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181B1 - 조난 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조난 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181B1
KR101800181B1 KR1020160037124A KR20160037124A KR101800181B1 KR 101800181 B1 KR101800181 B1 KR 101800181B1 KR 1020160037124 A KR1020160037124 A KR 1020160037124A KR 20160037124 A KR20160037124 A KR 20160037124A KR 101800181 B1 KR101800181 B1 KR 10180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signal
signal generator
water
distr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523A (ko
Inventor
오용우
오상언
Original Assignee
오용우
오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우, 오상언 filed Critical 오용우
Priority to KR102016003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1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20Antenna or mast
    • B63B2728/00
    • B63B27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2009/084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for anim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Transmitter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에 있어,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기구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서 조난 신호 발생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난 신호 발생장치{A device of generating distress signals}
본 발명은 조난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 특히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에 있어 자동적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계속 유지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은 물에 의한 급격한 체온 손실과 물의 흐름에 의한 계속적인 이동으로 육상에서의 조난과 달리 초도 대응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의 의지와 상관없는 계속적인 조난 신호 및 위치 전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수상 조난에 대한 보호장치나 구난장치로서, 공개특허공보 2015-0021648호에는 구난신호장치가 장착된 의류가 공개특허공보 2013-0041705호에는 구명복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2015-0021648호의 의류는 기밀과 수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착용하는 옷에 일체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기체가 공급될 때 팽창상태를 유지하는 튜브, 튜브 내부 또는 상기 튜브와 연통되게 외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압축가스가 저장되어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저장된 압축가스가 튜브 내부로 토출되어 튜브를 팽창시키는 가스공급기, 튜브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야간에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LED모듈, 튜브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공급된 전원에 의해 GPS신호를 발생시켜 그 신호를 GPS신호수신기가 수신하여 옷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PS신호발생기 및 LED모듈 및 GPS신호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난신호장치가 장착된 의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의하면 팽창하는 튜브, 튜브에 장착된 LED모듈 및 GPS신호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어 조난시 조난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2013-0041705호는 부력을 생성되는 부력체가 내장되고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명복 몸체, GPS안테나를 통해 GPS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 구명복 몸체에 배치되는 발열수단 및 발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구명복 몸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엮여져 형성되는 내면직, 내면직의 외측에 이격되게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엮여져 형성되는 외면직, 내면직 및 외면직 사이에 연결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사를 구비하고, 부력체는 이격공간에 발포수지가 주입되어 내면직 및 외면직 사이에 일체로 경화, 형성된 구명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기술에 의하면 구명복 몸체에 내장된 발열선이 조난자의 체온을 유지시키고, 또 위치추적장치와 GPS 발신장치로 인하여 구조 활동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2015-0021648호의 의류는 튜브의 팽창, LED모듈, GPS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조난자가 손잡이를 직접 작동시켜야 하지만, 조난시 의식이 없거나 신체에 마비가 있는 경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질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3-0041705호의 구명복은 태양전지판, 볼타전지, 소형 터빈과 같은 전원 발생부를 채용하고 있으나, 날씨가 흐린 날에는 태양전지판을 사용할 수 없어 전원공급이 불가능하다. 볼타 전지는 직접적으로 전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연 방전으로 인해 매번 교체하여야 하고 또 소형 터빈은 비용이나 설치가 곤란하여 실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공개공보를 포함하여 지금까지의조난 보호 장비는 i)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조난 대상의 작동에 의해서만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난 대상이 조난 사건 초반에 의식이 없는 경우 조난 신호를 발생하기도 전에 수상에서의 저체온증으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i) 조난 대상이 조난 신호 발생장치를 작동하여도 조난 신호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 및 점멸등이 조난 구호장치(구명복) 등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파도나 조류에 의해서 안테나 또는 조난 점멸등이 수면 아래로 잠기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조난 신호가 제대로 전달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021648호 한국공개특허공부 2013-0041705호
본 발명은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에 있어,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기구에서 떨어져 일정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부력에 의해서 조난 신호 발생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원부, 감지부, 조난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아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는 전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 또는 점멸하는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는 GPS 수신장치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위치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점멸하는 광원은 LED 광원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자체 부력 의해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가 있고, 상기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에 상기 송신장치의 안테나 또는 점멸하는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상기 감지부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이 될 경우에만 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인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로 물이 들어올 수 있는 출입부에 일정 시간 이상 물이 접촉해야만 상기 출입부가 개방되는 수용성 물질이 입구를 밀폐하는 방식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조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며,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점으로 분리되나, 고정점과는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상기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이고, 상기 고정점으로부터 분리 후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끈 또는 고리에 의해서 상기 고정점과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인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전원 조절부 외에 물리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물리력이 없어지더라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는 제2의 전원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에 있어,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조난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 신호가 원활하게 멀리 전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 대표적인 사용 예에 대한 모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회로도 예시다.
