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91B1 - 휴대폰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91B1
KR102484191B1 KR1020210070315A KR20210070315A KR102484191B1 KR 102484191 B1 KR102484191 B1 KR 102484191B1 KR 1020210070315 A KR1020210070315 A KR 1020210070315A KR 20210070315 A KR20210070315 A KR 20210070315A KR 102484191 B1 KR102484191 B1 KR 10248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moisture
water
mobile phone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949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21007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단이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단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후단에 도포되고, 휴대폰의 침수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접착층과, 접착층의 후단에 부착되고, 수용성 접착층의 접착력이 상실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수중으로 이탈된 후 수면으로 상승하여 휴대폰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력체 및, 길이방향 양측이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부력체에 각각 연결되고, 덮개부가 개방시 부력체의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파지장치{Phone gri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폰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휴대폰이 물에 빠졌을 때 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를 이용해 휴대폰 및 익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휴대폰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놀이나 레저 스포츠(낚시 등)와 같이 수중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으로써,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중 안전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중 안전사고는 사고 발생 후 짧은 시간에 구조활동이 일어나야 하므로 물놀이나 레저 스포츠를 하는 근처에는 항상 구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종래의 구명 장치는 튜브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사고 발견자나 안전요원이 익수자에게 구명 장치를 던져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물에 빠진 익수자를 빠르게 인지하기 어려워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웠고, 발견된 익수자가 수면 아내로 내려가는 경우 익수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구조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특히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 등의 환경에서는 익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더 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4836호(2000년 05월 0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구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휴대폰이 물에 빠졌을 때 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를 이용해 휴대폰 및 익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휴대폰 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는 전단이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단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도포되고, 상기 휴대폰의 침수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성 접착층의 접착력이 상실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수중으로 이탈된 후 수면으로 상승하여 상기 휴대폰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력체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부력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부력체의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의 외면에는 외부의 빛을 흡수한 후 어두운 환경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야광(夜光)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에는 수분과 접촉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부와, 상기 제어 회로부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상태로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고, 수분이 감지시 상기 제어 회로부로 수준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수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는 전단이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단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이격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는 덮개부와, 상기 파지부의 후단과 상기 덮개부의 전단을 부착시키고, 상기 휴대폰의 침수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이 상실되어 상기 덮개부의 부착 상태를 해지시키는 수용성 접착층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부가 개방시 부력에 의해 수중으로 이탈된 후 수면으로 상승하여 상기 휴대폰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력체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부력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가 개방시 상기 부력체의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방향으로 벤딩된 양단이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벤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용성 접착층이 수분에 의해 분해시 상기 탄성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를 이용해 휴대폰 및 익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휴대폰 수거 및 익수자 구조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야간 등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부력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에 조명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고, 조명부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에 조명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고, 조명부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덮개부에 보조 부력체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에 조명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고, 조명부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에 조명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부력체가 수중에서 수면으로 부상하고, 조명부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의 덮개부에 보조 부력체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는 파지부(100)와, 덮개부(200)와, 수용성 접착층(300)과, 부력체(400-1) 및, 연결라인(500)을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접착부재(130)에 의해 휴대폰(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파지부(100)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파지부(100)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검지, 중지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파지부(100)는 휴대폰(30)을 바닥면에 높을 때 휴대폰(30)을 경사지게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파지부(100)는 접착부재(130)에 의해 휴대폰(3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휴대폰(30)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그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0)의 전면과 휴대폰(30)의 후면 사이에 접착부재(13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립(120)은 베이스(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휴대폰(30)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후방에서 지지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지부(100)의 내부에는 후술될 부력체(400-1)와 연결라인(5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01)은 그립(12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그립(120)의 외주면에는 전후로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는 그립(1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30)을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그립(12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증가시켜 손가락(검지와 중지 사이 등)들의 사이에 그립(120)을 끼워 넣을 수 있고, 그립(120)의 전후 방향 길이를 감소시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수용성 접착층(300)은 파지부(100)의 후단과 부력체(400-1)의 전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 접착층(300)의 전면이 그립(120)의 후단에 부착되고, 수용성 접착층(300)의 후면이 부력체(400-1)의 전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수용성 접착층(300)은 물과 접촉시 녹아 접착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수용성 접착층의 소재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접착층(300)을 수용성 양면 테이프로 적용하는 경우 수용성 접착층(300)은 물에 녹는 수용성 필름(펄프 등) 및, 수용성 펄프의 양면에 물에 녹는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접착층(300)은 휴대폰(30)이 수중(10)에 잠겼을 때 수분에 의해 분해되어 접착력이 상실되므로, 그립(120)의 후단에 부착된 부력체(400-1)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분리되어 수면(20)으로 부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덮개부(200)의 파지돌기를 이용해 덮개부(200)를 강제로 개방시켜 부력체(400-1)를 수중(10)으로 이탈시킬 수도 있다.
