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771B1 -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71B1
KR100955771B1 KR1020080041191A KR20080041191A KR100955771B1 KR 100955771 B1 KR100955771 B1 KR 100955771B1 KR 1020080041191 A KR1020080041191 A KR 1020080041191A KR 20080041191 A KR20080041191 A KR 20080041191A KR 100955771 B1 KR100955771 B1 KR 10095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tank
self
additional buoyancy
propelled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362A (ko
Inventor
최영달
임효관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7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추가부력탱크를 자항바지선박의 선미부에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자항바지선박의 운항시 추가부력탱크를 분리하여 운항할 수 있어 하중 감소에 따른 연료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항바지선박, 추가부력탱크

Description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The Self Coupling Type Additional Buoyancy Tank System for Open Deck Heavy Transport Carrier}
본 발명은 자항바지선박에 적용되는 추가부력탱크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블록 등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는 자항바지선박은 입항지에서 블록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선체 내에 물을 채워 흘수를 증가시킨다. 이때 블록이 선적되는 갑판부가 수면 아래로 침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부력 공간이 거의 없는 선미부는 상당한 부력을 손실하게 되고, 그 결과 자항바지선박의 전체적인 복원성 및 안정성이 부족해지게 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항바지선박의 선미부에 사각기둥형의 추가부력탱크를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자항바지선박은 추가부력탱크의 설치에 따른 중량의 증가로 인하여 운항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운송 중에는 추가부력탱크가 부력탱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하중 증가 요인으로 연료소비만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자항바지선박의 선미부에 설치된 사각기둥형의 추가부력탱크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블록 등 대형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은 선측 방향으로만 해야 하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자항바지선박은 화물적재 작업의 목적에 따라 추가부력탱크를 선체로부터 분리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항시 결합된 상태로 운항되어진다. 그 이유는 추가부력탱크의 결합 방식이 수많은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분리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분리작업 시 해상 크레인이나 육상 크레인의 지원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부력탱크를 분리한다고 하더라고 추가부력탱크 자체를 육상이나 자항바지선박의 갑판 위에 거치해야 하므로 공간 소모에 따른 불편함도 따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크레인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자항바지선박의 선미부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미에서 ‘ㄷ’자 모양으로 패인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당해 홈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추가부력탱크(2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추가부력탱크(200)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지면 유압으로 추가부력탱크(200)를 누름으로써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를 포함하는 자항바지선박(100); 및 자항바지선박(100)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바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하여 추가부력을 제공하거나 자항바지선박(1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계류하기도 하는 탱크로서, 평면 및 측면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정면부의 단면 형상은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직사각형 및 사다리꼴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몸체 아래 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박스 형상을 갖는 추가부력탱크(200)를 포함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추가부력탱크를 자항바지선박의 선미부에 탈부착 할 수 있으며, 자항바지선박의 운항시 추가부력탱크를 분리하여 운항할 수 있어 하중 감소에 따른 연료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또한, 자항바지선박에 대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자항바지선박의 선측 및 선미 방향에 대하여 제한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이 훨씬 수월해지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100)의 선미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부력탱크(200)를,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자항바지선박(100)의 선미에 설치되는 추가부력탱크(200)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크레인 작업이 어려운 해상에서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용량의 추가부력탱크(200)를 목적에 따라 교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기노선에서는 적하역지에 각각 별도의 추가부력탱크(200)를 배치함으로써 자항바지선박(100)의 운항시 추가부력탱크(200)를 분리하여 운항할 수 있어 하중 감소에 따른 연료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은 자항바지선박(100) 및 추가부력탱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항바지선박(100)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 및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선미에서 ‘ㄷ’자 모양으로 패인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당해 홈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추가부력탱크(2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도 1 및 도 4 참조).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는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추가부력탱크(200)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지면 유압으로 추가부력탱크(200)를 누름으로써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러한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는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 및 결속판(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는 유압에 의하여 힌지 운동을 함으로써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선체 외부로 돌출하게 되는 구동축으로서,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가 자항바지선박(100)에 추가부력탱크(200)가 결합(부착)되는 경우에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외부로 돌출하여 나와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 안으로 밀게 된다(도 2 참조).