본 발명은, 전원부(100), 감지부(200), 조난 신호 발생부(300)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3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300)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감지부(200)에 물이 감지되지 않아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3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100)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300)에 인가하는 전원 조절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조난 상황이 아닌 평상 시에는 작동을 하지 않고, 강 또는 바다 등의 수상에서의 조난이 발생할 경우 조난자 또는 조난 동물의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에 부착되어 자동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는 도 2와 같다.
감지부(200)의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외부 패드(201)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내부 회로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부(100), 조난 신호 발생부(300), 전원 조절부(400)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과 직접적인 접촉이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적으로 방수가 가능한 케이스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외부로 노출된 외부 패드(201)는 통상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2개의 전극으로서 물이 닿으면 물이 전기적 매개체로 작용하여 단선되었던 회로가 연결되게 된다. 물이 닿아서 전기가 통하는 전극의 구체적인 물질과 전극 사이의 거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매우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장기간의 보관에 따른 염분에 의한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해상에서 사용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외부 패드(201) 전극은 부식에 강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물에 의해서 회로가 연결되면 내부의 전원 스위치(Q1, Q2)가 동작하면서 조난 신호 발생장치 내부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이하 MCU)이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패드(201)가 해수 등에 노출 되었을 경우 외부 패드(201) 중 한 전극은 전기적으로 접지(Ground)된다. 이 외부 패드(201)가 물에 잠기면 외부 패드(201)는 해수와 같은 전기적 매개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금속 패드 중 한 패드는 접지되어 있어서 두 패드는 마치 접지 된 것처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조난 신호 발생장치 내부의 전원부(100), 구체적으로 배터리는 P-Channel MOS-FET(Q1)로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지만 외부 패드(201)의 두 전극이 물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Q1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전류가 흐른다. Q1이 작동되면 Q1은 source에서 drain으로 배터리 전압이 인가되고 이후는 MCU 및 조난 신호 작동부(300)를 작동시킨다.
MCU가 작동된 이후 외부 패드(201)에 접촉하고 있는 해수 등의 물이 파도에 의한 흔들림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서 외부 패드(201)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외부 패드(201) 양 전극이 초기 상태로 단절될 수 있다. 그러면 MCU에 공급 시키는 Q1이 다시 오프(off)될 수 있기 때문에 MCU 및 조난 신호 발생부(3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Q1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필요하다.
도 2의 CTL 신호는 Q1를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MCU가 최초 온(on) 상태 후 CTL 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 유지하여 주면 Q2는 R3을 통하여 전압을 낮게 유지하면서 Q1을 온(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MCU 및 조난 신호 발생부(300)에 안정적인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오프(off)를 하지 않는 이상 한번 인가된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300)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 또는 점멸하는 광원(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4)는 GPS 수신장치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위치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점멸하는 광원은 LED 광원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자체 부력 의해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가 있고, 상기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에 상기 송신장치의 안테나 또는 점멸하는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상기 감지부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이 될 경우에만 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인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로 물이 들어올 수 있는 출입부에 일정 시간 이상 물이 접촉해야만 상기 출입부가 개방되는 수용성 물질이 입구를 밀폐하는 방식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조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며,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점으로 분리되나, 고정점과는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상기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이고, 상기 고정점으로부터 분리 후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끈 또는 고리에 의해서 상기 고정점과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인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전원 조절부 외에 물리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물리력이 없어지더라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는 제2의 전원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사용하지 않은 상태는 구명 조끼(6)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있다. 하지만 강이나 해상에서 조난이 일어난 경우에는 구명 조끼는 조난자(8)의 체중으로 인하여 수면 위로 나오질 않고 수면에 밑으로 가라 앉은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런 급박하고 위급한 재난 상황에서 해상 조난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송신할 수 있는 장치 이다.
