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76B1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7976B1 KR102637976B1 KR1020230127460A KR20230127460A KR102637976B1 KR 102637976 B1 KR102637976 B1 KR 102637976B1 KR 1020230127460 A KR1020230127460 A KR 1020230127460A KR 20230127460 A KR20230127460 A KR 20230127460A KR 102637976 B1 KR102637976 B1 KR 102637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upport
- stand
- smartphon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가 설치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한 가지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가 설치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한 가지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늘어나고 있는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액세서리 교체 수는 증가하고 있다.
매일 지니고 있는 스마트폰에 다른 느낌을 주기 위해, 작은 손상들을 가리고 더 오래 사용하기 위해, 액세서리를 바꾸어 새로운 스마트폰을 장만한 느낌을 주기 위해, 소비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소비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교체가 설치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한 가지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부는, 열전사 가공법에 의한 전자 인쇄를 통해 디자인 또는 캐릭터가 상면에 인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 상판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스탠드는, 상기 상판부를 덮고 안착되는 스탠드 블록; 상기 상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 블록의 후면에 형성되는 체결홈; 자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체결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자성체를 체결하는 제2 자성체; 상기 스탠드 블록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스탠드 블록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블록 하우징; 상기 블록 하우징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블록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블록 하우징을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됨에 따라 회동 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지지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지지 프레임; 상기 스탠드 블록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상기 스탠드 블록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 상기 블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일단이 상기 블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을 체결하는 구동 와이어; 상기 블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블록 하우징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삽입 또는 노출시켜 주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스탠드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 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원형 링 형상의 일부 구간에 해당하는 곡선 형상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 블록의 상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이너 하우징;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스탠드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설치되고 남은 상기 블록 하우징의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블록 하우징의 공간의 내측으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삽입 정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일단을 이동시켜 주는 구동 유체;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제1 이너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둥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 블록의 하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이너 하우징;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스탠드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안착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교체가 설치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한 가지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조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조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는, 하판부(100), 연장부(200) 및 상판부(300)를 포함한다.
하판부(100)는, 스마트폰(1)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판(110)과 부착판(110)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다.
연장부(200)는, 하판부(100)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슬라이딩홈(211)을 형성하는 제1 체결 플레이트(210),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져 제1 체결 플레이트(2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장부(220), 연장부(2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판부(30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슬라이딩홈(310)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슬라이딩 돌기(231)가 상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체결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300)는, 연장부(200)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부(300)는, 열전사 가공법에 의한 전자 인쇄를 통해 디자인 또는 캐릭터가 상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는, 교체가 설치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한 가지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20)는, 하판부(100), 연장부(200), 상판부(300) 및 보조 스탠드(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판부(100), 연장부(200) 및 상판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 스탠드(400)는, 상판부(300)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스마트폰(1)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20)는, 스마트폰(1)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함은 물론, 책상 등에 올려 놓은 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보조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스탠드(400)는, 스탠드 블록(401), 체결홈(402), 제1 자성체(403), 제2 자성체(404), 블록 하우징(405), 슬라이딩 블록(406), 지지 프레임(407), 제1 프레임 지지부(500), 제2 프레임 지지부(600), 블록 지지 스프링(408), 구동 와이어(409), 권취 롤러(410), 배터리(411) 및 스위치(412)를 포함한다.
스탠드 블록(401)은, 상판부(300)를 덮고 안착되며, 체결홈(402), 제1 자성체(403), 제2 자성체(404), 블록 하우징(405), 슬라이딩 블록(406), 지지 프레임(407), 제1 프레임 지지부(500), 제2 프레임 지지부(600), 블록 지지 스프링(408), 구동 와이어(409), 권취 롤러(410), 배터리(411) 및 스위치(412)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체결홈(402)은, 상판부(3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판부(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스탠드 블록(401)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1 자성체(403)는, 자성을 형성하면서 상판부(300)에 설치된다.
제2 자성체(404)는, 제1 자성체(403)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체결홈(40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성을 이용하여 제1 자성체(403)를 체결한다.