부력체(400-1)는 휴대폰(30)이 물에 빠졌을 때 휴대폰(30)의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 접착층(300)에 의해 그립(120)의 후단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수용성 접착층(300)이 수분에 의해 녹는 경우 수면(20)으로 상승하여 휴대폰(30)의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부력체(400-1)의 내부에는 부력공간(401)이 형성되고, 부력체(400-1)의 외면에는 외부의 빛을 흡수한 후 어두운 환경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야광(夜光)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체(400-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부력체(400-1)를 강제로 분리시키기 위한 파지돌기(미도시)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체(400-1)는 수면(20)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소재(플라스틱, 스티로폼, 목재 등)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부력체(400-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부력체(400-1)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즉, 휴대폰(30)이 물에 빠졌을 때 부력체(400-1)가 수면(20)에 부유하므로 외부에서 휴대폰(3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부력체(400-1)의 파지돌기를 이용해 부력체(400-1)를 강제로 분리시켜 수면(20)으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연결라인(500)은 파지부(100)와 부력체(40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라인(5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수용공간(10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부력체(400-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라인(500)은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수용공간(101)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500)은 수분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수지 계열의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다양한 수심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길이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라인(500)은 부력체(400-1)와 휴대폰(30)을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사용자가 부력체(400-1)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면(20)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연결라인(500)의 견인력에 의해 휴대폰(30)이 함께 견인되므로 물속에 빠진 휴대폰(30)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부력체(400-1)의 내부에는 도 4와 5에서처럼 수분과 접촉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조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700)는 부력체(400-1)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부(710)과, 제어 회로부(710)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720)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상태로 부력체(40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 회로부(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30) 및, 부력체(400-1)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고, 수분이 감지시 제어 회로부(710)으로 수분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램프(720)를 점등시키는 수분 감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710)은 부력체(400-1)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어 회로부(720)는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점등시킬 수 있으며,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설정된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
램프(720)는 접속 단자가 제어 회로부(710)의 표면에 실장되고, 제어 회로부(7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되어 부력체(400-1)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여기서 램프(720)는 엘이디(L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400-1)를 투명 또는 반투명 등의 소재로 제작하여 램프(720)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거나, 램프(720)의 일단을 부력체(400-1)의 외면으로 노출시켜 외부로 빛을 확산시킬 수 있으며, 제어 회로부(720)는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730)는 램프(72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체(400-1)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동전 형태의 리튬 배터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 감지부(740)는 수분이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체(400-1)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의 감지단이 부력체(40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분 감지부(740)는 접속 단자가 제어 회로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의 감지단이 부력체(400-1)의 외부로 노출된 수분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0)가 개방되어 부력체(400-1)가 수중(10)으로 이탈되는 경우, 수분 감지부(740)의 감지단과 수분이 접하게 되고, 수분 감지부(740)의 수분 감지신호가 제어 회로부(710)로 전달되며, 제어 회로부(710)로 수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램프(720)가 점등되어 부력체(400-1)의 외부로 빛을 확산시킨다. 