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44B1 -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6044B1 KR102216044B1 KR1020190123266A KR20190123266A KR102216044B1 KR 102216044 B1 KR102216044 B1 KR 102216044B1 KR 1020190123266 A KR1020190123266 A KR 1020190123266A KR 20190123266 A KR20190123266 A KR 20190123266A KR 102216044 B1 KR102216044 B1 KR 102216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rail
- container
- cover
- slid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립밤 또는 화장품이 배치되어, 립밤 또는 화장품의 휴대가 가능하고, 분실을 방지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화장품이 수용된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한 커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화장품이 수용된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한 커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와 결합되어 단말기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립밤(lip balm)은 입술에 영양을 공급하여 건조한 날씨에 입술의 탄력을 유지시키고, 손상된 입술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입술에 막을 형성하여 지질층을 보호하며 입술의 보습력을 강화시킨다.
하지만, 립밤은 부피가 작고 분실하기 쉬우며, 매번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수납하면서 이동하기에는 휴대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어 정작 필요한 경우 립밤을 사용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9823호는 기능성 립밤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8387호는 이중 단부형 립밤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에서는 립밤의 휴대성 및 분실방지를 최소화 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내부에 립밤 또는 화장품이 배치되어, 립밤 또는 화장품의 휴대가 가능하고, 분실을 방지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화장품이 수용된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한 커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의 하단부는 상기 부착부에 형성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확장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일부분과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의 일단은 원형의 판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되고, 타단은 외측면이 상기 바디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저면과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 상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방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 및 전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 전면에서 배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소독용매가 수납되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 내부의 제2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에 위치한 상기 레일의 일단에는 상기 소독용매를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레일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노즐을 작동시키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약, 고체 제형, 화장품 또는 립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거치대는 내부에 고체향수, 약, 화장품 및 립밤을 포함하는 고체 제형이 수납되어 휴대성이 개선되고, 상황에 따라 입술이나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며,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거치대 내부의 고체향수, 약, 화장품 및 립밤을 포함하는 고체 제형을 사용하면서 뚜껑의 안쪽에 배치된 거울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립밤 또는 화장품을 입술이나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그립부 또는 그립부 내부의 용기의 교체를 통해 용기 안쪽에 수납되는 고체 제형의 리필이 용이하므로, 복수의 용기들 또는 그립부들을 집안에 비치하여 편리하게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거치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4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들.
도 6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도 9는 도 8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도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거치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4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들.
도 6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도 9는 도 8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도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및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거치대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은 도 1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00)는 부착부(200) 및 그립부(400)들을 포함한다.
부착부(200)는 단말기(10)의 배면 또는 단말기(10)를 커버하는 케이스의 배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외측면이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손가락들로 파지하기 편리한 구조로 형성된다.
부착부(200)의 하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단말기(10) 또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축소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외경이 하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립부(400)는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부착부(200)의 상단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는 고체향수, 약, 화장품 및 립밤을 포함하는 고체 제형으로 형성된 내용물이 수용되어 고체향수, 약, 화장품 또는 립밤 중 어느 하나를 편리하게 휴대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는 단말기 거치대(100)를 사용할 수 있고, 건조한 환경에 의해 립밤이 필요하거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상기 뚜껑을 열어 상기 내용물 사용할 수 있다.
부착부(200)는 본체(210) 및 레일(220)들을 포함한다.
본체(210)의 하부에 위치한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타단면 외측모서리가 외측을 향해 확장된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레일(220)의 일단은 단면이 'T'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210)의 타단면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본체(2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레일(220)의 하단부는 본체(210)의 타단 상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레일(220)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반구 형태의 돌기(222)들이 형성된다.
레일(220)의 상단부는 레일(220)의 하단부에서 상부 및 전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레일(220)은 그립부(400)의 하단부 일측에 위치한 개구부(412a)를 통해 그립부(4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그립부(400)는 바디(410), 용기(420), 내용물(430), 미러(440) 및 커버(450)들을 포함한다.
