극은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제1전극패치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려 주도록 이루어지며,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제2전극패치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려 주도록 이루어진, 전극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극 제어부에서,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1캐패스터를 통해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4저항이 연결되며,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전극패치가 장착된다.
전극 제어부에서,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2캐패스터를 통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5저항이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2전극패치가 장착된다.
제1전극패치의 +극은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제2전극패치의 +극은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제1전극패치 및 제2전극패치의 -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제2접속단은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접지의 사이에 제12저항과 제4캐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며,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정류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제1접속단의 사이에 전극패치가 장착되는, 전극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는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발광다이오드을 장착하여, 전극패치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전극패치의 +극은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극패치의 -극은 제1접속단에 연결된다.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은 제3캐패시터를 거쳐 피드백 출력단으로 가며, 피드백 출력단은 제11저항을 거쳐 접지와 연결되고, 피드백 출력단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포트에 연결되며, 피드백 출력단은 전극패드 연결여부를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포트로 알린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에서 제3저항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하는 정전압 회로부; 구동전압단자에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연결되고, 입력단자에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을 연결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 하나의 입력단에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제2접속단이 연결되고, 출력단과 제1접속단 사이에 전극패치가 연결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제2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여, 구동여부를 나타낸다.
전극패치의 +극은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극패치의 -극은 제1접속단자이거나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단말은 기설정된 자극파형에 따라 전극패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휴대단말은 미세전류 자극기로부터 전극패드 부착여부를 나타내는 피드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극패드 구동을 종료하게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에서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온(on)함에 따른 시작버튼의 개시신호가 휴대단말의 연산처리부로 수신될때 까지 기다리는, 시작버튼 온(on) 기다림단계; 시작버튼이 온 되면, 전극 패치가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휴대단말은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테스트 신호를 이어폰 잭의 오른쪽 음향신호단, 또는 왼쪽 음향신호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는, 테스트 신호 발생단계; 미세전류 자극기의 피드백 출력단으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를 휴대단말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 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에서,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를 넘어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휴대단말은 전극패드가 미부착되어 있음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시작버튼 온 기다림단계로 되돌아 가는, 전극 미부착 알림단계; 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에서,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 내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기 설정된 자극파형으로 미세전류를 전극패드로 출력하여, 전극패드를 구동시키는, 전극패드 구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방법은, 전극패드 구동단계 후, 휴대단말은 기설정된 자극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에서, 자극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휴대단말은 미세전류 자극기의 피드백 출력단으로부터 피드백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 와 같은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면, 전극 미부착 알림단계로 가고, 만약,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다면, 전극패드 구동단계로 가는, 제2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에서, 자극시간이 종료되었다면, 기 설정된 자극파형으로 미세전류를 전극패드로 출력하는 것을 휴대단말은 중단하여, 전극패드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전극패드 구동종료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는, 미세전류 자극기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며,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단말로 미세전류 자극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미세전류 자극기에는 이어폰 잭 안전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어폰 잭 접속단자의 종류에 따라 접지가 다른 위치에 위치해도 안정적인 접지단과 전원단을 확보하고, 낮은 출력전류에도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어폰 단자에서 출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되, 휴대단말로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휴대하여 피부 관리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전극의 종류, 사용 목적에 따라 원하는 파형 생성용 컨텐츠를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내려받음으로써 기기의 교체를 하지 않고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브릿지 다이오드와 분압기(voltage divid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전원의 극성이 바뀌어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극성에 상관없이 마이크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하여 전극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검출함으로써 전극의 부착이 잘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미세전류 자극기를 사용하면서, 전극의 접촉여부를 확인하여, 제대로된 미세전류 자극치료를 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 토닝 등의 피부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잭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3개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의 일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서 2개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의 일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미세전류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미세전류 자극기는 전극 패치(300)와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의 일단에는 휴대단말(200)과 연결된 제1연결선(290)이 연결되어 있고, 제1연결선(290)의 단부에는 오디오 잭(220)이 연결되어 있으며, 오디오 잭(220)은 휴대단말(200)의 이어폰 단자(210)에 삽입하여,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와 휴대단말(200)을 연결한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의 다른 일단에는 전극 패치(300)와 연결된 제2연결선(390)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2연결선(390)의 끝은 전극 패치(300)와 연결된다.
