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96B1 -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 Google Patents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596B1
KR101773596B1 KR1020160055708A KR20160055708A KR101773596B1 KR 101773596 B1 KR101773596 B1 KR 101773596B1 KR 1020160055708 A KR1020160055708 A KR 1020160055708A KR 20160055708 A KR20160055708 A KR 20160055708A KR 101773596 B1 KR101773596 B1 KR 10177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emergency
buoyant
buoya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16005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96B1/ko
Priority to US16/092,024 priority patent/US106401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4532 priority patent/WO2017191938A1/ko
Priority to CN201790000742.1U priority patent/CN209080117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2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63B2704/00
    • B63B2707/00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 또는 부력상실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에서 하부 선체와 하부 선체의 저면에 일정 크기의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선박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선박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침몰 사고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명구조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SHIP WITH SYSTEM FOR PREVENTING SINKING AND CAPSIZAL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 또는 부력상실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에서 하부 선체와 하부 선체의 저면에 일정 크기의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선박이 물 위에 떠 있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선박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완전히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침몰 사고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명구조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 내에 기계실, 펌프실, 객실 및 창고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맞게 실내공간이 구획되도록 설계되고 시설된다. 이러한 선박은 외부의 영향으로 인한 침몰에 대비하여야 하는데, 특히 사람들이 많이 탑승하게 되는 대형 여객선에 해당하는 선박은 소규모 구명정이나 안전장구 등을 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형 여객선은 커다란 규모의 유람선으로, 주로 큰 강이나 해상에서 운항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승객들을 위해 객실 외에도 레스토랑, 수영장, 체육관, 사교장 등과 같은 수많은 공용구역을 갖추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여객선의 객실은 침대, 간편 옷장 및 TV 등 가전제품이 비치되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는 선체의 좌우측 및 갑판 상에 층층이 객실부 내에 등급에 따라 칸칸이 나누어져 승객이 묵을 숙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이나 해상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운행하는 여객선은 기관의 고장 또는 심각한 기후 상황에 의해 충돌 또는 좌초 등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의의 사고에 대해 쉽게 대처하지 못하여 여객선이 침몰하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어느 한 쪽 선체에 해수가 유입되어 침수될 경우, 침수되는 비평형 침수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선박이 경미한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침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대비하여 최종 비상시에는 여객선에 탑승한 승객 등이 모두 나누어 탈출할 수 있는 정도로 구명보트가 마련되고 개인적으로는 구명조끼를 착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명조끼가 곳곳에 다수 비치되어 있어 위급 상황시 여객선을 탈출하여 강 혹은 해상에 뛰어 들더라도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도 차가운 바닷물의 온도로 인한 저체온증으로 오래 견디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2014년 4월 국내에서 발생한 여객선 침몰사고와 같이 여객선이 침몰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급격히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경우, 객실뿐만 아니라 복도 또한 동시에 기울어지기 때문에 피난을 위한 빠른 이동이 어렵게 되며 침수되는 물이 차오르게 되면서 탈출할 수 있는 경로가 차단되어 갑판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되어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배에 물이 차오르게 되면, 1차적으로 배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배가 완전히 180도 뒤집혀 지는 전복현상이 일어나며, 이에 선박이 물속으로 침몰하면서 인명구조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10-2014-0062986호 국내등록특허 10-0980562호 국내등록특허 10-11227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침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 또는 부력상실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에서도 선박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무게중심을 잃어 완전히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침수가 발생하더라도 배의 침몰이 방지되고 물 위에 떠 있는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됨으로써 선박 침몰 사고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명구조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하부 선체의 갑판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난간에 수평의 상태로 노가 다수로 장착되되, 상기 노의 일측은 난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은 