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88B1 - 날개 달린 보트 - Google Patents

날개 달린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088B1
KR102367088B1 KR1020210102153A KR20210102153A KR102367088B1 KR 102367088 B1 KR102367088 B1 KR 102367088B1 KR 1020210102153 A KR1020210102153 A KR 1020210102153A KR 20210102153 A KR20210102153 A KR 20210102153A KR 102367088 B1 KR102367088 B1 KR 10236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ter
air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88B1/ko
Priority to PCT/KR2022/0028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96974A1/ko
Priority to EP22771640.4A priority patent/EP4309993A1/en
Priority to US17/697,109 priority patent/US20220297800A1/en
Priority to CN202210269594.0A priority patent/CN11514023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63B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with movable hydrofoils
    • B63B1/3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with movable hydrofoils retracting 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63B1/244Safety systems, e.g. when striking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63B1/248Shape, hydrodynamic features, construction of the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39/06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the foils being mounted on outriggers or the like, e.g. antidrift hydrofoils for sail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1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hand levers, cranks, pedals, or the like, e.g. water cycles, boats propelled by boat-mounted pedal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2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addle wheels, e.g. of ster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2043/04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outboard booms supporting ballast, other than solid ballast or persons, e.g. carrying water-filled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 달린 보트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갖고, 상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이격 위치되는 부력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날개부는 상기 본체의 측부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는 부력공간과, 상기 부력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에 개폐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을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을 조절하여 상기 몸체의 부력을 가변시키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날개 달린 보트{boat with wing}
본 발명은 날개 달린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보트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날개 달린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바다나 강, 호수에서 물놀이나 낚시 등의 수상 레포츠를 즐기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되며, 기계적인 동력원을 이용하는 모터 보트나 탑승자의 힘을 이용한 무동력 보트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보트는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일정 부력을 갖는 본체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탑승공간과, 탑승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 구조물 등으로 구성되며, 침몰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사용자가 탑승 또는 착용할 수 있는 구명장치 등이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보트는 파도나 강풍 등으로 인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무게중심이 변경되어 전복될 염려가 있었고, 보트가 유동되는 경우 탑승자가 보트의 외부로 추락하거나 탑승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보트가 크게 유동되는 경우 보트를 안정적인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4657호(1999년 08월 2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모터 보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보트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날개 달린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부력을 갖고, 상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이격 위치되는 부력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날개부는 상기 본체의 측부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는 부력공간과, 상기 부력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에 개폐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을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을 조절하여 상기 몸체의 부력을 가변시키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통로와,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 출입구로 배출시키며, 하강시 상기 저장공간의 공기를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 및,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조절부재의 외부에 권취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하부가 수직하게 개방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 펌프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튜브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공기 펌프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날개부의 외부에 구비되고,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고리와, 상기 부력 날개부의 돌출된 끝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보조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조 개폐부를 개폐시켜 내부에 물을 주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본체와, 상기 전방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본체 및, 상기 전방 본체와 상기 후방 본체의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거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거치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수직 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방향으로 회동시 폭방향이 상기 거치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몸체를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시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는 상기 유입구에 결합시 상기 물 저장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분리시 상기 물 저장부를 상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부력 조절부는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고,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날개부 및, 상기 탑승공간의 양측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 레버가 구비된 추진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물놀이 튜브와, 부력을 갖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와, 상기 탑승공간에 구비되고, 안전벨트가 내부에 수납되는 안전벨트 보관함 및, 물놀이 튜브에 구비되어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놀이 튜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제1부력 공기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은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물 출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의 내부에는 신축 가능한 공기풍선이 구비되며, 상기 구명 조끼에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제2부력 공기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력 공기함은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트가 다양한 요인(강풍, 침수 등)으로 인해 중심을 잃고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선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부력 날개부를 축소된 부피로 수납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운행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어 보트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 날개부의 완충부재가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므로, 부력 날개부가 주변 구조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탑승 인원에 따라 본체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가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의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의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에 튜브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하고, 부력 날개부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본체를 절첩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본체에 연결블럭을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물놀이 튜브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구명 조끼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보조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의 부력 날개부가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의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의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서 부력 조절부에 튜브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부력 날개부를 길이조절 가능하게 적용하고, 부력 날개부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본체를 절첩 가능하게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본체에 연결블럭을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물놀이 튜브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구명 조끼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의 보조 부력 조절부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본체(100)와, 부력 날개부(200) 및, 추진력 발생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수면(10)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고, 본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11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탑승공간(11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1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120)의 내주면에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130)이 구비될 수 있고, 난간(120)의 두께 내에는 본체(100)가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부력을 형성시키기 위한 밀폐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난간(120)은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밀폐공간(121)은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 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폐공간(121)에는 부력을 형성시키기 위한 충진재(스티로폼 등)가 삽입될 수도 있다.
