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27U -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27U
KR20170001627U KR2020150007081U KR20150007081U KR20170001627U KR 20170001627 U KR20170001627 U KR 20170001627U KR 2020150007081 U KR2020150007081 U KR 2020150007081U KR 20150007081 U KR20150007081 U KR 20150007081U KR 20170001627 U KR20170001627 U KR 201700016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tank
buoyancy
self
rail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27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63B2731/00

Abstract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시 부력탱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력탱크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상 측으로 회전시켜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도록 운송물을 선적시 부력탱크를 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데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레일; 상기 부력탱크의 밑면에 레일로 올려지도록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이드구; 및 상기 레일 상에서 부력탱크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안벽으로의 접안 또한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선미부의 부족한 부력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Self-propelled semi-submersible transport ship for buoyancy tank operating movable equipment}
본 고안은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시 부력탱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력탱크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상 측으로 회전시켜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선박이나 각종 해양 구조물의 수요 및 건조가 증가하면서 해양 프로젝트는 단일의 조선소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대형 부품과 블록들이 여러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단일의 특정 조선소로 운반된 다음 최종적인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선박과 해양구조물을 건조하기 위해 각각의 대형 부품과 블록 또한 특정의 조선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송과정이 필요하고, 특히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이나 각종 해양 구조물을 실제 운용하고자 하는 지역(해역)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운송 과정이 필요로 하는 데, 이러한 운송은 통상적으로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에 의한 해상 운송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은 입항지에서 대형 부품과 블록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선체 내에 물을 채워 흘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블록이 선적되는 갑판부가 수면 아래로 침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부력 공간이 거의 없는 선미부는 상당한 부력을 손실하게 되고, 그 결과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전체적인 복원성 및 안정성이 부족해지게 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미부에 사각 기둥형의 부력탱크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바지 형태의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을 제외한 선박 형태의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은 선미부 형상에 따라 충분한 부력을 받지 못하여 무거운 운송물을 선적시에는 횡방향으로 안벽에 접안하여 운송물을 하역하게 되는 데, 이때 선미부에 위치한 부력탱크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부력탱크를 제거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부력탱크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77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자항 바지선박의 선미부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자항 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678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에 밸러스트 탱크와는 별도의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침몰 방지용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화물의 운송을 위한 반 잠수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밸러스트 수의 유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57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6786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선박 형태의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이 아닌 바지 형태로, 크레인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추가부력탱크를 자항 바지선박의 선미부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이 또한 운송물을 선적시에는 상기 제한된 위치에 있는 추가부력탱크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종래 선박 형태의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에서와 같이 선미부에 구비되는 부력탱크로 인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주된 기술적 과제는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시 부력탱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력탱크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상 측으로 회전시켜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력탱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선미부 양측에 마련된 부력탱크를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장치로서, 상기 가동장치는 운송물을 선적시 부력탱크를 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데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레일; 상기 부력탱크의 밑면에 레일로 올려지도록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이드구; 및 상기 레일 상에서 부력탱크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부력탱크 및 선체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장치에는 레일 상에서 부력탱크를 데크에서 해상 측으로 전복 후 다시 복귀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는 부력탱크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선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부력탱크의 하단 해상 측에 그 부력탱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복수의 레일 중 해상 측에 위치한 레일과 그에 올려지는 가이드구 대신에 부력탱크를 관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봉이다.
본 고안은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시 부력탱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력탱크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상 측으로 회전시켜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안벽으로의 접안 또한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선미부의 부족한 부력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부력탱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으로의 적용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부품과 블록 등을 특정의 조선소로 이동시와,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이나 각종 해양 구조물을 실제 운용하고자 하는 지역(해역)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100)의 선미부 양측에 운송물을 선적이나 하역에 따른 부력이 부족한 선미부의 갑판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100)의 전체적인 복원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력탱크(110)를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장치(1)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운송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시 부력탱크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력탱크를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상 측으로 회전시켜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가동장치(1)는 운송물을 선적시 부력탱크(110)를 잠수식 자항 수송선(100)의 데크(102)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102)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레일(10); 상기 부력탱크(110)의 밑면에 레일(10)로 올려지도록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이드구(20); 및 상기 레일(10) 상에서 부력탱크(110)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수단(30);을 포함한다.
레일(10)은 갑판(102)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갑판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된 형태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구동수단(30)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통상적인 모터(32), 및 상기 모터(32)와 부력탱크(110) 및 선체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34)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34)는 공지된 것으로, 체인과 스프로킷, 이송스크류와 베어링 하우징, 풀리와 벨트나 기어 맞물림 방식 등에 의해 공지된 방식에 의해 부력탱크를 이동시키는 구조이면 족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체인과 스프로킷 및 풀리와 벨트는 모터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 또는 구동 휠을 구비하고, 이송시키고자 하는 길이방향의 반대 측에 장착되는 아이들 스프로킷이나 아이들 풀리를 구하여 체인이나 벨트로 연결하는 공지된 구조이다. 이때, 모터는 선미 측의 선체 내부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체인과 벨트 및 아이들 스프로킷이나 아이들 풀리 또한 갑판의 하브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부력탱크의 하단 또한 갑판의 양 사이드로 일부 인입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와 베어링 하우징의 경우 베어링 하우징을 부력탱크에 설치하고,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는 공지된 방식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모터 구동에 따른 이송스크류 상에서 부력탱크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어 맞물림 방식은 갑판에 랙기어를 설치하고, 부력탱크에 모터와 그 모터에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장착함으로써, 모터 구동에 따른 부력탱크가 랙기어를 타고 이동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상기한 기술적 구성 이외에 공지된 어떠한 기술적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선미부에 위치하는 부력탱크를 구동수단에 의해 레일 상에서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송물을 선적하거나 하역시 부력탱크로 인한 간섭을 방지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부력탱크를 제거하거나 또는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을 안벽으로 접안시 선적이나 하역작업에 따른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접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선적 및 하역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부력탱크를 선적이나 하역작업에 따른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한 상태에서, 선미부는 부력에 취약한 관계로, 부력을 부여하면서 선적이나 하역작업이 간섭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상으로 눕혀진 후 다시 복귀되는 기술적 구성을 갖도록 한다.
가동장치(1)에는 레일(10) 상에서 부력탱크(110)를 데크(102)에서 해상 측으로 전복 후 다시 복귀시키는 틸팅부(40)를 더 포함한다.
즉, 운송물을 선적하거나 하역작업할 때 상기 부력탱크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선미부에 부족한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틸치우에 의해 부력탱크를 해상으로 눕힘으로써, 운송물과의 간섭방지는 물론 선미부에서의 부족한 부력을 충당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틸팅부(40)는 부력탱크(110)의 일측면에 일단이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선체의 측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실린더(42), 및 상기 부력탱크(110)의 하단 해상 측에 그 부력탱크(11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4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44)는 복수의 레일(10) 중 해상 측에 위치한 레일과 그에 올려지는 가이드구 대신에 부력탱크(110)를 관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봉(44a)이다. 즉, 상기 가이드봉은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축 역할을 한다.
실린더(42)의 선체 측면으로 연결은 부력탱크 이송시 실린더 또한 원활하게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선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대(46) 상에 이송블록(48)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에 따라 부력탱크는 선적이나 하역작업시에 그 부력탱크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상으로 눕혀 놓으므로써, 운송물을 선적시나 하역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미부에서 부족한 부력까지 충당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부력탱크를 해상으로 눕혀 놓게 됨으로써, 안벽으로 접안시에도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으로의 선적이나 하역작업에 따른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접안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1 : 가동장치
10 : 레일 20 : 가이드구
30 : 구동수단 32 : 모터
34 : 동력전달부재 40 : 틸팅부
42 : 실린더 44 : 회전부
44a : 가이드봉 46 : 가이드대
48 : 이송블록
100 :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
102 : 테크 110 : 부력탱크