결속판(122)은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끝단에 설치된 판 형상의 구조물로서,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가 추가부력탱크(200)를 밀게 되는 경우에 추가부력탱크(200)와 넓은 면에 걸쳐서 접촉함으로써 당해 접촉면을 통하여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유압을 추가부력탱크(200)에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접촉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도 2 참조).
이 경우,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 표면에 결속판(122)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홈(2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도 2 및 도 3 참조), 이는 결속판(122)이 결속홈(210) 안으로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결속판(122)과 추가부력탱크(200)의 결속을 더욱 공고하게 하는 한편, 파도 등에 의하여 추가부력탱크(200)가 자항바지선박(100)과 개별적으로 요동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추가부력탱크(200)와 자항바지선박(100)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추가부력탱크(200)는 수면에 띄워진 상태에서 곧바로 자항바지선박(100)에 대한 탈착(결합 또는 분리)이 가능한바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하여 추가부력을 제공하거나 자항바지선박(1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계류하기도 하는 탱크이다.
추가부력탱크(200)는 평면 및 측면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정면부의 단면 형상은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직사각형 및 사다리꼴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몸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박스 형상을 갖는다(도 3 참조). 추가부력탱크(200)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이유는, 화물 적재시 자항바지선박(100)의 흘수 증가에 따라 추가부력탱크(200)가 부력을 받는다 할지라도 이로 인하여 추가 부력탱크(200)가 자항바지선박(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부력의 작용으로 추가부력탱크(200)가 위로 부상한다 할지라도 추가부력탱크(200)의 하부 몸체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의 ‘ㄷ’자 모양으로 패인 홈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 끼이게 되므로 자항바지선박(100)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로써 추가부력탱크(200)는 자항바지선박(100)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부력탱크(200)는 케이블 연결부(220)를 통하여 자항바지선박(100)으로부터 전력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펌프 및 제어밸브(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펌프 및 제어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으로 Ballast Water의 입수 및 배수를 조절하게 된다. Ballast Water의 입수 및 배수는 추가부력탱크(200)의 바닥에 형성된 입출수공(미도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Ballast Water의 입수가 이루어지면 추가부력탱크(200)는 부력이 감소하여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고, Ballast Water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추가부력탱크(200)는 부력이 증가하여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추가부력탱크(200)는 자항바지선박(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자항바지선박(100)에 대하여 제공해야 할 추가부력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자항바지선박(100)에 적재한 화물이 증가함에 따라 추가부력탱크(200)가 제공해야 할 추가부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Ballast Water의 배수를 통하여 추가부력탱크(200)의 부력을 증가시키면 되고, 자항바지선박(100)에 적재한 화물이 감소함에 따라 추가부력탱크(200)가 제공해야 할 추가부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Ballast Water의 입수를 통하여 추가부력탱크(200)의 부력을 감소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Ballast Water의 입수 및 배수는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에 결합시키거나 자항바지선박(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Ballast Water의 Sloshing Motion에 대응하기 위하여 추가부력탱크(200)의 몸체 내부에는 다수의 구획벽(2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추가부력탱크(200)가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하거나 자항바지선박(1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계류하는 과정에서도 최대한 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부력탱크(200)가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추가부력탱크(200) 및 자항바지선박(100) 간의 마찰 또는 충돌로 인하여 추가부력탱크(200) 및 자항바지선박(100)이 입게 될 손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추가부력탱크(200) 몸체의 각 모서리에는 고무재질의 완충패킹(24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부력탱크(200) 몸체의 각 모서리의 형상은 원호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결합되는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은데,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은 이하에 서술하는 과정의 역의 순서에 따르면 된다.
제 10 단계 : 예인선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으로 예인한다(도 4의 1, 2, 3, 4 참조).
제 20 단계 : 예인선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 넣는다(도 5의 5 참조).
제 30 단계 : 추가부력탱크(200)의 Ballast Water를 배수시킨다(도 5의 6 참조).
제 40 단계 :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를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에 결속시킨다(도 5의 7, 8 참조).
