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923U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923U
KR20190002923U KR2020180002156U KR20180002156U KR20190002923U KR 20190002923 U KR20190002923 U KR 20190002923U KR 2020180002156 U KR2020180002156 U KR 2020180002156U KR 20180002156 U KR20180002156 U KR 20180002156U KR 20190002923 U KR20190002923 U KR 201900029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esign
coupled
iron plate
removab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935Y1 (ko
Inventor
남동훈
Original Assignee
남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동훈 filed Critical 남동훈
Priority to KR202018000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3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거치를 위해 양면이 각각 휴대 단말기 및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양면이 자성을 갖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자성에 의해 일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은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며, 형상, 색상, 무늬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디자인으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디자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ESIGN CHANGE}
아래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도모하기 위한 보호커버, 거치대(거치 장치) 등 다양한 액세서리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통해 들고 다니면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이동시에는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dashboard)에 고정시키고,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책상, 테이블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거치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제작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프로그램이 널리 일반화되어, 이러한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가 종래 차량에 별도로 설치하여 이용하였던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기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을 차량 내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해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길안내 화면을 보면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때, 사무실 책상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때, 그리고 가정의 책상 또는 침대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때마다 번거로운 결합 작업 또는 분리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하나의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변경이 불가능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0827호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0827호
실시예들은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탈부착형 자성부를 제공 및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양면이 자성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통해 일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 또는 외부의 철판에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거치를 위해 양면이 각각 휴대 단말기 및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양면이 자성을 갖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자성에 의해 일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은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며, 형상, 색상, 무늬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디자인으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디자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자인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자석부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상기 자석부를 다른 디자인을 갖는 디자인부와 결합시켜 교체 가능하다.
차량의 송풍구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일면에 결합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 송풍구에 거치하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는,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상기 디자인부의 타면과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철판; 상기 철판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송풍구와 결합 및 고정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차량용 송풍구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일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의 철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양면이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여 다른 디자인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에 거치 가능하다.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일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면이 상기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탈부착형 자성부를 제공 및 교체할 수 있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면이 자성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통해 일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 또는 외부의 철판에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나타내는 하측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의 홀더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가 외부 거치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제공하고, 자성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탈부착형 자성부로 교체할 수 있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양면이 자성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통해 일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 또는 외부의 철판에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자석부 및 디자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부는 양면이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N극과 S극이 나누어져 있는 원형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디자인부는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자석부의 자성에 의해 일면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은 외부의 철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부는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 형상, 색상, 무늬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디자인으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자인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디자인부는 자석부의 자성을 차단하지 않고 양면이 철판과 결합되어야 한다. 디자인부는 N극과 S극이 나누어져 있는 원형의 자석을 실리콘(고무)에 삽입 제작하여 기존 자석 거치대와도 서로 대응하는 극의 밀어냄 없이 사용 가능하다.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자성에 의해 용이하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디자인부의 일측에 자석부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통로가 형성되어,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자석부를 다른 디자인을 갖는 디자인부와 결합시켜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구성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쉽게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디자인 변경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탈부착형 자성부(100) 또는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디자인부의 교체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디자인의 거치 장치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상기의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통해 다양한 공간에 제공되는 철판과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양면에 자성을 가지되 서로 다른 크기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자석부를 통해 양면의 자성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디자인부의 양면의 재질 또는 두께를 통해 전달되는 자성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일면은 타면보다 강한 자성을 가져 일면과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의 결합력을 타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 또는 외부의 철판과의 결합력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 또는 외부의 철판에서 휴대 단말기의 분리 시 휴대 단말기와 함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는 차량의 송풍구에 결합 및 고정되어, 탈부착형 자성부(100)와 자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일면에 결합된 휴대 단말기를 차량 송풍구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는 철판(210), 복수의 다리부 및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철판(210)은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디자인부의 타면과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는 철판(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차량용 송풍구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일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의 철판(210)에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양면이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여 다른 디자인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통해 휴대 단말기를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 거치 가능하다. 즉,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양면이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여 다른 디자인의 탈부착형 자성부(1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더욱이,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는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일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면이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휴대 단말기를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시킬 수 있다.
즉, 일상생활 속 쓰기 편한 곳에 철판을 붙여두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된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붙여주면 거치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싱크대, 화장실, 침대 등에 철판을 붙여두어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붙여주면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를 나타내는 하측 방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의 홀더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는 철판(210), 복수의 다리부(220) 및 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송풍구에 결합 및 고정되어 탈부착형 자성부(100)와 자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일면에 결합된 휴대 단말기를 차량 송풍구에 거치할 수 있다.