인접된 다른 난간에서 탈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비상시에 노를 저어 선박을 이동시키거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박의 상측에 설치된 거치대에 락킹되어 있다가 비상시 락킹이 해제되면 하부 선체에 형성된 수직이동통로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하부 선체 및 상기 하부 선체의 저면에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 선체의 하측으로 선박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중심유지수단이 길게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부력수단은, 평상시 상기 거치대에 락킹되고 비상시 상기 하부 선체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단에 플랜지부를 갖는 상부 진공관 및 상기 상부 진공관에 비해 소직경으로 된 하부 진공관을 포함하는 제1 부력체; 및 상기 하부 진공관의 둘레에 접힌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시 팽창되어 하부 선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부력체;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은, 상단이 상기 하부 진공관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안테나형으로 펼쳐지면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디; 상기 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물유입구; 및 최하부 바디의 하단에 형성되며, 마개가 구비된 물배출구를 가지는 지지판; 을 포함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틸팅(tilting)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및 제2 지지편이 되는 제1 및 제2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상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진공관의 중앙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최하부 바디의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감개에 연결되는 바디접이용 와이어; 및 상기 바디접이용 와이어의 하부에 상기 물배출구의 마개와 연결되게 설치된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최하부 바디는 둘레 면의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하단 구멍에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일단이 상기 하단 구멍의 상단에 탄지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수직이동통로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하단 구멍을 개방하며, 상기 하부 선체의 저면에는 상기 도어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열림억제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 선체 위에 배치되는 상부 선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선체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3 부력체; 및 상기 제3 부력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객실 내부로 공기주입부가 연장 형성되며, 비상시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4 부력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부력체의 팽창시 부력공간의 확장을 위해 상기 제4 부력체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면이 일정간격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 선체의 갑판 상부면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에 수평방향으로 룸(loom)과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노가 장착되며, 상기 노의 룸의 상측 부분은 하나의 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고, 상기 노의 룸의 하측 부분은 상기 난간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난간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룸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룸의 중앙부분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물주입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룸의 하측부분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침수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 또는 부력상실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에서 부력수단이 하부 선체 및 하부 선체의 저면에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선박이 물 위에 떠있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선박중심유지수단이 선박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완전히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선박 침몰 사고 등과 같은 비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인명구조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부 선체에 설치된 제3 및 제4 부력체가 팽창됨으로써 상부 선체의 부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객실부에 있는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부 선체에 다수의 노를 장착함으로써, 비상시 초기에 노를 저어 선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선체가 전복되어가는 상황에서는 물주입구멍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물이 들어가 무거워진 노에 의해 선박의 무게중심이 안정화되어 선체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복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작동된 후의 선박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b)는 도 2에서 거치대 및 제1 부력체의 결합/분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도어가 더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제2 부력체가 작동된 후의 선박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노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선박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1)은, 크게 상부 선체(4)와 하부 선체(3)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선체(4)는 내부에 객실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사방으로 분산되어 각 모서리 부근 양측에 복수의 거치대(2)가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거치대(2)를 