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315B1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2315B1 KR101732315B1 KR1020160083370A KR20160083370A KR101732315B1 KR 101732315 B1 KR101732315 B1 KR 101732315B1 KR 1020160083370 A KR1020160083370 A KR 1020160083370A KR 20160083370 A KR20160083370 A KR 20160083370A KR 101732315 B1 KR101732315 B1 KR 1017323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upled
- magnet
- catch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29—Perfuming, odour masking or flavour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송풍구 자석 거치대는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집게부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하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자성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간편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폰용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많은 운전자들이 차량 내부에 방향제 또는 탈취제 등을 구비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를 신선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와 차량 방향제 또는 탈취제 등을 송풍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별도로 차량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송풍구에 결합 시 단순히 송풍구에 걸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분리되며,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송풍구에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스프링 등으로 잡아주는 힘의 한계로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쉽게 고장이 발생하며 제조 공정 또한 복잡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9528호는 이러한 방향제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휴대폰 거치대에 방향제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휴대폰을 거치함과 동시에 차량의 실내 방향제를 겸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자성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간편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송풍구 날개에 집게부를 삽입 후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가 송풍구 날개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송풍구 자석 거치대에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는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집게부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하부 캡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캡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의 외측에 구성된 상기 하부 캡이 회전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에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결합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이 수용되며,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상기 방향제 수용 공간이 구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상기 방향제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어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자석부; 및 상기 방향제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방향 정도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말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단부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단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 거치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의 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링 부재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은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집게부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날개에 상기 집게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캡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캡을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져 상기 집게부가 상기 송풍구 날개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의 내부에 자석부가 형성된 방향 부재를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자성에 의해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방향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방향 조절부를 회전시켜 방향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단말 거치대를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덮개의 상단에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거치대를 상기 방향 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덮개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금속판이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상기 자석부와 결합되는 경우보다 자성이 약하게 형성되어 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는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단부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단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타 부재의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자석부를 포함하는 집게부를 이용하여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및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풍구 날개에 집게부를 삽입 후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가 송풍구 날개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풍구 자석 거치대에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의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고 조립이 쉬우며 내구성이 우수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부에 수용되는 단말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 방향 부재(200), 및 단말 거치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집게부(120)가 형성되어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에 금속판(140)이 형성되어 자석부(240)가 형성된 방향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송풍구 날개(t)에 집게부(120)를 삽입 후 집게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캡(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방향 부재(20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공에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이 수용되고, 상부에 자석부(240)가 구성된다. 또한 방향 부재(200)의 상단에는 덮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부재(200)의 자석부(240)의 하단은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상부 캡(130)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140)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 부재(200)의 하단에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가 결합된 후, 방향 부재(200)의 상단에 단말 거치대(300)가 자성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방향 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자석부(240)와 단말 거치대(300)의 하단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하판이 결합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거치대(300)는 단차지게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 시 단차에 의해 각도 조절이 자유롭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는 송풍기와 결합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뿐 아니라, 방향제 및 단말 거치대(300)가 형성되어 3in1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송풍기와 결합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며 조립이 간단하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에 대해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집게부(120),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금속판(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집게부(120)는 송풍구 날개(t)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중심부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진 집게가 형성되어 송풍구 날개(t)에 삽입 후 고정된다. 이러한 집게부(120)는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집게의 내측(121)에 송풍구 날개(t)를 파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집게의 내측(121)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캡(130)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게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집게부(120)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이때 집게부(120)의 중심을 상부 캡(130)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 등의 고정 부재(15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캡(13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캡(110)은 상부 캡(130)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게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이러한 하부 캡(11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캡(110)은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한다.
더 구체적으로 하부 캡(110)은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캡(130)의 외주면에 나사산(131)이 형성되고 하부 캡(110)의 내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상부 캡(130)과 하부 캡(11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캡(130)은 고정된 형태이며 상부 캡(130)의 외측에 구성된 하부 캡(11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부 캡(130)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110)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110)을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져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은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나, 내부에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 따라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금속판(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판(140)은 상부에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부 캡(1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철 등의 자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 캡(130)과 집게부(120)를 결합하는 고정 부재(150)를 이용하여 금속판(140) 또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구 날개(t)에 집게부(120)를 삽입 후 집게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캡(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공정이 간단하고 조립이 쉬우며,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가 사용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도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방향 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부재(200)는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형성된다.
