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47B1 - 이동 항구 - Google Patents

이동 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47B1
KR101263247B1 KR1020090132489A KR20090132489A KR101263247B1 KR 101263247 B1 KR101263247 B1 KR 101263247B1 KR 1020090132489 A KR1020090132489 A KR 1020090132489A KR 20090132489 A KR20090132489 A KR 20090132489A KR 101263247 B1 KR101263247 B1 KR 10126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latform
main platform
loading
wate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916A (ko
Inventor
최영복
고원규
우일국
강대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 위치한 항만시설로부터 해상으로 벗어난 해역에서 화물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해상운송 및 항만시설의 운용을 도모하고, 화물의 선적과 하역에 따른 해상과 육상의 항만시설 사이의 운송 과정에 있어 밸러스트 설비의 운용 없이도 적재되는 화물의 물량과 무관하게 해수내 잠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필요한 흘수를 확보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의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해양 생태계의 교란과 오염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3)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한 이송 설비(12)를 갖춘 메인 플랫폼(10);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접안 가능하고 해수의 출입을 허용하는 비수밀 공간부(5)를 갖춘 서브 플랫폼(20); 상기 비수밀 공간부(5)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화물(3)을 적재하는 바스켓형 적재함(7); 및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구비되고 외부 선박(1)의 접안을 위한 접안부(14)로 구성된다.
이동 항구, 화물, 이송, 비수밀 공간, 적재함

Description

이동 항구{Mobile harbor}
본 발명은 이동 항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벗어난 해상에서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가능하게 하고,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작업에 따른 무게의 변동과 무관하게 해수내 잠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조절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이동 항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운송은 차량이나 철도를 이용한 육상 운송이나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 운송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다량의 화물을 1회에 걸쳐 운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국제 교역에 있어 선박을 이용한 해상 운송은 다른 운송 방식에 비해 비용적인 측면과 물동량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근래에 들어 컨테이너선과 같이 해상 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특히 대형 선박의 접안을 위한 계류 설비와 하역 설비를 갖춘 육상의 항만시설도 종속적으로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육상 항만시설의 대형화는 보다 넓은 토지의 점유를 초래하게 되고, 특히 많은 물량의 화물을 야적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토지와 그에 따른 부대시설의 확충이 요구된다.
이 결과, 선박을 통해 해상으로 운송되는 화물을 해상에서 직접적으로 선적 및 하역할 수 있게 하는 이동 항구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실제로 일부 그에 따른 대응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해상 운송시 선박은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추진기 및 방향타의 효율적인 작동과 균형의 유지 및 선체의 안정적 복원효율을 위해 밸러스트 설비의 가동을 통한 필요한 잠김 깊이를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밸러스트 수의 조절은 선적된 화물의 중량과 무관하게 선박의 운항에 있어 필요로 하는 적정의 흘수(吃水) 확보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트림(Trim; 선체의 종경사)의 조정을 통해 운항에 필요로 하는 선체의 안정된 복원성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선박에 있어 밸러스트 설비는 전 세계에 걸쳐 해수의 교류에 따른 해양 생태계의 교란과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밸러스트 수의 배출에 대한 각종 규제와 함께 후처리 설비와 같은 제반 설비의 구축을 요구하게 되므로 많은 비용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육상에 위치한 항만시설로부터 해상으로 벗어난 해역에서 화물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해상운송 및 항만시설의 운용을 도모하고, 화물의 선적과 하역에 따른 해상과 육상의 항만시설 사이의 운송 과정에 있어 밸러스트 설비의 운용 없이도 적재되는 화물의 물량과 무관하게 해수내 잠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필요한 흘수를 확보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의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해양 생태계의 교란과 오염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밀 선체로서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한 이송 설비를 갖춘 메인 플랫폼과, 수밀 선체로서 상기 메인 플랫폼에 대해 접안 가능하고 해수의 출입을 허용하는 비수밀 공간부를 갖춘 서브 플랫폼, 상기 비수밀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형 적재함 및, 상기 메인 플랫폼에 구비되고 외부 선박의 접안을 위한 접안부를 포함하는 이동 항구를 제시한다.