바디(410)의 하단부 저면은 본체(210)의 타단 상부면과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확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4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410)의 하단부 외측면은 상단부 외측면까지 외측을 향해 본체(210)의 상부면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완만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확장 및 연장되어 단면이 양쪽으로 넓은 그릇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410)의 상단부 외측면은 하단부 외측면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본체(210)의 상부면부터 상대적으로 큰 각도를 유지하면서 확장 및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홈(412)은 바디(410)의 하단부 일측 일부분이 바디(410)의 하단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고, 레일(220)은 바디(410)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12)의 개구부(412a)를 통해 슬라이딩홈(412)의 내부로 이동하여 바디(410)와 결합된다.
레일(220)의 타단면이 슬라이딩홈(412) 내부의 바디(4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레일(220)이 슬라이딩홈(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222)들은 바디(4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바디(410)가 레일(2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420)의 하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디(410)의 상부 중앙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부(411)의 외측에 해당하는 바디(41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용기(420)는 바디(410)에 삽입되고, 결합부(411)를 통해 바디(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바디(410)에 고정되거나 바디(410)와 분리된다.
한편, 용기(420)는 결합부(411)를 통해 바디(410)와 나사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바디(410)에 삽입되어 바디(410) 내측면의 압박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바디(4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도록 단말기(10)의 모서리를 테이블에 놓은 상태에서, 커버(450) 및 커버(450)에 인접한 바디(410)의 일부분은 상기 테이블에 밀착되어 단말기(10) 및 상기 테이블 사이의 각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도 1 및 2들을 참조하면, 내용물(430)은 화장품 또는 립밤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내용물(430)이 수용되는 용기(420)의 교체를 통해 다른 종류의 화장품 또는 립밤을 바디(410) 및 커버(450) 사이에 보관할 수 있다.
미러(4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450)의 저면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커버(450)를 열어 개방하면 미러(440)를 통해 입술 또는 피부를 관찰하면서 편리하게 내용물(430)을 입술 또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45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힌지부(454)가 형성되고, 힌지부(454)는 용기(42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홈(418)에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로 결합된다.
커버(450)의 가장자리에는 골드 색상의 링이 부착되고, 바디(410)와 함께 전하이그로시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심플하고 모던한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커버(450)의 상부면은 로고나 디자인을 프린팅하거나 필름 부착이 가능하다.
힌지홈(418)은 용기(420)의 일측에서 용기(42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커버(450)가 용기(420)를 커버한 상태에서, 힌지부(454)의 외측면은 본체(210)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는 평면을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한다.
커버(450)는 힌지부(454)의 회동을 통해 용기(42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고, 커버(450)의 타측에는 커버(450)의 타측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고, 안쪽 일부분이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452)가 형성된다.
돌출부(452)의 안쪽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커버(450)가 용기(420)를 커버하여 내용물(430)을 밀봉한 상태에서 돌출부(452)는 용기(42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414)에 삽입된다.
삽입홈(414)은 용기(420)의 타측 일부분이 일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커버(450)가 용기(420)를 커버한 상태에서, 돌출부(452)의 외측면은 본체(210)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는 평면을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한다.
삽입홈(414) 안쪽의 용기(420) 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416)는 돌출부(452)가 삽입홈(4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커버(450) 및 용기(420)들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20)는 그립부(6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단말기 거치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 거치대(120)는 그립부(600)를 포함한다.
그립부(600)는 바디(610), 용기(620), 내용물(630), 미러(640) 및 커버(650)들을 포함한다.