밀폐공간(121)은 본체(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밀폐공간(121)에는 공기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본체(100)가 순식간에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헝가리 다뉴브 강에서 7초만에 전복, 한국인 26명 사망, 양즈 강에서 2분만에 전복 420명 사망 등)
또한, 본체(100)의 상부에는 지붕 구조물(20)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지붕 구조물(20)은 탑승공간(11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 및, 커버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상부에는 지붕 구조물(20)의 지지대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설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부의 상부에는 지붕 구조물(20)의 지지대를 삽입시키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고, 지붕 구조물(20)은 설치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탑승공간(110)에는 안전벨트(미도시)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안전벨트 보관함(812)이 구비될 수 있다. 안전벨트 보관함(812)은 내부에 안전벨트가 수납될 수 있고, 안전벨트 보관함(812)의 상부에는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안전벨트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자기 파도나 강풍이 불어서 탑승자가 보트로부터 이탈되어 멀어지는 경우 생명의 위험을 초래하므로 안전벨트가 필요하며, 안전벨트를 탑승자의 손목, 허리 등에 차고 있으면, 탑승자가 보트에서 갑자기 떨어져도 보트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물놀이용 튜브 등이 뒤집혀 물 깊이가 사람키 보다 더 깊으면 당황을 하고, 물놀이용 튜브로 올라가려면 자꾸 뒤집혀 몇 번을 반복하다 보면 지쳐서 실신을 할 수 있는 반면, 부력체가 부착된 물놀이 기구와 생명 안전벨트에 손목이나 허리에 차고 있으면 전혀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망망대해에서 사람이 보트로부터 이탈되면,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손목이나 허리에 생명안전벨트를 메고 있으면 보트로부터 이탈이 되지 아니하여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6에서처럼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본체(101)와, 전방 본체(101)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본체(102)와, 전방 본체(101)의 후방측 상단과 후방 본체(102)의 전방측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우 방향으로 수평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부(140) 및, 전방 본체(101)의 후방측 하단과 후방 본체의 전방측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한 쌍의 잠금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보트를 승용차내에 싣고 다니면서 차도가 없는 오솔길 등 휴대하기에 용이하고, 승용차에 싣고 다니는 보트의 크기는 스치로폼의 크기인 가로 90cm, 세로 180cm이며, 날개의 길이 75cm 정도, 본체 13kg, 4날개 8kg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트를 7인승 승용차에 2명이 승차하고, 나머지 칸에 본 날개 달린 보트를 싣고 다니면서 아무 곳이나 발길 닿는 데로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수상레저를 즐길 수가 있다.