철판(210)은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디자인부의 타면과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20)는 철판(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차량용 송풍구와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다리부(220)는 철판(210)과 결합된 하나의 평판(221)에서 복수의 다리부(220)가 하측으로 굴절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다리부(220)는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20)는 상기의 철판(2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복수의 다리부(220)는 4개로 구성되어 차량용 송풍구와 결합 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다리부(220)는 철판(210)과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다리부(220)는 내측으로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어 복수의 다리부(2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차량용 송풍구와 끼움 결합되며 탄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홀더(23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다리부(220)를 각각 수용하여 차량용 송풍구와 직접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30)는 상부(231)로부터 하측으로 복수의 다리부(220)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다리 수용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20)가 철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용 송풍구에 긁힘 등의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홀더(230)를 통해 손상을 방지하고, 탄성을 부여하여 차량용 송풍구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양면이 자성을 갖는 자석부와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디자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자인부는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자석부의 자성에 의해 일면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120)은 외부의 철판, 예를 들어 상술한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부는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 형상, 색상, 무늬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디자인으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부는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양면에 디자인이 제공되는 경우 동일한 디자인 또는 서로 다른 디자인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자인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디자인부는 자석부의 자성을 차단하지 않고 양면이 철판과 결합되어야 한다.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자성에 의해 용이하게 디자인부 또는 디자인부를 포함하는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교체를 통해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자성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후면에 철판이 부착되거나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후면 또는 내측에 철판이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상기의 철판에 자성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자성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용 송풍구에 휴대 단말기의 거치를 위한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를 결합 및 고정시키고(미도시),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 휴대 단말기의 거치를 위해 접근시킴에 따라 자성에 의해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 휴대 단말기를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탈부착형 자성부(100)는 양면에 자성을 가지되 서로 다른 크기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일면은 타면보다 강한 자성을 가져 일면과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의 결합력을 타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와의 결합력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에서 휴대 단말기의 분리 시 휴대 단말기와 함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가 외부 거치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형 자성부(100)가 외부 거치대(300)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일면에 휴대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거치대(300)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거치대(300)는 책상, 벽면, 침대 등 다양한 공간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철판(310)이 구성되어 자성에 의해 탈부착형 자성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탈부착형 자성부(100)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특히,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200) 또는 대시보드에 부착된 일반 거치부 등 철판이 구비된 다양한 곳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양면이 자성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통해 일면(110)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시키고 타면은 다른 철판이 있는 곳에 붙여 다양한 철판을 자석 거치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자석 거치대에 호환이 가능하여, 기존 자석 거치대 위에 탈부착형 자성부(100)를 붙이면 디자인이 변경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거치를 위해 양면이 각각 휴대 단말기 및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는 탈부착형 자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양면이 자성을 갖는 자석부; 및
    상기 자석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자석부의 자성에 의해 일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은 외부의 철판에 결합되며, 형상, 색상, 무늬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디자인으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디자인부
    를 포함하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자석부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상기 자석부를 다른 디자인을 갖는 디자인부와 결합시켜 교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송풍구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일면에 결합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 송풍구에 거치하는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는,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상기 디자인부의 타면과 자성에 의해 결합되는 철판;
    상기 철판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송풍구와 결합 및 고정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각각 수용하여 상기 차량용 송풍구와 직접적으로 결합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홀더
    를 포함하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일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의 철판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에 거치시키고,
    상기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의 양면이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여 다른 디자인을 갖는 탈부착형 자성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차량용 송풍구 거치부에 거치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형 자성부는,
    일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철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면이 상기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외부 공간에 구성된 복수의 철판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거치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180002156U 2018-05-18 2018-05-18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490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56U KR200490935Y1 (ko) 2018-05-18 2018-05-18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56U KR200490935Y1 (ko) 2018-05-18 2018-05-18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923U true KR20190002923U (ko) 2019-11-27
KR200490935Y1 KR200490935Y1 (ko) 2020-01-23

Family

ID=6869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56U KR200490935Y1 (ko) 2018-05-18 2018-05-18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76B1 (ko) * 2023-09-22 2024-02-19 (주)오가프린스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80Y1 (ko) * 2001-02-27 2001-07-19 주식회사 크레온인터내셔날 실리콘 휴대폰 홀더
KR20050014328A (ko) * 2003-07-30 2005-02-07 (주)대한특수금속 덮개 회전형 휴대폰용 스위칭 자석체
KR200470827Y1 (ko)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160002856U (ko) * 2015-02-09 2016-08-18 (주)비케이더블유 캐릭터 장식물의 착탈이 가능한 선풍기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20170002976U (ko) * 2016-02-16 2017-08-24 배진우 자석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80Y1 (ko) * 2001-02-27 2001-07-19 주식회사 크레온인터내셔날 실리콘 휴대폰 홀더
KR20050014328A (ko) * 2003-07-30 2005-02-07 (주)대한특수금속 덮개 회전형 휴대폰용 스위칭 자석체
KR200470827Y1 (ko)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160002856U (ko) * 2015-02-09 2016-08-18 (주)비케이더블유 캐릭터 장식물의 착탈이 가능한 선풍기
KR20170002976U (ko) * 2016-02-16 2017-08-24 배진우 자석 거치대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76B1 (ko) * 2023-09-22 2024-02-19 (주)오가프린스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35Y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2276A1 (en) Magnetic mobile-device mount
JP2011502879A (ja) 携帯電子機器の特に車内での支持のためのマグネット装置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KR20170143472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0490935Y1 (ko)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CN216520464U (zh) 磁吸支架组件、设备连接件以及设备保护壳
WO2019169937A1 (en) Stand and use thereof
CN216520466U (zh) 支架组件、设备连接件以及设备保护壳
US20130161458A1 (en) Dashboard bracket for vehicle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4008578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rubber pads
JP3092339U (ja) スピーカー磁気部品
KR200487926Y1 (ko) 자석 거치대
KR20190056224A (ko) 차량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와케이스
US20140247012A1 (en) Holding platform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desktop telephone, and fixing method connector for mobile information terminals
CN210554555U (zh) 一种具有可移动卡位的多功能底座
CN114165684A (zh) 支架组件、设备连接件以及设备保护壳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KR200489659Y1 (ko) 휴대폰 거치형 무선 충전장치
KR101825743B1 (ko) 모바일 거치대
KR101602320B1 (ko) 휴대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214544069U (zh) 双极磁路结构及具有其的双极磁路马达和照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