상기 접안부는 상기 외부 선박에 대한 양현 접안을 위해 상기 메인 플랫폼에 대해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유식 안벽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안부는 다양한 선폭의 외부 선박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메인 플랫폼 에 대해 접안된 외부 선박의 선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플랫폼은 상기 서브 플랫폼과 상기 외부 선박에 대한 정박을 위한 계류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설비는 상기 접안부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랫폼은 비수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수밀 공간부에는 상기 적재함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수밀 공간부는 상기 메인 플랫폼과 상기 서브 플랫폼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에 해수의 유/출입을 위한 해수 출입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수밀 공간부에는 상기 적재함이 내저판의 아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에 의하면, 컨테이너 운반선 등의 선박을 통해 운반되는 각종 화물들을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해상으로 벗어난 해역에서 메인 플랫폼에 접안되는 서브 플랫폼으로 하역한 다음 이를 육상의 항만시설로 운송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해상운송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화물의 운송에 있어 메인 플랫폼의 비수밀 공간부에 설치되는 적재함을 이송 설비의 작동을 통해 서브 플랫폼의 비수밀 공간부로 한 번에 이송할 수 있으므로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상에서 운반선을 접안시켜 화물의 하역을 실시하는 메인 플랫폼과 이 메인 플랫폼에 의해 하역되는 화물을 육상의 항만시설로 운송하는 서브 플랫폼은 각각 밸러스트 설비의 작동 없이도 적재되는 화물의 중량과 무관하게 해수내에서 일정한 잠김 깊이를 유지하여 운항에 필요로 하는 적정의 흘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얕은 해역에서도 화물의 운송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밸러스트 탱크의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밸러스트 수의 교환을 배제하여 해양 생태계의 교란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밀 선체에 대해 해수와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비수밀 공간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에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을 해수에 의해 부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함 내에서 불균일한 중량 구조를 갖는 화물의 적재에도 불구하고 이동 항구에서는 불필요한 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외부 선박(1)을 접안시켜 컨테이너 등의 화물(3)에 대한 선적과 하역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 항구에 관한 것이다. 즉, 외부 선박(1)에 선적된 화물(3)을 해상에서 하역한 다음 이를 육상의 항만시설로 이송시키거나, 역으로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화물(3)을 이송하여 해상에 정박하고 있는 외부 선박(1) 으로 선적하기 위한 이동 항구의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동 항구는 수밀 구조의 부유식 구조물로서 상기 외부 선박(1)에 대한 접안을 위한 메인 플랫폼(10)과, 수밀 구조의 부유식 구조물로서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접안되고 화물(3)의 적재를 위한 구역을 가지며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육상의 항만시설 사이를 오가는 셔틀 선박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플랫폼(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플랫폼(10)은 상기 외부 선박(1)에 선적된 화물(3)을 상기 서브 플랫폼(20)으로 하역하거나, 상기 서브 플랫폼(20)에 선적된 화물(3)을 상기 외부 선박(1)으로 선적하기 위한 이송 설비(1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 설비(12)는 짚 크레인(도 1), 갠트리 크레인(도 2), 골리앗 크레인 등의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 설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 플랫폼(10)은 상기 외부 선박(1)에 대한 접안을 위한 접안부(14)를 구비한다. 상기 접안부(14)는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는 안벽 형태의 부유식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안부(14)는 상기 외부 선박(1)에 대한 양현 접안을 위해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유식 안벽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접안부(14)는 접안되는 외부 선박(1)의 선폭에 따라 상호간 이격거리의 조절을 위해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상기 접안부(14)를 외부 선 박(1)의 선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접안부(14) 사이의 연결부위를 다양한 형태의 이동식 연결구조물의 형태로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한 상기 접안부(14)의 이동은 별도의 구동설비를 매개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 플랫폼(10)은 상기 외부 선박(1)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에 대한 정박을 위해 계류 설비를 구비하는 바, 상기 계류 설비는 상기 접안부(14)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류 