한 쌍의 잠금부재(150)는 사용자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잠금부재(150)를 서로 분리시켜 전방 본체(101)와 후방 본체(102)를 절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잠금부재(150)를 서로 결합시켜 전방 본체(101)와 후방 본체(102)를 전후 방향에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잠금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재(150)를 서로 분리시켜 전방 본체(101)의 상부에 후방 본체(102)를 절첩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0)의 부피가 축소되므로 차량 등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7에서처럼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본체(101)와, 전방 본체(101)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본체(102)와, 전방 본체(101)와 후방 본체(102)의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블럭(160)과, 전방 본체(101)의 후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부재(171)와, 후방 본체(102)의 전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부재(172) 및, 연결블럭(16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제1체결부재(171) 및 제2체결부재(172)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3체결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길이를 증가시킬 경우 전방 본체(101)와 후방 본체(102)의 사이 간격에 하나 이상의 연결블럭(160)을 위치시키고, 연결블럭(160)의 전단에 위치된 제3체결부재(173)와 제1체결부재(171)를 결합시키며, 연결블럭(160)의 후단에 위치된 제3체결부재(173)와 제2체결부재(17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체결부재(171)와 제2체결부재(172) 및 제3체결부재(17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블럭(160)을 다수로 적용하는 경우 연결블럭(160)들의 제3체결부재(190)를 상호 결합시켜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연결블럭(160)의 전후 방향 길이만큼 본체(10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연결블럭(160)을 분리시키거나 연결블럭(160)이 결합되는 개수를 조절하여 본체(10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부력 날개부(200)는 본체(100)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양측으로부터 대응되게 돌출되고, 수면(10)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한다. 여기서 부력 날개부(200)는 본체(100)의 전방영역에 한 쌍이 배치되고, 본체(100)의 후방영역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날개부(200)는 본체(100)의 측부로 길이를 갖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내부에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는 부력공간(220)과, 부력공간(220)을 기준으로 본체(100)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에 개폐부(231)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유입구(232)가 형성되는 물 저장부(230) 및, 물 저장부(230)를 기준으로 부력공간(220)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W)의 용량을 조절하여 몸체(210)의 부력을 가변시키는 부력 조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본체(100)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게 돌출될 수 있으나, 몸체(210)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고, 몸체(210)의 전면은 보트가 전진할 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10)의 상면에는 후술될 유입구(232)와 물 출입구(243)의 상부를 통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물받이홈(8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를 수면에 부유시키는 경우 물이 물받이홈(810)으로 유입될 수 있고, 물받이홈(810)으로 유입된 물이 후술될 유입구(232)와 물 출입구(243)을 통해 자동으로 유입될 수 있다.
부력공간(220)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으로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부력공간(220)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몸체(210)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트가 쉽게 전복되지 않는다.
물 저장부(230)는 몸체(21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232)를 통해 내부로 물(W)이 공급될 수 있고, 개폐부(231)를 개방시켜 내부에 저장된 물(W)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물 저장부(230)에 저장된 물(W)의 용량을 조절하여 몸체(210)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가라앉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유입구(232)는 물 저장부(230)로 물(W)을 투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하게 개방되어 몸체(210)의 상부로 개방될 수 있고, 유입구(232)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폐부(231)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밸브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개(233)는 유입구(232)에 결합시 물 저장부(230)를 밀폐시키고, 유입구(232)로부터 분리시 물 저장부(230)를 상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233)를 분리시킨 후 유입구(232)를 통해 물 저장부(230)로 물을 주입시키는 경우 몸체(210)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부력 날개부(200)가 수면의 상부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개폐부(231)를 개방시켜 물 저장부(23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마개(233)를 유입구(232)에 결합시키는 경우 몸체(210)가 부력을 갖게 되므로 부력 날개부(20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0)의 상부에는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 고리(814)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탑승공간(110)에는 물과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물공기 겸용 박스(8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물공기 겸용 박스(815)는 좌석(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물공기 겸용 박스(815)에는 물과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입구가 외부로 연통될 수 있으며, 입구는 마개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부력 조절부(240)는 몸체(21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에 저장되는 물(W)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절부(240)는 물 저장부(230)를 기준으로 부력공간(220)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저장공간(241)과, 저장공간(241)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210)의 상부로 노출되고, 저장공간(241)과 몸체(2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통로(242)와, 저장공간(241)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243)와, 저장공간(24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시 저장공간(241)에 저장된 물(W)을 물 출입구(243)로 배출시키며, 하강시 저장공간(241)의 공기를 공기 통로(24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승강부재(244)와, 본체(100)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245) 및, 길이방향 일단이 승강부재(244)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조절부재(245)의 외부에 권취되는 연결 케이블(246)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통로(242)는 저장공간(24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저장공간(241)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몸체(210)의 상부를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어 저장공간(24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기 통로(242)의 상단은 몸체(210)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 통로(242)의 상단은 하부로 절곡되고, 공기 통로(242)의 상단에 형성된 입구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방을 향할 수 있다.