선박(1) 둘레에 분산시켜 설치하는 것은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작동될 때 선박의 무게 중심이나 부력이 한쪽으로 쏠려 선박(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각각의 거치대(2)는 상부 선체(4)와의 사이에 벽체가 설치되어 거치대(2) 하부로 벽체 내측에 평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부(6)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선박의 크기에 따라, 예컨대 소형어선이나 돛단배 등 선박이 커버에 해당하는 상부 선체를 갖지 않고 하부 선체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거치대가 선박 선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지지대를 통해 하부 선체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예컨대 'ㄱ'자 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의 수직 지지대는 하부 선체 테두리로부터 갑판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하부 선체 테두리에 설치할 수도 있다. 만약, 수직 지지대가 하부 선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경우, 후술하는 수직이동통로를 가지는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 이동통로부가 하부 선체 하측 둘레에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은 대형선박 위주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 예의 하부 선체(3)는 물속과 연통되는 하단 구멍(7a)이 구비된 수직이동통로(7)를 가진다. 이때, 수직이동통로(7)는 거치대(2)의 하부에서 공간부(6)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는, 평상시 상부 선체(4)의 거치대(2) 아래에 락킹되어 고정되어 있다가 비상시 락킹이 해제되면 하부 선체(3)에 형성된 수직이동통로(7)를 따라 하부 선체(3) 쪽으로 하강되어, 하부 선체(3) 및 하부 선체(3)의 저면에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하부 선체(3)의 하측으로 선박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중심유지수단을 길게 연장하여, 비상 사고시 선박의 침몰 및 전복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수단은 제1 부력체(10)와 제2 부력체(20)를 포함한다. 제1 부력체(10)는 상부 진공관(12)과 하부 진공관(13)을 포함하며, 상부 진공관(12)의 상단에 플랜지부(11)가 형성되어 평상시 상부 선체(4)의 거치대(2) 아래에 플랜지부(11)가 얹혀진 상태로 락킹되어 상부 선체(4)의 공간부(6) 내에 배치된다. 이후, 비상시 제1 부력체(10)가 하강하며 상부 진공관(12)의 플랜지부(11)가 하부 선체(3)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고, 제1 부력체(10)가 하부 선체(3)의 수직이동통로(7) 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 선체(3)의 상단에 걸림고리(72)가 구비되어 하부 선체(3) 위에 지지된 플랜지부(11)를 감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진공관(13)은 상부 진공관(12)에 비해 소직경으로 되어 둘레 면에 제2 부력체(20)가 설치된다. 제2 부력체(20)는 에어백과 같은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상시 하부 진공관(13)의 둘레 면에 접힌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시 공기주입장치(73)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면 하부 선체(3)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비상해제시에는 공기주입장치(73)를 이용하여 제2 부력체(20)의 공기를 빼내어 원래대로 접을 수 있다. 도면부호 74는 필요시 제1 부력체(1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1 부력체(10)로부터 공기를 빼내기 위한 장치이다.
즉, 비상시에는 이렇게 제1 및 제2 부력체(10, 20)가 하부 선체(3)의 내부와 하부 선체(3)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선박(1)에 일정 수준의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침수가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b)를 참조하면, 상부 선체(4)의 거치대(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틸팅(tilting) 가능하게 제1 및 제2 회전부재(81)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회전부재(81)는 하단에 상부 진공관(12)의 플랜지부(11)가 얹혀져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게 제1 및 제2 지지편(81a)이 형성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회전부(81)의 상부는 고정부(82a)와 스프링(83)에 의해 탄지되어 평상시 제1 및 제2 지지편(81a)이 모아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에 제1 부력체(10)의 상부 진공관(12)의 플랜지부(11)가 제1 및 제2 지지편(81a) 상에 얹혀져 상기 부력수단이 상부 선체(4)와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비상시에는 제1 및 제2 회전부재(81)의 제1 및 제2 지지편(81a)이 벌어지도록 작동되어 앞서 설명한 락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부력수단의 제1 부력체(10)가 수직이동통로(7)를 따라 하부 선체(3) 쪽으로 하강되는 것이다. 이러한 락킹의 해제는 선박의 충격이나 침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선원이나 승객 중 누군가가 수동으로 작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작동에 의해 락킹바디(2a) 내부에 장착된 당김쇠(미도시)가 좌우의 스프링(83)을 잡아당김으로써 제1 및 제2 회전부재(81)가 좌우로 벌어져 락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은, 비상시 상단이 하부 진공관(13)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안테나형으로 연장되며, 소형어선과 돛단배 또는 대형선박 등 선박의 크기에 따라 1개의 바디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선박중심유지수단이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1 바디(31)는, 상단에 하부 진공관(13)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16)가 걸려 지지되도록 제1 걸림턱(36)이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로서 둘레에 제1 플랜지(35)가 형성된다. 제1 바디(31)의 외주면에는 평상시 그 외주면을 감싸도록 겹쳐져 있는 제2 바디(41)가 예기치 않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바디(4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제2 바디(41)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고정돌기(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바디(31)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물유입구(34)가 형성된다.