설비는 상기 접안부(14)에 대해 외부 선박(1) 또는 서브 플랫폼(20)을 계류함에 있어 필요한 장비로서 닻, 앵커 체인(anchor chain), 양묘기, 계선 로프, 계선주, 방현재(fend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설비(12)는 상기 접안부(14)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는 데, 필요에 따라 상기 주행 레일(16)은 상기 메인 플랫폼(10)의 상부 갑판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접안부(14)가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외부 선박(1)의 선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될 경우, 상기 메인 플랫폼(10)의 상부 갑판에 위치한 주행 레일(16)은 상기 접안부(14)의 배치에 맞춰 다양한 위치에서 여러 군데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상기 메인 플랫폼(10)의 접안부(14)에 대해 접안 가능하고 외부 선박(1)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3)을 하역받아 적재한 다음 이를 육상의 항만시설로 운반하거나, 육상의 항만시설에 적재된 화물(3)을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접안된 외부 선박(1)으로 운반하여 선적하기 위한 일종의 셔틀 선박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해수의 출입을 허용하는 비수밀 공간부(5)를 구비하고,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내부에 화물(3)의 적재를 위한 일종의 바스켓 형태로 이루어진 적재함(7)을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적재함(7)은 상기 비수밀 공간부(5)에 대해 설치와 분리가 각각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적재함(7)은 내부에 다량의 화물(3)을 적재한 상태에서 해상 크레인 등 외부 이송 설비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비수밀 공간부(5)로부터 일체로 분리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상기 메인 플랫폼(1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 적재함(7)은 비수밀 공간부(5)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다량의 화물(3)을 층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재함(7)의 내부에 화물(3)의 선적 및 하역은 상기 이송 설비(12)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비수밀 공간부(5)에 대해 상기 적재함(7) 전체를 선적하거나 하역할 때 해상 크레인 등 외부 이송 설비의 동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데, 이때에는 화물(3)의 선적과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메인 플랫폼(10) 및/또는 서브 플랫폼(20)에 구비되는 비수밀 공간부(5)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상기 메인 플랫폼(10) 및/또는 상기 서브 플랫폼(20)을 이루고 있는 수밀 선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그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의 저면은 해수의 유/출입을 위한 해수 출입공(9)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에 각각 형성된 상기 비 수밀 공간부(5)는 수밀 선체의 내저판 보다 낮은 위치로 상기 적재함(7)이 아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10a,20a)을 형성할 수 있는 데, 상기 걸림턱(10a,20a)은 상기 비수밀 공간부(5)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걸림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수밀 선체의 하부중 일부에 해수 출입공(9)을 형성함으로써 해수 출입공(9)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선체를 매개로 적재함(7)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적재함(7)은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에 있어 각각의 내저판에서 상부 갑판에 이르는 거리에 부합하는 높이를 가지고서 상부가 개방되어 화물(3)의 선적 및 하역을 자유롭게 하는 바스켓 구조를 갖고, 상기 비수밀 공간부(5)의 저면에 형성된 해수 출입공(9)을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상기 비수밀 공간부(5)내에서 부유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적재함(7)을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는 데, 예컨대 상기 서브 플랫폼(20)의 길이방향에 대해 1 베이(bay)의 길이를 가지며, 특히 수밀 선체의 전 길이에 걸쳐 4개 이상의 다수로 설치하여 충분한 흘수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적재조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수밀 선체의 폭방향이나 높이방향으로는 이동 항구가 활용되는 해역이나 주변 항구 또는 안벽 등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폭방향으로 11 로우(row)의 길이를 가지고 높이방향으로 7 티어(tier)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수밀 공간부(5)는 상기 적재함(7)의 내부에 화물(3)이 적재되 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의 수밀 선체가 각각 해수내에서 충분한 잠김 깊이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가 충분한 복원 안정성을 가지고 해상에서 부유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화물(3)의 선적 및 하역시 적재함(7) 내부에 잔류되는 화물(3)의 양과 무관하게 이동 항구의 수밀 선체 위치를 해수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항해에 있어 필요로 하는 충분한 흘수를 