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636B1 -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636B1
KR102537636B1 KR1020210028072A KR20210028072A KR102537636B1 KR 102537636 B1 KR102537636 B1 KR 102537636B1 KR 1020210028072 A KR1020210028072 A KR 1020210028072A KR 20210028072 A KR20210028072 A KR 20210028072A KR 102537636 B1 KR102537636 B1 KR 102537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buoyancy
hole
c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707A (ko
Inventor
류주선
Original Assignee
미노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노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선박 침몰사고 등으로 인한 해상 조난자(일 예로서, 실종자, 변사체를 말함)의 위치를 수면 위로 노출시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는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릴에 일단이 감긴 임의길이의 연결와이어 타단이 관통공을 통과하는 돌조가 외측면에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면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고, 상기 돌조와 대향되게 통과공이 측벽에 형성되며,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돌조의 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시 이음부위의 수용성 접착제가 용해되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부력구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핀에 연결하되,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부력구가 분리될 경우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되어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상기 바닥판 또는 외부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조난자가 물에 빠져 상기 부력체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notify device of victim location with search easy}
본 명세서는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 침몰 등으로 인한 해상 조난자(익수자, 실종자, 변사체를 말함)의 위치를 수면 위로 노출시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 발생된 천안함과 세월호 침몰 사고 등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막대한 국가 재난적 해상 사고가 늘어나고 있어 국가 차원에서 해상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수색 담당 기관(해양 경비 안전 본부, 해군)에서 수행하는 실종자 및 사고 선박의 수색 작업에는 수색 플랫폼(선박, 항공기)을 이용한 육안 수색 및 가시광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가 활용되고 있다.
선박 침몰 등의 각종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 실종자 등이 발생될 경우에, 조류의 흐름에 따라 의식을 잃은 실종자 등이 물살에 솔려 사고 선박을 중심으로 먼 곳으로 흘러가게 되므로 사고 선박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수색하게 된다.
즉, 바다 특성상 비교적 큰 배수량을 갖는 주로 다수 대의 경비정과 함께 구조 헬기가 투입되어 조난자 등을 수십 일 또는 수개 월에 걸쳐 수색하게 된다.
전술한 해상사고의 익수자 구조, 또는 수중에서의 사체 수색 및 수습 작업에는 반복적인 교육 및 훈련을 받은 특수 잠수사들이 투입되는 데, 작업현장의 환경 조건(일 예로서, 수심, 수온, 파고, 기상조건 등을 말함)에 따라서는 익수자 구조 및 수색에 투입된 잠수사들의 건강을 해치는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즉, 해당 잠수사들은 당일 기상조건이 양호한 경우에 제한된 시간 내에서만 잠수한 후, 구조 선박 또는 육지로 이동하여 안전장비에 의해 필요한 조치를 받고 휴식을 취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해상사고 선박 및 익수자 탐지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52476호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전술한 특허등록 제1852476호에 게시된 기술내용은 항공 가시광 영상 및 항공 적외선 영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의 사고 현장의 위치 확인에는 유용할 수 있으나, 선박 사고 현장 위치의 그 주변의 수중 수색 및 익수자의 시신 수색에까지 이용하기에는 힘들다는 한계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52476호에 사고 선박 및 익수자 탐지용 다중파장 영상 분석 전자 광학 시스템 및 그 분석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각종 해상사고에서 발생되는 조난자, 실종자 등을 수색 및 구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특수 잠수사 및 구조장비 투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수면 위에 부상되는 부력체 표면에 형광물질 등을 형성하여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조난자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부력체가 물과 접촉시 조난자로부터 자동 분리되도록 하여 패닉상태의 조난자 의지와 무관하게 부력체를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물에 빠진 의식이 있는 조난자가 로킹해제용 비상버튼을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로킹해지구를 잡아당겨 조난자로부터 부력체를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릴에 일단이 감긴 임의길이의 연결와이어 타단이 관통공을 통과하는 돌조가 외측면에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면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고, 상기 돌조와 대향되게 통과공이 측벽에 형성되며,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돌조의 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시 이음부위의 수용성 접착제가 용해되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부력구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핀에 연결하되,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부력구가 