휴대단말(200)은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로, 휴대단말(200) 상에서 사용자는 전극 패치(300)에서의 자극 강도를 설정한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는, 휴대단말(200)의 이어폰 단자(210)로부터 오디오 잭(220)의 접속단(J1, J2, J3, J4)을 통해 들어온 신호로부터 오른쪽 이어폰 음향신호, 왼쪽 이어폰 음향신호, 접지신호를 추출하고, 이들로부터 전극 패치(300)를 구동시킨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의 동작상태를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하고, 현재동작상태를 피드백신호로 하여 휴대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극 패치(300)는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전극 패치(300)는 2개이거나, 3개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3개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의 일예이다.
이어폰잭에서 제3접속단(J3)이 마이크 신호(Mic) 단이라면, 제4접속단(J4)은 접지(공통)신호(Com) 단이고, 제3접속단(J3)이 접지(공통)신호(Com) 단이라면, 제4접속단(J4)은 마이크 신호(Mic) 단이다. 마이크 신호(Mic) 단에는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전원전압(Vcc)가 걸린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는 정류부(110), 정전압 회로부(130),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류부(110)는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어디에 마이크 신호(Mic) 단이 연결되고,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어디에 접지(공통)신호(Com) 단이 연결되던,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으로부터 전원신호(Vcc) 단과 접지신호(com) 단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정류부(110)는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에 제1저항(R1)과 제2저항(R2)가 직렬로 연결되고, 또한,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D1) 내지 제4다이오드(D4)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여,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整流)한다. 브리지회로부의 -출력단은 접지단으로, +출력단은 전원단으로 사용된다.
다시말해,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가 직렬로 연결되되,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사이의 연결점은 제4접속단(J4)과 연결되며,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일측(애노드단)은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과 연결되어 접지단(115)으로 된다. 또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가 직렬로 연결되되,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연결점은 제3접속단(J3)과 연결되며,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일측(애노드단)은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과 연결되어 접지단(115)으로 된다. 즉,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일측(애노드단),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일측(애노드단), 그리고,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은 한점에 접속되며, 이는 접지(115)이다.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다른 일측(캐소드단),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다른 일측(캐소드단)은 한점에 접속되며, 이는 정류부의 출력단(120)이다. 정류부의 출력단(120)은 제3저항(R3)를 거쳐, 정전압 회로부(130)와 연결된다.
정전압 회로부(130)는 정류부의 출력단(120)에서 제3저항(R3)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한다. 정전압 회로부(130)는 시판되는 정전압 회로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1개 이상의 극성을 가진 캐패시터와 제너다이오드 또는 바리스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압 회로부(130)의 출력은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전원전압으로 사용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50)는 전극패치(310, 320)의 자극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 중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하고,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 중 다른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입력단(151, 152)에 제1접속단(J1)과 제2접속단(J2)이 연결되고,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출력단(153, 154)에 제1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이 연결된다. 즉, 마이크로콘트롤러(150)는 제1접속단(J1)의 왼쪽 이어폰 음향신호와, 제2접속단(J2)은 오른쪽 이어폰 음향신호에 따라, 제1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으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 즉, 자극강도를 제어한다.
제1전극패치(310)의 +극(양극)은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출력단(153)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2전극패치(320)의 +극(양극)은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출력단(154)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접지전극(또는 기준 전극)(330)은 전기적으로 환자를 보다 안전하게 하기위해 사용된 것으로, 접지(115)와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 접지전극(330)은 생략할 수 있다.
정류부(110)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D4)로 이루어진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와, 상기 브릿지회로의 입력단에 장착된 분압기(voltage divider)를 구비한다.
분압기는 제1저항(R1)과 제2저항(R2)로 이루어지는데, 즉,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에 제1저항(R1)과 제2저항(R2)가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은, 제1다이오드(D1)과 제3다이오드(D3)의 연결점, 다시말해,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일측, 다시말해, 제3다이오드(D3)의 애노드단, 제1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에 연결된다.