아래에서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에 대해 하나의 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하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 및 방향 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집게부(120),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예에 따라 금속판(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향 부재(200)는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방향 부재(200)는 방향제 케이스(210), 덮개(220), 자석부(240), 및 방향 조절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제 케이스(210)는 방향제를 수용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공에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이 수용된다. 그리고 방향제 케이스(210)는 도넛 형상의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방향제 수용 공간(260)에 방향제, 탈취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제 수용 공간(260)에는 도넛 형상의 고체 방향제가 수납될 수 있다.
방향제 케이스(210)는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향제 케이스(210)는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의 외측과 결합되는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향제 케이스(210)는 측면과 하단을 구성하는 하부 방향제 케이스(210)와 내측면과 상단을 구성하는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방향제 케이스(210)와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는 서로 맞닿는 부분(211, 253)이 나사 결합되어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방향제 케이스(210)와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의 상부는 덮개(220)의 돌출부(221)과 결합되는 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제 케이스(210)는 하부에 외부와 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어 외부에 방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소정 형상의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22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220)는 원반 형상뿐 아니라 도넛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덮개(220)는 내부의 자석부(240)를 덮는 것으로, 예를 들어 덮개(220)는 얇게 형성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220)는 다양한 모양 또는 캐릭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쉽게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고 심미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자석부(240)는 덮개(220)의 내부에 형성되어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자석부(240)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상부 캡(130)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140)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자석부(240)의 하단이 상부 캡(130)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14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자성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부(240)의 하단과 상부 캡(130)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140) 사이에 얇은 판이 추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방향 조절부(230)는 방향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 조절부(23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31)이 형성되어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 홀과 일부 겹쳐져 외부와 통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방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방향 조절부(23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 등에 의해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 홀과 방향 조절부(230)에 형성된 홀(231)이 적어도 일부 겹쳐지거나 완전히 겹쳐져 외부와 통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에 방향 부재(200)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방향 부재(200)의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고 조립이 쉽다.
또한, 방향 부재(200)는 하부 방향제 케이스(210)와 상부 방향제 케이스(250)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닿는 부분(211, 253)이 나사 결합되어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수납되는 방향제 등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300)는 하단이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자석부(240)가 형성된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일례로, 단말 거치대(300)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에 자석부(240)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 거치대(300)는 방향 부재(20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방향 부재(200)에 자석부(240)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거치대(300)는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방향 부재(200) 또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에 자석부(240)가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거치대(300)에 자석부(240)가 구성되고 타 부재에 금속 소재가 사용되어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방향 부재(200)의 자석부(24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말 거치대(300)를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300)는 상판(310), 제1 부재(320), 제2 부재(330), 및 하판(3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 거치대(300)는 링 부재(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310)은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재(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판(3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360)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단부(360)에 수용되는 중단부(321), 및 중단부(321)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3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제1 부재(320)의 하단부(322)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적어도 일부가 제1 부재(320)에 수용되는 중단부(331), 및 중단부(331)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340)은 제2 부재(33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방향 부재(200)의 자석부(24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하판(340)은 자석부(240)를 포함하는 집게부(120)를 이용하여 송풍구 날개(t)에 삽입 고정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 및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310), 제1 부재(320), 및 제2 부재(330)는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단말 거치대(300)는 링 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 부재(35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31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311)가 형성되며, 제1 부재(320)의 상단부(36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361)가 형성되어 돌기부(311)가 홈부(361)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제1 부재(32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링 부재(3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부에 수용되는 단말 거치대(300)를 제공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의 결합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와 단말 거치대(300)는 자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집게부(120)가 형성되어 송풍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에 금속판(140)이 형성되어 자석부(240)가 형성된 방향 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다.
방향 부재(20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중공에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이 수용되고, 상부에 자석부(240)가 구성된다. 또한 방향 부재(200)의 상단에는 덮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부재(200)의 자석부(240)의 하단은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상부 캡(130)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140)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 부재(200)의 하단에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가 결합된 후, 방향 부재(200)의 상단에 단말 거치대(300)가 자성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방향 부재(200)의 상부에 형성된 자석부(240)와 단말 거치대(300)의 하단에 형성된 금속 재질의 하판(340)이 결합 가능한 것이다.