제2 바디(41)는, 상단에 제1 플랜지(35)가 걸려 지지되도록 제2 걸림턱(46)이 형성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로서 둘레에 제2 플랜지(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바디(41)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물유입구(44)가 형성된다.
제3 바디(51)는 상단에 제2 플랜지(45)가 걸려 지지되도록 제3 걸림턱(56)이 형성되고, 저면에 지지판(55)이 구비된다. 이때, 지지판(55)은 후술하는 바디접이용 와이어를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3 바디(51)의 하단과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바디(51)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물유입구(54)가 형성된다. 이때, 지지판(55)에는 물배출구(57)가 형성되며, 물배출구(57)는 일반적으로 마개(65)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3 바디(50)는 물 수용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최대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도록 둘레 면의 일부가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51a)와 하부(51b)는 제2 부력체(20) 및 마개(65)가 구비된 물배출구(57)를 보호해야 하므로 평평한 관 형태로 형성하고, 상부(51a)와 하부(51b)를 연결하는 중간부(51c)를 주름지게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선박중심유지수단은, 평상시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가 차례대로 포개어져 접힌 상태로 있다가, 비상시 수직이동통로(7)를 통해 선박(1) 밖으로 인출되면, 제2 및 제3 바디(41, 51)가 안테나형으로 길게 펴지면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물유입구(34, 44, 54)를 통해 물이 내부로 유입되어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에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가 내부에 채워진 물의 무게에 의해 폭풍이나 거센 파도에도 선박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좌우로 심하게 요동치는 현상 및 심한 경우 배가 뒤집히는 전복 현상을 방지하는 지주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 해제시에는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가 다시 원래대로 접히게 되는데, 이때 제3 바디(51)의 물배출구(57)의 마개(65)를 제거하여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 내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를 원래대로 포개어 접을 수 있다.
비상 해제 후 제1 내지 제3 바디(31, 41, 51)를 다시 원래대로 접기 위해, 밧줄 또는 철선으로 된 바디접이용 와이어(63)가 더 포함된다. 바디접이용 와이어(63)는 상부 및 하부 진공관(12, 13)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4)을 수직방향으로 통과하여, 하단부(63a)는 제3 바디(51)의 지지판(55)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부 선체(4)의 거치대(2)에 구비된 감개(61)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62는 바디접이용 와이어(63)의 방향을 감개(62) 쪽으로 전환 시키는 도르래이다.
또한, 바디접이용 와이어(63)의 하부에 끝단이 마개(65)와 결합된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64)가 더 연결되어, 바디접이용 와이어(63)를 당길 때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64)도 함께 당겨져 물배출구(57)에 있는 마개(65)를 제거함으로써 물배출구(57)를 개방하여 물수용부의 물이 먼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후 바디를 접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바디접이용 와이어(63)의 하단부(63a)는 느슨하게 하고,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64)는 팽팽하게 하여 바디접이용 와이어(63)를 당겼을 때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64)가 먼저 당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65)는 물배출구(57)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가 아니라 필요시 물배출구(57)의 일측에 힌지(65a) 결합되어 한쪽으로 틸팅 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비상시 거치대 상단 제1부력체와 함께 전부 하부 갑판 저면에 내려가는 것이 아니고, 비상상황 정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와이어를 조정하여 제일 하단 바디 3단과 이어서 바디 2단, 그리고 바디1단이 바다 속으로 내려가면서 더 상황이 악화되면 상단 거치대 제1부력체가 내려가게끔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선박의 크기에 따라, 예컨대 소형어선이나 돛단배 등 선박이 커버를 갖지 않고 하부 선체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구조를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수직이동통로(7)에서 하단 구멍(7a)에는 도어(9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92)는, 일단이 제2 이동통로(7)의 구멍의 상단에 스프링(91a)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힌지(91) 결합되고, 타단에는 고정편(93)이 힌지(93a) 결합된다. 고정편(93)은 수직이동통로(7)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7a)에 끼움 결합되어 수직이동통로(7)의 구멍(7a)을 일시적으로 막는다. 만약, 수직이동통로(7)의 구멍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으면, 파도로 인해 바닷물이 수직이동통로(7)로 유입되면서 파손의 우려가 있으나, 도어(92)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이 하강하여 제2 이동통로(7) 밖으로 인출되면 도어(92)가 힌지(91)를 축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제2 이동통로(7)의 구멍을 개방한다. 