확보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는 비수밀 공간부(5)내에서 해수 출입공(9)을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부유되는 바스켓 형태의 적재함(7)을 분리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불균일한 중량 구조를 갖는 화물(3)의 적재에도 불구하고 이를 메인 플랫폼(10) 또는 서브 플랫폼(20)에 대해 직접적으로 하중을 전달하지 않게 되므로, 수밀 선체의 메인 플랫폼(10)과 서브 플랫폼(20)에 있어 불필요한 트림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수밀 선체중 비수밀 공간부(5)가 점유하는 부피만큼의 부력이 제거되어 적재함(7) 내부에 화물(3)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없는 경우에도 충분한 잠김 깊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동 항구는 충분한 복원안정성을 가지고서 해상에 부유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컨테이너선과 같이 비중이 작은 화물을 적재하는 선박에서는 선체의 중앙부위에서 굽힘 모멘트가 최대인 호깅 모멘트를 가지게 되므로 밸러스트 탱크내 밸러스트 수를 채워서 선박의 중앙부위를 보다 무겁게 함으로써 굽힘 모멘트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데, 본 발명의 이동 항구에서는 수밀 선체에 다수의 비수밀 공간부(5)를 형성함으로써 선체의 중앙부에서 부력이 제거될 수 있도 록 하고, 이를 통해 선박의 중앙부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완화시켜 선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자항식 추진설비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발생된 추진력에 의해 운항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자항설비를 갖추지 않고 예인선 등의 도움을 받아 운항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인 플랫폼(10)은 자항식 추진설비를 갖추고서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해상으로 벗어나 자유롭게 그 위치를 옮길 수 있고,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자항식 추진설비를 갖추고서 육상의 항만시설과 해상에 위치한 메인 플랫폼(10) 사이를 운항하면서 컨테이너 등의 화물(3)을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에 의한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인 플랫폼(10)과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각각 자항식 추진설비 또는 예인선에 의해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해양으로 벗어난 해역에 정박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구비된 계류 설비는 상기 서브 플랫폼(20)을 상기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적정의 위치로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어, 컨테이너 등의 화물(3)을 적재하고 있는 외부 선박(1)은 상기 메인 플랫폼(10)의 접안부(14) 사이의 공간으로 양현 접안한 다음 상기 서브 플랫폼(20)과 동일하게 계류 설비를 매개로 메인 플랫폼(10)에 대해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접안부(14)의 상부 갑판에서 주행 레일(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설비(12)를 동작시켜 상기 외부 선박(1)에 적재된 화물(3)을 하역 하고, 하역된 화물(3)은 다시 상기 메인 플랫폼(10) 및/또는 상기 서브 플랫폼(20)의 비수밀 공간부(5)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적재함(7)의 내부에 선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서브 플랫폼(20)의 비수밀 공간부(5)에 설치된 적재함(7)으로 화물(3)의 선적이 완료되면, 상기 서브 플랫폼(20)은 자항식 추진설비 또는 예인선의 동작에 의해 육상의 항만시설로 화물(3)을 운송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상기 메인 플랫폼(10)은 상기 서브 플랫폼(20)이 육상의 항만시설로 이동한 다음에도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적재함(7)에 대해 외부 선박(1)에 적재된 화물(3)을 이송 설비(12)의 작동을 통해 선적하여 적재할 수 있고, 이후 육상의 항만시설로부터 메인 플랫폼(10)으로 복귀한 서브 플랫폼(20)의 비수밀 공간부(5)에 대해 해상 크레인 등 외부 이송 설비는 메인 플랫폼(10)의 비수밀 공간부(5)에 수용된 적재함(7) 전체를 한 번에 들어 올려 상기 서브 플랫폼(20)의 비수밀 공간부(5)내에 옮길 수 있으므로, 화물(3)의 선적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는 메인 플랫폼(10) 및/또는 서브 플랫폼(20)이 가지고 있는 수밀 선체에 대해 해수 출입공(9)을 통한 해수의 자유로운 출입을 허용하는 비수밀 공간부(5)를 별도로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적재된 화물(3)의 양과 관계없이 해수내에서 충분한 잠김 깊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는 해수내에서 항해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흘수의 확보는 물론 적재함(7) 내부에 화물(3)의 선적시 불균일한 중량 구조를 갖게 되더라도 화물(3)을 적재하는 적재함(7)이 수밀 선체인 메인 플랫폼(10) 및/또는 서브 플랫폼(20)에 대해 직접적인 하중을 전달하지 않게 되므로 메인 플랫폼(10)과 서브 플랫폼(20)에 있어 불필요한 트림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항구의 운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비수밀 공간부에 적재함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적재함내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비수밀 공간부에 대해 변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걸림턱을 추가적으로 설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선박 3-화물