바디(610)의 하단부 저면은 본체(210)의 타단 상부면과 일치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확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6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610)의 하단부 외측면은 상단부 외측면까지 외측을 향해 본체(210)의 상부면부터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확장 및 연장되어 단면이 하부 꼭지부분을 제외한 역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610)는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디(410)와 달리 부착부(200)의 하단부 및 바디(610)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어 손가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120)는 전체적으로 칵테일 잔 형태로 형성되고, 단말기 거치대(120)를 상부를 향해 배치한 상태에서 단말기(10)를 바닥에 놓으면 칵테일 잔이 돌출된 형태로 돌출되어 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용기(620)의 하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용기(620)의 하단부 외측면은 바디(610)의 상부 중앙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부의 외측에 해당하는 바디(610)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용기(620)는 바디(61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를 통해 바디(6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바디(610)에 고정되거나 바디(610)와 분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용물(630)은 화장품 또는 립밤으로 구성되어 용기(620)의 안쪽에 삽입되고, 사용자는 내용물(630)이 수용되는 용기(620)의 교체를 통해 다른 종류의 화장품 또는 립밤을 바디(610) 및 커버(650) 사이에 보관할 수 있다.
미러(6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650)의 저면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커버(650)를 열어 개방하면 미러(640)를 통해 입술 또는 피부를 관찰하면서 편리하게 내용물(630)을 입술 또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65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용기(620)에 형성된 힌지홈(618)에 전후방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654)가 형성된다.
커버(650)의 가장자리에는 골드 색상의 링이 부착되고, 바디(610)와 함께 전하이그로시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심플하고 모던한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커버(650)의 상부면은 로고나 디자인을 프린팅하거나 필름 부착이 가능하다.
힌지홈(618)은 용기(620)의 일측에서 용기(620)의 중앙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커버(650)가 용기(620)를 커버한 상태에서, 힌지부(654)의 외측면은 본체(210)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평면을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한다.
커버(650)는 힌지부(654)의 회동을 통해 용기(62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시키고, 커버(650)의 타측에는 커버(650)의 타측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는 돌출부(652)가 형성된다.
돌출부(652)의 안쪽 일부분은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커버(650)가 용기(620)를 커버하여 내용물(630)을 밀봉한 상태에서 돌출부(652)는 용기(62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614)에 삽입된다.
삽입홈(614)은 용기(620)의 타측 일부분이 일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커버(650)가 용기(620)를 커버한 상태에서, 돌출부(652)의 외측면은 본체(210)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평면을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한다.
삽입홈(614) 안쪽의 용기(620) 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616)는 돌출부(652)가 삽입홈(6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커버(650) 및 용기(620)들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용기(620)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바디(610)와 나사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바디(610)에 삽입되어 바디(610) 내측면의 압박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바디(6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도록 단말기(10)의 모서리를 테이블에 놓은 상태에서, 커버(650) 및 커버(650)에 인접한 바디(610)의 일부분은 상기 테이블에 밀착되어 단말기(10) 및 상기 테이블 사이의 각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즉, 단말기 거치대(120)를 통해 단말기(10)를 상기 테이블 또는 지면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단말기 거치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40)는 부착부(3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단말기 거치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9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40)는 부착부(300)를 포함한다.
부착부(300)는 본체(310) 및 레일(320)들을 포함한다.
부착부(300)의 하단부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에 부착되고, 중앙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며, 상단부에는 중앙부 내부에 수용된 소독용매가 분사되는 레일 형태의 분무장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310)는 부착판(312), 소독용기(314) 및 관(315)들을 포함한다.
본체(310)의 하단부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에 부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소독용매를 위한 제1공간이 형성된다.
부착판(312)의 하단부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단부 중앙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결합부(312a)가 형성된다.
결합부(312a)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착판(312)의 내측면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소독용기(314)의 하단부와 나사 결합된다.
소독용기(314)의 하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결합부(312a)에 형성된 부착판(312)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공간을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관(315)의 일단은 소독용기(314)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면서 소독용기(314)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2공간을 외부공간과 연결시킨다.
레일(320)은 노즐(322) 및 돌기(323)들을 포함한다.
레일(320)의 하단부는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3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 비해 전후방으로 확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레일(320)의 내부에는 제2공간(236)이 형성되고, 본체(310) 및 레일(320)들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236)들은 서로 연결되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상기 제1공간 내부의 소독용매가 제2공간(236)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레일(320)이 바디(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부(412a)에 위치한 레일(320)의 일단에는 노즐(322)이 형성되고, 레일(320)의 타단에는 바디(4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버튼(324)이 형성된다.