이때, 하부 선체(3)의 저면에는 열림억제턱(94)이 형성되어 도어(92)가 과도한 각도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열린 도어(92)는 펼쳐진 제2 부력체(20)의 상단부를 받쳐 주어 제2 부력체(20)를 보호하면서 제2 부력체(20)가 지나치게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1)은 상부 선체(4)의 객실부에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침몰사고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상부 선체(4)에도 일정량의 부력을 제공하며, 선박(1)이 일정 중량을 초과하기 전까지 선박(1) 전체의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객실부는 한 층에 다수로 이루어지되, 단층 또는 다수 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객실부의 각층 하부에는 여러 개로 분리된 부력공간(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력공간(300)은 상기 객실부의 하부마다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부력공간(300)에는 제3 부력체(310) 및 제4 부력체(320)가 각각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부력체(310)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부력공간(300)의 상측에 고정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제3 부력체(310)가 부력공간(300)의 상측에 고정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제3 부력체(310)는 상기 객실부의 균형을 위해 부력공간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적어도 1개 또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표면이 일정강도 이상을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객실부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제3 부력체(310) 및 다수의 제4 부력체(320)의 부력에 의해 선박이 일정 중량을 초과하기 전까지 선박(1) 전체의 부력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4 부력체(320)는 고무보트 또는 일반 튜브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더 많은 공기가 충진되도록 주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다수의 제4 부력체(320)마다 각각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330)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주입부(330)는 부력공간(300)에서 상기 객실부 내부 공간까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제4 부력체(320)는 제3 부력체(310)의 하부에 형성되고, 객실 내부로 공기주입부(330)가 연장 형성되며, 비상시 공기주입장치(500)를 이용하여 공기주입부(330)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공기주입장치(500)와 공기주입부(330)는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공기주입장치(500)와 공기주입부(330) 사이에는 각각 밸브(5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동시에 밸브(510)가 개방되어 공기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공기주입장치(500)는 자전거 펌프, 콤프레샤, 수동혈압 측정 기구에 쓰이는 가압 펌핑장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4 부력체(320)는 제3 부력체(310)와 마찬가지로 상부 선체(4)의 균형을 위해 객실부의 하부의 양측에 다수로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느 하나의 부력체가 파손되더라도 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부(330)는 부력공간(300)과 객실부 내부 벽면 양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부력체(310)는 공기주입부(330)와 접하여 부력공간(300)의 양측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1층 객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공간(300)은 비상시 수면에 닿아 상부선체(4)의 부력을 유지시켜주는 곳으로 2층 또는 그 이상의 객실부 하부에 형성된 부력공간(30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력체(310)와 제4 부력체(320) 역시 2층 또는 그 이상의 객실부 하부의 부력공간(300)에 형성된 제3 부력체(310)와 제4 부력체(32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객실부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공간(300)은 제4 부력체(320)의 팽창 시 부력공간(300)의 확장을 위해 제4 부력체(320)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면(130)은 터지게 되거나, 일정간격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평면(130)이 터지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평면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수평면(130)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수평면은 벽면에 고정된 레일(미도시)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레일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수평면(130)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부력공간(300)을 확장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제4 부력체(320)에 공기가 충진되기 전과 후 항상 제4 부력체(32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1층 객실부 하부에 위치된 부력공간(300)의 수평면(130)은 제4 부력체(320)의 팽창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되, 제4 부력체(320)가 팽창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제4 부력체(32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2층 객실부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공간(300)은 2층 객실부의 바닥면과 1층 객실부의 천정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4 부력체(320)의 팽창시 1층 객실부의 천정면에 해당하는 수평면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거나 터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비상시 제4 부력체(320)가 팽창하고 아래층 천정면에 해당하는 수평면(130)이 하부로 이동하거나 터지게 됨에 따라 비상시에는 아래층에 위치된 객실부의 내부의 상하 공간이 좁아지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2층 객실부뿐만 아니라 3층 객실부, 4층 객실부 또는 그 이상의 객실부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렇게, 각 객실부마다 부력체를 두는 이유는 선박(1)이 거꾸로 뒤집히는 것과 침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선박(1)은 운항 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선박(1)이 침몰될 위기에 처하여 하부 선체(3)의 내부로 물이 침수되면 제3 부력체(310)에 또는 제3 부력체(310)와 제4 부력체(320)에 충진된 일정량의 공기에 의해 선박의 무게가 일정 중량을 초과하기 전 까지 선박 전체의 부력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주입장치(500)가 