이때 수면(20)에 부유하는 부력체(400-1)의 외부로 빛이 확산되므로 휴대폰(30)을 분실한 사용자는 육안으로 부력체(40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는 파지부(100)와, 덮개부(200)와, 수용성 접착층(300)과, 부력체(400) 및, 연결라인(500)을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접착부재(130)에 의해 휴대폰(1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파지부(100)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고, 파지부(100)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검지, 중지 등)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걸림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파지부(100)는 휴대폰(30)을 바닥면에 높을 때 휴대폰(30)을 경사지게 거치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00)는 접착부재(130)에 의해 휴대폰(3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휴대폰(30)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그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0)의 전면과 휴대폰(30)의 후면 사이에 접착부재(13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립(120)은 베이스(110)의 후단에 구비되어 휴대폰(30)을 파지한 사용자의 손가락을 후방에서 지지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파지부(100)의 내부에는 후술될 부력체(400)와 연결라인(5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01)은 그립(12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그립(120)의 외주면에는 전후로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는 그립(1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폰(30)을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그립(12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증가시켜 손가락(검지와 중지 사이 등)들의 사이에 그립(120)을 끼워 넣을 수 있고, 그립(120)의 전후 방향 길이를 감소시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덮개부(200)는 파지부(100)의 후방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파지부(100)의 후단에 밀착되어 수용공간(101)을 폐쇄하고, 파지부(100)로부터 이격시 수용공간(101)을 개방시킨다. 덮개부(200)의 전면은 그립(120)의 후단과 밀착되어 수용공간(101)을 폐쇄시키거나, 그립(12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수용공간(101)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립(120)의 후단에는 후술될 수용성 접착층(300)이 일정 두께로 도포될 수 있고, 덮개부(200)의 전면이 수용성 접착층(300)의 후면에 부착되어 수용공간(101)을 폐쇄시킬 수 있으며, 수용성 접착층(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수용공간(101)을 후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2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덮개부(200)를 강제로 개방시키기 위한 파지돌기(미도시)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0)의 일측은 탄성 벤딩부(210)에 의해 그립(120)의 일측과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벤딩부(210)는 일 방향으로 벤딩된 양단이 파지부(100)의 후방에 형성된 그립(120)의 가장자리와 덮개부(200)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어 덮개부(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탄성 벤딩부(210)는 양단이 곡선 형상으로 벤딩되어 그립(120)의 가장자리와 덮개부(200)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탄성 벤딩부(210)의 벤딩 부위는 덮개부(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므로, 후술될 수용성 접착층(300)이 수분에 의해 분해시 탄성 벤딩부(210)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용공간(10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수용성 접착층(300)은 파지부(100)의 후단과 덮개부(200)의 전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용성 접착층(300)의 전면이 그립(120)의 후단에 부착되고, 수용성 접착층(300)의 후면이 덮개부(200)의 전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수용성 접착층(300)은 물과 접촉시 녹아 접착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수용성 접착층의 소재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접착층(300)을 수용성 양면 테이프로 적용하는 경우 수용성 접착층(300)은 물에 녹는 수용성 필름(펄프 등) 및, 수용성 펄프의 양면에 물에 녹는 수용성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접착층(300)은 휴대폰(30)이 수중에 잠겼을 때 수분에 의해 분해되어 접착력이 상실되므로, 덮개부(200)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개방될 수 있고, 수용공간(101)에 수용된 후술될 부력체(400)가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덮개부(200)의 파지돌기를 이용해 덮개부(200)를 강제로 개방시켜 부력체(400)를 수중으로 이탈시킬 수도 있다.