블록 하우징(405)은, 스탠드 블록(401)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스탠드 블록(40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406)은, 블록 지지 스프링(408)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하우징(405)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407)은, 제1 프레임 지지부(500)와 제2 프레임 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하우징(405)으로부터 노출되는 슬라이딩 블록(406)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06)이 블록 하우징(405)을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됨에 따라 회동 되어 스마트폰(1)의 지지 각도를 가변시켜 준다.
제1 프레임 지지부(500)는, 스탠드 블록(40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상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프레임(407)의 회동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지지부(500)는, 제1 이너 하우징(510), 제1 지지 프레임(520), 구동 유체(530) 및 제1 지지 플레이트(5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하우징(510)은, 원형 링 형상의 일부 구간에 해당하는 곡선 형상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장 형성되어 스탠드 블록(401)의 상단 내측에 설치된다.
제1 지지 프레임(520)은, 제1 이너 하우징(5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제1 이너 하우징(510)에 안착되고, 타단이 스탠드 블록(401)으로부터 노출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상단에 안착된다.
구동 유체(530)는, 슬라이딩 블록(406)이 설치되고 남은 블록 하우징(405)의 공간에 수용되며, 블록 하우징(405)의 공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블록(406)이 삽입됨에 따라 제1 이너 하우징(510)으로 유입됨에 따라 제1 이너 하우징(510)에 안착되어 있는 제1 지지 프레임(520)의 삽입 정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제1 지지 프레임(520)의 일단을 이동시켜 준다.
제1 지지 플레이트(540)는, 제1 지지 프레임(5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상단을 지지한다.
제2 프레임 지지부(600)는, 스탠드 블록(401)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프레임(407)의 회동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 지지부(600)는, 제2 이너 하우징(610), 제2 지지 프레임(620), 제2 지지 플레이트(630) 및 프레임 지지 스프링(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하우징(610)은, 제1 이너 하우징(5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둥글게 연장 형성되어 스탠드 블록(401)의 하단 내측에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620)은, 제2 이너 하우징(6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일단이 제2 이너 하우징(610)에 안착되고, 타단이 스탠드 블록(401)으로부터 노출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하단에 안착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630)는, 제2 지지 프레임(6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07)의 하단을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 스프링(640)은, 제2 이너 하우징(610)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630)를 지지한다.
블록 지지 스프링(408)은, 블록 하우징(405)의 내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블록(406)을 지지한다.
구동 와이어(409)는, 일단이 블록 하우징(405)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블록(406)의 후단을 체결한다.
권취 롤러(410)는, 블록 하우징(405)의 내측에 설치되어 배터리(411)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스위치(412)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 와이어(409)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블록 하우징(405)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406)을 삽입 또는 노출시켜 준다.
배터리(411)는, 권취 롤러(41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스위치(412)는, 스탠드 블록(4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 롤러(4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보조 스탠드(4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정밀한 지지 프레임(407)의 지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1)의 거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폰
10, 20: 스마트폰 거치대
100: 하판부
200: 연장부
300: 상판부
400: 보조 스탠드
10, 20: 스마트폰 거치대
100: 하판부
200: 연장부
300: 상판부
400: 보조 스탠드
Claims (3)
-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열전사 가공법에 의한 전자 인쇄를 통해 디자인 또는 캐릭터가 상면에 인쇄되며,
상기 상판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보조 스탠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탠드는,
상기 상판부를 덮고 안착되는 스탠드 블록;
상기 상판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 블록의 후면에 형성되는 체결홈;
자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체결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자성체를 체결하는 제2 자성체;
상기 스탠드 블록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스탠드 블록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블록 하우징;