정류부(110)는 전극패치(310, 320), 마이크로컨트롤러(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하인 전극패치(310, 320)가 피부에 접촉(부착) 여부에 따라,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달라질 것이다. 다시말해,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 중 어느 접속단이 마이크 입력단자이던지 간에,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 중 마이크 입력단자에 상기 전류(즉,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를 흐르는 전류)가 입력되며, 결과적으로 이는 전극 부착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신호(즉, 전극 부착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이어폰 단자(210)를 통해 휴대단말(200)에서 수신되며, 휴대단말(200)은 이 신호로부터 전극이 피부와 접촉되어 있는지 떨어져 있는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또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극 접착여부를 알려준다.
도 4에서는 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를 사용자의 양볼에 장착하고 접지전극(330)은 사용자의 귀 뒤의 머리부분에 장착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이렇게 한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부 어디에도 장착할 수 있으며, 접지전극(330)은 사용자 피부 중 움직임이 적은 부위에 장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서 2개의 전극패드를 구비한 경우의 사용 상태도의 일예이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는 정류부(110), 전극 제어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류부(110)는 전원신호(Vcc) 단자와 접지신호(com) 단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의 정류부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정류부의 출력단(120)이 전극 제어부(160)의 전원신호단으로 사용된다.
전극 제어부(160)는, 도 2의 마이크로콘트롤러(150)와 같은 기능을 하는 수단으로,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310)의 자극강도를 제어하고,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2전극패치(320)의 자극강도를 제어한다.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1캐패스터(C1)를 통해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정류부의 출력단(120)과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4저항(R4)이 연결되며,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전극패치(310)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되어, 제1전극패치(310)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리게 된다.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2캐패스터(C2)를 통해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정류부의 출력단(120)과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5저항(R5)이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2전극패치(320)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Q2)가 스위칭되어, 제2전극패치(320)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리게 된다.
제1전극패치(310)의 +극(양극)은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제2전극패치(320)의 +극(양극)은 제2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접지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전극패치(310, 320)을 피부의 2곳에 장착하고 미세전류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를 사용자의 양볼에 장착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이렇게 한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전극패치(310)과 제2전극패치(320)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부 어디에도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는 정류부(110), 전극 제어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류부(110)는 전원신호(Vcc) 단과 접지신호(com) 단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의 정류부와 유사하다.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가 직렬로 연결되되,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사이의 연결점은 제4접속단(J4)과 연결되며,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연결점은 제3접속단(J3)과 연결된다.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일측(애노드단),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일측(애노드단)은 한점에 접속되며, 이는 브리지회로부의 -출력단으로, 접지이다.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D1)와 제2다이오드(D2)의 다른 일측(캐소드단),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D3)와 제4다이오드(D4)의 다른 일측(캐소드단)은 한점에 접속되며, 이는 정류부의 출력단(120), 즉 브리지회로부의 +출력단으로, 전원단이다.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에 제1저항(R1)과 제2저항(R2)가 직렬로 연결되고,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은 제3캐패시터(C3)를 거쳐 피드백 출력단(190)으로, 휴대단말(200)의 데이터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190)과 연결되며, 피드백 출력단(190)은 제11저항(R11)을 거쳐 접지와 연결된다. 피드백 출력(190)은 현재 동작여부, 즉, 전극패드의 연결여부를 휴대단말(200)에 알린다.
전극 제어부(160)는, 도 2의 마이크로콘트롤러(150)와 같은 기능을 하는 수단으로,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하나의 전극패치(300)를 제어한다.
전극 제어부(160)에서, 제2접속단(J2)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접지와의 사이에 제12저항(R12)과 제4캐패시터(C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정류부의 출력단(120)과 연결된다.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제1접속단(J1)의 사이에 전극패치(3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2접속단(J2) 및 제1접속단(J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극패치(300)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리게 된다.
또한, 전극 제어부(160)에서,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발광다이오드(LED1)을 장착하여, 전극패치(300)의 동작여부를 나타낸다. 즉, 이는 동작상태 표시부라 할 수 있다.