분리될 경우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되어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상기 바닥판 또는 외부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조난자가 물에 빠져 상기 부력체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 위에 장착되고, 상면이 개방된 임의두께의 측벽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안착홈에 외주연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결합홈이 외주연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임의형태를 갖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부력체가 이탈될 경우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도록 형성됨;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부력체의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개부가 측벽에 형성되는 중간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중간케이스를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고, 상기 부력체 외주연 일측을 지지하는 통과공이 측벽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중간케이스에 장착되고,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부력체의 로킹을 해제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중간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로부터 상기 부력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로킹수단;
상기 부력체 내부에 형성되는 릴에 양단이 권선되고, 상기 부력체 일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대향되게 안착되는 상기 부력체를 이음연결하는 임의길이를 갖는 연결와이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조난자에 의해 상기 부력체 로킹을 해제시켜 상기 부력체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을 통해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선박 침몰 등의 각종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 실종자 등이 발생될 경우, 조난자와 와이어 등으로 연결된 부력체를 통해 조난자 위치를 수면 위로 노출시킴에 따라 구조정 등이 현지에 도착하여 신속하게 조난자 등을 수색 및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난자와 연결되고 수면 위에 부상되는 부력체 표면에 형광물질 등을 형성하여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조난자 위치를 쉽게 식별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력체 일측이 물과 접촉시 조난자로부터 부력체가 자동 분리되도록 하여 패닉상태의 조난자 의지와 무관하게 부력체를 수면 위에 부상시킴에 따라 조난자 의지와 무관하게 부력체를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에 빠진 의식이 있는 조난자가 로킹해제용 비상버튼을 직접 터치하거나, 또는 로킹해지구를 잡아당겨 조난자로부터 부력체를 신속하게 분리시킴에 따라 조난자 구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이루는 부력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알림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9(a,b)는 부력체의 로킹상태 및 로킹해지상태의 도면,
도 10(a,b)는 도 9(a,b)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부력체의 내부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는
해상사고로 인해 구명조끼를 착용하거나, 또는 착용하지않은 조난자(일 예로서, 익수자, 실종자, 변사체를 말함)의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릴(10)(reel)이 하나 이상(일 예로서, 릴이 +자 방향으로 4개 설치됨) 형성되고, 릴(10)에 일단이 감긴 임의길이(일 예로서, 수백m ∼ 수천m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의 연결와이어(11)(임의강도를 갖는 낚시줄 형태임) 타단이 관통공(12)을 통과하는 돌조(13)가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직육면체형태의 내부케이스(14);
상면에 내부케이스(14)가 안착되는 바닥판(15);
바닥판(15)에 밑면이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돌조(13)와 대향되게 통과공(16)이 측벽(17)에 형성되며, 수납공간부(18)가 형성되는 직육면체형태의 외부케이스(19);
돌조(13)의 관통공(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형성되며, 연결와이어(11)가 통과되는 관통공(20b)이 형성되는 고정핀(20)과,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시 이음부위에 부착된 수용성 접착제(39)가 용해되어 고정핀(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부력구(21)를 수용성 접착제(39)에 의해 고정핀(20)에 연결하되, 고정핀(20)으로부터 부력구(21)가 분리될 경우 수납공간부(18)로부터 이탈되어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하는 임의형태(일 예로서, 유선형, 또는 로켓형으로 형성되고,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22)(물에 부상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닥판(15) 또는 외부케이스(19)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23)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24)(clip);을 포함하되,