공기주입부(33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제3 부력체(310) 하부에 위치된 제4 부력체(320)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제4 부력체(320)가 팽창하게 되어 상부 선체(4)가 안전하게 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선체(4) 중 객실부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갑판에는 상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난간(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난간(160)에는 룸(710; loom)과 블레이드부(720)로 이루어지는 노(700)가 수평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노(700)의 룸(710)의 일측인 상측 부분은 하나의 난간(160)에 구비된 회전고정부(17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노(700)의 룸(710)의 타측인 하측 부분은 난간(160)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난간(160)에서 착탈부(18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노(700)의 룸(7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룸(710)의 중앙부분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물주입구멍(730)이 다수 형성되고, 룸(710)의 하측부분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멍(7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난간(160)에 노(700)를 장착함에 따라, 비상상황에서 착탈부(180)에서 노(700)를 분리하고 저어 선박(1)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 심하게 기울어져 상부 선체(4)의 일부도 물에 가라앉은 경우, 상부 선체(4)는 물 주입구멍(730)에 의해 노(700)의 룸(710)의 내부로 물(W)이 들어가게 되고, 물이 들어감에 따라 물의 무게에 의해 블레이드부(72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노(700)가 세워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룸(710)에 형성된 물배출구멍(750)으로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면서 물주입구멍(730)으로 지속적으로 물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노(700)는 내부 공간에 들어간 물에 의해 일정 무게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상부 선체(4)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일 방향으로 거꾸로 뒤집히거나 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선체(4)의 천장에는 부상의자연결고리(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천장에 연결된 와이어와 같은 형태로서 여기에는 의자와 같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설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로서 비상시에 선체가 흔들려도 부상의자연결고리(400)에 연결된 의자가 그네와 같은 원리에 의해 최대한 수평을 유지하여 여기에 앉은 사람이 중심을 유지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선박
2: 거치대
3: 하부선체
4: 상부 선체
6: 공간부
7: 수직이동통로
10: 제1 부력체
11: 플랜지부
12: 상부 진공관
13: 하부 진공관
20: 제2 부력체
31: 제1 바디
41: 제2 바디
51: 제3 바디
34, 44, 54: 물유입구멍
57: 물배출구
61: 감개
62: 도르래
63: 바디접이용 와이어
63a: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
65, 65': 마개
73: 공기주입장치
81: 회전부재
92: 도어
310, 320: 제3 및 제4 부력체
400: 부상의자연결고리장치
700: 노

Claims (5)

  1. 선박의 상측에 설치된 거치대에 락킹되어 있다가 비상시 락킹이 해제되면 하부 선체에 형성된 수직이동통로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하부 선체 및 상기 하부 선체의 저면에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하부 선체의 하측으로 선박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중심유지수단이 길게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부력수단은, 평상시 상기 거치대에 락킹되고 비상시 상기 하부 선체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단에 플랜지부를 갖는 상부 진공관 및 상기 상부 진공관에 비해 소직경으로 된 하부 진공관을 포함하는 제1 부력체; 및 상기 하부 진공관의 둘레에 접힌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시 팽창되어 하부 선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 부력체;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은, 상단이 상기 하부 진공관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로 하측을 향해 안테나형으로 펼쳐지면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디; 상기 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물유입구; 및 최하부 바디의 하단에 형성되며, 마개가 구비된 물배출구를 가지는 지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틸팅(tilting)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플랜지부를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 및 제2 지지편이 되는 제1 및 제2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상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진공관의 중앙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최하부 바디의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감개에 연결되는 바디접이용 와이어; 및 상기 바디접이용 와이어의 하부에 상기 물배출구의 마개와 연결되게 설치된 물배출구 개방용 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바디는 둘레 면의 일부가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하단 구멍에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일단이 상기 하단 구멍의 상단에 탄지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선박중심유지수단이 하강하여 상기 수직이동통로 밖으로 인출될 때 상기 도어가 상기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직이동통로의 하단 구멍을 개방하며,