레일(320)이 바디(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립부(400)를 개구부(412a)를 향해 이동시키면, 바디(410)가 버튼(324)을 압박하여 이동시키고, 버튼(324)의 이동에 의해 레일(320) 내부의 소독용매가 노즐(322)을 통해 분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무되는 소독용매를 사용하여 단말기(10)를 소독하거나 내용물(430)에 해당하는 립밤을 손가락으로 입술에 바르기 전에 손가락을 소독시켜 위생적으로 단말기(10) 및 내용물(430)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일(320)의 하단부 전면 및 배면 중앙에는 각각 반구 형태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323)들이 각각 형성되고, 돌기(323)들 각각은 레일(320)이 바디(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4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이 때 바디(410) 및 부착부(300)의 외측면은 서로 연결되어 미려한 외관 및 편안한 그립감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60)는 부착부(500) 및 그립부(700)들을 포함한다.
단말기 거치대(160)는 단말기(10)의 배면 또는 단말기(10)를 커버하는 케이스에 부착되고, 단말기(10)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일부분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의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축소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부착부(500)는 본체(510) 및 변형부(530)들을 포함하고, 변형부(520)는 하단부(522) 및 중단부(524)들을 포함한다.
부착부(500)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고, 타단은 축소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700)와 결합된다.
부착부(500)의 타단은 변형이 가능하고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타단이 단말기(10)를 향해 이동하여 수축되면 타단에 환 형태의 복수의 주름이 발생하면서 상기 공간에 타단이 밀도있게 배치된다.
따라서, 그립부(700)를 단말기(10)를 향해 밀어내면 부착부(500)의 타단이 수축되고, 그립부(700)는 상대적으로 단말기(10)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단말기용 거치대(160)의 휴대성이 개선된다.
본체(510)의 하단부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10) 또는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테두리 안쪽에 해당하는 링 형태의 일부분이 그립부(70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고, 상단부의 외측면 일부분은 돌기 형태로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본체(5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들은 본체(5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균일한 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들 각각의 사이에 해당하는 각도는 90도가 바람직하다.
변형부(520)는 하단부(522) 및 중단부(524)들을 포함한다.
변형부(520)의 하단부는 본체(510)의 상단부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변형부(520)의 상단부는 축소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700)와 결합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로 제작된다.
하단부(522)의 하단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돌기들 각각이 삽입되는 홈들이 형성되며, 본체(510)는 상기 돌기들 각각이 상기 홈들 각각에 삽입되면서 하단부(522)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단부(522)의 상단부는 전방부에서 축소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중단부(524)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중단부(524)의 하단부는 하부의 내경보다 상부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은 하단부(522)의 상단부와 연결되며, 중단부(524)의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그립부(700)와 연결된다.
따라서, 그립부(700)가 단말기(10)를 향해 이동하면, 하단부(522)의 상단부 및 중단부(524)의 하단부가 함께 단말기(10)를 향해 이동하여 하단부(522)의 타단은 환 형태의 주름으로 변형되면서 본체(510)의 상단부 안쪽에 안착된다.
또한, 그립부(700)가 단말기(10)를 향해 이동하면, 중단부(524)의 상단부가 본체(510)를 향해 이동하고, 본체(510)의 상단부 안쪽에 배치되어, 단말기 거치대(160)의 휴대성이 개선된다.
반면에, 그립부(700)가 단말기(10)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하단부(522) 및 중단부(524)들은 원위치로 탄성 이동하고, 그립부(700) 및 단말기(1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파지가 용이하다.
그립부(700)는 바디(710), 용기(720), 미러(740), 커버(750), 제1코팅패드(760) 및 제2코팅패드(770)들을 포함한다.
바디(710)의 하단부는 변형부(520)의 상단부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확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7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710)의 하단부 외측면은 상단부 외측면까지 외측을 향해 완만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확장 및 연장되어 단면이 양쪽으로 넓은 그릇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면은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 형태의 내부공간을 둘러싼다.