조난자가 물에 빠져 부력체(22)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해 수납공간부(18)로부터 이탈될 경우 부력체(22)를 연결와이어(11)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부력체(22) 외측면에 도포되는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의 도포층, 또는 부력체(22) 외측면에 형성되는 야간 반사판, 또는 형광판에 의해 부력체(22)를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부력체(22) 내부를 제1,2부력공간(35,36)으로 분할하는 PCB(34)에 탑재되고 배터리(37)에 연결된 LED(25)가 점멸되고, 부력체(22)의 외측면에 도포된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 또는 야간 반사판 또는 형광판 등에 의해 기상 상태가 좋지않거나, 야간에도 구조정 등에서 부력체(22)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상사고 등으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가 의식을 유지할 경우, 조난자의 원터치조작에 의해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부력체(22)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9)의 상판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미 표기됨)에 승강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돌조(13)에 결합되도록 측벽(27)에 형성되는 입구측이 개방된 절개부(28)와, 절개부(28) 상부로 연통되고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 가압으로 하강시 고정핀(20) 외주연의 걸림턱(20a)이 이탈될 수 있도록 관통공(29)이 형성되는 승강체(30);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을 지지하여 가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31)(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9)의 상판(19a) 바닥면(밑면)에 형성되고, 제1탄성부재(31)를 지지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보스(32);
걸림턱(20a)과 내부케이스(14) 사이에 설치되고, 걸림턱(20a)을 승강체(30) 의 측벽(27)으로 가압하여 부력체(22)가 수납공간부(18)에 수납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 하는 제2탄성부재(33)(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부력체(22)는
부력구(21) 내부를 PCB(34)에 의해 제1,2부력공간(35,36)으로 분할형성하되, 제1부력공간(35)에 위치하는 PCB(34)에 점멸가능하게 형성되어 부력체(22)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할 경우 점등되는 LED(25)와, 제2부력공간(36) 내부에 배치되어 LED(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7)와, 제2부력공간(36) 내에 배치되어 해상사고 지역에 인접한 관제탑, 또는 중앙통제센터에 조난자 위치를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선박 침몰 등으로 인한 선박 사고, 또는 조류 등으로 인한 수상 사고로 인해 조난자가 바닷물에 빠져 실종될 경우에 해양경찰, 구조요원 등이 부력체(22)에 의해 조난자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수납공간부(18)로부터 부력체(22)가 순차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부력체(22)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해수와 접촉시 분리가능하게 이음연결하는 수용성 접착제(39)를 증감시킴에 따라, 부력체(22)가 수납공간부(18)로부터 이탈시 부력구(21)에 각각 수용되어 점등 또는 점멸되는 LED(25)의 전체 동작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22a,22b,22c,22d)중, 부력체(22a)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해수와 접촉시 용해되어 분리시키도록 수용성 접착제(39)를 이용하여 이음연결할 경우, 수용성 접착제(39)의 사용량을 제일 적게 사용하여 이음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가 발생될 경우, 부력체(22a)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킨 수용성 접착제(39)가 외부케이스(19)의 측벽(17)에 형성된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중 부력체(22a)가 제일 먼저 외부케이스(19)의 순납공간부(18)로부터 통과공(16)을 통해 이탈되어 수면위에 부상될 수 있다.
다음,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22b,22c,22d)중, 부력체(22b)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해수와 접촉시 용해되어 분리시키도록 이음연결한 수용성 접착제(39) 사용량을, 부력체(22a)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 사용된 수용성 접착제(39) 량보다 많이 사용하여 이음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가 발생될 경우, 부력체(22b)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킨 수용성 접착제(39)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중 부력체(22b)가 두 번째로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통과공(16)을 통해 이탈되어 수면위에 부상될 수 있다.
다음,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22c,22d)중, 부력체(22c)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해수와 접촉시 용해되어 분리되도록 이음연결시킨 수용성 접착제(39) 사용량을, 부력체(22b)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 사용된 수용성 접착제(39) 량보다 많이 사용하여 이음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가 발생될 경우, 부력체(22c)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킨 수용성 접착제(39)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중 부력체(22c)가 세 번째로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통과공(16)을 통해 이탈되어 수면위에 부상될 수 있다.
다음,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d)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해수와 접촉시 용해되어 분리시키도록 이음연결한 수용성 접착제(39) 사용량을 부력체(22c)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 사용된 수용성 접착제(39) 량보다 많이 사용하여 이음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사고로 인해 조난자가 발생될 경우, 부력체(22d)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킨 수용성 접착제(39)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용해됨에 따라,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d)가 네 번째로 외부케이스(19)로부터 통과공(16)을 통해 이탈되어 수면위에 부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에, 조난자의 벨트(23)에 클립(24)이 착용된 외부케이스(19)의 측벽(17)에 형성된 통과공(16)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부력체(22)의 고정핀(20)과 부력구(21)를 이음연결시킨 수용성접착제(39)가 접촉된다.