5-비수밀 공간부 7-적재함
9-해수 출입공 10-메인 플랫폼
12-이송 설비 14-접안부
16-주행 레일 20-서브 플랫폼

Claims (8)

  1. 해상에서 외부 선박을 접안시켜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한 이동 항구로서,
    수밀 선체로서 상기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한 이송 설비를 갖춘 메인 플랫폼;
    수밀 선체로서 상기 메인 플랫폼에 대해 접안 가능하고 해수의 출입을 허용하는 비수밀 공간부를 갖춘 서브 플랫폼;
    상기 비수밀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화물을 적재하는 바스켓형 적재함; 및
    상기 메인 플랫폼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선박의 접안을 위한 접안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수밀 공간부는 상기 메인 플랫폼과 상기 서브 플랫폼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저면에 해수의 유/출입을 위한 해수 출입공을 형성하고, 내저판의 높이에 이르는 내벽에 상기 적재함이 내저판의 아래로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 상기 외부 선박에 대한 양현 접안을 위해 상기 메인 플랫폼에 대해 상호 대향된 위치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유식 안벽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 상기 메인 플랫폼에 대해 접안된 상기 외부 선박의 선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선박 또는 상기 서브 플랫폼의 정박을 위한 계류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는 상기 접안부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 및/또는 상기 서브 플랫폼에 설치되는 자항식 추진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은 비수밀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수밀 공간부에 적재함을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여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항구.
  8. 삭제
KR1020090132489A 2009-12-29 2009-12-29 이동 항구 KR10126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89A KR101263247B1 (ko) 2009-12-29 2009-12-29 이동 항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89A KR101263247B1 (ko) 2009-12-29 2009-12-29 이동 항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916A KR20110075916A (ko) 2011-07-06
KR101263247B1 true KR101263247B1 (ko) 2013-05-10

Family

ID=4491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489A KR101263247B1 (ko) 2009-12-29 2009-12-29 이동 항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647A (zh) * 2017-08-07 2017-12-19 吴惠民 海上集装箱从装船港cy(含中转港)至卸船港cy垂向组合运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5042A (zh) * 2021-11-05 2022-01-21 武汉理工大学 一种海洋结构物通用安装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6997U (ko) 1981-04-30 1981-12-10
WO2008068504A2 (en) 2006-12-08 2008-06-12 Shipco Limited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KR100895604B1 (ko) 2008-02-12 2009-05-06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6997U (ko) 1981-04-30 1981-12-10
WO2008068504A2 (en) 2006-12-08 2008-06-12 Shipco Limited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KR100895604B1 (ko) 2008-02-12 2009-05-06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647A (zh) * 2017-08-07 2017-12-19 吴惠民 海上集装箱从装船港cy(含中转港)至卸船港cy垂向组合运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916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JP2010184631A (ja) 船舶
CN103228531A (zh) 载货船舶以及装载和卸载这种载货船舶的方法
SE426465B (sv) Pramberande fartyg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US20160016642A1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WO2014013584A1 (ja) 船舶
US11795647B2 (en)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131573B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JP2012153334A (ja) 船舶
KR100482290B1 (ko) 조위차가 큰 부두의 폰툰식 화물 적치대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KR101136095B1 (ko) 화물통을 이용한 해양 화물하역방법
KR20130074134A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운반 방법
KR100955771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910000636B1 (ko) 개방셀형 콘테이너 운반선
KR200319916Y1 (ko) 조위차가 큰 부두의 폰툰식 화물 적치대
KR101948056B1 (ko) 화물 적재 시스템 및 화물 적재용 부유체
GB2123354A (en) Barge carrying vessel
KR100976954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결합방법
JP2024047814A (ja) 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