전극패치(300)의 +극(양극)은 제3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제1접속단(J1)에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이어폰잭 안전제어부의 회로도이다.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는 정류부(110), 정전압 회로부(130), 마이크로콘트롤러(150), 증폭기(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류부(110)는 전원신호(Vcc) 단과 접지신호(com) 단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7의 정류부와 동일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제3접속단(J3)과 제4접속단(J4)의 사이에 제1저항(R1)과 제2저항(R2)가 직렬로 연결되고,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의 연결점은 제3캐패시터(C3)를 거쳐 피드백 출력단(190)으로 연결되며, 피드백 출력단(190)은 제11저항(R11)을 거쳐 접지와 연결된다.
정전압 회로부(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정류부의 출력단(120)에서 제3저항(R3)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한다.
정전압 회로부(130)의 출력은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전원전압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콘트롤러(150)는 증폭기(160)의 한 입력단에 기준전압을 주기위한 수단으로,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입력단에 접지(115)를 연결하며,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출력단은 증폭기(160)의 한 입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마이크로콘트롤러(150)과 접지 사이에 제2발광다이오드(LED2)를 장착하여, 안정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증폭기(170)는 전원전압으로, 정류부의 출력단(120)에서 출력된 전압이 가해진다. 증폭기(160)의 한 입력단에 마이크로콘트롤러(150)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증폭기(160)의 다른 입력단에 제2접속단(J2)를 연결한다. 그리고 증폭기(170)의 출력단과 접지사이에 전극패치(300)을 장착하거나, 증폭기(170)의 출력단과 제1접속단(J1) 사이에 전극패치(300)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전극패치(300)의 +극(양극)은 증폭기(17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극(음극)은 제1접속단(J1) 또는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 그리고 도 3, 도 5, 도 7, 도 8에 있어서, 제1접속단(J1)와 제2접속단(J2)를 지칭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제1접속단(J1)은 이어폰 잭의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왼쪽 음향신호단 중의 하나를 나타내며, 제2접속단(J2)는 이어폰 잭의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왼쪽 음향신호단 중의 다른 하나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접속단(J1)와 제2접속단(J2)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접속단(J3)와 제4접속단(J4)의 위치도 바뀔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미세전류 자극기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200)에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휴대단말(200)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를 제어하므로, 도 9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초기화단계로, 사용자가 휴대단말(200)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시작하고, 휴대단말(200)에서 자극파형 및 자극시간을 설정한다(S110).
시작버튼 온 기다림단계로, 휴대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on(온)하여, 시작버튼의 개시신호가 휴대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로 수신될 때까지 기다린다(S120).
테스트 신호 발생단계로, 시작버튼이 on(온)되면, 전극 패치(300, 310, 320)가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기위해,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테스트 신호를 이어폰 잭의 오른쪽 음향신호단, 또는 왼쪽 음향신호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한다(S130).
제1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로,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의 피드백 출력단(190), 또는 마이크 입력단자(즉, 제3접속단(J3)와 제4접속단(J4) 중의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전극 미부착 알림단계로, 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에서, 피드백 출력단(190) 또는 마이크 입력단자(즉, 제3접속단(J3)와 제4접속단(J4) 중의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또는 기준신호)를 넘어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면, 전극패드가 미부착되어 있음을 휴대단말(200)의 화면상에 표시하고(S150), 시작버튼 온 기다림단계(S120)로 되돌아 간다.
전극패드 구동단계로, 피드백 출력단(19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또는 기준신호)내로,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초기화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자극파형으로 미세전류를 전극패드(300)로 출력하여, 전극패드를 구동시킨다(S160). 이때 초기화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자극시간에 따라 세트된 타이머가 동작한다.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로,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 즉, 초기화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자극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70).
제2전극 부착여부 판단단계로,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에서, 자극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이어폰잭 안전제어부(100)의 피드백 출력단(190)으로부터 피드백 출력신호를 수신하고(S180), 수신된 피드백 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90), 만약,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면, 전극 미부착 알림단계(S150)로 가고, 만약,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다면, 전극패드 구동단계(S160)로 간다.