여기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p)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p)에 부착되어 거치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거치대(300)는 단차지게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판(310), 제1 부재(320), 제2 부재(330), 및 하판(340)으로 이루어지며, 제1 부재(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판(3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360)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단부(360)에 수용되는 중단부(321), 및 중단부(321)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3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제1 부재(320)의 하단부(322)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제1 부재(320)에 수용되는 중단부(331), 및 중단부(331)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거치대(300)는 압축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 시 단차에 의해 각도 조절이 자유롭다.
여기에서, 단말 거치대(300)는 방향 부재(200)의 덮개(220)의 상단에 결합되므로 금속판(14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경우보다 자성이 약하다. 반면,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는 상부 캡(130)의 상단이 방향 부재(200)의 금속판(140)의 하단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므로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경우보다 자성이 강하다.
이에 따라 단말 거치대(300)를 방향 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와 방향 부재(200)의 자성보다 약한 자성이 형성되어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가 송풍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단말 거치대(300)만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300)는 휴대 단말기(p)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용 거치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거치대(300)는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판(310),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판(3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단부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320),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제1 부재(320)의 하단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제1 부재(320)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330), 및 제2 부재(33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타 부재의 자석부(24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판(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하판(340)은 자석부(240)를 포함하는 집게부(120)를 이용하여 송풍구 날개(t)에 삽입 고정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 및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거치대(300)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을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를 송풍구에 결합시키기 위해 송풍구 날개(t)에 집게부(120)를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하부 캡(110)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여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캡(110)을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13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120)의 집게가 벌어져 집게부(120)가 송풍구 날개(t)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260)이 형성되고 덮개(220)의 내부에 자석부(240)가 형성된 방향 부재(200)를 상부 캡(130) 및 하부 캡(110)의 외측에 자성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 부재(2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31)이 형성된 방향 조절부(230)를 회전시켜 향 배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방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230)는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31)이 형성되어 방향제 케이스(210)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 홀과 일부 겹쳐져 외부와 통하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향 배출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단말 거치대(300)를 방향 부재(200)의 덮개(220)의 상단에 자석부(240)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단말 거치대(300)를 방향 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방향 부재(200)와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단말 거치대(300)는 방향 부재(200)의 덮개(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 캡(130)의 상단에 금속판(140)이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방향 부재(200)의 자석부(240)와 결합되는 경우보다 자성이 약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말 거치대(300)를 방향 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와 방향 부재(200)의 자성보다 약한 자성이 형성되어 송풍구 자석 거치대(100)가 송풍구로부터 분리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단말 거치대(300)만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송풍구 날개에 집게부를 삽입 후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캡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집게부가 송풍구 날개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구 자석 거치대에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방향 부재 및/또는 단말 거치대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부에 수용되는 단말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에서 스마트폰 단말이 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네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태블릿 PC, 스마트기기뿐만 아니라 휴대를 위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가 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송풍구 자석 거치대
110: 하부 캡
120: 집게부
130: 상부 캡
140: 금속판
200: 방향 부재
210: 방향제 케이스
220: 덮개
230: 방향 조절부
240: 자석부
250: 상부 방향제 케이스
260: 방향제 수용 공간
300: 단말 거치대
310: 상판
320: 제1 부재
330: 제2 부재
340: 하판
350: 링부재
110: 하부 캡
120: 집게부
130: 상부 캡
140: 금속판