    상기 하부 선체의 저면에는 상기 도어의 열리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열림억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체 위에 배치되는 상부 선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선체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3 부력체; 및 상기 제3 부력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객실 내부로 공기주입부가 연장 형성되며, 비상시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주입부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4 부력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부력체의 팽창시 부력공간의 확장을 위해 상기 제4 부력체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면이 일정간격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선체의 갑판 상부면 외측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난간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에 수평방향으로 룸(loom)과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노가 장착되며,
    상기 노의 룸의 상측 부분은 하나의 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고, 상기 노의 룸의 하측 부분은 상기 난간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난간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룸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룸의 중앙부분에는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물주입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룸의 하측부분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1020160055708A 2016-05-04 2016-05-04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10177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08A KR101773596B1 (ko) 2016-05-04 2016-05-04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US16/092,024 US10640183B2 (en) 2016-05-04 2017-04-28 Ship having anti-sinking and anti-capsize device for emergency
PCT/KR2017/004532 WO2017191938A1 (ko) 2016-05-04 2017-04-28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CN201790000742.1U CN209080117U (zh) 2016-05-04 2017-04-28 配置有紧急时期防止沉没及倾覆装置的船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08A KR101773596B1 (ko) 2016-05-04 2016-05-04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596B1 true KR101773596B1 (ko) 2017-08-31

Family

ID=597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708A KR101773596B1 (ko) 2016-05-04 2016-05-04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40183B2 (ko)
KR (1) KR101773596B1 (ko)
CN (1) CN209080117U (ko)
WO (1) WO201719193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507B1 (ko) * 2018-07-11 2019-03-08 임종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KR102162612B1 (ko) 2019-06-26 2020-10-07 주식회사 다오요트 선박용 자가 복원 및 침몰 방지를 위한 통풍구 자동 개폐 시스템
KR20210111707A (ko) * 2020-03-03 2021-09-13 미노언 주식회사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367088B1 (ko) * 2021-03-18 2022-02-25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KR20220144043A (ko) 2021-04-19 2022-10-26 김수민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2729B (zh) * 2019-09-24 2021-05-28 浙江海洋大学 一种具有辅助稳定装置的船舶
CN111791996B (zh) * 2020-06-01 2022-04-22 江门市海盛船舶制造有限公司 一种水利船闸用船体防护结构
CN112278177B (zh) * 2020-10-19 2021-07-06 浙江海洋大学 一种具有防撞功能的高平衡性渔船
CN113682440B (zh) * 2021-08-31 2022-07-22 广东海洋大学 一种船舶应急堵漏装置
CN113650743B (zh) * 2021-09-16 2022-10-21 青岛黄海学院 一种具有多组气囊的船舶防倾覆装置及其工作方法
CN114084313B (zh) * 2021-12-24 2023-08-25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船身平衡系统的打捞救助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503A (ja) 2008-11-27 2010-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ための表示装置
WO2010143085A2 (en) 2009-05-11 2010-12-16 Rodriquez Marine System Srl Anti-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a boat
JP2015164834A (ja) 2014-02-07 2015-09-17 孝 成田 船舶転覆防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3569A (en) * 1971-05-14 1972-09-26 Louis E Chauvin Boat turn-brake
US4254730A (en) * 1979-07-11 1981-03-10 Crenshaw William S Anchoring apparatus
US6802274B2 (en) * 2001-04-10 2004-10-12 Float Rail, Inc. Inflating watercraft flotation device
KR100980562B1 (ko) 2008-04-10 2010-09-06 이재철 조난사고시 자동분리되는 구명정형 선실
JP5493159B2 (ja) * 2009-03-26 2014-05-14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浮体式海洋構造物の減揺装置
KR101122771B1 (ko) 2009-08-19 201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시 분리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
KR20110031402A (ko) 2009-09-20 2011-03-28 홍문표 수상구조물의 수평과 부력조절의 자동화장치
US20110107952A1 (en) * 2009-11-11 2011-05-12 Nicholson Iv John Wesley Anchor system
KR101259129B1 (ko) 2011-01-11 2013-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양력 핀과 이를 구비한 선박
NL2008694C2 (en) * 2012-04-24 2013-10-28 Ihc Holland Ie Bv Vessel comprising a spud.