상기 블록 하우징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블록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기 블록 하우징을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됨에 따라 회동 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지지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지지 프레임;
상기 스탠드 블록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상기 스탠드 블록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의 회동을 유도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
상기 블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일단이 상기 블록 하우징에 안착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을 체결하는 구동 와이어;
상기 블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타단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블록 하우징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삽입 또는 노출시켜 주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스탠드 블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 롤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7460A KR102637976B1 (ko) | 2023-09-22 | 2023-09-22 | 스마트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7460A KR102637976B1 (ko) | 2023-09-22 | 2023-09-22 | 스마트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7976B1 true KR102637976B1 (ko) | 2024-02-19 |
Family
ID=9005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7460A KR102637976B1 (ko) | 2023-09-22 | 2023-09-22 | 스마트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7976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923U (ko) * | 2018-05-18 | 2019-11-27 | 남동훈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210013265A (ko) * | 2019-11-27 | 2021-02-03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216044B1 (ko) * | 2019-10-04 | 2021-02-16 | 김대용 | 단말기 거치대 |
KR20210052483A (ko) * | 2018-09-28 | 2021-05-10 | 위그나이트 씨오. |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과 호환되는 분리형 링 홀더 |
KR102284491B1 (ko) * | 2021-04-01 | 2021-08-03 | (주)더피네 | 휴대단말기 거치대 |
KR20230015610A (ko) * | 2021-07-23 | 2023-01-31 | 이수영 |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
KR20230091718A (ko) | 2021-12-16 | 2023-06-23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
KR20230001441U (ko) * | 2022-07-07 | 2023-07-14 | 주식회사 에즈워즈 | 휴대폰 그립퍼 |
-
2023
- 2023-09-22 KR KR1020230127460A patent/KR1026379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2923U (ko) * | 2018-05-18 | 2019-11-27 | 남동훈 |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20210052483A (ko) * | 2018-09-28 | 2021-05-10 | 위그나이트 씨오. | 스마트폰용 무선 충전과 호환되는 분리형 링 홀더 |
KR102216044B1 (ko) * | 2019-10-04 | 2021-02-16 | 김대용 | 단말기 거치대 |
KR20210013265A (ko) * | 2019-11-27 | 2021-02-03 | 권용현 |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KR102284491B1 (ko) * | 2021-04-01 | 2021-08-03 | (주)더피네 | 휴대단말기 거치대 |
KR20230015610A (ko) * | 2021-07-23 | 2023-01-31 | 이수영 | 공예품이 부착된 휴대폰 그립 |
KR20230091718A (ko) | 2021-12-16 | 2023-06-23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
KR20230001441U (ko) * | 2022-07-07 | 2023-07-14 | 주식회사 에즈워즈 | 휴대폰 그립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전기통신회선 https://blog.naver.com/forever099/222939763803 (2022.11.27.) * |
전기통신회선 https://blog.naver.com/ohmok9531/223003362315 (2023.02.03.)*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325657A1 (en) | Customizable universal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01823527B (zh) | 自行车用扣具 | |
KR102637976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TWM342281U (en) | Base mechanism for fixing ribbon | |
JP3121144U (ja) | カレンダー固定構造 | |
JP4190273B2 (ja) | オートバイ用支持具およびバッグ | |
CN213177546U (zh) | 一种触摸一体机的移动支架 | |
CN213846741U (zh) | 一种移动终端保护壳 | |
CN201115557Y (zh) | 数码相框 | |
CN210310062U (zh) | 一种带有搁脚板的汽车商务座椅 | |
CN217272911U (zh) | 一种广告传媒用折叠式室外便携展示屏 | |
JP3248614U (ja) | 多機能無線充電アセンブリ | |
KR200441178Y1 (ko) | 독서대를 겸한 휴대용 가방 | |
CN209168641U (zh) | 一种宣传移动架 | |
CN210093293U (zh) | 一种多功能指环支架 | |
CN208846043U (zh) | 隐藏式电脑支架壳体 | |
JP3220700U (ja) | リングノート用表紙カバー | |
CN214335604U (zh) | 一种财务管理用数据记录装置 | |
CN221305956U (zh) | 一种一体磁吸的手机架结构 | |
JP3230627U (ja) | リングノートジャケット | |
CN209466847U (zh) | 定位印章 | |
JPH06310878A (ja) | 電源コードの取付構造 | |
KR200467024Y1 (ko) | 거치대를 구비하는 독서대 | |
CN217124503U (zh) | 一种汽车遮阳板结构 | |
KR200289870Y1 (ko) | 착탈식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