물 출입구(243)는 저장공간(24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저장공간(241)으로 물(W)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물 출입구(243)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승강부재(244)는 저장공간(241)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고, 승강부재(244)의 측면은 저장공간(241)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재(244)의 상단에는 후술될 연결 케이블(246)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고리가 구비될 수 있고, 승강부재(244)가 하강시 공기 통로(242)의 하단은 승강부재(244)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서 저장공간(24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재(244)를 상승시키는 경우 도 7에서처럼 저장공간(241)에 저장된 물(W)이 물 출입구(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몸체(210)의 외부 공기가 공기 통로(242)를 통해 저장공간(241)의 내부로 공급되며, 저장공간(241)의 부력이 상승하므로 몸체(210)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승강부재(244)를 하강시키는 경우 도 6에서처럼 승강부재(244)의 자중에 의해 저장공간(241)에 저장된 공기가 공기 통로(2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승강부재(244)의 상부에 물(W)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승강부재(244)의 상부에 물(W)을 유입시키는 경우 저장공간(241)의 부력이 감소하므로 몸체(210)가 수면(10) 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조절부재(245)는 본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조절부재(245)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조절부재(245)의 외부에 후술될 연결 케이블(246)이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절부재(245)를 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승강부재(244)가 상승되고, 사용자가 조절부재(245)를 물(W)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승강부재(244)가 하강된다.
또한, 다수의 조절부재(245)는 구동부(모터 등, 256)의 회전력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256)의 구동축은 조절부재(245)의 회전중심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구동부(256)에는 사용자가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256)에는 제어부(4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400)에는 각도 감지부(5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각도 감지부(500)는 본체(100)가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각도 감지부(500)가 본체(100)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구동부(256)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246)은 조절부재(245)를 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견인력을 승강부재(244)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조절부재(245)를 물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연결 케이블(246)의 견인력이 해제되므로 승강부재(244)가 자중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케이블(246)의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210)의 내부를 통해 저장공간(2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공간(241)의 상부에는 연결 케이블(246)을 본체(100)의 내부로 연결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통로의 하부에는 연결 케이블(246)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롤러는 통로의 하부에 구비된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 롤러의 상단에 연결 케이블(246)의 하단이 지지되어 텐션이 유지될 수 있으며, 연결 케이블(246)이 길이방향 양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 롤러가 연동 회전되면서 연결 케이블(246)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절부(240)는 도 9에서처럼 물 저장부(230)를 기준으로 부력공간(220)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하부가 수직하게 개방되는 설치홈(251)과, 상단이 설치홈(2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튜브(252)와, 튜브(252)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253)와, 본체(100)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다수의 공기 펌프(254)와, 길이방향 일단이 튜브(252)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공기 펌프(254)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255)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252)는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 하부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고무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부로 길이가 축소될 수 있으며, 튜브(252)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는 튜브(252)의 측방을 따라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252)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경우 튜브(252)의 부력이 증가하므로 몸체(210)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튜브(252)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경우 튜브(252)의 부력이 감소하므로 몸체(210)가 수면(10) 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튜브(252)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이 튜브(252)의 외부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몸체(210)의 내부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110)으로 노출될 수 있다.
