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430A -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430A
KR20170103430A KR1020160026346A KR20160026346A KR20170103430A KR 20170103430 A KR20170103430 A KR 20170103430A KR 1020160026346 A KR1020160026346 A KR 1020160026346A KR 20160026346 A KR20160026346 A KR 20160026346A KR 20170103430 A KR20170103430 A KR 2017010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ull
ship
driven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황경회
원형재
Original Assignee
황명회
황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회, 황경회 filed Critical 황명회
Priority to KR102016002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430A/ko
Publication of KR2017010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 바다 위에 정선하거나 부두나 선착장에 정박했을 때, 파고로부터 선체의 자세를 안전하게 유지시키고, 선박의 전복을 방지시키기 위한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ANTI-SINKING APPARATUS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 바다위에 정선하거나 부두나 선착장에 정박했을 때, 파고로부터 선박의 자세 안정과 선박의 전복을 방지시키기 위한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을 운항하는 선박은 운항 중 높은 파도나 암초 혹은 선박간의 충돌 등 다양한 사고로 인해 선박이 침몰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침몰 방지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그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2004222890000 "부력재를 구비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등록실용신안 제20-0422288호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등록 실용신안 2003453160000 "선박의 침몰 방지구조" , 공개특허 10-2012-0019084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박 침몰안전장치는 선박이 위험한 각도로 기울거나 충돌되어 선박내로 물이 침수되는 경우 센서를 통해 상황을 감지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팽창식 부양장치속으로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부양장치의 부력을 이용하여 선박의 자세 안정과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선박이 전복되는 급박한 순간에 팽창식 부양장치의 에어포켓속으로 에어를 불어 넣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긴급상황 발생 시 대응이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양어나 양식용 어선이나 바다낚시용 선박과 같이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은 선박의 경우 조업이나 낚시를 하기 위해 바다 위에 정선한 뒤 작업하게 되는데, 이때 파고에 의해 선박이 좌우로 심하게 출렁이거나 요동치는 등 선박의 자세가 불안정해지거나 심한 경우 전복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괄목할 만한 개발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이 바다 위에 정선하거나 부두나 선착장에 정박했을 때, 높은 파고에 의해 선박이 좌우로 요동치지 않도록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을 방지시키기 위한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선창을 가로질러 선체의 외측벽과 통해지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수밀가능하게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기계실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전동모터 혹은 핸들에 의해 회전되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과 연동하도록 기계실에 결합된 피동축과;
상기 하우징속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피동축의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를 갖춘 부력을 지닌 밀폐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부력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부력장치는 하우징속에 선체의 어느 일측벽에만 일정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거나, 한 쌍의 부력장치를 단일 하우징속에 설치하되 선체의 양 외측벽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부력장치를 선체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경우, 메인 구동축과 연동하는 피동축의 피동기어가 부력장치의 랙 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한 쌍으로 부력장치를 하우징속에 설치하는 경우, 메인 구동축의 양측에 피동축을 대칭되도록 설치하되, 설치된 양 피동축의 피동기어와 양 부력장치의 랙 기어가 맞물리도록 결합으로써 메인 구동축의 회전시, 동시에 양 부력장치가 하우징 밖으로 혹은 반대로 이동되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부력장치는 선체의 외측벽으로 연장될 때 부력장치의 높이가 2/3 정도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써 부력장치에 부력이 효과적으로 내재되어 선체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부력장치는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된 에어챔버들로 이루어진 밀폐체들이 길이가 긴 장 볼트를 사용하여 통합적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상당한 부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밀폐체로 이루어진 부력장치의 선단부, 즉 선체의 외측벽에 노출되는 부력장치의 선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링 캡을 부착하여 하우징속으로 부력장치가 수납되었을 때, 실링 캡에 의해 하우징 게이트를 밀폐되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는 자체적으로 부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선박 정선 시 부력을 지닌 조립식 부력장치를 선체의 외측벽에 대칭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파고에 의해 선박이 좌우로 요동치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선체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는 