용기(72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7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용기(720)의 외측면은 바디(7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바디(71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720)의 내부에는 화장품 또는 립밤이 수용되고, 사용자는 용기(720) 내부의 화장품 또는 립밤을 사용한 경우, 용기(720) 교체만으로 편리하게 화장품 또는 립밤을 교체시킬 수 있다.
커버(75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는 바디(710)의 일측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바디(7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미러(740)는 커버(750)의 저면에 밀착되고, 커버(750)의 힌지부를 축으로 커버(750)의 돌출부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미러(740)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미러(740)를 사용하여 화장품 또는 립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1코팅패드(76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750)의 상부면에 면결합되며, 반투명의 탄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어 단말기 거치대(16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그립감이 개선되고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단말기(10)를 지지한다.
제2코팅패드(770)는 제1코팅패드(76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코팅패드(760)의 상부 중앙에 결합되며, 각인 또는 디자인 삽입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자인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바디(710)의 하부에는 부착부(5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710)의 하부에는 바디(710)의 하단부 일측 일부분이 바디(710)의 하단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도 2의 슬라이딩홈(412)과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레일의 일단은 단면이 'T' 형태로 형성되고, 변형부(520)의 상부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변형부(52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의 하단부는 중단부(524)의 상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상기 레일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반구 형태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상단부는 상기 레일의 하단부에서 상부 및 전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은 바디(710)의 하단부 일측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바디(7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80)는 그립부(800)를 제외하면, 도 10의 단말기 거치대(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80)는 부착부(500) 및 그립부(800)들을 포함한다.
단말기 거치대(180)는 단말기(10)의 배면 또는 단말기(10)를 커버하는 케이스에 부착되고, 단말기(10)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일부분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의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축소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립부(800)는 바디(810), 용기(820), 미러(840), 커버(850) 및 베젤(860)들을 포함한다.
바디(810)의 하단부는 변형부(520)의 상단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확장되면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그립부(8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810)의 하단부 외측면은 상단부 외측면까지 확장 및 연장되어 단면이 하부 꼭지부분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810)는 도 10에 도시된 바디(710)와 달리 부착부(500)의 하단부 및 바디(810) 사이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손가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또한, 단말기 거치대(180)의 상단부는 전체적으로 칵테일 잔 상단의 형태와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단말기 거치대(180)를 상부를 향해 배치한 상태에서 단말기(10)를 바닥에 놓으면 칵테일 잔이 돌출된 형태로 돌출되어 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용기(820)는 하단부의 내경이 상단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며, 바디(8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용기(820)의 외측면은 바디(8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바디(81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820)의 내부에는 화장품 또는 립밤이 수용되고, 사용자는 용기(820) 내부의 화장품 또는 립밤을 사용한 경우, 용기(820)의 교체만으로 편리하게 화장품 또는 립밤을 교체시킬 수 있다.
커버(85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는 바디(810)의 일측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바디(8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미러(84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850)의 저면에 밀착되고, 커버(850)의 힌지부를 축으로 커버(850)의 돌출부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미러(840)가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미러(840)를 사용하여 화장품 또는 립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베젤(860)은 커버(85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850)와 결합되어 커버(850)의 외측이 바닥에 밀착된 경우, 바닥으로부터 커버(850)를 보호하며, 커버(85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통해 디자인이 개선된다.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180)는 외부로 노출되는 그립부(800)의 디자인이 개선되고, 베젤(860)을 통해 바닥과 밀착되는 커버(850)의 내구성이 개선되며, 부착부(500)를 통해 휴대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바디(810)의 하부에는 부착부(5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810)의 하부에는 바디(810)의 하단부 일측 일부분이 바디(810)의 하단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은 도 2의 슬라이딩홈(412)과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레일의 일단은 단면이 'T' 형태로 형성되고, 변형부(520)의 상부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변형부(52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의 하단부는 중단부(524)의 상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상기 레일의 하단부에서 돌출된 반구 형태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180: 단말기 거치대 200, 300: 부착부