물 출입구(253)는 튜브(252)에 저장된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튜브(252)의 내부로 물(W)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물 출입구(253)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출입구(253)를 통해 튜브(252)의 내부로 물을 주입시키는 경우 튜브(252)의 길이가 하부로 늘어나고, 튜브(252)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무게에 의해 부력 날개부(200)가 수면의 상부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을 잡아당겨 튜브(252)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물 출입구(25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몸체(210)가 부력을 갖게 되므로 부력 날개부(20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 펌프(254)는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 펌프(254)를 공기 배출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튜브(252)의 내부 공기가 후술될 연결 배관(255)을 통해 이동된 후 공기 펌프(2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공기 펌프(254)를 공기 주입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연결 배관(255)을 통해 튜브(252)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연결 배관(255)은 공기 펌프(254)를 공기 배출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튜브(252)에 저장된 공기를 이동시켜 공기 펌프(254)로 이동시키고, 공기 펌프(254)를 공기 주입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 튜브(252)의 내부 공기를 공기 펌프(254)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연결 배관(255)의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210)의 내부를 통해 튜브(252)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공기 펌프(254)에는 제어부(4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400)에는 각도 감지부(500)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고, 각도 감지부(500)는 본체(100)가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각도 감지부(500)가 본체(100)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공기 펌프(254)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부력 날개부(200)의 돌출된 끝단에는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는 완충부재(257)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257)는 내부에 완충공간이 밀폐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변형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 소재(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력 날개부(200)의 외부에 구비되고,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고리(81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완충부재(257)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보조 개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257)는 보조 개폐부를 개폐시켜 내부에 물을 주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완충부재(257)의 일측은 튜브(252)와 연통되어 물이 완충공간으로 유입되거나 튜브(252)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257)가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므로 몸체(210)가 주변 구조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100)가 전복(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피를 조절할 수 있어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 내지 9에서처럼 본체(100)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거치홈(1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210)는 길이방향 일단이 거치홈(180)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수직 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0) 방향으로 회동시 폭방향이 거치홈(18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10)의 상단에는 제1체결홀(213)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난간(120)의 상단에 제2체결홀(214)이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으며, 체결핀(215)의 하단을 제2체결홀(214)과 제1체결홀(213)을 통해 수직하게 관통 결합시켜 몸체(210)를 거치홈(180)에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반면 체결핀(215)을 제2체결홀(214)의 상부로 분리시켜 몸체(210)를 본체(100)의 양측으로 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를 정박시킨 상태에서는 부력 날개부(200)의 몸체(210)를 본체(100)의 외부로 회전시켜 돌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보트가 운행하는 경우는 부력 날개부(200)의 몸체(210)를 회전시켜 거치홈(180)에 삽입시킬 수 있고, 몸체(210)의 부피가 축소되므로 보트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트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0 내지 15에서처럼 본체(100)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191) 및, 삽입홈(19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19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몸체(210)는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홈(19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걸림돌기(211)가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211)는 몸체(210)를 삽입홈(191)의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시 걸림턱(192)에 걸림 위치되어 몸체(210)의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10)의 내부에는 본체(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으로 출몰 가능한 또 하나의 몸체(210)가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210)를 가이드홈에 삽입시키는 경우 몸체(210)의 길이가 축소되고, 몸체(210)를 가이드홈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경우 몸체(210)의 길이가 증가된다. 