Claims (5)

  1.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선미부 양측에 마련된 부력탱크를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장치로서,
    상기 가동장치는 운송물을 선적시 부력탱크를 잠수식 자항 수송선의 데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데크 상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레일;
    상기 부력탱크의 밑면에 레일로 올려지도록 대응되게 구비되는 가이드구; 및
    상기 레일 상에서 부력탱크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부력탱크 및 선체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장치에는 레일 상에서 부력탱크를 데크에서 해상 측으로 전복 후 다시 복귀시키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부력탱크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선체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부력탱크의 하단 해상 측에 그 부력탱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복수의 레일 중 해상 측에 위치한 레일과 그에 올려지는 가이드구 대신에 부력탱크를 관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KR2020150007081U 2015-10-30 2015-10-30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KR201700016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81U KR20170001627U (ko) 2015-10-30 2015-10-30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81U KR20170001627U (ko) 2015-10-30 2015-10-30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27U true KR20170001627U (ko) 2017-05-11

Family

ID=5871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81U KR20170001627U (ko) 2015-10-30 2015-10-30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79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력중심을 제어하는 부력 조절 시스템
KR20220046856A (ko) * 2020-10-08 2022-04-15 유한회사 쏠레어테크 소형선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이중선체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71B1 (ko) 2008-05-02 2010-04-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20120076786A (ko) 2010-12-30 2012-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71B1 (ko) 2008-05-02 2010-04-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20120076786A (ko) 2010-12-30 2012-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879A (ko) * 2019-11-06 2021-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력중심을 제어하는 부력 조절 시스템
KR20220046856A (ko) * 2020-10-08 2022-04-15 유한회사 쏠레어테크 소형선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이중선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12553B (zh) 自航式半潜维修船及使用方法
US6439936B1 (en) High retraction marine thruster
CN105539749A (zh) 一种半潜运输船的可升降浮箱装置
KR102248803B1 (ko) 선박의 드라이 도킹을 위한 잠수식 선박
US11066131B2 (en) Mooring rope device of floating offshore structure for avoiding ship collision,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WO2019000757A1 (zh) 一种船舶过驳中的加水方法
US6676334B2 (en) Work module support vessel
KR20170001627U (ko)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US3587505A (en) Partially submersible carrier vessel
JP2010076490A (ja) 自動車運搬船の姿勢制御装置
GB2315464A (en) Transporting offshore structures
EP3266701A1 (en) Boat equipped with additional propeller
US2699138A (en) Vessel, including a screw propeller steering assembly
JP2008068796A (ja) 船舶の推進方法及び装置
KR101390381B1 (ko)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로드아웃 방법
KR20200105484A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WO2017141177A1 (en) Barge system
GB2071580A (en) Service vessels for offshore work
KR20220019426A (ko) 바지선
KR20110075916A (ko) 이동 항구
KR20040087633A (ko) 조위차가 큰 부두의 폰툰식 화물 적치대
RU217069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абот на акватории
KR101499162B1 (ko) 해양 구조물의 조립 방법
KR101141598B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