선박 운항 시 하우징속으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부양장치속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방식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부력을 지닌 부력장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선체의 자세 안정뿐 아니라 선박의 자세안정과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낚시용 선박에 본 발명의 선체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채용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가 설치된 선창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가 설치된 선창의 평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선체의 횡방향"이라 함은 선박의 운행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의미하고, "선체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선박의 주행방향과 같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낚시용 선박에 채용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나 이외에도 어선이나 각종 다양한 선박에도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낚시용 선박에 선체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채용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본 발명의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200)는 선박(100)의 양 외측벽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가 설치된 선창의 평면투시도로, 본 발명의 선박(100)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200)는 선박(100)의 선창(400)내에 선창(400)을 가로지는 하우징(400a)속에 선체(101)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00a)은 그 하부에 기계실(401)이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400a)의 내벽에 선체(101)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402)(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401)과 하우징(400a)을 통해 선창(400)으로 강물이나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연결부위는 가스켓이나 패킹과 같은 실링수단을 통해 실링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기계실(401)에는 태양기어(301a)를 갖춘 메인 구동축(301)과 상기 메인 구동축(301)과 이웃하게 태양기어(301a)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동기어(302a)를 갖춘 피동축(302)이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401)에 설치되는 메인 구동축(301)과 피동축(302)은 선창(400) 바닥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플랫폼(도면에는 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는데, 기계실과 양 축사이는 전술한 실링수단을 통해 실링되어 있고, 축받이(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피동축(30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구동축(301)을 기준으로 각각의 하우징(400a)의 반대방향에 교대로 설치되어 메인 구동축(301)의 회전 시, 동시에 후술하는 부력장치(200a)를 하우징에서 밖으로 혹은 하우징(400a)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박(100)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의 측면도로서, 전술한 부력장치(200a)는 하우징(400a)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격벽(도면에는 미도시)에 의해 밀폐되는 에어챔버(도면에는 미도시)를 갖춘 밀폐체(201)들이 장 볼트(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력장치(200a)의 외부 표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400a)의 가이드 레일(402)이 결합되는 가이드 홈(203)이 상면과 좌/우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부력장치(200a)의 저면은 기계실(401)속에 설치된 구동축의 피동기어(302a)와 맞물리는 랙 기어(204)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이 회전하면, 태양기어(301a)와 맞물린 피동기어(302a)가 회전하면서 랙 기어(204)로 동력을 전달하여 하우징(400a)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장치(200a)가 가이드 레일(402)을 따라 선체(101) 밖으로 연장되게 된다.
이때 부력장치(200a)는 선박(100)의 흘수선에 밀폐체의 높이 2/3 부분이 수중에 잠기도록 하우징을 설치하거나 부력장치(200a)의 상면이 수면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충분한 부력이 내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메인 구동축(301)은 감속기(11)를 갖춘 전동모터(10)가 연결하여 전동으로 구동시키거나 상기한 전동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메인 구동축에 핸들(도면에는 미도시)을 결합한 뒤 핸들을 회전시키면 수동으로 메인 구동축(30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전술한 부력장치(200a)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a)속에 선체(101)의 횡방향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지닌 부력장치(200a)를 쌍으로 설치하고, 양 부력장치(200a)의 랙 기어(204)와 각각의 부력장치(200a)의 피동기어(302a)와 맞물리도록 연결함으로써 양 피동기어(302a)가 태양기어(301a)와 연동하여 회전될 때 한 쌍의 부력장치(200a)가 동시에 선체(101)밖으로 혹은 반대로 하우징(400a)속으로 이동되도록 구현하였다.
다시 말해서, 실시예 2에서 전술한 하우징(400a)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부력장치 중 어느 한쪽의 부력장치(200a)의 랙 기어(204)에 기계실(401)에 설치된 양 피동기어(302a) 중 어느 일 측의 피동기어(302a)가 연결하고, 다른 피동기어(302a)는 이웃한 부력장치(200a)의 랙 기어(204)와 맞물리도록 각각 연결함으로써 메인 구동축(301)의 회전에 따라 양 부력장치(200a)가 동시에 선체(101) 밖으로 혹은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부력장치(200a)는 하우징(400a)속에 수납되었을 때, 하우징(400a)의 게이트(102)를 밀폐시키기 위해 부력장치(200a)의 말단에 실링 캡(202)을 부착할 수도 있다.