200: 방향 부재
210: 방향제 케이스
220: 덮개
230: 방향 조절부
240: 자석부
250: 상부 방향제 케이스
260: 방향제 수용 공간
300: 단말 거치대
310: 상판
320: 제1 부재
330: 제2 부재
340: 하판
350: 링부재
Claims (10)
-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집게부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하부 캡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 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이 수용되며,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 홀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상기 방향제 수용 공간이 구성되는 방향제 케이스;
상기 방향제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어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자석부; 및
상기 방향제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방향 정도를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구성된 금속판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하부 캡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의 외측에 구성된 상기 하부 캡이 회전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타 부재와 자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결합되는 금속판
을 더 포함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단말 거치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단부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단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판
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거치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의 링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링 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집게부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게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하단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는 하부 캡
을 포함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날개에 상기 집게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캡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지는 정도를 제한하여 상기 집게부가 상기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캡을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 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집게부의 집게가 벌어져 상기 집게부가 상기 송풍구 날개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덮개의 내부에 자석부가 형성된 방향 부재를 상기 상부 캡 및 상기 하부 캡의 외측에 자성에 의해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방향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방향 조절부를 회전시켜 방향 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단말 거치대를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덮개의 상단에 상기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 거치대를 상기 방향 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방향 부재와 상기 송풍구 자석 거치대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단말 거치대는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덮개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의 상단에 금속판이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상기 방향 부재의 상기 자석부와 결합되는 경우보다 자성이 약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방법. - 상부가 단말에 부착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단부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하단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상단부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는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의 하부에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타 부재의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판
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자석부를 포함하는 집게부를 이용하여 송풍구 날개에 삽입 고정되는 송풍구 자석 거치대 및 내부에 방향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방향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3370A KR101732315B1 (ko) | 2016-07-01 | 2016-07-01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3370A KR101732315B1 (ko) | 2016-07-01 | 2016-07-01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2315B1 true KR101732315B1 (ko) | 2017-05-02 |
Family
ID=5874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3370A KR101732315B1 (ko) | 2016-07-01 | 2016-07-01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2315B1 (ko)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1667B1 (ko) * | 2017-09-29 | 2018-08-24 |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WO2019027078A1 (ko) * | 2017-08-01 | 2019-02-07 | 김기현 | 휴대폰 거치대 |
KR20190075606A (ko) * | 2017-12-21 | 2019-07-01 | 이원희 | 디퓨저 포켓 디바이스 |
KR20190076186A (ko) * | 2017-12-22 | 2019-07-02 | 이상무 | 향기 방출용 디퓨저 |
KR20190002923U (ko) * | 2018-05-18 | 2019-11-27 | 남동훈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190131754A (ko) * | 2018-05-17 | 2019-11-27 | 남동훈 |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053742B1 (ko) * | 2019-07-02 | 2019-12-09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WO2020009311A1 (ko) * | 2018-07-02 | 2020-01-09 | 김영일 | 3d필름이 구비된 액세서리 |
KR20200000401U (ko) * | 2018-08-09 | 2020-02-19 | 이상호 | 방향제 케이스 |
KR102107797B1 (ko) * | 2019-10-08 | 2020-05-07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KR20210013264A (ko) * | 2019-11-27 | 2021-02-03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210042002A (ko) * | 2019-10-08 | 2021-04-16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KR20210083514A (ko) * | 2019-12-27 | 2021-07-07 | 박유진 | 방향제 거치대 |