부력체(400)는 휴대폰(30)이 물에 빠졌을 때 휴대폰(30)의 위치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파지부(100)의 수용공간(101)에 수납된 상태로 설치되고, 덮개부(200)가 개방시 부력에 의해 수중(10)으로 이탈된 후 수면(20)으로 상승하여 휴대폰(30)의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부력체(400)의 내부에는 부력공간(401)이 형성되고, 부력체(400)의 외면에는 외부의 빛을 흡수한 후 어두운 환경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야광(夜光)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즉 휴대폰(30)이 물에 빠졌을 때 부력체(400)가 수면(20)에 부유하므로 외부에서 휴대폰(3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부력체(400)는 수면(20)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소재(플라스틱, 스티로폼, 목재 등)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부력체(4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부력체(400)의 외면에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연결라인(500)은 파지부(100)와 부력체(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라인(5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수용공간(10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부력체(4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라인(500)은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부력체(400)와 함께 수용공간(101)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500)은 수분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수지 계열의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다양한 수심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길이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라인(500)은 부력체(400)와 휴대폰(30)을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사용자가 부력체(4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면(20)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연결라인(500)의 견인력에 의해 휴대폰(30)이 함께 견인되므로 물속에 빠진 휴대폰(30)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0)의 일면에는 도 12에서처럼 덮개부(200)가 개방되는 경우 수중(10)으로 노출되어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 부력체(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 부력체(600)는 수용공간(101)을 향하는 덮개부(2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고, 보조 부력체(600)의 내부에는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수용성 접착층(300)의 수분과 접촉되면서 녹는 경우 덮개부(200)가 개방되면서 수용공간(101)에 수납된 부력체(400)를 수중(10)으로 노출시키는데, 이때 보조 부력체(600)의 부력에 의해 덮개부(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고, 보조 부력체(600)의 부력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개방되므로 부력체(400)가 수용공간(101)의 외부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또 한편, 부력체(400)의 내부에는 도 10과 11에서처럼 수분과 접촉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조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700)는 부력체(400)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부(710)과, 제어 회로부(710)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720)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상태로 부력체(4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 회로부(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30) 및, 부력체(400)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고, 수분이 감지시 제어 회로부(710)으로 수분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램프(720)를 점등시키는 수분 감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710)은 부력체(40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어 회로부(720)는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점등시킬 수 있으며,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설정된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
램프(720)는 접속 단자가 제어 회로부(710)의 표면에 실장되고 제어 회로부(7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되어 부력체(400)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여기서 램프(720)는 엘이디(LED: Light-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400)를 투명 또는 반투명 등의 소재로 제작하여 램프(720)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거나, 램프(720)의 일단을 부력체(400)의 외면으로 노출시켜 외부로 빛을 확산시킬 수 있으며, 제어 회로부(720)는 후술될 수분 감지부(740)로부터 수분 감지신호 전달시 램프(7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730)는 램프(72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체(400)의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동전 형태의 리튬 배터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 감지부(740)는 수분이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체(4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의 감지단이 부력체(4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분 감지부(740)는 접속 단자가 제어 회로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의 감지단이 부력체(400)의 외부로 노출된 수분 감지 센서(moisture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0)가 개방되어 부력체(400)가 수중(10)으로 이탈되는 경우, 수분 감지부(740)의 감지단과 수분이 접하게 되고, 수분 감지부(740)의 수분 감지신호가 제어 회로부(710)로 전달되며, 제어 회로부(710)로 수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램프(720)가 점등되어 부력체(400)의 외부로 빛을 확산시킨다. 이때 수면(20)에 부유하는 부력체(400)의 외부로 빛이 확산되므로 휴대폰(30)을 분실한 사용자는 육안으로 부력체(4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휴대폰(3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수면(20)에 부유하는 부력체(400)(400-1)를 이용해 휴대폰(30) 및 익수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휴대폰(30) 수거 및 익수자 구조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야간 등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부력체(400)(400-1)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파지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중 20: 수면
30: 휴대폰 100: 파지부
101: 수용공간 110: 베이스
120: 그립 130: 접착부재
200: 덮개부 210: 탄성 벤딩부
300: 수용성 접착층 400, 400-1: 부력체
401, 401-1: 부력공간 500: 연결라인
600: 보조 부력체 700: 조명부
710: 제어 회로부 720: 램프
730: 전원 공급부 740: 수분 감지부

Claims (5)

  1. 전단이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단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도포되고, 상기 휴대폰의 침수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이 상실되는 수용성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성 접착층의 접착력이 상실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수중으로 이탈된 후 수면으로 상승하여 상기 휴대폰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력체;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부력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부력체의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에는 수분과 접촉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부와,
    상기 제어 회로부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상태로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고, 수분이 감지시 상기 제어 회로부로 수준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수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감지부는 일측의 감지단이 상기 부력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력체가 수중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수분 감지부의 감지단과 수분이 접하게 되고, 상기 수분 감지부의 수분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 회로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 회로부로 수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램프가 점등되어 상기 부력체의 외부로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외면에는 외부의 빛을 흡수한 후 어두운 환경에서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야광(夜光)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파지장치.