즉 몸체(210)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경우 보트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트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추진력 발생부(300)는 보트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진행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100)의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축(310)과,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날개부(320)와, 탑승공간(110)의 양측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회전축(31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 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10)은 축방향 일단이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회전 날개부(320)는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날개부(320)의 외주면에는 회전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날개(321)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전 레버(330)는 길이방향 일단이 탑승공간(110)의 좌우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기어류 등의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축(310)의 축방향 일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되는 타단은 편심되게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회전 레버(33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거나 발로 밟은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레버(33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전 레버(330)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날개부(320)가 회전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본체(100)가 회전 날개부(320)의 추진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반면 사용자가 회전 레버(330)의 일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날개부(320)가 회전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본체(100)가 회전 날개부(320)의 추진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사용자가 좌측의 회전 레버(330)만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본체(100)의 좌측에만 추진력이 발생하므로 본체(100)가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측의 회전 레버(330)만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본체(100)의 우측에만 추진력이 발생하므로 본체(100)가 좌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추진력 발생부(300)는 미도시 하였으나 몸체(2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10)의 일부분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설치공간에는 회전축(3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의 회전축(310)에는 회전 날개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날개부(320)의 하단은 수중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회전 레버(330)를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날개부(320)가 몸체(210)의 하부에서 물(W)과 접촉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체(100)의 양측에는 회전축(31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구동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는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회전 구동부의 구동축이 회전축(310)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부(400)를 이용해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온(ON)/오프(OFF) 상태,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회전 구동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본체(100)의 운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8에서처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물놀이 튜브(600) 및, 물놀이 튜브(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고무 등)로 구비되는 제1부력 공기함(61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놀이 튜브(600)의 제1부력 공기함(610)은 물(W)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물 출입구(613)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부력 공기함(61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물 저장부(6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물놀이 튜브(600)는 제1부력 공기함(610)의 부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물놀이 튜브(600)이 쉽게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1부력 공기함(610)의 내부에는 신축 가능한 공기풍선(611)이 구비될 수 있고, 제1부력 공기함(610)의 일측에는 공기풍선(611)으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공기풍선(611)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통로(6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력 공기함(610)의 외부에는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 고리(8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통로(612)에는 공기를 펌핑하기 위한 가압 펌핑장치(813)가 연결될 수 있다. 가압 펌핑장치(813)는 길이방향 일단이 공기통로(612)에 결되는 연결 배관 및, 연결 배관과 연결되어 펌핑 조작 가능한 펌프로 구비될 수 있고, 펌프의 누름 조작을 통해 공기통로(612)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즉, 물놀이기구인 공기 고무튜브가 뒤집혀 물 깊이가 사람키 보다 더 깊으면 당황을 하고, 물놀이 기구로 올라가려면 자꾸 뒤집혀 몇 번을 반복하다보면 지쳐서 실신을 할 수 있는 반면, 부력체가 부착된 물놀이기구와 생명안전벨트에 손목이나 허리에 차고 있으면 전혀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19에서처럼 부력을 갖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700) 및, 구명 조끼(700)에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고무 등)로 구비되는 제2부력 공기함(7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명 조끼(700)의 제2부력 공기함(710)은 물(W)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허리가 통과하는 구명 조끼(700)의 하단과, 사용자의 팔이 통과하는 구명 조끼(700)의 양측과, 사용자의 목이 통과하는 구명 조끼(70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제2부력 공기함(710)의 개수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즉, 파도치는 바다에서 구명 조끼(700)를 입고 있으면, 파도나 강풍에 신체가 엎지락 뒷지락을 수없이 하다보면 정신을 잃을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시 현재의 구명 조끼도 물공기 겸용 부력체를 부착하는 것이 없는 것보다 훨씬 신체에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는 도 20에서처럼 본체(100)의 하부에 보조 부력 조절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부력 조절부(800)는 본체(100)의 가장자리측 하단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보조 부력 조절부(800)의 개수와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조 부력 조절부(800)는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고무 등)로 구비되고, 물(W)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조 부력 조절부(800)은 부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체(100)가 쉽게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보트가 다양한 요인(강풍, 침수 등)으로 인해 중심을 잃고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선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부력 날개부(200)를 축소된 부피로 수납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운행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어 보트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 날개부(200)의 완충부재(257)가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므로, 부력 날개부(200)가 주변 구조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탑승 인원에 따라 본체(10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달린 보트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면 20: 지붕 구조물