KR20210132470A (ko) * | 2020-04-27 | 2021-11-04 | 정희정 |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
KR102356557B1 (ko) * | 2020-09-08 | 2022-02-07 | 송순영 |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
KR20220104343A (ko) | 2021-01-18 | 2022-07-26 | 김우영 | 휴대형 전자기기용 자성 홀더 |
KR102541203B1 (ko) * | 2022-05-02 | 2023-06-08 | 김종욱 | 차량용 방향제 용기 |
KR200497837Y1 (ko) * | 2023-11-29 | 2024-03-12 | 주식회사 카담 | 차량용 방향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94Y1 (ko) | 2014-03-12 | 2014-06-03 | 김호철 |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
JP2016043249A (ja) | 2014-08-19 | 2016-04-04 |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
-
2016
- 2016-07-01 KR KR1020160083370A patent/KR1017323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94Y1 (ko) | 2014-03-12 | 2014-06-03 | 김호철 |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
JP2016043249A (ja) | 2014-08-19 | 2016-04-04 |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
Cited B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27078A1 (ko) * | 2017-08-01 | 2019-02-07 | 김기현 | 휴대폰 거치대 |
KR101891667B1 (ko) * | 2017-09-29 | 2018-08-24 | 주식회사 아이버스터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143422B1 (ko) * | 2017-12-21 | 2020-08-11 | 이원희 | 디퓨저 포켓 디바이스 |
KR20190075606A (ko) * | 2017-12-21 | 2019-07-01 | 이원희 | 디퓨저 포켓 디바이스 |
KR20190076186A (ko) * | 2017-12-22 | 2019-07-02 | 이상무 | 향기 방출용 디퓨저 |
KR102127721B1 (ko) | 2017-12-22 | 2020-06-29 | 이상무 | 향기 방출용 디퓨저 |
KR102074577B1 (ko) * | 2018-05-17 | 2020-02-06 | 남동훈 |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190131754A (ko) * | 2018-05-17 | 2019-11-27 | 남동훈 |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0490935Y1 (ko) * | 2018-05-18 | 2020-01-23 | 남동훈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190002923U (ko) * | 2018-05-18 | 2019-11-27 | 남동훈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WO2020009311A1 (ko) * | 2018-07-02 | 2020-01-09 | 김영일 | 3d필름이 구비된 액세서리 |
KR200493967Y1 (ko) * | 2018-08-09 | 2021-07-09 | 이상호 | 방향제 케이스 |
KR20200000401U (ko) * | 2018-08-09 | 2020-02-19 | 이상호 | 방향제 케이스 |
WO2021002563A1 (ko) * | 2019-07-02 | 2021-01-07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053742B1 (ko) * | 2019-07-02 | 2019-12-09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210042002A (ko) * | 2019-10-08 | 2021-04-16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KR102310230B1 (ko) * | 2019-10-08 | 2021-10-06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KR102107797B1 (ko) * | 2019-10-08 | 2020-05-07 | 정희정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
KR20210013264A (ko) * | 2019-11-27 | 2021-02-03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346510B1 (ko) | 2019-11-27 | 2021-12-31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368431B1 (ko) | 2019-12-27 | 2022-02-25 | 박유진 | 방향제 거치대 |
KR20210083514A (ko) * | 2019-12-27 | 2021-07-07 | 박유진 | 방향제 거치대 |
KR20210132470A (ko) * | 2020-04-27 | 2021-11-04 | 정희정 |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
KR102360972B1 (ko) | 2020-04-27 | 2022-02-08 | 정희정 | 다목적 홀더 및 그 작동 방법 |
KR102356557B1 (ko) * | 2020-09-08 | 2022-02-07 | 송순영 |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
KR20220104343A (ko) | 2021-01-18 | 2022-07-26 | 김우영 | 휴대형 전자기기용 자성 홀더 |
KR20230042684A (ko) | 2021-01-18 | 2023-03-29 | 김우영 | 휴대형 전자기기용 자성 홀더 |
KR20240039106A (ko) | 2021-01-18 | 2024-03-26 | 김우영 | 휴대형 전자기기용 자성 홀더 |
KR102541203B1 (ko) * | 2022-05-02 | 2023-06-08 | 김종욱 | 차량용 방향제 용기 |
KR200497837Y1 (ko) * | 2023-11-29 | 2024-03-12 | 주식회사 카담 | 차량용 방향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2315B1 (ko)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
KR101891667B1 (ko)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
US9397719B1 (en) | Mobile device holder | |
KR101502738B1 (ko) |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 |
US20160373152A1 (en) | Mobile device holder | |
US9036858B1 (en) | Customizable audio speaker assembly | |
US10100971B2 (en) | Device for supporting portable terminal | |
US9821724B2 (en) |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10027788B2 (en) | System and method of attaching cellular device accessories | |
TWI630340B (zh) | 固持裝置 | |
US8340339B2 (en) | Headse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 |
KR101849112B1 (ko) |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 |
US20160229352A1 (en) | Mou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TW201518906A (zh) | 可攜帶式支撐裝置 | |
KR102284491B1 (ko) | 휴대단말기 거치대 | |
CN108810691A (zh) | 耳机组件 | |
US20220116491A1 (en) | Magnetic grip accessory | |
KR200470827Y1 (ko) |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 |
US20180115812A1 (en) | Portable speaker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WO2015078059A1 (zh) | 一种蓝牙音箱 | |
CN115665610A (zh) | 无线蓝牙耳机充电盒 | |
KR20180091469A (ko) |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 | |
KR20190021550A (ko) | 나노 흡착패드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 |
KR101825743B1 (ko) | 모바일 거치대 | |
KR101565592B1 (ko) | 다용도 거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