본 발명은 조난자(8)가 구명 조끼(6),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를 입은 상태로 해상에 표류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난 신호 발생기는 구명 조끼(6)에서 자동 분리되어 해상의 부표나 찌처럼 수면위로 나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내부에는 GPS 칩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조난자(8)의 현재 위치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고 그 데이터를 전파를 통하여 전송하는 구조이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본체와 구명 조끼(6),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로 체결되어 있다. 하지만 조난자의 구명 조끼(6) 등이 물과 일정 시간을 닿으면 자동적으로 그 연결이 끊기는 화학적 구조를 가지는 연결고리(미도시)로 구성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긴급한 상황에 조난자가 자의로 그 연결 고리(미도시)를 끊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통상적인 수용성 접착 물질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연결된 조난 신호 발생장치(3)은 구명 조끼(6)와 분리되지만 연결 선(2)을 가지고 있고, 조난자(8)가 구명 조끼(6)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라면 언제든지 조난자(8)의 위치를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조난 신호 발생장치 본체(3)는 자체 부력을 가지고 있고 부표나 찌처럼 무게 중심이 수면 아래에 있으므로 기상이 악화나 파도가 높을 때에도 조난 신호 발생장치 본체는 수면 아래에 있지만 전파를 전송하는 전송 매체인 휩(Whip) 안테나(5)는 항상 수면 위로 노출되어 조난자의 위치를 송신 할 수 있다.
송신 주파수는 900MHz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안테나가 수면 위에 부표나 찌 형태를 유지하고 원하는 통달 거리를 확보를 위해서는 일자형의 휩(whip) 안테나(5) 형태로 되어야 한다. 또한 휩 안테나(5)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3)가 조난자(8)의 위치를 정확히 송출하기 위하여 조난 발생시 수면 밑으로 침수가 되던지 혹은 물이 들어가 송신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휩 안테나(5)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캡(4)을 조난 신호 발생장치 본체(3)와 연결된 방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야간에 위치를 시각적으로 LED 램프를 점멸하여 시각적 효과를 둔다.
조난자(1)가 해상에서 표류하고 있으면 조난자가 착용하고 있는 구명 조끼에 부착된 본 발명의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근 선박이나 항공기에 조난자의 위치를 전파로 전송한다. 선박이나 항공기는 본 발명의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구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고 그 수신기를 통하여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조난자 구조 활동을 한다. 이러한 모든 일련의 사건들을 실시간으로 재난 대책 본부의 상황실에 조난자의 위치가 표시된다.
도 1의 조난 신호 발생장치(1)의 통달 거리는 민간용일 경우는 선박은 반경 1.5 ~ 2km (5)정도이며, 항공기는 5km(4) 정도이다. 기타 특수용일 경우는 송신 반경을 더 멀리 전송할 수 있다.
1 : 메인 부양체
2 : 연결 선
3 : 조난 신호 발생장치
4 : 송신장치
5 : 안테나
6 : 구명 조끼
7 : 해수면
8 : 조난자
100 : 전원부
200 : 감지부 201 : 외부 패드
300 : 발생부
400 : 전원 조절부

Claims (11)

  1. 전원부, 감지부, 조난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면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아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는 전원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이 될 경우에만 물을 감지하는 것으로 인지하며,
    상기 감지부로 물이 들어올 수 있는 출입부에 일정 시간 이상 물이 접촉해야만 상기 출입부가 개방되는 수용성 물질이 입구를 밀폐하고 있고,
    상기 감지부에 물이 감지되지 않아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에 의해서 상기 감지부 내의 회로가 연결되면, 상기 전원 조절부 내부의 전원 스위치 P 채널 모스펫(Q1) 및 Q2가 동작하면서 상기 전원 조절부 내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을 동작시키고, 이후 상기 감지부 내의 회로가 단절된 이후에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CTL 신호가 하이로 유지되어 상기 P 채널 모스펫(Q1)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며, 일정 시간 이상 계속 물에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점으로 분리되나, 고정점과는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 또는 점멸하는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는 GPS 수신장치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위치를 간헐적으로 전송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하는 광원은 LED 광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자체 부력 의해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가 있고, 상기 수면 위에 항상 위치하는 일정 부위에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의 위치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의 안테나 또는 점멸하는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는 조난 상태에 있을 수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구명조끼, 목걸이, 손목밴드, 발목밴드, 허리밴드 등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구의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은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상기 고정점에 고정되는 방식이고, 상기 고정점으로부터 분리 후는 상기 조난 신호 발생장치가 끈 또는 고리에 의해서 상기 고정점과 계속 일정한 거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부 외에 물리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고, 이후 상기 물리력이 없어지더라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계속 상기 조난 신호 발생부에 인가하는 제2의 전원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 신호 발생장치.