400, 600, 700, 800: 그립부
400, 600, 700, 800: 그립부
Claims (7)
- 단말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착부; 및
하단부는 상기 부착부에 탈부착 결합되고 상단부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확장 연장되는 바디, 일부분이 상기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구비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는,
일단은 원형의 판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되고, 타단은 외측면이 상기 바디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는 본체 및
하단부는 상기 본체의 타단 상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방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상부 및 전후방을 향해 확장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단부 전면에서 배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소독용매가 수납되는 제1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 내부의 제2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에 위치한 상기 레일의 일단에는 상기 소독용매를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레일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노즐을 작동시키는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고체향수, 약, 화장품 및 립밤을 포함하는 고체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266A KR102216044B1 (ko) | 2019-10-04 | 2019-10-04 |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266A KR102216044B1 (ko) | 2019-10-04 | 2019-10-04 |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6044B1 true KR102216044B1 (ko) | 2021-02-16 |
Family
ID=7468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266A KR102216044B1 (ko) | 2019-10-04 | 2019-10-04 |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604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163A (ko) * | 2021-02-24 | 2022-08-31 | 김순라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KR102445104B1 (ko) * | 2021-12-24 | 2022-09-21 | 황성수 |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
KR20220161949A (ko) * | 2021-05-31 | 2022-12-07 | 김민규 | 휴대폰 파지장치 |
KR102637976B1 (ko) * | 2023-09-22 | 2024-02-19 | (주)오가프린스 | 스마트폰 거치대 |
-
2019
- 2019-10-04 KR KR1020190123266A patent/KR102216044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전기통신회선 https://www.youtube.com/watch?v=gTrqZ9tE3-o (2019.06.06.) 1부.* * |
전기통신회선 https://www.youtube.com/watch?v=N1GNb2skwxY (2019.07.27.) 1부.* *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163A (ko) * | 2021-02-24 | 2022-08-31 | 김순라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KR102671226B1 (ko) * | 2021-02-24 | 2024-06-03 | 김순라 | 휴대 기기 그립 장치 |
KR20220161949A (ko) * | 2021-05-31 | 2022-12-07 | 김민규 | 휴대폰 파지장치 |
KR102484191B1 (ko) * | 2021-05-31 | 2023-01-03 | 김민규 | 휴대폰 파지장치 |
KR102445104B1 (ko) * | 2021-12-24 | 2022-09-21 | 황성수 |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용 그립장치 |
KR102637976B1 (ko) * | 2023-09-22 | 2024-02-19 | (주)오가프린스 | 스마트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6044B1 (ko) | 단말기 거치대 | |
US5261570A (en) | Flexible liquid dispenser | |
US8893731B2 (en) | Container system | |
KR102109199B1 (ko) |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 |
EP1672992B1 (en) | Lip package | |
US20150027487A1 (en) |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 |
US20080173324A1 (en) | Compact Case with Detachable Leaves | |
US5983905A (en) | Lipstick container cap with flip-up mirror | |
US20060249169A1 (en) | Brush with attached mirror and sewing kit | |
WO2011095763A1 (en) | Personal care dispenser | |
US7654272B2 (en) |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t least two products, in particular two makeup products | |
WO2008001576A1 (fr) | Dispositif de suspension et ensemble destiné à suspendre un petit article employant ledit dispositif | |
CN105819089A (zh) | 带有化妆用具的瓶盖 | |
KR102351643B1 (ko) | 마스카라 | |
KR20190109817A (ko) |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용기 | |
KR20160078661A (ko) | 화장품 용기 | |
KR200452331Y1 (ko) | 기능성 화장품용기 | |
KR20190061532A (ko) | 화장 도구 | |
US10912370B2 (en) | Modular cosmetic pen | |
KR200375893Y1 (ko) | 두피 보호제 수납 구조 | |
JP3224162U (ja) |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 |
KR20180064005A (ko) | 휴대폰 케이스 | |
KR102091856B1 (ko) | 커팅된 손잡이가 구비된 화장용 스펀지 | |
CN211862052U (zh) | 瑞士军刀形塑胶化妆品粉盒 | |
KR102185917B1 (ko) |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