이로 인해, 수용성접착제(39)가 용해되어 고정핀(20)과 부력구(21)의 이음연결부위가 분리됨에 따라, 제1,2,3부력공간(35,36,40)이 형성되고, 부상될 수 있도록 가벼운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부력체(22)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전술한 내부케이스(14)에 형성된 릴(10)에 감긴 연결와이어(11)가 내부케이스(14)의 돌조(13)에 형성된 관통공(12), 고정핀(20)의 관통공(20b)을 차례로 통과하여 부력구(21)의 외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의식이 없는 패닉상태의 조난자가 해수의 조류를 따라 해상사고 발생지역으로부터 임의거리만큼 떨어진 지역으로 이동될 경우에도 조난자와 연결와이어(11)에 의해 연결된 부력체(22)를 보고 구조대원 등이 조난자 위치를 쉽게 수색하여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22a,22b,22c,22d)중 부력체(22a) → 부력체(22b) → 부력체(22c) → 부력체(22d) 순으로 수납공간부(18)로부터 이탈되어 수면위에 부상될 경우, 부력체(22)에 장착된 온도센서(미 도시됨)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온도 이하일 경우, 부력구(21)에 내설된 배터리(37)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LED(25)를 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다.
즉,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에 수용된 부력체(22;22a,22b,22c,22d)중, 수납공간부(18)로부터 첫 번째로 이탈된 부력체(22a)의 LED(25)를 제일 먼저 점등 또는 점멸시키고,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두 번째로 이탈된 부력체(22b)의 LED(25)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고,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세 번째로 이탈된 부력체(22c)의 LED(25)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고,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네 번째로 이탈된 부력체(22d)의 LED(25)를 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부력체(22)의 부력구(21)에 수용된 LED(25)가 점등 또는 점멸되는 전체 동작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즉 부력구(21)에 각각 수용된 LED(25)가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상 사고 등으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가 의식을 유지할 경우, 조난자의 원터치조작에 의해 외부케이스(19)의 수납공간부(18)로부터 부력체(22)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조난자에 의해 외부케이스(19) 상판에 승강가능하게 돌출형성된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경우(이때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을 탄성지지한 제1탄성부재(31)는 압축상태로 전환됨),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에 일체형으로 내설된 승강체(30)가 수직방향으로 하강된다.
전술한 승강체(30)가 하강될 경우, 내부케이스(14)와 외부케이스(19)의 측벽(17) 사이에 제2탄성부재(33)에 의해 탄설된 부력체(22)의 고정핀(20)이 승강체(30)의 관통공(29)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고정핀(20) 외측면에 링형태로 형성된 걸림턱(20a)이 승강체(30)의 관통공(29)으로부터 벗어나 이탈되어진다(즉, 걸림턱(20a)의 직경이 관통공(29)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난자가 로킹해제용 비상버튼(26)을 가압하여 승강체(30)가 임의높이로 하강될 경우, 승강체(30)와 내부케이스(14) 사이에 제2탄성부재(33)에 의해 탄설된 부력체(22)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부력체(22)의 고정핀(20)이 돌조(13)의 관통공(12)으로부터 분리되고, 고정핀(20)의 걸림턱(20a)이 승강체(30)의 관통공(29)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부력체는 승강체(30)로부터 이탈된 후, 외부케이스(19)의 측벽(17)에 형성된 통과공(1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진다.
이때, 전술한 내부케이스(14)의 릴(10)에 감긴 연결와이어(11)가 내부케이스(14)의 돌조(13)에 형성된 관통공(12)과, 고정핀(20)의 관통공(20b)을 차례로 통과하여 부력체(22)의 부력구(21)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물에 빠진 상태에서 의식을 유지하고 있는 조난자를 연결와이어(11)를 통해 부력체(22)와 연결함에 따라 구조대원이 수면 위에 부상되는 부력체(22)에 의해 연결와이어(11)에 연결된 조난자를 수색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는
각종 해상 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의식이 있는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바닥판(15);
바닥판(15) 위에 장착되고, 상면이 개방된 임의두께의 측벽(14a) 상단에 안착홈(14b)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4);
안착홈(14b)에 외주연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결합홈(22e)이 외주연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임의형태를 갖는 복수의 부력체(22), 안착홈(14b)으로부터 부력체(22)가 이탈될 경우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도록 형성됨;
안착홈(14b)에 안착된 부력체(22)의 결합홈(22e)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개부(100b)가 측벽(100a)에 형성되는 중간케이스(100);