100: 본체 101: 전방 본체
102: 후방 본체 110: 탑승공간
120: 난간 121: 밀폐공간
130: 좌석 140: 힌지부
150: 잠금부재 160: 연결블럭
171: 제1체결부재 172: 제2체결부재
173: 제3체결부재 180: 거치홈
191: 삽입홈 192: 걸림턱
200: 부력 날개부 210: 몸체
211: 걸림돌기 213: 제1체결홀
214: 제2체결홀 215: 체결핀
216: 부력체 연결 고리 220: 부력공간
230: 물 저장부 231: 개폐부
232: 유입구 233: 마개
240: 부력 조절부 241: 저장공간
242: 공기 통로 243: 물 출입구
244: 승강부재 245: 조절부재
246: 연결 케이블 250: 부력 조절부
251: 설치홈 252: 튜브
253: 물 출입구 254: 공기 펌프
255: 연결 배관 256: 구동부
257: 완충부재 300: 추진력 발생부
310: 회전축 320: 회전 날개부
321: 날개 330: 회전 레버
400: 제어부 500: 각도 감지부
600: 물놀이 튜브 610: 제1부력 공기함
611: 공기풍선 612: 공기통로
613: 물 출입구 614: 물 저장부
700: 구명 조끼 710: 제2부력 공기함
800: 보조 부력 조절부 810: 물받이홈
812: 안전벨트 보관함 813: 가압 펌핑장치
814: 부력체 연결 고리 815: 물공기 겸용 박스
W: 물

Claims (11)

  1. 부력을 갖고, 상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이격 위치되는 부력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날개부는 상기 본체의 측부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밀폐된 상태로 형성되는 부력공간과, 상기 부력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에 개폐부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을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을 조절하여 상기 몸체의 부력을 가변시키는 부력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거치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거치홈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수직 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방향으로 회동시 폭방향이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며,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통로와,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승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 출입구로 배출시키며, 하강시 상기 저장공간의 공기를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 및,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조절부재의 외부에 권취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 날개부 및,
    상기 탑승공간의 양측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 레버가 구비된 추진력 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탑승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제1체결홀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난간의 상단에 제2체결홀이 수직하게 관통되며, 체결핀의 하단을 상기 제2체결홀과 상기 제1체결홀을 통해 수직하게 관통 결합시켜 상기 몸체를 상기 거치홈에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며,
    상기 조절부재는 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양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은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중심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사용자가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각도 감지부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며, 상기 각도 감지부는 상기 본체가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사용하며, 상기 본체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각도 감지부가 상기 본체의 기울어짐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구동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를 이용해 상기 회전 구동부의 구동을 온(ON)/오프(OFF) 상태,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구동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본체의 운행 방향을 조절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력공간과 반대되는 방향에 형성되고, 하부가 수직하게 개방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부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물 출입구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공기 펌프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튜브의 상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상기 공기 펌프와 연결되는 연결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날개부의 외부에 구비되고,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고리와, 상기 부력 날개부의 돌출된 끝단에 구비되고, 내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보조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조 개폐부를 개폐시켜 내부에 물을 주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본체와, 상기 전방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본체 및, 상기 전방 본체와 상기 후방 본체의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삽입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몸체를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슬라이드 인출시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인출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유입구에 결합시 상기 물 저장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분리시 상기 물 저장부를 상부로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부력 조절부는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고,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물놀이 튜브와, 부력을 갖고,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와, 상기 탑승공간에 구비되고, 안전벨트가 내부에 수납되는 안전벨트 보관함 및, 물놀이 튜브에 구비되어 부력체 대용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력체 연결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물놀이 튜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제1부력 공기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은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물 출입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물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력 공기함의 내부에는 신축 가능한 공기풍선이 구비되며,
    상기 구명 조끼에 구비되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제2부력 공기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력 공기함은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달린 보트.