실링 캡(202)은 부력장치(200a)가 하우징(400a)속으로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실링 캡(202)의 외면이 하우징(400a)의 게이트(102)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게이트의 하측 주연부에 그 내부와 통해진 배수용 홈(103)을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배수용 홈(103)은 부력장치(200a)가 하우징(400a)속으로 혹은 반대로 이동할 때, 외부에서 하우징(400a)속으로 유입되는 물은 자연히 하우징(400a) 밖으로 배수되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장치의 밀폐체 저면에 유선형 부구(도면에는 미도시)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01a)을 마련하여 결합홈(20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치구(도면에는 미도시)를 갖춘 길이가 긴 유선형 부구(도면에는 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유선형 부구는 부력장치(200a)에 결합하되 선체의 외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부력장치의 단부측에 부착함으로써 부력장치의 부력은 보다 더 강화시켜 선박의 자세를 더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이 바다 위에 정선하거나 부두나 선착장에 정박했을 때, 파고에 의한 선박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경 예와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그와 같은 변경 예나 응용 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범주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선박 102: 하우징 게이트
103: 배수용 홈 200: 전복 방지장치
200a: 부력장치 201: 밀폐체
202: 실링 캡 203: 가이드 홈
204: 랙 기어 301: 메인 구동축
301a: 태양기어 302a: 피동기어
302: 피동축 410: 선창
400a: 하우징 401: 기계실
402: 가이드 레일

Claims (3)

  1. 선체의 선창을 가로질러 선체의 외측벽과 통해지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수밀되도록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기계실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전동모터 혹은 핸들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과 연동하도록 기계실에 결합된 피동기어를 갖춘 피동축과;
    상기 하우징속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피동축의 피동기어와 맞물리는 랙 기어를 갖춘 밀폐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부력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는 상기 하우징내에 한 쌍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피동축은 메인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피동축의 피동기어와 랙 기어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게이트의 주연부에 하우징의 내부와 통해진 배수용 홈이 더 마련하여 하우징내의 물이 자연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부력장치의 말단부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실링 캡을 더 부착하여 부력장치가 하우징 속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게이트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1020160026346A 2016-03-04 2016-03-04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20170103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46A KR20170103430A (ko) 2016-03-04 2016-03-04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346A KR20170103430A (ko) 2016-03-04 2016-03-04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30A true KR20170103430A (ko) 2017-09-13

Family

ID=5996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346A KR20170103430A (ko) 2016-03-04 2016-03-04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4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088B1 (ko) * 2021-03-18 2022-02-25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KR20230089231A (ko) * 2021-12-13 2023-06-20 표형근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088B1 (ko) * 2021-03-18 2022-02-25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WO2022196974A1 (ko) * 2021-03-18 2022-09-22 김종철 날개 달린 보트
CN115140237A (zh) * 2021-03-18 2022-10-04 金种哲 带翼的船
CN115140237B (zh) * 2021-03-18 2024-04-09 金种哲 带翼的船
KR20230089231A (ko) * 2021-12-13 2023-06-20 표형근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271B1 (ko) 접혀 들어갈 수 있는 추진 장치 또는 대응물을 위한 정비 공간
KR100972154B1 (ko) 쇄빙용 부가 추진 시스템과 쇄빙선
KR20090080036A (ko) 부양성 무한궤도 수륙양용 수송 장치
US8739724B2 (en) Inflatable dry-dock
KR20140114869A (ko) 쓰러스터를 갖는 퇴축가능 추진 컨테이너
KR20170103430A (ko)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WO2013165423A1 (en) Inflatable dry-dock
ITGE20040013A1 (it) Appendici di carena retrattili per il governo e per la stabilizzazione di natanti a motore.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0469399Y1 (ko) 문풀에 설치되는 유동 억제 장치
KR101663725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KR101444150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70001627U (ko)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210034370A (ko) 안벽 접안 장치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88520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alvage of vessels
JP2932258B2 (ja) 水中展望船
KR101556293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KR20140076709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70103429A (ko)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10144414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