전극패드 구동종료단계로, 자극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에서, 자극시간이 종료되었다면, 기 설정된 자극파형으로 미세전류를 전극패드(300)로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여, 전극패드의 구동을 중단시킨다(S200).
종료버튼 온 여부 판단단계로, 휴대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종료버튼을 on(온)하여, 종료버튼의 종료신호가 휴대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10), 만약, 종료신호가 휴대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로 수신되었다면, 휴대단말(200)은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만약, 종료신호가 휴대단말(200)의 연산처리부(미도시)로 수신되지 않았다면, 초기화단계(S110)로 되돌아 간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200)은 스마트 폰, PDA(personal data assistant), PD(portable device), PC(personal computer)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어폰잭 안전제어부 110: 정류부
115: 접지 120: 정류부의 출력단
130: 정전압 회로부 150: 마이크로콘트롤러
160: 전극 제어부 170:증폭기
190:피드백출력 200:휴대단말
210: 이어폰 단자 220: 오디오 잭
290: 제1연결선 300: 전극 패치
310:제1전극패치 320:제2전극패치
330:접지전극 390: 제2연결선

Claims (23)

  1. 제1접속단 내지 제4접속단을 가지며,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은 이어폰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이어폰 왼쪽 음향신호단이며,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은 마이크 신호단과 접지단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에 있어서,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에서 제3저항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하는 정전압 회로부;
    구동전압단자에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연결되고, 입력단자에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자에 제1전극패치와 제2전극패치가 연결되어,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과 제2전극패치 중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하고,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1전극패치과 제2전극패치 중 다른 하나를 자극강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은,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제2다이오드의 일측(애노드단)과,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와 제4다이오드의 일측(애노드단)이 한점에 접속된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3. 제1항에 있어서,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은,
    직렬로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제2다이오드의 일측(캐소드단)과, 직렬로 연결된 제3다이오드와 제4다이오드의 일측(캐소드단)이 한점에 접속된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전극패치 및 제2전극패치의 +극은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극은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5. 제1접속단 내지 제4접속단을 가지며,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은 이어폰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이어폰 왼쪽 음향신호단이며,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은 마이크 신호단과 접지단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에 있어서,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과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제1전극패치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려 주도록 이루어지며,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제2전극패치에 소정의 미세전류를 흘려 주도록 이루어진, 전극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6. 제5항에 있어서,
    전극 제어부에서, 제1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1캐패스터를 통해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4저항이 연결되며,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전극패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7. 제5항에 있어서,
    전극 제어부에서, 제2접속단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제2캐패스터를 통해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베이스의 사이에 제5저항이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2전극패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8. 제5항에 있어서,
    제1전극패치의 +극은 제1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제2전극패치의 +극은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제1전극패치 및 제2전극패치의 -극은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9. 제1접속단 내지 제4접속단을 가지며,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은 이어폰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이어폰 왼쪽 음향신호단이며,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은 마이크 신호단과 접지단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에 있어서,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제2접속단은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연결되고,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접지의 사이에 제12저항과 제4캐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며,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정류부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제1접속단의 사이에 전극패치가 장착되는, 전극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0. 제9항에 있어서, 이어폰잭 안전제어부는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접지사이에 제1발광다이오드을 장착하여, 전극패치의 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1. 제9항에 있어서,
    전극패치의 +극은 제3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전극패치의 -극은 제1접속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2. 제9항에 있어서,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은 제3캐패시터를 거쳐 피드백 출력단으로 가며, 피드백 출력단은 제11저항을 거쳐 접지와 연결되고, 피드백 출력단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피드백 출력단은 전극패드 연결여부를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포트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4. 제1접속단 내지 제4접속단을 가지며, 제1접속단과 제2접속단은 이어폰 오른쪽 음향신호단과 이어폰 왼쪽 음향신호단이며,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은 마이크 신호단과 접지단인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어 구동되는 미세전류 자극기에 있어서,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저항과 제2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의 사이에 제1다이오드 내지 제4다이오드로 브리지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이 연결되어 접지로 하는, 정류부;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에서 제3저항을 거쳐 들어온 교류전원을 정전압이 되게 하는 정전압 회로부;
    구동전압단자에 정전압 회로부의 출력이 연결되고, 입력단자에 상기 브리지회로부의 - 출력단을 연결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
    하나의 입력단에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제2접속단이 연결되고, 출력단과 제1접속단 사이에 전극패치가 연결되는 증폭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제2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하여, 구동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저항과 제2저항의 연결점은 제3캐패시터를 거쳐 피드백 출력단으로 가며, 피드백 출력단은 제11저항을 거쳐 접지와 연결되고, 피드백 출력단은 휴대단말의 데이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전극패치의 +극은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극패치의 -극은 제1접속단 또는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은 기설정된 자극파형에 따라 전극패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이어폰 단자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19. 제18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은 미세전류 자극기로부터 전극패드 부착여부를 나타내는 피드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출력신호가 기 설정된 기준 범위 또는 기준신호와 같은지 비교하여,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극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 전극패드 구동을 종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2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어폰 잭의 제3접속단과 제4접속단 중 어느 하나는, 전극이 피부와 접촉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극과 피부의 접촉여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21. 제20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은 이어폰 단자로부터 전극과 피부의 접촉여부 신호를 수신하여, 전극과 피부의 접촉여부를 휴대단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진동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자극기.