내부케이스(14) 및 중간케이스(100)를 수용하도록 바닥판(15)에 장착되고, 부력체(22) 외주연 일측을 지지하는 통과공(16)이 측벽(19a)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외부케이스(19);
중간케이스(100)에 장착되고, 조난자가 손잡이(101)를 잡아당길 경우, 부력체(22)의 로킹을 해제모드로 전환시켜 중간케이스(100) 및 외부케이스(19)로부터 부력체(22)를 분리시키기 위한 로킹수단;
부력체(22) 내부에 형성되는 릴(10)에 양단이 권선되고, 부력체(22) 일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안착홈(14b)에 대향되게 안착되는 부력체(22a,22b)(22c,22d)를 이음연결하는 임의길이를 갖는 연결와이어(11);
바닥판(15)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23)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24);을 포함하되,
조난자에 의해 부력체(22) 로킹을 해제시켜 부력체(22)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을 통해 이탈될 경우 부력체(22)를 연결와이어(11)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력체(22)가 안착홈(14b)으로부터 이탈되어 외부케이스(19)로부터 분리될 경우,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에 부력체(22)가 걸려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력체(22) 외주연 타측은 통과공(16) 내경보다 큰 외경의 환형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및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킹수단은
중간케이스(100)의 상판(100c)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로킹유지편(102)과,
로킹유지편(102) 일단에 접하여 상판(100c)에 관통형성되는 로킹해제홈(103)과,
바닥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로커(104)가 로킹유지편(102)에 안착되어 부력체(22)의 결합홈(22e)에 중간케이스(100)의 절개부(100b)가 안착되어 부력체(22) 로킹을 유지하는 로킹모드와, 로커(104)가 로킹유지편(102)으로부터 로킹해제홈(103)으로 이동시 부력체(22) 로킹을 해제시키는 로킹해제모드를 갖는 로킹해지구(105)와,
로킹해지구(105)에 끈(107)을 통해 외부케이스(19) 외부로 연결되고, 조난자에 의해 잡아당길 경우 부력체를 로킹모드에서 로킹해제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손잡이(101)와,
바닥판(15)과 중간케이스(100) 사이에 장착되고, 로커(104)가 로킹해제홈(103)으로 이동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간케이스(100)의 절개부(100b)를 부력체(22)의 결합홈(22e)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탄성부재(106)(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력체(22)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홈(22f)에 장착되고, 중간케이스(100)의 절개부(100b)가 부력체(22)의 결합홈(22e)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부력체(22)에 내설되는 배터리(37)의 전원을 LED(25) 및 통신모듈(38)에 전원케이블(108)을 통해 인가시켜 온(ON) 작동시키도록 접지모드로 전환시키는 통전부재(1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의하면,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운항중인 선박 침몰 등으로 인한 선박 사고, 또는 조류 등으로 인한 수상 사고가 발생될 경우, 의식이 있는 조난자에 의해 손잡이(101)를 외부케이스(1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부력체(22)의 로킹수단을 해제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a에서와 같이, 전술한 바닥판(15)과 중간케이스(100)의 상판(100c)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100c)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판(100c)의 로킹유지편(102)에 로커(104)가 안착된 로킹해지구(105) 상면이 외부케이스(19)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부력체(22)는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에 지지되고 내부케이스(14) 및 중간케이스(100)에 로킹된 로킹모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손잡이(101)를 의식이 있는 조난자가 잡아당길 경우, 손잡이(1401)에 끈(107)을 통해 연결된 로킹해지구(105)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로커(104)를 중간케이스(100)의 상판(101c)에 형성된 로킹유지편(102)으로부터 로킹해제홈(103)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로킹해지구(105)의 위치이동시 바닥판(15)과 상판(100c)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판(101c)을 들어올림에 따라, 부력체(22;22a.22b.22c,22d)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22e)으로부터 중간케이스(100)의 절개부(100b) 상단이 이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체(22)의 결합홈(22e)으로부터 중간케이스(100)의 절개부(100b)가 이탈될 경우, 바닥판(15)에 장착된 내부케이스(14)의 안착홈(14b)에 일측 외주연이 안착된 부력체(22)가 부력에 의해 안착홈(14b)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부력체(22)의 로킹수단이 완전하게 해제된다.
따라서, 부력체(22)의 로킹수단이 해제됨에 따라 외부케이스(19)의 측벽(19a)에 대향되게 형성된 통과공(16)에 안착된 부력체(22a,22b)(22c,22d)가 각각 이탈된다.