KR1020160037124A 2016-03-28 2016-03-28 조난 신호 발생장치 KR10180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24A KR101800181B1 (ko) 2016-03-28 2016-03-28 조난 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24A KR101800181B1 (ko) 2016-03-28 2016-03-28 조난 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23A KR20170111523A (ko) 2017-10-12
KR101800181B1 true KR101800181B1 (ko) 2017-11-22

Family

ID=6014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24A KR101800181B1 (ko) 2016-03-28 2016-03-28 조난 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934A (ko) * 2018-10-31 2020-05-08 (주)유니락서비스 구조 신호 발생 방식의 위험 상황 처리 시스템
KR102483180B1 (ko) 2022-08-10 2023-01-02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20B1 (ko) 2018-09-27 2019-01-24 (주)엘케이시스템즈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KR102537636B1 (ko) * 2020-03-03 2023-05-30 미노언 주식회사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214950B1 (ko) * 2020-08-21 2021-02-10 (주)유니락서비스 분리 구조의 위험 신호 발생기
KR102407829B1 (ko) 2020-09-28 2022-06-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탈부착 가능한 조난 대비용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N112598880B (zh) * 2020-12-11 2022-03-29 中海油安全技术服务有限公司湛江分公司 海上平台人员落水智能化预警、监测及应急救援系统
KR102484191B1 (ko) * 2021-05-31 2023-01-03 김민규 휴대폰 파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12Y1 (ko) * 2001-06-28 2001-10-17 김만호 구명복 부착용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12Y1 (ko) * 2001-06-28 2001-10-17 김만호 구명복 부착용 발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934A (ko) * 2018-10-31 2020-05-08 (주)유니락서비스 구조 신호 발생 방식의 위험 상황 처리 시스템
KR102147795B1 (ko) * 2018-10-31 2020-08-25 (주)유니락서비스 구조 신호 발생 방식의 위험 상황 처리 시스템
KR102483180B1 (ko) 2022-08-10 2023-01-02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23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81B1 (ko) 조난 신호 발생장치
KR100717595B1 (ko) 구명동의의 해상위치추적을 통한 긴급구조 시스템
KR100691736B1 (ko) 구명조끼
US20070241887A1 (en) Buoyant trac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6476070U (zh) 一种智能水上应急救生装置
KR101815643B1 (ko) 조난위치 발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2956089B (zh) 一种搜救终端和基于该搜救终端的水上搜救方法
KR101597779B1 (ko) 구난신호장치가 장착된 의류
KR101870208B1 (ko)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CN204775922U (zh) 一种新型定位救生衣
CN202929801U (zh) 一种搜救终端
CN101402395B (zh) 水上超高亮度发光搜救控制器
CN206243413U (zh) 一种智能防溺水救生装置
CN207571311U (zh) 一种水上救援定位发射终端、接收终端和系统
KR20200046564A (ko) 구명동의
KR102483180B1 (ko)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KR101867879B1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조난 신호 송출기가 구비된 구명부환
KR200399149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조끼
KR20170021495A (ko) 솔라셀 기반의 led 조난위치 표시 단말기
US20020158795A1 (en) Electronic distress call and position finding system for rescueing distressed people
CN212738467U (zh) 一种智能应急报警救生衣
CN202244034U (zh) 多功能紧急救生衣
KR200399150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KR20190125552A (ko) 위치추적기능을 갖는 구명조끼
CN214729562U (zh) 一种智能救生衣和智能救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