  3. 삭제
  4. 전단이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고, 후단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상기 파지부로부터 이격시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시키는 덮개부;
    상기 파지부의 후단과 상기 덮개부의 전단을 부착시키고, 상기 휴대폰의 침수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접착력이 상실되어 상기 덮개부의 부착 상태를 해지시키는 수용성 접착층;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부가 개방시 부력에 의해 수중으로 이탈된 후 수면으로 상승하여 상기 휴대폰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력체;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부력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가 개방시 상기 부력체의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부력체에는 수분과 접촉시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는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는 제어 회로부과, 상기 제어 회로부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와,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상태로 상기 부력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고, 수분 감지시 상기 제어 회로부으로 수분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수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감지부는 일측의 감지단이 상기 부력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덮개부가 개방되어 상기 부력체가 수중으로 이탈되는 경우, 상기 수분 감지부의 감지단과 수분이 접하게 되고, 상기 수분 감지부의 수분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 회로부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 회로부로 수분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램프가 점등되어 상기 부력체의 외부로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는 경우 수중으로 노출되어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 부력체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조 부력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조 부력체의 내부에는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성 접착층이 수분과 접촉되면서 녹는 경우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된 상기 부력체를 수중으로 노출시키고, 상기 보조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벤딩된 양단이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벤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용성 접착층이 수분에 의해 분해시 상기 탄성 벤딩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파지장치.
KR1020210070315A 2021-05-31 2021-05-31 휴대폰 파지장치 KR10248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15A KR102484191B1 (ko) 2021-05-31 2021-05-31 휴대폰 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315A KR102484191B1 (ko) 2021-05-31 2021-05-31 휴대폰 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49A KR20220161949A (ko) 2022-12-07
KR102484191B1 true KR102484191B1 (ko) 2023-01-03

Family

ID=8444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315A KR102484191B1 (ko) 2021-05-31 2021-05-31 휴대폰 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1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044B1 (ko) * 2019-10-04 2021-02-16 김대용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181B1 (ko) * 2016-03-28 2017-11-22 오용우 조난 신호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044B1 (ko) * 2019-10-04 2021-02-16 김대용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49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730B2 (en) Water activated safety light and flotation device using same
AU2006269211B2 (en) Water-activated and light-assisted visual locating device
KR101301614B1 (ko)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US20120214371A1 (en) Inflatable Rescue Device
CA2730013C (en) Environmentally protected switch for water activated devices
KR102484191B1 (ko) 휴대폰 파지장치
JP5044030B1 (ja) 自動発光装置付き浮き物体
US6329927B1 (en) Alert light
US20020042234A1 (en) Rescue holding clamp
US20170008604A1 (en) Underwater Alert Device with Shark Deterrent
US20120171911A1 (en) Inflatable diving safety marker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US4836815A (en) Emergency illuminated lifeline
KR102114276B1 (ko) 인명구조용 led 구명장비
RU2186706C2 (ru) Спасательный буй
JP5922827B1 (ja) 自動発光装置付き救難用ロープ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100685724B1 (ko) 구명 튜브
JP5795752B2 (ja) レジャー用浮き物体
KR200432023Y1 (ko) 구명환
TW201817644A (zh) 可增加抓取範圍之救生圈
RU2391246C2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JP3100028U (ja) スノーケル発光表示装置
KR100301863B1 (ko) 구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