이때, 전술한 부력체(22)의 로킹수단이 해제되어 외부케이스(19)로부터 부력체(22)가 이탈될 경우, 부력체(22) 외주연 타측의 외경이 통과공(16) 내경보다 큰 환형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력체(22)가 외부케이스(19)의 통과공(16)에 걸려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즉, 부력체(22)가 조류 등으로 인해 통과공(16)을 통해 외부케이스(19)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부력체(22a,22b)(22c,22d)는 이들의 내부에 형성된 릴(10)에 풀리도록 권선되고, 일단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연결된 연결와이어(1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위로 부상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부력체(22;22a,22b,22c,22d)가 이들의 로킹수단이 해제되어 중간케이스(100)로부터 이탈될 경우, 부력체(22) 외주연 타측에 형성된 통전부재(109)에 의해 부력체(22)에 내설된 배터리(37)의 전원을 LED(25)와 통신모듈(38)에 전원케이블(108)을 통해 인가시켜 온(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부력체(22;22a,22b,22c,22d)의 로킹모드가 유지될 경우(해상 사고가 발생되지않은 일상적인 경우를 말함), 접지 해지모드를 유지하는 통전부재(109)에 의해 배터리(37)로부터 LED(25)와 통신모듈(38)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OFF)하게 되고(즉, 배터리(37) 방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 각종 해상 사고로 인한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부력체(22;22a,22b,22c,22d)의 로킹수단이 해제되어 통전부재(109)가 접지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배터리(37)의 전원을 LED(25)와 통신모듈(38)에 인가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해상에서의 어두운 기상조건,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 등이 외측면에 도포되고,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로형성되는 부력체(22;22a,22b,22c,22d)와, 바닥판(15)에 형성되고 외부케이스(19)를 조난자의 벨트(2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립(24)과, 배터리(37)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LED(25) 및 통신모듈(38)과, 해상사고 지역에 인접한 관제탑 등에 조난자 위치를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38) 등을 포함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릴(reel)
11; 연결와이어
12; 관통공
13; 돌조
14; 내부케이스
15; 바닥판
16; 통과공
17; 측벽
18; 수납공간부
19; 외부케이스
20; 고정핀
21; 부력구
22; 부력체
23; 벨트
24; 클립(clip)
25; LED
26; 로킹해제용 비상버튼
27; 측벽
28; 절개부
29; 관통공
30; 승강체
31; 제1탄성부재
32; 보스(boss)
33; 제2탄성부재
34; PCB
35; 제1부력공간
36; 제2부력공간
37; 배터리
38; 통신모듈
39; 수용성 접착제
40; 제3부력공간
100; 중간케이스
101; 손잡이
102; 로킹유지편
103; 로킹해제홈
104; 로커
105; 로킹해지구
106; 탄성부재
107; 끈
108; 전원케이블
109; 통전부재

Claims (9)

  1.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적용되고,
    릴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릴에 일단이 감긴 임의길이의 연결와이어 타단이 관통공을 통과하는 돌조가 외측면에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면에 상기 내부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고, 상기 돌조와 대향되게 통과공이 측벽에 형성되며,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돌조의 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시 이음부위의 수용성 접착제가 용해되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부력구를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핀에 연결하되,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상기 부력구가 분리될 경우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되어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력체;
    상기 바닥판 또는 외부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조난자가 물에 빠져 상기 부력체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외측면에 도포되는 인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의 도포층, 또는 상기 부력체 외측면에 형성되는 야간 반사판 또는 형광판에 의해 상기 부력체를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상기 부력체가 순차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의 상기 고정핀과 부력구를 이음연결하는 수용성접착제를 증감시킴에 따라, 상기 부력체 이탈시 상기 부력구에 각각 수용되어 점등 또는 점멸되는 LED의 전체 동작시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조난자가 의식을 유지할 경우, 조난자 조작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상기 부력체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승강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로킹해제용 비상버튼;
    상기 로킹해제용 비상버튼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조에 결합되도록 측벽에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 상부로 연통되고 상기 로킹해제용 비상버튼 가압으로 하강시 상기 고정핀 외주연의 걸림턱이 이탈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승강체;
    상기 로킹해제용 비상버튼을 지지하여 가압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판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보스;
    상기 걸림턱과 내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을 상기 승강체의 측벽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력체가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 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부력구 내부를 PCB에 의해 제1,2부력공간으로 분할형성하되, 상기 제1부력공간에 위치하는 PCB에 점멸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할 경우 점등되는 LED와, 상기 제2부력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제2부력공간 내에 배치되어 해상사고 지역에 인접한 관제탑 또는 중앙관제센터에 조난자 위치를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6. 해상사고로 인해 물에 빠진 조난자 위치를 찾기 위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적용되고,