제 10 단계는 예인선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 넣는 과정으로서(도 4의 1, 2, 3, 4 참조), 본 단계는 자항바지선박(100)이 입항한 경우 및 자항바지선박(100)이 해상에서 운항 중인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실현이 가능하다. 즉, 추가부력탱크(200)는 자체적으로 해상에서 부유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자항바지선박(100)이 입항한 경우는 물론 자항바지선박(100) 이 해상에서 운항 중인 경우에도 예인선을 이용하여 운항 해역으로 추가부력탱크(200)를 이동시켜 와서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용량의 추가부력탱크(200)를 목적에 따라 교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즉,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부력탱크(200)는 그 크기(용량)를 다양하게 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자항바지선박(100)의 크기나 적재할 화물의 양 등에 따라 추가로 제공해야 할 부력의 범주가 다양한 경우에 이에 맞추어 추가부력탱크(200)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정기노선에서는 적하역지에 각각 별도의 추가부력탱크(200)를 배치함으로써 자항바지선박(100)의 운항시 추가부력탱크(200)를 분리하여 운항할 수 있어 하중 감소에 따른 연료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한편, 자항바지선박(100)이 입항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 이러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은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측 방향뿐만 아니라 자항바지선박(100)의 선미 방향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은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 설치된 추가부력탱크(200)의 간섭으로 인한 문제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인선은 2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와 평행을 유지하면서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에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추가부력탱크(200)의 양 끝단을 2대의 예인선이 호흡을 맞춰 거리를 조절하면서 예인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도 4의 3, 4 참조). 즉, 자항바지선박(100)이 입항하면(도 4의 1 참조), 예인선은 추가부력탱크(200)를 예인하여 자항바지선박(100) 가까이로 위치시키고(도 4의 2 참조), 자항바지선박(100)의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와 평행을 유지하도록 추가부력탱크(200)를 회전시킨 후(도 4의 3 참조),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의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로 서서히 접근시키는 것이다(도 4의 4 참조).
한편, 본 단계에서는 추가부력탱크(200)에 Ballast Water를 충분히 입수시켜 추가부력탱크(200)가 수면에 많이 잠겨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추가부력탱크(200)가 수면에 많이 잠겨 있으면 추가부력탱크(200)의 복원성 및 안정성이 증가하므로 추가부력탱크(200)를 예인하는 과정에서 추가부력탱크(200)가 전복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부력탱크(200)가 수면 위로 많이 부상한 나머지 추가부력탱크(200)의 몸체 하부 사다리꼴 형상 영역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 나중(제 20 단계, 도 5의 5 참조)에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 넣을 때 추가부력탱크(200)의 몸체 하부 사다리꼴 형상 영역이 자항바지선박(100)의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의 ‘ㄷ’자 모양으로 패인 홈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 20 단계에서 예인선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 넣고(도 5의 5 참조), 제 30 단계에서 추가부력탱크(200)의 Ballast Water를 배수시키면 추가부력탱크(200)는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 워진 상태에서 수면 위로 서서히 부상하게 된다(도 5의 6 참조).
제 30 단계는, 추가부력탱크(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케이블 연결부(220)를 통하여 자항바지선박(100)으로부터 전력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펌프 및 제어밸브(솔레노이드 밸브)가 Ballast Water를 배수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작동원리는 이미 상술한 바 있다.
제 40 단계는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를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를 자항바지선박(100)에 결속시키는 과정인데(도 5의 7, 8 참조), 본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상술한 바 있다.
제 41 단계 : Ballast Water를 배출한 추가부력탱크(200)가 수면 위로 올라온다.
제 42 단계 :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가 힌지 운동으로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외부로 돌출하여 나와 추가부력탱크(200)에 닿는다.