  22. 삭제
  23. 삭제
KR1020160005960A 2015-01-19 2016-01-18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51 2015-01-19
KR20150008851 2015-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286A KR20160089286A (ko) 2016-07-27
KR101871844B1 true KR101871844B1 (ko) 2018-07-16

Family

ID=5641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960A KR101871844B1 (ko) 2015-01-19 2016-01-18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1844B1 (ko)
WO (1) WO2016117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2756A1 (ko) * 2016-09-27 2018-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관리 장치
JP6733555B2 (ja) * 2017-01-04 2020-08-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20275B (zh) * 2020-04-14 2023-12-15 衡阳市大井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便携式微电流镇痛修复治疗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765B1 (ko) * 1994-12-27 1997-12-29 김광호 알파(α)-파 발생기를 내장한 텔레비젼
KR101065611B1 (ko) * 2010-12-01 2011-09-1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고주파 피부 미용 장치
KR20140059035A (ko) * 2012-11-07 2014-05-15 윤형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사지 장치
KR101474531B1 (ko) * 2013-03-13 2014-12-22 주식회사 루프 이온 마사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104B1 (ko) * 2003-08-19 2004-11-12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직류 전원 없이 동작하는 자기 자극기
KR101277465B1 (ko) * 2013-01-11 2013-06-21 대성홈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접속되는 저주파 자극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765B1 (ko) * 1994-12-27 1997-12-29 김광호 알파(α)-파 발생기를 내장한 텔레비젼
KR101065611B1 (ko) * 2010-12-01 2011-09-1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고주파 피부 미용 장치
KR20140059035A (ko) * 2012-11-07 2014-05-15 윤형석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사지 장치
KR101474531B1 (ko) * 2013-03-13 2014-12-22 주식회사 루프 이온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890A1 (ko) 2016-07-28
KR20160089286A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9764133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8972016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18679B1 (ko) 미세전류 및 저주파를 이용한 기능성 마스크팩 장치
BRPI0713151A2 (pt) sistema neuro-estimulatório não invasivo
US20140277323A1 (en) Oral neural stimulator
JP6733513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JP6733555B2 (ja)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57360B2 (en)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or
KR20160095579A (ko)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US111169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edical device
CN215841213U (zh) 一种按摩设备
JP6733514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10151255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연결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 패드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커넥터 기기
KR102512499B1 (ko) 미주신경자극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
KR101396191B1 (ko) 스캐닝 방식의 저주파 자극기
US20190314626A1 (en) Apparatus for outputting electric stimulation pulses
KR20160023064A (ko)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34076A (ko) 피부 관리 장치
KR20180000938U (ko) 피부 관리 장치
KR101829141B1 (ko) 피부 관리 장치
KR101931123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구조의 전기 자극 기기
KR20240006756A (ko) 피부개선에 도움을 주는 복수 개의 핸드피스가 구비된 피부미용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