KR20140062986A (ko) 2012-11-15 2014-05-27 주식회사 공신 부상식 선실을 구비하는 선박
US20170283017A1 (en) * 2016-04-05 2017-10-05 Raymond Blake Hogshead Deployable float safety system
US10323376B1 (en) * 2016-06-24 2019-06-18 David Nickelson Floating debris remover
US10300754B2 (en) * 2017-01-11 2019-05-28 Joseph Miller Vehicle floa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503A (ja) 2008-11-27 2010-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ための表示装置
WO2010143085A2 (en) 2009-05-11 2010-12-16 Rodriquez Marine System Srl Anti-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a boat
JP2015164834A (ja) 2014-02-07 2015-09-17 孝 成田 船舶転覆防止機構
JP5796796B2 (ja) 2014-02-07 2015-10-21 孝 成田 船舶転覆防止機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507B1 (ko) * 2018-07-11 2019-03-08 임종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KR102162612B1 (ko) 2019-06-26 2020-10-07 주식회사 다오요트 선박용 자가 복원 및 침몰 방지를 위한 통풍구 자동 개폐 시스템
KR20210111707A (ko) * 2020-03-03 2021-09-13 미노언 주식회사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537636B1 (ko) * 2020-03-03 2023-05-30 미노언 주식회사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KR102367088B1 (ko) * 2021-03-18 2022-02-25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WO2022196974A1 (ko) * 2021-03-18 2022-09-22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KR20220144043A (ko) 2021-04-19 2022-10-26 김수민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080117U (zh) 2019-07-09
US10640183B2 (en) 2020-05-05
US20190112014A1 (en) 2019-04-18
WO2017191938A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596B1 (ko)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US3883913A (en) Aquastabilized survival raft
KR0137226B1 (ko) 수상 구명기구
US7069874B2 (en) Davit-launched life raft
US4989691A (en) Inflatable boarding ladder and rescue device
CN101070088A (zh) 防倾覆水上救生设备
US4517914A (en) Inflatable reversible liferaft
KR101630737B1 (ko)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US3060465A (en) Life globe
CN103608257B (zh) 用于救生设备的气胀式设备
US3222700A (en) Inflatable liferafts
TW202020280A (zh) 避難用構造物
JP2002240782A (ja) 救命いかだ
WO1997030891A1 (en) Rescue capsule
US4267614A (en) Life-saving apparatus
US4106144A (en) Sea rescue chambe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KR20190047961A (ko)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JP5986867B2 (ja) 津波用シェルター
KR101929438B1 (ko) 구명정용 자가복원장치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FI101616B (fi) Pelastuslautta
EP1256516A2 (en) Ocean survival unit
JPH0215757Y2 (ko)
JP2006096317A (ja) 救助船や航空機からの早期発見を可能にする救命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