제 43 단계 :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끝단에 부착된 결속판(122)이 추가부력탱크(200)와 넓은 면에 걸쳐서 접촉함으로써 당해 접촉면을 통하여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유압을 추가부력탱크(200)에 전달함과 동시에 접촉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본 단계에서는 추가부력탱크(200)의 몸체 표면에 형성된 결속홈(210)으로 결속판(12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100)의 선미구조 및 작동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부력탱크(2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자항바지선박
110 : 추가부력탱크 부착부
120 : 추가부력탱크 결속부
121 :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
122 : 결속판
200 : 추가부력탱크
210 : 결속홈
220 : 케이블 연결부
230 : 구획벽
240 : 완충패킹

Claims (7)

  1. 선미에서 ‘ㄷ’자 모양으로 패인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당해 홈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추가부력탱크(2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추가부력탱크(200)가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에 끼워지면 유압으로 추가부력탱크(200)를 누름으로써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를 포함하는 자항바지선박(100); 및
    자항바지선박(100)에 대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바 자항바지선박(100)과 결합하여 추가부력을 제공하거나 자항바지선박(10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계류하기도 하는 탱크로서, 평면 및 측면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지만 정면부의 단면 형상은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직사각형 및 사다리꼴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몸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박스 형상을 갖는 추가부력탱크(200)
    를 포함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 결속부(120)는,
    유압에 의하여 힌지 운동을 함으로써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선체 외부로 돌출하게 되는 구동축으로서, 자항바지선박(100)과 추가부력탱크(2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내부로 삽입되어 있 다가 자항바지선박(100)에 추가부력탱크(200)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자항바지선박(100)의 선체 외부로 돌출하여 나와 추가부력탱크(200)를 추가부력탱크 부착부(110) 안으로 밀게 되는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 및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끝단에 설치된 판 형상의 구조물로서,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가 추가부력탱크(200)를 밀게 되는 경우에 추가부력탱크(200)와 넓은 면에 걸쳐서 접촉함으로써 당해 접촉면을 통하여 결속판 제어용 유압식 엑추에이터(121)의 유압을 추가부력탱크(200)에 효과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접촉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추가부력탱크(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결속판(1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 표면에 결속판(122)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홈(2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200)는,
    케이블 연결부(220)를 통하여 자항바지선박(100)으로부터 전력 및 제어신호 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펌프 및 제어밸브(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펌프 및 제어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으로 Ballast Water의 입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 내부에 Ballast Water의 Sloshing Motion에 대응하기 위한 구획벽(23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의 각 모서리에 고무재질의 완충패킹(240)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부력탱크(200)는,
    몸체의 각 모서리의 형상을 원호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1020080041191A 2008-05-02 2008-05-02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10095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91A KR100955771B1 (ko) 2008-05-02 2008-05-02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91A KR100955771B1 (ko) 2008-05-02 2008-05-02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62A KR20090115362A (ko) 2009-11-05
KR100955771B1 true KR100955771B1 (ko) 2010-04-30

Family

ID=4155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91A KR100955771B1 (ko) 2008-05-02 2008-05-02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27U (ko)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44B1 (ko) * 2011-08-10 2013-10-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및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의 승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9093A (en) 1978-10-26 1980-05-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arrying method of auxiliary barge
JPS5568495A (en) 1978-11-14 1980-05-23 Mitsubishi Heavy Ind Ltd Submarine type barge
JPS599997U (ja) 1982-07-12 1984-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量物運搬船
JPH03169795A (ja) * 1989-11-29 1991-07-23 Toa Harbor Works Co Ltd 押航土運船と土砂投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9093A (en) 1978-10-26 1980-05-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arrying method of auxiliary barge
JPS5568495A (en) 1978-11-14 1980-05-23 Mitsubishi Heavy Ind Ltd Submarine type barge
JPS599997U (ja) 1982-07-12 1984-01-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量物運搬船
JPH03169795A (ja) * 1989-11-29 1991-07-23 Toa Harbor Works Co Ltd 押航土運船と土砂投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27U (ko)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자항 수송선용 부력탱크 가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62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031B2 (en) Vessel including automatic ballast system using tubes
CN101356092B (zh) 系泊系统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US20040045490A1 (en) Liquid natural gas transfer station
CN100393576C (zh) 停泊的方法和系统
KR100466881B1 (ko) 양현하역용 하역장치
KR100955771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WO2004054872A1 (en) Self-propelling barge
GB2075432A (en) Barge-carrying vessel
CN101941510A (zh) 一种提高集装箱(或散杂货)船舶装卸效率的方法及设备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100976954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결합방법
CA2900357C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CN211642531U (zh) 桥梁段半潜式安装运输平台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EP0784562B1 (en) A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KR101118675B1 (ko) 선박화물 하역설비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US3540399A (en) Timber carrying vessel
CN104590501A (zh) 基于物资储运平台实现岛礁环境开发建设的方法及其平台
JP2007050814A (ja) 高速コンテナ船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810001873B1 (ko) 부유성 운반체 운송용 선박
KR810001447B1 (ko) 부선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