KR1020210102153A 2021-03-18 2021-08-03 날개 달린 보트 KR10236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2863 WO2022196974A1 (ko) 2021-03-18 2022-02-28 날개 달린 보트
EP22771640.4A EP4309993A1 (en) 2021-03-18 2022-02-28 Boat having wings
US17/697,109 US20220297800A1 (en) 2021-03-18 2022-03-17 Winged boat
CN202210269594.0A CN115140237B (zh) 2021-03-18 2022-03-18 带翼的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5196 2021-03-18
KR1020210035196 2021-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088B1 true KR102367088B1 (ko) 2022-02-25

Family

ID=8049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53A KR102367088B1 (ko) 2021-03-18 2021-08-03 날개 달린 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97800A1 (ko)
EP (1) EP4309993A1 (ko)
KR (1) KR102367088B1 (ko)
CN (1) CN115140237B (ko)
WO (1) WO20221969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74A1 (ko) * 2021-03-18 2022-09-22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CN116674731A (zh) * 2023-07-27 2023-09-01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基于浮力调节的auv海底着陆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062A (ko) * 1996-10-31 1998-07-25 권택용 가변날개가 설치된 보트
KR20030010961A (ko) * 2001-07-27 2003-02-06 배달익 조립식 보트
JP2009132369A (ja) * 2007-11-09 2009-06-18 Chiharu Sato 前速回転式オール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20170103430A (ko) * 2016-03-04 2017-09-13 황명회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135Y1 (ko) 1998-01-30 2000-06-01 석교상 모터 보트
KR20110125503A (ko) * 2010-05-13 2011-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CN106275308A (zh) * 2015-06-23 2017-01-04 吴战车 防侧翻防沉船伸缩翼展板
CN206265265U (zh) * 2016-10-12 2017-06-20 上海博添船舶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平衡装置
KR101918894B1 (ko) * 2018-03-28 2018-11-14 임종길 유압장치 적용보트
CN111204409A (zh) * 2018-11-21 2020-05-29 马侠安 一种防倾覆船体
KR102367088B1 (ko) * 2021-03-18 2022-02-25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062A (ko) * 1996-10-31 1998-07-25 권택용 가변날개가 설치된 보트
KR20030010961A (ko) * 2001-07-27 2003-02-06 배달익 조립식 보트
JP2009132369A (ja) * 2007-11-09 2009-06-18 Chiharu Sato 前速回転式オール
KR20170103430A (ko) * 2016-03-04 2017-09-13 황명회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74A1 (ko) * 2021-03-18 2022-09-22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CN116674731A (zh) * 2023-07-27 2023-09-01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基于浮力调节的auv海底着陆装置及方法
CN116674731B (zh) * 2023-07-27 2024-06-04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基于浮力调节的auv海底着陆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40237B (zh) 2024-04-09
EP4309993A1 (en) 2024-01-24
WO2022196974A1 (ko) 2022-09-22
CN115140237A (zh) 2022-10-04
US20220297800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088B1 (ko) 날개 달린 보트
ES2826753T3 (es) Dispositivo acuático con hidroala y sistema propulsor con motor eléctrico
JP3662590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動力式水上艇
ES2938767T3 (es) Embarcación submarina
US5282437A (en) Personal marine transport
US3815541A (en) Houseboat powered by smaller boat
WO1994004414A9 (en) A personal marine transport
US6241569B1 (en) Sea windows for rafts
FR2499934A1 (fr) Engin nautique flottant et insubmersible
EP0165192A1 (fr) Véhicule marin semi-submersible
EP2943399B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with on-board oxygen
ES2843545T3 (es) Dispositivo flotante para producir una ola estacionaria
JP2014520707A (ja) 水中個人用移動装置
KR101524194B1 (ko) 인력 수중익선
CA2034150A1 (en) Boat
JP6130912B2 (ja) 潜水艇および潜水艇の制御方法
KR20210003451A (ko) 전동식 워터보드
US20230131147A1 (en)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seat for kite surfing and method thereof
US6746291B1 (en) Hybrid inflatable and rigid shoreline riding toy
WO2014080148A2 (fr) Dispositif d'exploration marine
KR900007637A (ko) 수륙 양면에서 서행하는 차량
KR101908968B1 (ko) 레저 보트
WO2021051092A1 (en) Inflatable floating wave system
WO2006077331A2 (fr) Vehicule sous-marin a pression ambiante
RU2818372C1 (ru)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с импеллером для подвода сжатого воздуха под днищ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