    바닥판;
    상기 바닥판 위에 장착되고, 상면이 개방된 임의두께의 측벽 상단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안착홈에 외주연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결합홈이 외주연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임의형태를 갖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부력체가 이탈될 경우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임의형태를 갖도록 형성됨;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부력체의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개부가 측벽에 형성되는 중간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 및 중간케이스를 수용하도록 상기 바닥판에 장착되고, 상기 부력체 외주연 일측을 지지하는 통과공이 측벽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중간케이스에 장착되고,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부력체의 로킹을 해제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중간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로부터 상기 부력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로킹수단;
    상기 부력체 내부에 형성되는 릴에 양단이 권선되고, 상기 부력체 일단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착홈에 대향되게 안착되는 상기 부력체를 이음연결하는 임의길이를 갖는 연결와이어;
    상기 바닥판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조난자의 벨트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립;을 포함하되,
    조난자에 의해 상기 부력체 로킹을 해제시켜 상기 부력체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을 통해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를 상기 연결와이어에 의해 조난자로부터 임의거리를 유지하여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중간케이스 상판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로킹유지편과,
    상기 로킹유지편 일단에 접하여 상기 상판에 관통형성되는 로킹해제홈과,
    바닥면에 이격되게 형성된 로커가 상기 로킹유지편에 안착되어 상기 부력체의 결합홈에 상기 중간케이스의 절개부가 안착되어 상기 부력체 로킹을 유지하는 로킹모드와, 상기 로커가 상기 로킹유지편으로부터 상기 로킹해제홈으로 이동시 상기 부력체 로킹을 해제시키는 로킹해제모드를 갖는 로킹해지구와,
    상기 로킹해지구에 끈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 외부로 연결되고, 조난자에 의해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부력체를 로킹모드에서 로킹해제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바닥판과 상기 중간케이스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로킹해제홈으로 이동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중간케이스의 절개부를 상기 부력체의 결합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가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과공에 상기 부력체가 걸려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체 외주연 타측은 상기 통과공 내경보다 큰 외경의 환형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외주연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중간케이스의 절개부가 상기 부력체의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될 경우, 상기 부력체에 내설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LED 및 통신모듈에 전원케이블을 통해 인가시켜 온(ON) 작동시키도록 접지모드로 전환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0210028072A 2020-03-03 2021-03-03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537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86 2020-03-03
KR20200026486 202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07A KR20210111707A (ko) 2021-09-13
KR102537636B1 true KR102537636B1 (ko) 2023-05-30

Family

ID=7779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72A KR102537636B1 (ko) 2020-03-03 2021-03-03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43B1 (ko) * 2010-04-21 2013-04-26 이장수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KR20170086284A (ko) * 2016-01-18 2017-07-26 박철현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101800181B1 (ko) * 2016-03-28 2017-11-22 오용우 조난 신호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707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0095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水下救援方法及其系统
DK2397401T3 (en) Dummy with a positioning system to help in rescue operations of persons and ships at sea
CN102971211B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CN206476070U (zh) 一种智能水上应急救生装置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US5520486A (en) Diver safety apparatus and method
CN201006757Y (zh) 舰船失事定位浮标
US4281427A (en) Warning and signalling device, especially for maritime purposes
EP3590819B1 (en)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KR102537636B1 (ko)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US4498878A (en) Safety diving backpack
KR20170003144U (ko) 위성발신 장치기반 수압식 보조 부양체
CN1327932A (zh) 球状水上安全救生舱
CN102963510A (zh) 海底作业信号发射装置
KR101035834B1 (ko)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CN207817213U (zh) 一种带led强光指示的ais示位标
CN106892069A (zh) 一种新型救生圈
EP0581340A1 (en) Rescue device for bodies, like human beings or cargo, fallen into the sea
CN110203364B (zh) 海底高压管充气自救系统
CN201154764Y (zh) 子母船
CN112644666A (zh) 船用灯塔形半潜救生舱及设计与制作技术
KR200310960Y1 (ko) 조난용 구명장치
KR20230021930A (ko)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